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 1816 논문 출처 표기법 새로운 업데이트 138 시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논문 출처 표기법“?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382+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논문 출처 표기법 논문 출처 표기법 사이트, 논문 인용 표기법, 논문 참고문헌 예시, 논문 출처 표기법 영어, 논문 참고문헌 정리, 논문 출처 표기법 APA, 참고문헌 표기법, 참고문헌 정리 사이트

한국어의 경우 저자명, 출판년도, 인용면수를 순서대로 표기합니다. – 영어의 경우 원괄호 안에 성(Last Name), 출판년도, 인용면수를 순서대로 표기합니다. (Last Name Year of publication, page number.)

카피킬러 출처표기법 가이드

First name Last name, Title of Book, trans. First name Last name (Place of publication: Publisher, Year of publication), page number. 예시 김영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김철수 역, (서울: 문학동네, 1996), 120p

Last name, First name. Title of Book. trans. First name Last name. Place of publication: Publisher, Year of publication. 예시 김영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김철수 역. 서울: 문학동네, 1996.

김철수 역. 서울: 문학동네, 1996. Feydeau, Georges. Four Farces by Georges Feydeau. Translated by Norman R. Shapiro.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 Source: citation.sawoo.com
  • Views: 103000
  • Publish date: 51 minute ago
  • Downloads: 61905
  • Likes: 7593
  • Dislikes: 6
  • Title Website: 카피킬러 출처표기법 가이드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9290
  • Date: 49 minute ago
  • Download: 49708
  • Likes: 9242
  • Dislikes: 5

카피킬러 출처표기법 가이드

각주 한국어

저자명, 제목, 번역자 역,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면수. 영어

First name Last name, Title of Book, trans. First name Last name (Place of publication: Publisher, Year of publication), page number. 예시 김영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김철수 역, (서울: 문학동네, 1996), 120p

김철수 역, (서울: 문학동네, 1996), 120p Georges Feydeau, Four Farces, trans. Norman R. Shapiro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120p

각주-참고문헌 한국어

저자명. 제목. 번역자 역.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영어

Last name, First name. Title of Book. trans. First name Last name. Place of publication: Publisher, Year of publication. 예시 김영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김철수 역. 서울: 문학동네, 1996.

김철수 역. 서울: 문학동네, 1996. Feydeau, Georges. Four Farces by Georges Feydeau. Translated by Norman R. Shapiro.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내주 한국어

(저자 출판년도, 페이지) 영어

영어, 한국어 표기가 동일 예시 (김영하 1996, 100)

(Hemingway 1952, 100)

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 지식의 보물 창고

학위논문을 작성 할 때에는 혼자만의 생각으로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자료를 찾아 보고 참고 하여 작성 하게 되는데요. 그런 경우, 학위논문 참고문헌을 제대로 기재하지 않으면 논문 표절 기준에 걸려 자칫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책, 기사(인터넷), 신문, 논문, 인터넷 동영상, 영화 등 다양한 자료를 참고 하였을 때에는 학위논문 참고문헌을 반드시 작성 하여야 하는데요. 이 것이 바로 본문 하단에, 혹은 가장 뒷장에 나오는 논문 참고문헌입니다.

학위 논문 작성 시 참고문헌 표기법이 중요한 경우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타 기관에서 연구 한 자료 혹은 데이터를 발췌하여 사용 할 때, 기존의 상식과 다른 주장을 할 때 입증을 위한 논거, 역사적 사실을 자료로 활용할 때, 기존의 이론을 소개할 때 등 다른 곳에서 접한 내용을 쓸 때에는 거의 모두 출처 표시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내용을 기재 하면서 논문 출처 표기를 하지 않으면 논문 표절 기준에 걸릴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 합니다.

예) TV예술무대, <조성진│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Op. 73 '황제' (L.v.Beethoven, Piano Concerto No.5 'Emperor') Pf. Seongjin Cho>, YOUTUBE, 2020.7.3, https://www.youtube.com/watch?v=qP9gE8Enxfo (2020.10.21)

21 thg 10, 2020 — 저자, 제목, 출판사명 등 논문 출처 표기법이 별도로 있으므로 꼭 규칙에 맞게 논문 참고문헌 작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Source: news.dagmak.com
  • Views: 103450
  • Publish date: 6 hours ago
  • Downloads: 100025
  • Likes: 3627
  • Dislikes: 9
  • Title Website: 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 지식의 보물 창고
  • Description Website: 21 thg 10, 2020 — 저자, 제목, 출판사명 등 논문 출처 표기법이 별도로 있으므로 꼭 규칙에 맞게 논문 참고문헌 작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대학생을 위한 학습윤리 – 02. 출처를 바르게 표기하는 방법 (강의 : 홍익대 정종진 교수)

  • Source: Youtube
  • Views: 42565
  • Date: 3 minute ago
  • Download: 88002
  • Likes: 3517
  • Dislikes: 4

논문 참고문헌 표기법

학위논문을 작성 할 때에는 혼자만의 생각으로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자료를 찾아 보고 참고 하여 작성 하게 되는데요. 그런 경우, 학위논문 참고문헌을 제대로 기재하지 않으면 논문 표절 기준에 걸려 자칫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책, 기사(인터넷), 신문, 논문, 인터넷 동영상, 영화 등 다양한 자료를 참고 하였을 때에는 학위논문 참고문헌을 반드시 작성 하여야 하는데요. 이 것이 바로 본문 하단에, 혹은 가장 뒷장에 나오는 논문 참고문헌입니다.

논문 작성법에 있어 참고문헌은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논문 참고문헌 표기법에 따라 표시 해야 하는데요. 저자, 제목, 출판사명 등 논문 출처 표기법이 별도로 있으므로 꼭 규칙에 맞게 논문 참고문헌 작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책이나 기사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참고하여 논문을 작성하는 경우도 많은데요. 논문 참고문헌이 인터넷인 경우에도 제목, 인터넷 등록 날짜와 URL 등을 기재 하는 것이 논문 참고문헌 표기법에 맞습니다.

학위 논문 작성 시 참고문헌 표기법이 중요한 경우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타 기관에서 연구 한 자료 혹은 데이터를 발췌하여 사용 할 때, 기존의 상식과 다른 주장을 할 때 입증을 위한 논거, 역사적 사실을 자료로 활용할 때, 기존의 이론을 소개할 때 등 다른 곳에서 접한 내용을 쓸 때에는 거의 모두 출처 표시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내용을 기재 하면서 논문 출처 표기를 하지 않으면 논문 표절 기준에 걸릴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 합니다.

