베스트 1333 논문 사이트 무료 업데이트 55 일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논문 사이트 무료“?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382+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논문 사이트 무료 해외 논문 사이트 무료, KISS 논문 무료, 대학생 논문 무료, RISS 논문 무료, 논문 무료로 보는 법, 무료 논문 아카이브, 무료 논문 열람, 학술논문사이트

무료 논문 검색 사이트 알아보기 (sci, 학위 논문)
  • 1 사이허브(sci-hub)
  • 2 Researchgate.
  • 3 사이언스온(Science on)
  • 4 Academia.
  • 5 RISS(한국교육학술정보원)
  • 6 구글 스칼라 학술 논문 검색 사이트
  • 7 KISS.
  • 8 DBpia.

무료 논문 검색 사이트 TOP 5 추천 순위 ( 학위논문, sci논문 …

  • Source: toptrend.blog
  • Views: 6267
  • Publish date: 40 minute ago
  • Downloads: 74234
  • Likes: 4288
  • Dislikes: 7
  • Title Website: 무료 논문 검색 사이트 TOP 5 추천 순위 ( 학위논문, sci논문 …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44083
  • Date: 37 minute ago
  • Download: 15292
  • Likes: 34
  • Dislikes: 6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21세기 들어 개인소득의 증가에 따른 질적인 삶의 추구와 여가시간의 증가는 레저 시장의 확대를 가져왔으며 그로 인해 박물관이나 테마파크형태의 문화시설도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테마파크(Theme park)의 한 형태인 워터파크(Water park)는 다양한 물놀이 시설을 통해 도시민들에게 해변이나 강변으로 이동하는 수고를 덜어주며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본 연구는 향후 워터파크의 공간설계 및 시설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위하여 공간개념과 어트랙션(Attraction)을 정의한 후 국내 사례 분석을 통하여 유형분류와 각 유형별 방문객 특성을 조사하였다.구체적인 연구를 위하여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워터파크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였다. 둘째, 워터파크의 분류방법으로써 입지조건에 의한 방법과 어트랙션 의한 방법에 대하여 정의하였다. 셋째, 국내 워터파크의 분석을 통해 그 유형을 4가지 형태로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유형별 워터파크의 방문객 특성에 대해 분석하며 마무리 하였다.

무료 RISS, 무료 KCI, 유료 KISS …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한 건축 표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오상민; 2010 …

  • Source: www.riss.kr
  • Views: 5551
  • Publish date: 21 minute ago
  • Downloads: 18416
  • Likes: 6623
  • Dislikes: 4
  • Title Website: RISS 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 Description Website: 무료 RISS, 무료 KCI, 유료 KISS …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한 건축 표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오상민; 2010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RISS에서 논문 원문 무료로 받는 법! (feat.해외 논문 원문) (선행연구 자료 검색, 논문 검색, 체계적문헌고찰, 메타분석 연구자들 필독!)

  • Source: Youtube
  • Views: 89290
  • Date: 23 minute ago
  • Download: 39881
  • Likes: 9763
  • Dislikes: 9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21세기 들어 개인소득의 증가에 따른 질적인 삶의 추구와 여가시간의 증가는 레저 시장의 확대를 가져왔으며 그로 인해 박물관이나 테마파크형태의 문화시설도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테마파크(Theme park)의 한 형태인 워터파크(Water park)는 다양한 물놀이 시설을 통해 도시민들에게 해변이나 강변으로 이동하는 수고를 덜어주며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본 연구는 향후 워터파크의 공간설계 및 시설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위하여 공간개념과 어트랙션(Attraction)을 정의한 후 국내 사례 분석을 통하여 유형분류와 각 유형별 방문객 특성을 조사하였다.구체적인 연구를 위하여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워터파크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였다. 둘째, 워터파크의 분류방법으로써 입지조건에 의한 방법과 어트랙션 의한 방법에 대하여 정의하였다. 셋째, 국내 워터파크의 분석을 통해 그 유형을 4가지 형태로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유형별 워터파크의 방문객 특성에 대해 분석하며 마무리 하였다.

외쿸 무료논문 사이트 – Steemit

안녕하세요. @u robotics 입니다. 오늘 @codingman 님이 논문 읽는 사이트를 게시해주셔서 추천하신 국내 무료논문 사이트는 riss RISS 통합 검색 : 2.