논문 참고문헌 표기법은 그 출처의 형태에 따라 조금씩 다르므로 아래 형식을 참고 바랍니다.

1. 책, 단행본, 잡지 등

저자명, 『책 제목』, 출판사명, 발행연도, 페이지

예)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이성과 힘, 2000, 65p.

이어서 인용할 경우 예) 위의 책, 80p.

다른 책을 인용 했다가 다시 인용 할 경우 예) 조세희, 앞의 책, 80p

같은 부분을 다시 인용할 경우 예) 위와 같음

2. 기사

작성자명, 「기사 제목」, <<신문 이름>>, 발행 일자, 수록 면

예) 윤경환, 「정세균 “23일부터 마스크 수출 규제 해제”」, <<서울경제>>, 2020.10.21, 5면

3. 논문

저자명(발행연도), 「논문 제목」, 『논문집 제목』권 호수, 논문집 발행기관, 페이지

국문 예) 홍길동(2020), 「논문 참고문헌 표기법에 대한 연구」, 『논문세상』19, 논문표절심사위원회, 150p.

영문 예) Knowledgepen, K. (2017). The urban process under capitalism: a framework for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1-4), 161-169p.

4. 인터넷 기사

기자명, <신문기사 제목>, <<매체명>>, 기사수록 날짜, (URL)

예) 윤경환, < 정세균 "23일부터 마스크 수출 규제 해제">, <<서울경제>>,2020.10.21. (https://www.sedaily.com/NewsVIew/1Z97TSKP3K)

5. 인터넷 동영상

동영상 업로더, <동영상 제목>, 플렛폼 명, 업로드 날짜, URL (검색일자)

예) TV예술무대, <조성진│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Op. 73 '황제' (L.v.Beethoven, Piano Concerto No.5 'Emperor') Pf. Seongjin Cho>, YOUTUBE, 2020.7.3, https://www.youtube.com/watch?v=qP9gE8Enxfo (2020.10.21)

6. 영화

감독, <제목>, 제작사, 제작연도

예) 데이미언 셔젤, <라라랜드>, 라이온즈게이트, 2016

반드시 알아야 할 올바른 출처 표기법. – 1do° 인사이트

예시) Leo Breiman,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Vol. 45(2001), p13-32.

예시) 조재환, “테슬라 ‘동해’로 표기 수정, 오류 지적에 감사해”, ZDNet Korea, 2016. 08. 25

예시) 알 리스, 잭트라우트, 『 마케팅 불변의 법칙 』 , 이수정 옮김, 비즈니스맵(2008), p54-58.

29 thg 8, 2016 — 반드시 알아야 할 올바른 출처 표기법. · 1. 책. – 책 저자, 『책 제목』, 출판지-출판사(출판연도), 인용 쪽수. – 책 저자, 『책 제목』, 옮긴사람, …

  • Source: 1doinsight.tistory.com
  • Views: 6507
  • Publish date: 34 minute ago
  • Downloads: 97543
  • Likes: 8125
  • Dislikes: 1
  • Title Website: 반드시 알아야 할 올바른 출처 표기법. – 1do° 인사이트
  • Description Website: 29 thg 8, 2016 — 반드시 알아야 할 올바른 출처 표기법. · 1. 책. – 책 저자, 『책 제목』, 출판지-출판사(출판연도), 인용 쪽수. – 책 저자, 『책 제목』, 옮긴사람,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학점 4.24의 레포트 쓰는 법 | 대학교 과제, 레포트 제목, 연구주제, 참고문헌 표기

  • Source: Youtube
  • Views: 31427
  • Date: 9 hours ago
  • Download: 90614
  • Likes: 8763
  • Dislikes: 10

반드시 알아야 할 올바른 출처 표기법.

1. 책

– 책 저자, 『 책 제목 』 , 출판지-출판사(출판연도), 인용 쪽수.

– 책 저자, 『 책 제목 』 , 옮긴사람, 출판지-출판사(출판연도), 인용 쪽수.

예시) 박용후, 『 관점을 디자인하라 』 , 프롬북스(2013), p150-162.

예시) 알 리스, 잭트라우트, 『 마케팅 불변의 법칙 』 , 이수정 옮김, 비즈니스맵(2008), p54-58.

2. 글/논문

– 논문 저자, “글/논문 제목”, 글/논문이 실린 간행물 제목 발행호수 및 년도, 쪽수.

예시) Leo Breiman,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Vol. 45(2001), p13-32.

3. (인터넷) 신문 기사

– 기자이름, “기사제목”, 신문이름, 기사일자, (면수), (URL)

예시) 조재환, “테슬라 ‘동해’로 표기 수정, 오류 지적에 감사해”, ZDNet Korea, 2016. 08. 25

4. 웹페이지

– 웹 페이지 운영자 이름, 날짜(최근 업데이트 날짜), URL

예시) 1doinsight, 2016년 8월 29일, http://1doinsight.tistory.com

5. 사전 참고문헌

– “항목”, 사전이름, 출판사(출판 연도)

예시) “출처”, 기록학용어사전, 한국기록학회(2008)

논문 & 레포트 참고문헌과 각주 표기 방법 – 예스폼 서식 이슈

지금까지 APA 스타일과 Chicago 스타일(각주-참고문헌)의 논문 출처 표기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린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참고문헌 표기 방법들이 있으며, 학회나 학문 분야에 따라 표기 방법이 일부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출처 표기 방법은 현재 연구하고 있는 단체의 규정을 따르시기 바랍니다.

출처 표기를 작성할 때마다 헷갈리는 것은 우리가 평소에 참고문헌 표기법을 사용할 일이 많지 않은 것도 있지만, 출처 표기 스타일이 다양한 것도 한몫 거들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으로는 APA 스타일, Chicago 스타일, MLA 스타일, Vancouver 스타일이 있습니다.

시카고 대학 출판부가 1906년에 출판한 인용 가이드북으로 각주-참고문헌 스타일과 내주 스타일로 나뉜다. 각주-참고문헌 스타일은 주로 인문학 분야에서 내주 스타일은 자연과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본 포스팅에서는 각주-참고문헌 스타일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18 thg 1, 2022 — 논문 & 레포트 참고문헌과 각주 표기 방법 · 1)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책 제목. 발행지: 출판사. · 2) 번역서 원저자명. (발행연도). 책 제목. ( …

  • Source: blog.yesform.com
  • Views: 44489
  • Publish date: 24 hours ago
  • Downloads: 9593
  • Likes: 5511
  • Dislikes: 6
  • Title Website: 논문 & 레포트 참고문헌과 각주 표기 방법 – 예스폼 서식 이슈
  • Description Website: 18 thg 1, 2022 — 논문 & 레포트 참고문헌과 각주 표기 방법 · 1)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책 제목. 발행지: 출판사. · 2) 번역서 원저자명. (발행연도). 책 제목. (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출처 쓰기 | 참고문헌 쓰기 | 인터넷 자료 출처 | 도서 출처 | 신문기사 출처 | 사서교사 온라인 수업

  • Source: Youtube
  • Views: 21972
  • Date: 6 minute ago
  • Download: 3753
  • Likes: 5329
  • Dislikes: 4

논문 & 레포트 참고문헌과 각주 표기 방법

예스폼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정보를 구할 수 있는 곳이 많아지면서 이게 정말 믿을 수 있는 정보인지, 혹은 허구에 기반한 가짜 뉴스인지 판별할 수 있는 팩트(Fact)가 중요한 시대가 도래하였습니다.

그럴듯한 통계 데이터나 연구 결과 등을 인용해 놓은 것을 확인해 보면 그 내용을 자신의 입맛에 맞게 변형해놓은 경우도 있고, 다른 사람이 작성한 글이나 아이디어를 본인이 생각한 것 마냥 속이는 경우도 많아진 만큼 정확한 출처 표기는 필수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특히 대학생들은 레포트, 소논문, 학사 졸업 논문 등 리포트와 논문을 쓸 일이 무척 많아지기 때문에 명확한 참고문헌 표기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예스폼과 함께 올바른 참고문헌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표기가 헷갈리는 이유

출처 표기를 작성할 때마다 헷갈리는 것은 우리가 평소에 참고문헌 표기법을 사용할 일이 많지 않은 것도 있지만, 출처 표기 스타일이 다양한 것도 한몫 거들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으로는 APA 스타일, Chicago 스타일, MLA 스타일, Vancouver 스타일이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참고문헌 작성과 관련하여 따로 규정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학교, 연구소, 기업, 기관 등 본인이 속한 단체나 학회 또는 학문 분야에서 어떤 표기법을 사용하는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석의 종류

1. 각주

본문의 어떤 용어나 문장에 대해 번호를 매기고 해당 페이지 하단에 자세한 설명이나 출처를 표기하는 방법

2. 내주

본문의 어떤 용어나 문장 말미의 괄호( ) 안에 간단하게 출처를 표기하는 방법. 저자와 발행연도, 쪽수를 기재하며 참고문헌 페이지에 자세한 출처 정보를 기재한다.

3. 미주

본문의 어떤 용어나 문장에 번호를 매기고 본문 말미에 별도의 주석들만 모아서 표기하는 방법. 본문의 분량이 적은 경우에는 별도의 참고문헌 페이지를 작성하지 않을 때도 있다.

APA 스타일

미국 심리학회(APA)에서 정한 논문 출처 표기 방식으로, 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한다. 본문에는 저자, 발행연도, 쪽수를 괄호 안에 기재한 내주 방식으로 인용하고, 참고문헌 페이지에 자세한 출처 정보를 기재한다.

1. 내주 작성법

작성법 예시 국문 (저자명, 발행연도)

(저자명, 발행연도, 쪽수) (홍길동, 2022, p. 31)

(홍길동, 2022, pp. 31-35)

(홍길동 외, 2022)

영문 (Last name, Year)

(Last name, Year, Page) (Hong, 2022, p. 31)

(Hong, 2022, pp. 31-35)

(Hong et al., 2022)

2. 참고문헌 작성법

동양 서적, 서양 서적 순서대로 나열하되, 저자명을 사전 순서대로 기재한다. 동일한 저자의 문헌을 참고하였을 경우, 연도와 자료명 순으로 나열하며 동일 저자가 공저로 작성한 문헌이 있을 경우, 단일 저작, 공저서 순으로 나열한다.

1)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책 제목. 발행지: 출판사.

ex) 홍길동. (2022). 회사표준사규집. 서울: 예스폼.

ex) Hong, G. D. (2022). Company regulations. Seoul: Yesform.

2) 번역서

원저자명. (발행연도). 책 제목. (옮긴이, 역). 발행지: 출판사 (원서출판 연도).

ex) Hong. (2022). 회사표준사규집. (김철수, 역). 서울: 예스폼. (원서출판 2020).

3) 정기간행물

저자명. (발행연도). 논문명. 자료명, 권(호), 수록 면수.

ex) 홍길동. (2022). 000에 관한 연구. 000협회 논문집, 5(1), 10-13.

ex) Hong, G. D. (2022). Study on something. Dissertation book, 5(1), 10-13.

4) 학위논문

저자명. (수여연도). 논문제목 [논문 유형, 대학명]. 데이터베이스명 또는 URL.

ex) 홍길동. (2022). 000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OO대학교). https://www.yesform.com

ex) Hong, G. D. (2022). Study on something (Doctoral dissertation, OO University). https://www.yesform.com

5) 신문기사

저자명. (발행일). 제목. 신문사명. 쪽수

ex) 홍길동. (2022년01월17일). 직장인의 업무파트너 예스폼. OO일보. pp.A11

ex) Hong, G. D. (2022, January 17). Work partner Yesform. OO Post. https://www.yesform.com

Chicago 스타일(각주-참고문헌)

시카고 대학 출판부가 1906년에 출판한 인용 가이드북으로 각주-참고문헌 스타일과 내주 스타일로 나뉜다. 각주-참고문헌 스타일은 주로 인문학 분야에서 내주 스타일은 자연과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본 포스팅에서는 각주-참고문헌 스타일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1. 각주 작성법

– 각주 번호는 인용하는 절 또는 문장 끝에 위 첨자로 아라비아 숫자를 표시한다.

– 한국어 인명은 성명, 영어 인명은 성만 표시한다.(성이 동일한 경우, 이름까지 기재)

– 공저자는 3인까지만 기재하고 4인 이상은 “등”, “et al.”로 표기한다.

– 각주의 각 항목은 쉼표로 구별한다.

2. 참고문헌 작성법

– 공저자가 3~10인 경우, 1번, 2번, 3번~10번 저자명으로 표기한다.

– 공저자가 11인 이상인 경우, 1번, ~7번 저자명 외로 표기한다.

– 참고문헌의 각 항목은 마침표로 구별한다.

1) 단행본

각주 : 저자명, 표제:부제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쪽수.

참고문헌 : 저자명. 표제:부제.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ex) 홍길동, 회사표준사규집 (서울: 예스폼, 2022), 136.

ex) 홍길동. 회사표준사규집. 서울: 예스폼. 2022.