  • Source: steemit.com
  • Views: 2699
  • Publish date: 19 hours ago
  • Downloads: 75902
  • Likes: 9630
  • Dislikes: 6
  • Title Website: 외쿸 무료논문 사이트 – Steemit
  • Description Website: 안녕하세요. @u robotics 입니다. 오늘 @codingman 님이 논문 읽는 사이트를 게시해주셔서 추천하신 국내 무료논문 사이트는 riss RISS 통합 검색 : 2.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원하는 논문을 찾는 방법 (feat. 펍메드)

  • Source: Youtube
  • Views: 10314
  • Date: 28 minute ago
  • Download: 88841
  • Likes: 3257
  • Dislikes: 3

[sci-hub]논문 찾는 사이트 주소

그럼 이렇게 상세검색을 할 수 있는데 오른쪽의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면 정확하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NDSL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로 국외는 몰라도 국내학술지는 정말 쉽고 편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석사 논문같은 경우에는 기술의 내용을 교과서 보다 더 친절하고 상세하게 설명해 줍니다.

30 thg 1, 2018 — 모든 논문을 무료로 다운받게 해주는 엄청난 사이트입니다! 간단히 예를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돈내고 봐야하는 네이처의 최신 논문을 다운받아보겠습니다!

  • Source: depletionregion.tistory.com
  • Views: 48763
  • Publish date: 57 minute ago
  • Downloads: 35858
  • Likes: 1270
  • Dislikes: 2
  • Title Website: [sci-hub]논문 찾는 사이트 주소
  • Description Website: 30 thg 1, 2018 — 모든 논문을 무료로 다운받게 해주는 엄청난 사이트입니다! 간단히 예를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돈내고 봐야하는 네이처의 최신 논문을 다운받아보겠습니다!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대학생들이 은근히 모르는 과제 개꿀 사이트 | 연고티비

  • Source: Youtube
  • Views: 15477
  • Date: 7 minute ago
  • Download: 94015
  • Likes: 3669
  • Dislikes: 9

[sci-hub]논문 찾는 사이트 주소

SCI-HUB의 주소는

https://sci-hub.st/

입니다

주소 보러

오신분들이 많을것 같아서….

다시 이용 안되면 수정하겠습니당

댓글달아주세용ㅎㅎ

(2020.10.15)

본 사이트가 불안정해서 가끔씩 막힐 때도 있습니다.

이럴경우 하루나 길면 5일정도 기다리시면 다시 될겁니다

어느정도 기술의 동향이나, 기술의 정보를 알아보려면,

이따금씩 논문을 찾아야 할때가 있습니다….

특히 석사 논문같은 경우에는 기술의 내용을 교과서 보다 더 친절하고 상세하게 설명해 줍니다.

하지만…… 논문은….. 돈내고 봐야한다는것…..

즉 검색 사이트에서 결제를 해야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논문 보기를 포기할 순 없겠죠??

이제부터 논문 보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논문 검색은 크게 국내논문과 국외논문으로 나뉩니다.

국내논문의 경우를 먼저 볼까요?

아니, 볼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NDSL”에서 검색하면 됩니다.

(http://www.ndsl.kr/)

NDSL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로 국외는 몰라도 국내학술지는 정말 쉽고 편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는 이렇게 생겼고요…

요기서 빨간색 동그라미친 “상세검색”을 눌러줍니다!!

그럼 이렇게 상세검색을 할 수 있는데 오른쪽의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면 정확하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국내 논문의 경우 보통 다 열람 가능하므로 마구마구 읽으시면 됩니다!

국외논문의 경우는 어떨까요??

검색부터 생각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구글의 학술검색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https://scholar.google.co.kr/)

여기도 NDSL처럼 고급검색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아니면 Sciencedirec

( www.sciencedirect.com)

혹은 web of science

(https://webofknowledge.com)

전기전자의 경우 IEEE

(https://www.ieee.org/)

그리고 정말 최신의 최신의 논문을 찾는다면

arXiv를 보시면 됩니다!

(https://arxiv.org/)

여기서 함정있는데, 들어가서 검색해도 논문을 읽을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세가지 해결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 각 사이트에서 구독료를 내고, 즉 돈을 내고 사는 것입니다……

두번째!! 만약 대학교에 다니신다면,

각 대학교 도서관 사이트에는 위의 사이트와 협약을 맺어 논문을 열람할 수 있을 겁니다.

혹은 학교 IP로 인터넷을 접속하신다면 마음껏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번째 방법으로도 읽지 못하는 논문들이 있습니다..

심지어 읽지 못하는 논문들의 양이 꽤 됩니다….

이럴 경우 어떻하느냐…

여기서 비장의 카드를 꺼내게 됩니다..

바로! sci-hub.st 입니다!!

모든 논문을 무료로 다운받게 해주는 엄청난 사이트입니다!

간단히 예를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돈내고 봐야하는 네이처의 최신 논문을 다운받아보겠습니다!

지금이 2016년 12월 7일 새벽2시이므로

네이처 사이트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네… 네이처 메인페이지 입니다…

마침 하단에 LATEST RESEARCH라는게 보이네요

그럼 빨간색 네모를 친 Letter를 클릭해보겠습니다..

뭐라뭐라 생물학에대한 논문이 나오네요,,,

물론 다 보여주지 않습니다..

스크롤을 쭉 내려가면 다 보려면 구입하라고 나옵니다…

그러면 저걸 무시하고 읽어볼까요?

스크롤을 다시 위로 올려서

논문제목을 보면

“doi:” 라는게 있습니다.

이 주소를 가볍게 복사해줍니다…

그리고 인터넷 주소창에

http://80.82.77.84/ 라고 쳐서

들어갑니다!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

복사한 doi: 주소를 붙어넣기하고

open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쭉 기다리면….!!

논문이 나왔죠???

위쪽 상단을 누르면 다운로드도 되네요??ㅋㅋㅋ

이제 여러분이 못읽는 논문이란 없습니다!!

즐겁게 읽으세요!!!

논문 무료 다운로드 받기 – [= Fresh Start =] – 티스토리

▶ 애초에 목적은 정식으로 논문지에 제출하고 publish되기 전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출판되는 동안 향후 유사한 연구내용이 중복되거나 해서 논란이 있을 경우를 대비해서 자신의 연구논문 초안을 공개하는 형태이다. 유명 학술지에 논문 제출하는 경우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Subjects: Physics, Mathematics, Computer Science, Quantitative Biology, Quantitative Finance and Statistics

▶ 웹페이지에서도 가능하지만 구글 크롬 플러그인을 깔면 Google Scholar에서 검색결과를 바로 다운로드도 가능함

22 thg 8, 2022 — 논문 무료 다운로드 받기 · 1. SCI-HUB · 2.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 해외원문복사 · 3. arXiv · 4. ResearchGate.

  • Source: woof.tistory.com
  • Views: 89873
  • Publish date: 1 hours ago
  • Downloads: 37089
  • Likes: 4239
  • Dislikes: 2
  • Title Website: 논문 무료 다운로드 받기 – [= Fresh Start =]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22 thg 8, 2022 — 논문 무료 다운로드 받기 · 1. SCI-HUB · 2.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 해외원문복사 · 3. arXiv · 4. ResearchGa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해적여왕이 뒤흔든 학계! 단언컨대 이 영상에 투자한 3분, 절대 후회하지 않을 겁니다. (논문을 공짜로 보는 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90724
  • Date: 4 minute ago
  • Download: 68523
  • Likes: 1038
  • Dislikes: 5

논문 무료 다운로드 받기

1. SCI-HUB

https://sci-hub.hkvisa.net/

▶ 웹페이지에서도 가능하지만 구글 크롬 플러그인을 깔면 Google Scholar에서 검색결과를 바로 다운로드도 가능함

▶ 주소가 자주 바뀌니 구글에서 SCI-HUB로 검색해서 들어가는 것이 좋은 방법임

▶ https://whereisscihub.now.sh ← 변경되는 SCI-HUB 사이트 주소를 알려주는 곳

▶ 논문제목으로 검색하는 것보다는 doi로 검색 하는 것이 원하는 논문을 찾기 더 쉬움

2.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 해외원문복사

http://www.riss.kr

▶ 무료로 해외 원문을 복사해주는 서비스임

3. arXiv

https://arxiv.org

Subjects: Physics, Mathematics, Computer Science, Quantitative Biology, Quantitative Finance and Statistics

▶ 애초에 목적은 정식으로 논문지에 제출하고 publish되기 전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출판되는 동안 향후 유사한 연구내용이 중복되거나 해서 논란이 있을 경우를 대비해서 자신의 연구논문 초안을 공개하는 형태이다. 유명 학술지에 논문 제출하는 경우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4.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

국내 학술 논문 사이트 모음 BEST 4 가지

처음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로그인을 하라는 창이뜨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각 분야의 카테고리에 들어가면 그 분야 논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5페이지까지는 무료이며 이후 유료 전환 필요)

상위 사이트에서 원하는 자료를 못 찾았다면 구글 검색을 이용해보세요 구글에서 제공하는 학술, 원문 자료들을 보고 다운 받을 수 있으며 사용하기에도 편합니다. (Google Scholar)

국내 과학 기술 정보관련 서비스, 논문, 특허, 뉴스, 보고서, 동향 정보검색 및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9 thg 1, 2020 — RISS (저 포함) 국내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논문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 (5페이지까지는 무료이며 이후 유료 전환 필요).