2) 번역서

각주 : 저자명, 표제:부제, 옮긴이, (출판지: 출판사. 발행연도), 쪽수.

참고문헌 : 저자명, 표제:부제. 옮긴이.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ex) 홍길동, 회사표준사규집, 김철수 역, (서울: 예스폼, 2022), 136.

ex) 홍길동. 회사표준사규집. 김철수 역. 서울: 예스폼, 2022.

3) 정기간행물

각주 : 저자명, “논문명”, 자료명 권, 호 (발행연도): 쪽수.

참고문헌 : 저자명. “논문명”. 자료명 권, 호 (발행연도): 쪽수.

ex) 홍길동, “000에 관한 연구”, 000협회 논문집 5, no.1 (2022): 110-13.

ex) 홍길동. “000에 관한 연구”. 000협회 논문집 5, no.1 (2022): 110-13.

4) 학위논문

각주 : 저자명, “논문명,” (학위명, 수여기관명, 수여연도), 쪽수.

참고문헌 : 저자명. “논문명.” 학위명, 수여기관명, 수여연도.

ex) 홍길동, “000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OO대학교 인문대학원, 2022), 13.

ex) 홍길동. “000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OO대학교 인문대학원, 2022.

5) 신문기사

각주 : 기자명, “제목” 신문이름, 발행일자, URL.

참고문헌 : 기자명. “제목” 신문이름. 발행일자. URL.

ex) 홍길동, “직장인의 업무파트너 예스폼” OO일보, 2022년 1월 17일, 제14면.

ex) 홍길동. “직장인의 업무파트너 예스폼” OO일보, 2022년 1월 17일. https://www.yesform.com

지금까지 APA 스타일과 Chicago 스타일(각주-참고문헌)의 논문 출처 표기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린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참고문헌 표기 방법들이 있으며, 학회나 학문 분야에 따라 표기 방법이 일부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출처 표기 방법은 현재 연구하고 있는 단체의 규정을 따르시기 바랍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예스폼에 있으며 무단복제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세모바퀴, “세상은 아름답다”, 사랑 출판사(2021), p.220~221

최운영자, 2021년 07월 07일, https://www.daum.net

김건강, 「논문이란」, 대한민국대학교, Vol11(2020), p.11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 반드시 출처를 남겨야 한다. … 논문은. 논문 저자, 「논문명」, 발행처, 발생호(발행연도), 인용 쪽수 표기 …

  • Source: semobakwi.tistory.com
  • Views: 35464
  • Publish date: 22 hours ago
  • Downloads: 54443
  • Likes: 5300
  • Dislikes: 3
  • Title Website: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 Description Website: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 반드시 출처를 남겨야 한다. … 논문은. 논문 저자, 「논문명」, 발행처, 발생호(발행연도), 인용 쪽수 표기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꿀팁영상] 아래한글을 이용해서 APA 양식을 쓴다고? 그게 뭔데… 어떻게 하는건데… HWP 문서로 참고문헌 쓰는 법 알려드립니다 | 한림대학교 최훈 | 한국심리학회 KPA

  • Source: Youtube
  • Views: 54357
  • Date: 46 minute ago
  • Download: 68484
  • Likes: 2747
  • Dislikes: 2

출처 표기법(논문, 블로그, 웹페이지, 신문기사)

흔히

출처 관련을 찾아보게 되는 것이 대학교 논문을 쓰거나

혹은

블로그에 자료를 인용했을 경우

반드시 출처를 남겨야 한다.

출처를 남김으로써

타인의 글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권 침해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타인의 노고로

만든 저작물이 허락도 없이

무단으로 사용이 되고, 권리를 보호받지 못한다면,

창작의 문은 좁아지게 될 것이다.

논문은

논문 저자, 「논문명」, 발행처, 발생호(발행연도), 인용 쪽수 표기

예시

김건강, 「논문이란」, 대한민국대학교, Vol11(2020), p.11

단행본

단행본이란

한 권, 한 권이 단독으로 간행되는 서적을 뜻한다.

집필자(저자), 제목, 출판사, 발행연도, 인용 쪽수

예시

세모바퀴, “세상은 아름답다”, 사랑 출판사(2021), p.220~221

인터넷

인터넷 신문기사

기자 이름, “기사 제목”, 신문사 이름, 기고 일자, URL

예시

김기사, “인터넷이 최고!”, 데일리 넘버원, 2021, 07. 07.

웹페이지

웹페이지 운영자 이름, 업데이트 일자, URL

예시

최운영자, 2021년 07월 07일, https://www.daum.net

(백과) 사전

(저자명), 항목, (백과) 사전 이름, 출판사, 발행연도

예시

농업용어사전, 농촌 출판사, 농촌진흥청(2020)

참고문헌 작성법(Citation): References – SNUL Research Guides

누락 정보, 인용 표기, Template. 참고문헌 목록, 본문 내 인용. 누락 없음, 저자, 출판연도, 타이틀, 출처 기술, 저자. (출판연도). 타이틀. 출처. (저자, 출판연도)

  • Source: libguide.snu.ac.kr
  • Views: 48379
  • Publish date: 19 hours ago
  • Downloads: 28428
  • Likes: 4833
  • Dislikes: 4
  • Title Website: 참고문헌 작성법(Citation): References – SNUL Research Guides
  • Description Website: 누락 정보, 인용 표기, Template. 참고문헌 목록, 본문 내 인용. 누락 없음, 저자, 출판연도, 타이틀, 출처 기술, 저자. (출판연도). 타이틀. 출처. (저자, 출판연도)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각주와 참고문헌 정리

  • Source: Youtube
  • Views: 71141
  • Date: 3 hours ago
  • Download: 76829
  • Likes: 8398
  • Dislikes: 10

참고 문헌 쓰는 법 “et al.” 뜻 – 에세이리뷰 블로그

18 thg 2, 2022 — 논문 출처 표기법. APA 스타일 (APA style). APA 스타일(APA style)은 사회 과학 전문가가 자주 사용합니다. 도서 및 저널 인용의 예가 아래에 나와 …

  • Source: blog.essayreview.co.kr
  • Views: 69054
  • Publish date: 16 hours ago
  • Downloads: 8665
  • Likes: 9852
  • Dislikes: 8
  • Title Website: 참고 문헌 쓰는 법 “et al.” 뜻 – 에세이리뷰 블로그
  • Description Website: 18 thg 2, 2022 — 논문 출처 표기법. APA 스타일 (APA style). APA 스타일(APA style)은 사회 과학 전문가가 자주 사용합니다. 도서 및 저널 인용의 예가 아래에 나와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음악논문작성법] 직접인용과 간접인용 – \”타인의 아이디어를 내 논문으로 가져오는 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23293
  • Date: 20 minute ago
  • Download: 56205
  • Likes: 7426
  • Dislikes: 2

참고 문헌 쓰는 법 “et al.” 뜻

연구원은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고 자신의 연구를 인정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논문을 투고합니다. 논문에서 저자는 인용(citation)함으로써 다른 연구원들의 아이디어와 결과를 인정합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 일반적인 관행(인용)에 관한 규칙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에세이리뷰는 “학술 논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양식”이나 리서치에서 인용을 어느 정도 해야 하는지, 혹은 주요 인용 형식에 대한 자료 등 다양한 인용(citation) 요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축약된 라틴 용어 “et al.”을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인용된 논문의 저자를 나열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제까지 조언했던 내용과 마찬가지로 구두점, 인용 스타일 등과 관련한 관련 저널 가이드라인을 따르세요. 몇 가지 용어를 정의함으로써 시작하겠습니다.

이 기사는 라틴어 용어 “et al”을 축약하여 인용된 작품의 저자의 이름을 인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구두점, 인용문 스타일 등에 관한 관련 저널 지침을 반드시 준수하시기 바랍니다. 각 출판사마다 규칙이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정의부터 시작해서 가장 일반적인 스타일 가이드의 구체적인 규칙을 살펴봅시다.

목차:

인용의 주요 유형은? “et al.”의 뜻은? “et al.”과 “etc.”의 차이점은? 언제 “et al.”을 사용하나요? 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스타일 시카고 스타일 MLA (Modern Language Association) 스타일

인용(citation)의 주요 유형은?

출간된 문헌을 인용할 때 다른 사람들이 원자료를 찾고 검토할 수 있도록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세요. 연구 논문에서 미주(endnotes)와 각주(footnotes) (글 하단에 있는 페이지 번호를 제외한 숫자) 또는 본문 내 인용(in-text citations)을 사용하여 자료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두 인용 스타일 모두 문서 끝에 참조 목록(reference list)을 요구합니다.

본문 내 (또는 괄호) 인용(in-text citations) : 논문의 본문에서 저자 또는 제목 별로 다른 문헌을 참조할 때 본문 내 인용을 사용합니다. 참조 정보가 종종 괄호 안에 들어 있으므로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괄호 인용”이라고도 합니다.

: 논문의 본문에서 저자 또는 제목 별로 다른 문헌을 참조할 때 본문 내 인용을 사용합니다. 참조 정보가 종종 괄호 안에 들어 있으므로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괄호 인용”이라고도 합니다. 미주와 각주 (Endnotes and footnotes) : 미주와 각주는 글쓰기를 편리하게 하는 쉬운 방법입니다. 본문 내에서 번호를 사용하여 인용된 논문을 참조할 수 있게 해주는 간단한 표기법입니다. 해당 번호를 통해 논문의 끝에 발견되는 참조 문헌을 인용하거나(미주의 경우) 페이지 하단에 있는 참조 문헌을 인용합니다(각주의 경우). 이러한 표기법은 과학 문서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인문학 및 사회 과학에서는 자주 사용됩니다 . 또한, 최근 동향을 따라 과학 논문의 경우 미주가 본문 내 인용을 대신합니다. 미주와 각주는 문헌 자료가 포함될 수 있는 괄호 안의 정보를 대체합니다. 따라서, 미주 및 각주를 사용하는 경우 괄호 안의 인용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 미주와 각주는 글쓰기를 편리하게 하는 쉬운 방법입니다. 본문 내에서 번호를 사용하여 인용된 논문을 참조할 수 있게 해주는 간단한 표기법입니다. 해당 번호를 통해 논문의 끝에 발견되는 참조 문헌을 인용하거나(미주의 경우) 페이지 하단에 있는 참조 문헌을 인용합니다(각주의 경우). 이러한 표기법은 과학 문서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 또한, 최근 동향을 따라 과학 논문의 경우 미주가 본문 내 인용을 대신합니다. 미주와 각주는 문헌 자료가 포함될 수 있는 괄호 안의 정보를 대체합니다. 따라서, . 참조 목록(Reference lists): 참고 문헌 목록(reference lists)은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문서 내에 인용된 모든 문헌을 포함하며 논문의 끝에 포함됩니다. 논문의 본문 내에서 인용한 자료가 어떻게 간주되는지에 관계없이 참조 목록(reference lists)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et al.”의 의미는?

라틴 용어는 학술 논문에 자주 등장합니다. “Et al.” 은 알아야 하는 문구 중 하나입니다. 이는 “et alii”의 약자이며, “and others”를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사람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줄여서 “etc.”로 사용되고 “and the rest”를 의미하는 “et cetera”의 기능과 비슷합니다.

“et al.”과 “etc.”의 차이점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etc”는 사물에 대해서만 사용되는 반면, “et al.”은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주요한 차이점과 별개로, 목록을 대체한다는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언제 “et al.”을 사용하나요?

항상 강조했듯이, 라틴 용어 및 인용과 관련하여 저널 또는 관련 스타일 가이드를 항상 재확인하세요. “et al.”에 대한 일관된 규칙은 없지만 적어도 해당 문구의 철자는 항상 같아야 합니다. “et al.”을 (문장의 시작에 위치하지 않는 한) 소문자로 작성하고 문장 중간에 나타나더라도 “al” 다음에 마침표를 포함하세요. “al.”이란 용어는 “alii”의 약어이며, 전체 문구 “et al.”은 적어도 한 사람의 이름, 직위, 타이틀을 따릅니다. 즉, “et al.”은 미주 (endnotes), 각주(footnotes) 및 본문 내 인용에서 저자 이름을 대체합니다. 각 저널에 따라 참조 목록에 et. al을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다릅니다! 다음 내용에서는 추가 정보와 예제를 제공합니다.

논문 출처 표기법

APA 스타일 (APA style)

APA 스타일(APA style)은 사회 과학 전문가가 자주 사용합니다. 도서 및 저널 인용의 예가 아래에 나와 있습니다. 다른 출처와 특별한 경우에 대한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 2nd printing)도 참조하세요.

본문 내 인용 (in-text citation) 혹은 괄호 인용 (저자-날짜 시스템)

APA 스타일은 저자-날짜 표기법을 사용하고 본문 내 인용 규칙은 책과 저널의 온라인 버전 및 인쇄판 모두에 적용됩니다.