  • Source: mo-eum.tistory.com
  • Views: 99882
  • Publish date: 1 minute ago
  • Downloads: 75618
  • Likes: 8857
  • Dislikes: 9
  • Title Website: 국내 학술 논문 사이트 모음 BEST 4 가지
  • Description Website: 9 thg 1, 2020 — RISS (저 포함) 국내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논문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 (5페이지까지는 무료이며 이후 유료 전환 필요).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논문 검색 꿀팁! 손쉽게 논문 찾는 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40865
  • Date: 40 minute ago
  • Download: 44119
  • Likes: 7604
  • Dislikes: 3

국내 학술 논문 사이트 모음 BEST 4 가지

대학생, 대학원생이라면 (많은 직장인분들도) 한번쯤은 찾아봤을 논문 사이트!

매번 논문 사이트 찾는 시간도 아깝다는 것을 잘 알기에 유용한 논문 사이트들을 모아봤습니다!

(즐겨찾기는 필수!)

RISS

(저 포함) 국내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논문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같은 검색어를 검색하면 많은 자료들이 나타나고 사이트 이용에도 가장 편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http://www.riss.kr/index.do

DBpia

연구자 중심의 학술 논문 수 국내 1위 사이트입니다.

처음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로그인을 하라는 창이뜨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각 분야의 카테고리에 들어가면 그 분야 논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5페이지까지는 무료이며 이후 유료 전환 필요)

https://www.dbpia.co.kr/

국회도서관

국민들이 지식, 창작물, 논문 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사이트입니다.

서지정보, 저작권이 허락된 원문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https://www.nanet.go.kr/main.do

Google 학술 검색

상위 사이트에서 원하는 자료를 못 찾았다면 구글 검색을 이용해보세요 구글에서 제공하는 학술, 원문 자료들을 보고 다운 받을 수 있으며 사용하기에도 편합니다.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kr/

(추가) 과학 기술 정보 사이트 (추천)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

국내 과학 기술 정보관련 서비스, 논문, 특허, 뉴스, 보고서, 동향 정보검색 및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http://www.ndsl.kr/index.do

08화 무료 논문 보는 법 혹은 공유하는 법 – 브런치

세 번째 길은 아름답지만 좁다. 연구자들 스스로 공개접근 즉 오픈액세스(Open Access, OA)한 논문들을 모은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아카데미아( www.academia.edu )에선 2100만개, 플로스( www.plos.org )에선 21만5000여개 텍스트가 공개되어 있다. 리서치게이트( www.researchgate.net )에선 1500만여 명의 과학자들이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있다. 국내 연구자들 것도 있지만 모두 영어 논문이다.

사이허브는 온라인 논문 검색엔진 사이트다. 2011년 카자흐스탄의 한 대학원생이 유료 논문의 지불장벽에 반발해 만든 후 전 세계 유료논문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사이허브 트위터(twitter.com/sci_hub)는 2019년 10월 기준으로 전 세계 7600만 개 논문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논문을 무료 공개 당한 연구자들에게는 여러 모로 불편한 숫자일 터.

“서울대나 KAIST에 다니는 친구를 사귀는 것이다. 이 두 학교는 돈이 많기 때문에 웬만한 저널은 다 구독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친구와 연락이 닿지 않을 수도 있고, 자꾸 부탁하다 보면 귀찮아서 연락을 아예 끊어버릴 수도 있다. 우리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우도록 하자. 바로 사이허브(Sci-Hub)라는 사이트다.”

6 thg 10, 2022 — 한국의 커먼즈 <4-1> 오픈액세스를 선택한 연구자와 학자들 | 2019년 이후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서 새로 떠오른 인기 검색어가 있다. ‘무료 논문’.