*참고: 저자 수에 따른 서식 변경 규칙은 참조 목록 (reference lists)의 규칙과는 다릅니다. 또한, 페이지 번호 참조는 패러프레이즈(paraphrased)된 문장의 경우 선택적입니다; APA는 페이지 번호를 인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저자 수 문장에 언급된 저자 이름 문장에 저자를 언급하지 않고 인용 또는 패러프레이징(paraphrasing) 1 [저자의 성] ([년도]) has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paraphrased) 문장] (p. [참조된 페이지]). Miller (2017) has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p. 14).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paraphrased) 문구] ([저자의 성], [년도],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Smith, 2017, pp. 23-25). 2

(“&”를 사용합니다) [저자의 성] & [저자의 성] ([년도]) have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p. [참조된 페이지]). Miller & Jones (2017) have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p. 14).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저자의 성], [저자의 성], & [저자의 성], [년도], p.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 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 Wallace, 2015, p. 34). 3-5

(처음 언급 시에는 “&”를 사용하고 이후 동일한 문헌 참조 시에는 “et al.”을 사용합니다) 첫 언급: [저자의 성], [저자의 성], & [저자의 성] ([년도]) have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p. [참조된 페이지]). Miller, Smith, & Thompson (2017) have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p. 14). 이후 언급: [저자의 성] et al. ([년도]) have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p. [참조된 페이지]). Miller et al. (2017) have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p. 14). 첫 언급: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저자의 성], [저자의 성], & [저자의 성], [년도], p.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Wallace, & Thompson, 2015, p. 34). 이후 언급: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저자의 성] et al., [년도], p.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et al., 2015, p. 34). 6 이상 [저자의 성] et al. ([년도]) have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p. [참조된 페이지]). Miller et al. (2017) have argued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p. 14).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저자의 성] et al., [년도], p.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et al., 2015, p. 34).

참조 목록 (Reference lists)

동일한 저자 규칙이 도서, 인쇄물 정기 간행물, 전자 저널 등 모든 매체에 적용됩니다. 또한, 전자 저널이 학계 표준이 되었기 때문에 APA 스타일은 출판물로 해당 문서를 접했더라도 참조된 각 저널 논문의 DOI 번호를 포함할 것을 권장합니다. DOI 정보 뒤에 마침표(.)를 넣지 마세요.

저자 수 표기법 1 도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l]. ([년도]). [책 제목: 부제목의 첫 번째 단어를 대문자로 씀]. [도시, 주 약자/(미국 이외의 나라일 경우)국가]: [출판사]. Smith, M. T. (2017).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Lima, Peru: PublishCo. 저널: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년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이슈 번호), [논문의 페이지 범위]. doi:10.XXXX.XXXXXX Miller, J. M. (2017).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2), 243-45. doi: 10.XXXX.XXXXXX 2

(“&”를 사용합니다) 도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년도]). [책 제목: 부제목의 첫 번째 단어를 대문자로 씀]. [도시, 주 약자/(미국 이외의 나라일 경우)국가]: [출판사]. Miller, J. M., & Wallace, R. A. (2017).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Lima, Peru: PublishCo. 저널: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년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이슈 번호), [논문의 페이지 범위]. doi:10.XXXX.XXXXXX Miller, J. M., & Wallace, R. A. (2017).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2), 243-45. doi: 10.XXXX.XXXXXX 3-20

(쉼표로 저자 이름을 구별합니다; 마지막 저자 이름 앞에 “&”를 사용합니다) 도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 &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년도]). [책 제목: 부제목의 첫 번째 단어를 대문자로 씀]. [도시, 주 약자/(미국 이외의 나라일 경우)국가]: [출판사]. Miller, J. M., Wallace, R. A., …, & Johnson, C. T. (2017).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Lima, Peru: PublishCo. 저널: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년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이슈 번호), [논문의 페이지 범위]. doi:10.XXXX.XXXXXX Miller, J. M., Wallace, R. A., …, & Johnson, C. T. (2017).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2), 243-45. doi: 10.XXXX.XXXXXX 20 이상

(처음 19명의 저자를 나열하고, 줄임표를 사용한 후 (…) 마지막 저자를 나열합니다; 마지막 저자 앞에 “&”를 붙이지 않음 ) 도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년도]). [책 제목: 부제목의 첫 번째 단어를 대문자로 씀]. [도시, 주 약자/(미국 이외의 나라일 경우)국가]: [출판사]. Miller, J. M., Wallace, R. A., Smith, M. T., Lewis, R. V., Higgs, R. Q., Young, D. A., … Johnson, C. T. (2017).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Lima, Peru: PublishCo. 저널: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 [저자의 성], [첫 번째 이니셜]. [중간 이니셜]. ([년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이슈 번호), [논문의 페이지 범위]. doi:10.XXXX.XXXXXX Miller, J. M., Wallace, R. A., Smith, M. T., Lewis, R. V., Higgs, R. Q., Young, D. A., … Johnson, C. T. (2017).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2), 243-45. doi: 10.XXXX.XXXXXX

APA 스타일은 각주(footnotes)를 사용하지 않으며 별로 관계가 없는 정보만을 제공하는 미주(endnotes)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내용에 관한 메모는 필요할 때만 사용하시고, 각주를 사용하세요. 수퍼스크립트에서 컬아웃을 추가하시고 모든 메모가 알파벳 순서로 정렬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시카고 스타일(Chicago style)

시카고 스타일(Chicago style)은 일반적으로 인문학 중심 연구에서 사용됩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서적 및 저널 인용 형식에 대한 설명입니다. 추가 정보를 원하신다면, The Chicago Manual of Style, 17th edition를 참조하세요. 서기 표기법을 사용하는 주석이 달린(annotated) 논문 예제는 여기를 클릭하여 Purdue Owl’s NB 샘플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자-날짜 논문의 예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전자 학술 저널과 같이 공식적으로 게재된 온라인 자료의 경우 출판사 또는 규칙이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액세스 날짜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DOI가 없으면 해당 URL을 제공하세요. APA 스타일과 달리 시카고 스타일(Chicago style)에서는 저자 이름 목록에 앰퍼샌드 (&)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and”를 사용합니다. 또한, 저자의 이름(이름과 가운데 이름)은 저자가 자신의 논문에서 일관되게 이니셜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이니셜이 아닌) 전체 이름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본문 내 인용 (in-text citation) 또는 괄호 인용 (저자-날짜 시스템)

괄호 인용은 사회와 자연 과학 전문가가 일반적으로 채택하는 저자-날짜 시스템에서 보다 자주 사용됩니다. 도서 및 저널의 디지털 및 인쇄 버전에도 동일한 표기법이 사용됩니다.

저자 수 문장에서 언급된 저자 이름 문장에 저자를 언급하지 않고 인용 또는 패러프레이징(paraphrasing) 1 [저자의 성] ([년도]) argues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참조된 페이지]). Miller (2017) argues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14). [“인용문”/ 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저자의 성] [년도],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2017, 23-25). 2-3 [저자의 성] and [저자의 성] ([년도]) argue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참조된 페이지]). Miller and Jones (2017) argue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14). [“인용문”/ 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저자의 성], [저자의 성], and [저자의 성] [년도],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Rogers, and Wallace 2015, 34). 4 이상

(“et al.”을 사용합니다) [저자의 성] et al. ([년도]) argue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참조된 페이지]). Miller et al. (2017) argue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14). [“인용문”/ 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저자의 성] et al. [년도],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et al. 2015, 34).

참조 목록 (Reference lists)

도서

저자 수 서지 시스템 (인문학) 저자-날짜 시스템 (사회, 자연 과학) 1 [저자의 성], [이름)]. [책 제목]. [위치]: [출판사], [년도]. Smith, Mary. Epigenetic Mechanisms. New York: PublishCo, 2017. [저자의 성], [이름)]. [년도]. [책 제목]. [위치]: [출판사]. Smith, Mary. 2017. Epigenetic Mechanisms. New York: PublishCo. 2 이상

(모든 저자를 나열합니다) [저자의 성], [이름], [이름] [저자의 성], …, and [이름] [저자의 성]. [책 제목]. [위치]: [출판사], [년도]. Smith, Mary T., Mark Allen, Helen Carter, …, and George Turner. Epigenetic Mechanisms. New York: PublishCo, 2017. [저자의 성], [이름], [이름] [저자의 성], …, and [이름] [저자의 성]. [년도]. [책 제목]. [위치]: [출판사]. Smith, Mary T., Mark Allen, Helen Carter, …, and George Turner. 2017. Epigenetic Mechanisms. New York: PublishCo.

저널

저자 수 서지 시스템 (인문학) 저자-날짜 시스템 (사회, 자연 과학) 1 인쇄물: [저자의 성], [이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논문의 페이지 범위]. Miller, Jack M.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온라인: [저자의 성], [이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논문의 페이지 범위]. Accessed [월 일, 년도]. doi: [DOI 번호]. Miller, Jack.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Accessed June 12, 2017. doi: XX.XXXX/XXXXXX. 인쇄물: [저자의 성], [이름]. [년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논문의 페이지 범위]. Miller, Jack M. 2017.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43-45. 온라인: [저자의 성], [이름]. [년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논문의 페이지 범위]. Accessed [월 일, 년도]. doi: [DOI 번호]. Miller, Jack. 2017.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43-45. Accessed June 12, 2017. doi: XX.XXXX/XXXXXX. 2 이상

(모든 저자를 나열합니다) 인쇄물: [저자의 성], [이름], [이름] [성], …, and [이름] [성].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논문의 페이지 범위]. Miller, Jack M., Mary Rogers, …, and David L. Smith.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온라인: [저자의 성], [이름], [이름] [저자의 성], …, and [이름] [저자의 성].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논문의 페이지 범위]. Accessed [월 일, 년도]. doi: [DOI 번호]. Miller, Jack M., Mary Rogers, …, and David L. Smith.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Accessed June 12, 2017. doi: XX.XXXX/XXXXXX. 인쇄물: [저자의 성], [이름], [이름] [저자의 성], …, and [이름] [저자의 성]. [년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논문의 페이지 범위]. Miller, Jack M., Mary Rogers, …, and David L. Smith. 2017.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43-45. 온라인: [저자의 성], [이름], [이름] [저자의 성], …, and [이름] [저자의 성]. [년도].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논문의 페이지 범위]. Accessed [월 일, 년도]. doi: [DOI 번호]. Miller, Jack M., Mary Rogers, …, and David L. Smith. 2017.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43-45. Accessed June 12, 2017. doi: XX.XXXX/XXXXXX.

도서

저자 수 서지 시스템 (인문학) 1 첫 언급: [이름)] [저자의 성], [책 제목] ([위치]: [출판사], [년도]), [참조된 페이지]. Mary T. Smith,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New York: PublishCo, 2017), 23-35. 이후 언급: [저자의 성], [저자의 성], and [저자의 성], [축약한 책 제목], [참조된 페이지]. Smith, Epigenetic Mechanisms, 55. 2-3 첫 언급: [이름] [저자의 성], [이름] [저자의 성], and [이름] [저자의 성], [책 제목] ([위치]: [출판사], [년도]), [참조된 페이지]. Mary T. Smith, Leslie Wilson, and George Turner,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New York: PublishCo, 2017), 68-69. 이후 언급: [저자의 성], [저자의 성], and [저자의 성], [축약한 책 제목], [참조된 페이지]. Smith, Wilson, and Turner, Epigenetic Mechanisms, 70-75. 4 이상

(“et al.”을 사용합니다) 첫 언급: [이름] [저자의 성] et al., [책 제목] ([위치]: [출판사], [년도]), [참조된 페이지]. Mary T. Smith et al.,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New York: PublishCo, 2017), 23-35. 이후 언급: [저자의 성] et al., [축약한 책 제목], [참조된 페이지].Smith et. al, Epigenetic Mechanisms, 55.

저널

저자 수 서지 시스템 (인문학) 1 첫 언급: 인쇄물: [이름] [저자의 성],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참조된 페이지]. Jack Miller,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온라인: [이름] [저자의 성],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참조된 페이지], accessed [월 일, 년도], doi: [DOI 번호]. Jack Miller,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accessed June 12, 2017, doi: XX.XXXX/XXXXXX. 이후 언급 (두 경우 모두 포함): [저자의 성], [“축약된 논문 제목,”] [참조된 페이지]. Miller, “Trauma Caretaking,” 244. 2-3 첫 언급 인쇄물 :[이름] [저자의 성], [이름] [저자의 성], and [이름] [저자의 성],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참조된 페이지]. Jack Miller, Mary Rogers, and David L. Smith,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온라인: [이름] [저자의 성], [이름] [저자의 성], and [이름] [저자의 성],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참조된 페이지], accessed [월 일, 년도], doi: [DOI 번호]. Jack Miller, Mary Rogers, and David L. Smith,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accessed June 12, 2017, doi: XX.XXXX/XXXXXX. 이후 언급 (두 경우 모두 포함): [저자의 성], [저자의 성], and [저자의 성], “축약된 논문 제목,”] [참조된 페이지]. Miller, Rogers, and Smith, “Trauma Caretaking,” 244. 4 이상

(“et al.”을 사용합니다) 첫 언급: 인쇄물: [이름] [저자의 성] et al.,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참조된 페이지]. Jack Miller et al.,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온라인: [이름] [저자의 성] et al. “[논문 제목],” [저널명] [볼륨(volume) 번호], no. [이슈 번호] ([년도]): [참조된 페이지], accessed [월 일, 년도], doi: [DOI 번호]. Jack Miller et al.,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14, no. 4 (2017): 243-45, accessed June 12, 2017, doi: XX.XXXX/XXXXXX. 이후 언급 (두 경우 모두 포함): [저자의 성] et al., “축약된 논문 제목,”] [참조된 페이지]. Miller et al., “Trauma Caretaking,” 244.