  • Source: brunch.co.kr
  • Views: 37107
  • Publish date: 29 minute ago
  • Downloads: 56595
  • Likes: 5553
  • Dislikes: 8
  • Title Website: 08화 무료 논문 보는 법 혹은 공유하는 법 – 브런치
  • Description Website: 6 thg 10, 2022 — 한국의 커먼즈 <4-1> 오픈액세스를 선택한 연구자와 학자들 | 2019년 이후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서 새로 떠오른 인기 검색어가 있다. ‘무료 논문’.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무료논문사이트 riss

  • Source: Youtube
  • Views: 91942
  • Date: 15 hours ago
  • Download: 50201
  • Likes: 6788
  • Dislikes: 9

08화 무료 논문 보는 법 혹은 공유하는 법

2019년 이후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서 새로 떠오른 인기 검색어가 있다. ‘무료 논문’.

전남대, 군산대, 경상대 등 10개 국공립대학은 2019년 들어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DB)업체인 디비피아 구독을 중단했다. 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에 따르면 “디비피아가 과도한 가격 인상을 요구”했고, 디비피아에 따르면 “인상을 전제로 3년 계약을 맺었는데 대학들이 이제 와서 딴소리”를 했다.

여하튼, 논문 226만 편짜리 국내 최대 상용DB에 접근할 수 없게 된 학생과 연구자들은 다른 길을 찾아야 하는 형편이 됐다.

‘무료 논문’으로 가는 길은 크게 세 갈래다. 첫 번째 길. 무난하지만 번거롭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나 국가학술정보융합데이터( cloud.nanet.go.kr ) 혹은 국회전자도서관( www.nanet.go.kr)

에 가서 무료로 공개된 논문을 찾아서 본다.

그런데 검색된 논문 상당수는 저작권이 따로 있다. 소장기관으로 찾아가거나 협정기관 아이디로 접속해야 볼 수 있다. 소속 없고 소장기관 도서관이 먼 학생이나 연구자라면? 무료 논문 구하러 다닐 시간에 차라리 DB

업체에서 1건에 6000~9000원 하는 유료 논문을 사서 보는 게 나을 수도 있겠다.

두 번째 길은 불편하거나 어둡다. 인문 비평 공동체 IRIS 카페에서 ‘이 글은 제 고양이가 썼습니다’라는 가명을 쓰는 한 회원이 그 길에 이르는 법을 소개했다.

“서울대나 KAIST에 다니는 친구를 사귀는 것이다. 이 두 학교는 돈이 많기 때문에 웬만한 저널은 다 구독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친구와 연락이 닿지 않을 수도 있고, 자꾸 부탁하다 보면 귀찮아서 연락을 아예 끊어버릴 수도 있다. 우리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우도록 하자. 바로 사이허브(Sci-Hub)라는 사이트다.”

사이허브는 온라인 논문 검색엔진 사이트다. 2011년 카자흐스탄의 한 대학원생이 유료 논문의 지불장벽에 반발해 만든 후 전 세계 유료논문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사이허브 트위터(twitter.com/sci_hub)는 2019년 10월 기준으로 전 세계 7600만 개 논문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논문을 무료 공개 당한 연구자들에게는 여러 모로 불편한 숫자일 터.

세 번째 길은 아름답지만 좁다. 연구자들 스스로 공개접근 즉 오픈액세스(Open Access, OA)한 논문들을 모은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아카데미아( www.academia.edu )에선 2100만개, 플로스( www.plos.org )에선 21만5000여개 텍스트가 공개되어 있다. 리서치게이트( www.researchgate.net )에선 1500만여 명의 과학자들이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있다. 국내 연구자들 것도 있지만 모두 영어 논문이다.

한국어 논문을 모은 오픈액세스 사이트도 있다. 서울대, KAIST, 이화여대도서관 등 국내 대학과 국토연구원 등 국립연구기관들 40여 곳이 참여하고 국립중앙도서관이 운영하는 오픈액세스코리아(이하

OAK, www.oak.go.kr) 다.

OAK는 2021년 기준으로 38곳 참여기관의 논문 104만3000여 건을 무료 공유한다. 네이버 학술정보나 구글 학술 검색에선 상용DB업체 즉 유료 논문도 함께 보여주지만, OAK에선 오직 무료 논문만 보여준다.

하지만 이 길은 좁다. OAK 제공 논문은 국내 상용DB업체와 비교해 38.5% 수준이다. 이 길을 더 넓힐 방법은 없을까?

방법은 두 가지다. 세금이 들어간 연구물에 오픈액세스를 법으로 강제하는 것, 연구자 스스로 오픈액세스를 선택하는 것.

“논문 접근성 높이자”

무료 오픈액세스를 선택한 한국기록관리학회 등 문헌정보학 8단체

2019년 8월 29일 ‘새로운 학문 생산 체제와 지식 공유를 위한 학술 단체와 연구자 공동 심포지엄에 참석한 연구자와 학술단체들이 선언문을 함께 낭독하고 있다. (사진 제공

국내에서도 연구자들이 학회를 통해 오픈액세스를 시작했다. 문헌정보학 8개 학술단체와 학술지, 그리고 대한의학학술지 편집인협의회 소속 112개 학술지다. 문헌정보학 단체들은 각자의 사이트에서, 대한의학학술지들은 코리아메드 시냅스 사이트(synapse.koreamed.org)를 통해 연구자 회원들의 논문을 공개하고 있다.

그런데 기여하는 공동체의 범위가 다르다. 코리아메드 시냅스는 영어로만 논문을 공유한다. 문헌정보학 8단체는 한국어로 공유한다. 즉, 코리아메드의 논문에 영어권 즉 전 세계가, 문헌정보학 논문은 한국어권 즉 한글 공동체가 접근할 수 있다. 각 단체가 영향을 주려는 공동체가 다른 것이다.

이처럼 오픈액세스는 겉보기에는 그저 모든 이에게 열려 있는 개방지 같지만, 실은 특정 공동체가 공동의 목표를 위해 공동으로 운영하는 공유지 즉 커먼즈Commons에 가깝다. 연구자들은 왜 자발적으로 지식의 공유지, 지식 커먼즈를 만들고 있는 것일까.

먼저, 문헌정보학 8단체 사례를 보자. 2019년까지 문헌정보학 8단체 중 3곳이 상용DB업체와 계약을 종료했다. 즉, 영리적 논문 유통 시스템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한 것이다.

그들 중 가장 먼저 논문을 공유하고 있는 한국기록관리학회는 자 기관 사이트뿐 아니라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회도서관 등 공공 부문에 학술정보를 무료 공개했다.

한국기록관리학회는 교보문고 스콜라 등 민간업체에도 논문 유통을 허용했다. 물론, ‘비배타적 이용 허락’ 즉 모든 대중이 무료 이용하는 전제였다. 또, 2019년 4호를 마지막으로 인쇄본 발행 중단을 결정했다. 논문 유통을 완전히 디지털화한다.

이 학회의 정경희 편집위원장(한성대 디지털인문정보학)은 2019년 8월 29일 열린 ‘새로운 학문 생산 체제와 지식 공유를 위한 학술 단체 및 연구자 연대 선언’ 자리에서 문헌정보학 8단체가 오픈액세스를 시작한 배경을 소개했다.

논문 오픈액세스 운동이 처음 시작된 건 영어권이었다. 논문 구매 가격 상승이 도화선이었다. 1986년에서 2000년 사이 북미 지역 도서관의 학술지 구독비용은 225% 올랐다. 그런데 구독자료 수는 줄었다.

여기에 문제의식을 갖게 된 연구자들이 2001년 12월 부다페스트에 모였다. 수차례의 소모임 끝에 이들은 2003년 모든 학문 분야에서의 학술 논문이 인터넷상에서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원리, 전략, 위임에 대한 성명을 발표했다.

그것이 ‘부다페스트 오픈 액세스 이니셔티브(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BOAI)’다.

BOAI는 이를 위해 두 가지를 전략으로 제시했다. 첫 번째는 셀프아카이빙, 즉 저자가 본인의 논문을 직접 업로드해 공개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오픈액세스 저널, 학술단체들이 인터넷을 통해 연구논문을 무료로 저작권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저널을 발행하는 것이다.

이후 분야별 지역별 연구자들의 아카이빙이 시작됐다. 샘플링에 따라 추정치는 다르지만, 20년간 전 세계 논문 중 최대 48%가 오픈액세스 상태인 것으로 알려진다. 21세기 들어 논문 형태로 쌓인 인류의 지식 중 거의 절반에 대중이 무료로 접근할 길이 열렸다.

국내에서 오픈액세스 논의가 진행된 계기도 외국과 비슷하다. 2016년 이후 학술논문 구독 가격 인상률이 대폭 높아졌다. 국내외 상용DB업체와 학술 저널에 내는 구독료는 서울대의 경우 2016년에 연 89억 원이 넘어섰다.

변화가 시작됐다. 2018년 8월엔 문헌정보학 8단체가 오픈액세스 전환을 선언했다. 같은 해 11월엔 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 전자정보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서울대 중앙도서관장 서이종)가 ‘전자저널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대국민 성명서’를 냈다. 2019년 들어선 국공립대학 10곳이 상용DB 구독 중단을 공지했다.