MLA 스타일 (MLA style)

MLA 스타일(MLA style)은 일반적으로 인문학 전문가가 사용합니다. 일반 서적 및 저널 인용 형식은 아래 나와있습니다. 다른 매체 및 특수 사례에 관한 정보는 MLA Handbook (8th ed.)을 참조하세요.

본문 내 인용 (in-text citation) (괄호)

MLA 스타일은 저자-날짜 스타일 대신 작성자-페이지 스타일을 사용합니다.

저자 수 문장에서 언급된 저자 이름 문장에 저자를 언급하지 않고 인용 또는 패러프레이징(paraphrasing) 1 [저자의 성] argues that [“인용구”/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참조된 페이지]). Miller argues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14). [“인용구”/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23-25). 2

(“and”를 사용합니다) [저자의 성] and [저자의 성] argue that [“인용구”/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참조된 페이지]). Miller and Jones argue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14). [“인용구”/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저자의 성] and [저자의 성]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and Wallace 34). 3 이상

(“et al.”를 사용합니다) [저자의 성] et al. argue that [“인용구”/패러프레이징된 문장] ([Page(s) referenced]). Miller et al. argue that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14). [“인용구”/패러프레이징된 문장] ([저자의 성] et al. [참조된 페이지]). “인용문”/패러프레이징된 문장 (Smith et al. 34).

참조 목록(Reference lists) (works cited 페이지)

저자 수 도서 저널 1 [저자의 성], [이름] [중간 이니셜]. [책 제목]. [출판사], [년도]. Smith, Mary T.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PublishCo, 2017. 인쇄물: [저자의 성], [이름]. “[논문 제목].” [저널명], vol. [볼륨(volume)], no. [이슈], [날짜], pp. [페이지]. Miller, Jack.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vol. 14, no. 4, 2017, pp. 243-45. 온라인: [저자의 성], [이름]. “[논문 제목].” [저널명], vol. [볼륨(volume)], no. [이슈], [날짜], pp. [페이지]. [전자 데이터베이스], doi: [DOI 번호]. Accessed [일 월 년도]. Miller, Jack.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vol. 14, no. 4, 2017, pp. 243-45. JournalDatabase, doi: XX.XXXX/XXXXXX. Accessed 19 June 2017. 2 [저자의 성], [이름] and [저자의 성], [이름]. [책 제목]. [출판사], [년도]. Smith, Mary T., and George Thompson.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PublishCo, 2017. 인쇄물: [저자의 성], [이름] and [저자의 성], [이름]. “[논문 제목].” [저널명], vol. [볼륨(volume)], no. [이슈], [년도], pp. [페이지]. Miller, Jack, and George Thompson.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vol. 14, no. 4, 2017, pp. 243-45. 온라인: [저자의 성], [이름] and [이름] [저자의 성]. “[논문 제목].” [저널명], vol. [볼륨(volume)], no. [이슈], [년도], pp. [페이지]. [전자 데이터베이스], doi: [DOI 번호]. Accessed [일 월 년도]. Miller, Jack, and George Thompson.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vol. 14, no. 4, 2017, pp. 243-45. JournalDatabase, doi: XX.XXXX/XXXXXX. Accessed 19 June 2017. 3이상 [저자의 성], [이름], et al. [책 제목]. [출판사], [년도]. Smith, Mary T., et al. Epigenetic Mechanisms: an Overview. PublishCo, 2017. 인쇄물: [저자의 성], [이름], et al. “[논문 제목].” [저널명], vol. [볼륨(Volume)], no. [이슈], [년도], pp. [페이지]. Miller, Jack, et al.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vol. 14, no. 4, 2017, pp. 243-45. 온라인: [저자의 성], [이름], et al. “[논문 제목].” [저널명], vol. [볼륨(volume)], no. [이슈], [년도], pp. [페이지]. [전자 데이터베이스], doi: [DOI 번호]. Accessed [일 월 년도]. Miller, Jack, et al. “Trauma Caretaking and Compassion Fatigue.” Trauma Prevention, vol. 14, no. 4, 2017, pp. 243-45. JournalDatabase, doi: XX.XXXX/XXXXXX. Accessed 19 June 2017.

MLA 스타일은 일반적으로 미주와 각주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논문 본문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형식은 본문 내 인용 (아래 자세히 설명함)에 사용된 형식과 유사하지만, 괄호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저자 한 명: See [last name] [page range]

See Johnson 5-15 for a further discussion of this phenomenon.

여러 저자/연구:

[Comment]. See [last name] [page range], [last name] [page range], [last name] [page range]

Several other studies make the same argument. See, for example, Walker and Francis 112-118, Thomson 20-43, and Muller 78-90.

Regarding [content topic], see [last name] [page range] and [last name] [page range]; for [content topic], see [last name] [page range], [last name] [page range], and [last name] [page range].

Regarding this phenomenon’s impact on trauma caretakers, see Miller 54-68 and Willis 23-25; for alternative explanations, see Jones 23-25, Thompson 64-55, and Smith 12-15.

학술 교정 서비스를 사용해보세요

리서치에 나열할 다양한 출처를 정리했지만 교정을 받아보고 싶을 때, wordvice.ai에서 저희 무료 온라인 교정 & 에디팅을 사용해보세요. 또한 저희의 학술 교정 & 에디팅 서비스도 사용해보세요. 연구의 알맞은 제목 찾기, 제출 전 저자 이름 순서 체크하기, 혹은 효과적인 커버레터 작성하기와 같은 자료를 참고하시려면 워드바이스 학술 자료실에 방문하세요.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논문 출처 표기법

Bing에서 논문 출처 표기법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논문 출처 표기법.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논문 출처 표기법 논문 출처 표기법 사이트, 논문 인용 표기법, 논문 참고문헌 예시, 논문 출처 표기법 영어, 논문 참고문헌 정리, 논문 출처 표기법 APA, 참고문헌 표기법, 참고문헌 정리 사이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