이중, 문헌정보학 8단체 선언의 골자를 살펴보자.

‘학술DB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올라 연구자들이 생산한 학술논문에 대한 접근이 급격히 제한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언에 참여한 학술단체가 발간하는 학술지를 오픈액세스로 전환하겠다.’

이들은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을 위한 로드맵’을 개발했다.

‘첫째, 저작권 및 이용허락 정책에 있어서 저작권은 학회가 갖되 라이선스는 CC BY-NC-ND 즉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로 한다. 둘째, 원문은 공공영역, 상업영역에 모두 공개한다. 셋째, 인쇄본을 중단하고 심사료를 출판비로 전환해 출판비용을 마련하한다. 넷째, 출판 및 유통 플랫폼은 공공 영역에 지원을 요청한다.’

이후 이들 8단체는 각자 사이트를 통해 각자 심사한 논문들을 공개한다. 또, 다른 무료 공개를 전제로 다른 논문 제공 사이트들에도 게재를 허락한다. (다음 편으로 이어집니다)

자료 : 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 2015년 KESLI 컨소시엄 제안현황

#CC_BY #이 저작물은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공동진행 연구결과입니다. 저작자명 및 출처, CCL 조건만 표시한다면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Sci-Hub (사이허브), 논문무료다운 사이트, 학술검색

그런데 대학교에서 종사하시는 분들은 학교 전체에서 논문을 검색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경로가 따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대학교에 있을 때는 그렇게 다운로드하여서 논문을 봤었고요. 그런데 규모가 크지 않은 회사나 기관에서는 대학교처럼 논문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비용적인 측면이나 효율성에서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유롭게 논문을 찾아서 다운로드하여 볼 수가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고 개인이 이러한 루트를 개척하여 할 수 있는 정도도 아니고요.

Sci-Hub(사이허브)는 온라인 검색 엔진 사이트로써, 58,000,000개의 유료 논문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1년 당시 카자흐시탄의 대학원생이었던 알렉산드라 엘바키얀이 출판사들의 지불 장벽에 반발하여 설립하였고, 이후 오픈 액세스 운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2016년 2월 기준 Sci-Hub는 하루 20만 건의 요청을 받고 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2015년 8만 건과 비교해보면 2.5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Sci-Hub는 JSTOR, 스프링어(Springer), 엘제비어(ELSEVIER) 등 여러 출판사들의 자료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2013년에는 레시아의 라이브러리 제네시스와 제휴를 시작하여, 이용자가 요청한 자료가 립젠에 있는 경우 자격 증명을 이용하지 않고 해당 서비스로 바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립젠에 자료가 없는 경우, Sci-Hub는 해당 자료를 다운로드 한 뒤 복사본을 립젠 측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Sci-Hub(사이허브)는 온라인 검색 엔진 사이트로써, 58,000,000개의 유료 논문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1년 당시 카자흐시탄의 대학원생이었던 알렉산드라 엘바키 …

  • Source: oanq4701.tistory.com
  • Views: 65029
  • Publish date: 43 minute ago
  • Downloads: 84803
  • Likes: 9109
  • Dislikes: 3
  • Title Website: Sci-Hub (사이허브), 논문무료다운 사이트, 학술검색
  • Description Website: Sci-Hub(사이허브)는 온라인 검색 엔진 사이트로써, 58,000,000개의 유료 논문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1년 당시 카자흐시탄의 대학원생이었던 알렉산드라 엘바키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2] 대학원생이 꼭 알아둬야 할 사이트

  • Source: Youtube
  • Views: 25870
  • Date: 4 hours ago
  • Download: 54203
  • Likes: 3014
  • Dislikes: 9

Sci-Hub (사이허브), 논문무료다운 사이트, 학술검색

안녕하세요. HemDog입니다.

저는 생명과학을 전공하고 현재도 생명과학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실험을 진행할 때 논문을 찾아보고 실험을 계획하고 물품을 주문하며 어떤 실험이 진행됐었구나라고 하는 동향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생명과학 분야에서 일하고 계시는 분들은 저와 같이 논문을 찾아보시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가 잘 알지는 못하지만 다른 분야의 연구에서도 이렇게 논문을 찾아보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대학교에서 종사하시는 분들은 학교 전체에서 논문을 검색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경로가 따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대학교에 있을 때는 그렇게 다운로드하여서 논문을 봤었고요. 그런데 규모가 크지 않은 회사나 기관에서는 대학교처럼 논문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비용적인 측면이나 효율성에서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유롭게 논문을 찾아서 다운로드하여 볼 수가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고 개인이 이러한 루트를 개척하여 할 수 있는 정도도 아니고요.

저와 같은 생명과학 분야에 계시는 분들은 Bric이라는 사이트에서 내가 필요한 논문에 대한 정보를 올려서 받을 수 있는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서 논문을 받았던 경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방법은 어떤 사람이 게시물을 확인하고 다운로드하여서 메일로 보내줄지도 알 수 없고, 언제 받을 수 있을지도 알 수 없어서 당장 급하게 필요한 논문을 찾을 때는 사용할 수 없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논문을 무료로 다른 받을 수 있는 “Sci-hub(사이허브)”라는 사이트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Sci-Hub, 무료논문다운 사이트??

Sci-Hub에서 논문무료로 다운 받는 방법

Sci-Hub 주소와 트위터

Sci-Hub, 무료논문다운 사이트??

Sci-Hub(사이허브)는 온라인 검색 엔진 사이트로써, 58,000,000개의 유료 논문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1년 당시 카자흐시탄의 대학원생이었던 알렉산드라 엘바키얀이 출판사들의 지불 장벽에 반발하여 설립하였고, 이후 오픈 액세스 운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2016년 2월 기준 Sci-Hub는 하루 20만 건의 요청을 받고 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2015년 8만 건과 비교해보면 2.5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Sci-Hub는 교육 기관들이 결제하여 소유하고 있는 여러 자격 증명(사용자 ID 및 비밀번호) 목록을 이용하여 출판사들의 지불 장벽을 통과한다고 합니다. 2016년 4월 엘바키얀은 사이언스에 투고된 글을 통해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익명의 교육 기관들이 스스로 나서서 자신들을 도와주고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Sci-Hub는 JSTOR, 스프링어(Springer), 엘제비어(ELSEVIER) 등 여러 출판사들의 자료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2013년에는 레시아의 라이브러리 제네시스와 제휴를 시작하여, 이용자가 요청한 자료가 립젠에 있는 경우 자격 증명을 이용하지 않고 해당 서비스로 바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립젠에 자료가 없는 경우, Sci-Hub는 해당 자료를 다운로드 한 뒤 복사본을 립젠 측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Sci-Hub에서 논문무료로 다운 받는 방법

Sci-Hub의 사용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사이트의 구성이 정말 아무것도 없고 검색만 할 수 있게 돼 있어서 복잡할만한 것은 전혀 없습니다. 해외 사이트라고 걱정하실 일도 없습니다. 사이트 구성은 마치 구글과 비슷합니다.

검색창에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PMID나 DOI가 필요한데요. 이 정보는 PubMed에서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우선 내가 찾고자 하는 논문이 있어야겠죠. 어떤 주제로 보고된 논문을 찾고자 한다면 그것 역시도 PubMed에서 검색해보시면 많은 논문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PubMed 주소 : https://www.ncbi.nlm.nih.gov/pubmed/

어떤 논문을 검색해서 들어왔다면 위의 그림에서 보시는 것처럼 PMID와 DOI를 볼 수 있습니다. 저는 보통 DOI를 이용하여 Sci-Hub에 검색하는 편인데요. 어떤 것을 이용하더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이렇게 검색창에 해당 DOI나 PMID를 넣고 검색합니다.

이렇게 문자를 넣으라는 페이지가 가끔 뜨기도 합니다. 뭐 특별한 것은 아니니 제시하는 문자를 넣어주시고,

그럼 이렇게 논문이 열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에는 다운로드 표시가 있어 클릭하면 다운로드도 가능합니다.

Sci-Hub 주소와 트위터

Sci-Hub 주소 : https://scihub.wikicn.top/

Sci-Hub 트위터 : https://twitter.com/sci_hub

**Sci-Hub는 종종 접속이 안될 때가 있습니다. 그때는 조금 기다리시면 다시 열리는 경우가 있으니 안 들어가진 다고 포기하지 마세요^^**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논문 사이트 무료

Bing에서 논문 사이트 무료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논문 사이트 무료.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논문 사이트 무료 해외 논문 사이트 무료, KISS 논문 무료, 대학생 논문 무료, RISS 논문 무료, 논문 무료로 보는 법, 무료 논문 아카이브, 무료 논문 열람, 학술논문사이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