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다면적 인성 검사“?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382+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다면적 인성 검사 mmpi 무료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무료, 다면적 인성검사 해석, 다면적 인성검사 2 해석, 다면적 인성검사 우울증, mmpi-2 온라인 검사, MMPI 온라인 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답안지
Table of Contents
다면적 인성 테스트 – IDRlabs
이 온라인 성격 퀴즈는 위에서 언급한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료 온라인 테스트는 전적으로 해당 세계에 대한 첫걸음이며, 잠재적 상태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제공 할 수는 없음을 명시합니다. 따라서 테스트는 단순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보다 명확한 정신 건강 평가는 자격을 갖춘 정신 건강 전문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 바랍니다: Butcher JN, Dahlstrom WG, Graham JR, Tellegen AM, Kreammer B.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 Manual for Administration and Scoring, 1989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apolis Press. Nordin H, Eisemann M, Richter J. MMPI-2 subgroups in a sample of chronic pain patients, Scand J Psychol, 2005, vol. 46 (pg. 209-216). Schretlen DJ. The use of psychological tests to identify malingered symptoms of mental disorder, Clin. Psychol. Rev, 1988, vol. 8 (pg. 451-476).
IDRlabs Multiphasic Personality Test는 미네소타 대학의 Starke R. Hathaway와 J.C. McKinley가 만든 성격 평가 도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심리학 문헌에는 포괄적이고 잘 연구된 성격 목록이 많이 있지만, MMPI-2는 명성과 널리 사용된 척도가 있는 고전적이고 잘 연구된 척도로 간주됩니다. 일반적으로 과학적 타당성이 좋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현재 테스트는 11개의 서로 다른 성격 영역의 존재를 평가합니다: 저체온증, 우울증, 히스테리, 정신병적 일탈, 편집증, 정신 분열증, 정신 분열증, 경조증, 사회적 내향성, 남성적 정체성 및 여성적 정체성. IDRlabs International 및 현재 IDRlabs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는 위의 연구원 또는 관련 조직 또는 학술 기관과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IDRlabs Multiphasic Personality Test(IDR-MPT ©)는 IDRlabs International에서 개발했습니다. IDR-MPT는 MMPI-2(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에서 알려진 유명한 척도를 기반으로 했으며, 이는 성격 병리 및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과학적으로 검증된 도구입니다. 이 테스트는 미네소타 대학에서 개발한 고전적인 도구 측정을 기반으로 하며 연구원이 무료로 사용할 수 없는 보호된 지적 재산입니다. IDR-MPT는 MMPI-2 또는 관련 연구 기관에 기여한 연구원과 관련이 없습니다. IDR-MPT는 MMPI-2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다면적 인성 검사는 성격 특성과 병리를 평가하는 심리 검사입니다. 이는 주로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진단하기 위한 것이지만, …
- Source: www.idrlabs.com
- Views: 32782
- Publish date: 58 minute ago
- Downloads: 46048
- Likes: 7616
- Dislikes: 8
- Title Website: 다면적 인성 테스트 – IDRlabs
- Description Website: 다면적 인성 검사는 성격 특성과 병리를 평가하는 심리 검사입니다. 이는 주로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진단하기 위한 것이지만, …
- Source: Youtube
- Views: 79035
- Date: 46 minute ago
- Download: 1921
- Likes: 8634
- Dislikes: 10
다면적 인성 테스트
다면적 인성 검사는 성격 특성과 병리를 평가하는 심리 검사입니다. 이는 주로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진단하기 위한 것이지만,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들 또한 발견하지 못한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명한 다면적 인성 척도에서 당신의 점수는 어떨까요? 다음 각 질문에 대해 당신에게 얼마나 해당하는지 선택하세요.
IDRlabs Multiphasic Personality Test(IDR-MPT ©)는 IDRlabs International에서 개발했습니다. IDR-MPT는 MMPI-2(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에서 알려진 유명한 척도를 기반으로 했으며, 이는 성격 병리 및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과학적으로 검증된 도구입니다. 이 테스트는 미네소타 대학에서 개발한 고전적인 도구 측정을 기반으로 하며 연구원이 무료로 사용할 수 없는 보호된 지적 재산입니다. IDR-MPT는 MMPI-2 또는 관련 연구 기관에 기여한 연구원과 관련이 없습니다. IDR-MPT는 MMPI-2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IDRlabs Multiphasic Personality Test는 미네소타 대학의 Starke R. Hathaway와 J.C. McKinley가 만든 성격 평가 도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심리학 문헌에는 포괄적이고 잘 연구된 성격 목록이 많이 있지만, MMPI-2는 명성과 널리 사용된 척도가 있는 고전적이고 잘 연구된 척도로 간주됩니다. 일반적으로 과학적 타당성이 좋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현재 테스트는 11개의 서로 다른 성격 영역의 존재를 평가합니다: 저체온증, 우울증, 히스테리, 정신병적 일탈, 편집증, 정신 분열증, 정신 분열증, 경조증, 사회적 내향성, 남성적 정체성 및 여성적 정체성. IDRlabs International 및 현재 IDRlabs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는 위의 연구원 또는 관련 조직 또는 학술 기관과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이 온라인 성격 퀴즈는 위에서 언급한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료 온라인 테스트는 전적으로 해당 세계에 대한 첫걸음이며, 잠재적 상태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제공 할 수는 없음을 명시합니다. 따라서 테스트는 단순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보다 명확한 정신 건강 평가는 자격을 갖춘 정신 건강 전문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 바랍니다: Butcher JN, Dahlstrom WG, Graham JR, Tellegen AM, Kreammer B.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 Manual for Administration and Scoring, 1989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apolis Press. Nordin H, Eisemann M, Richter J. MMPI-2 subgroups in a sample of chronic pain patients, Scand J Psychol, 2005, vol. 46 (pg. 209-216). Schretlen DJ. The use of psychological tests to identify malingered symptoms of mental disorder, Clin. Psychol. Rev, 1988, vol. 8 (pg. 451-476).
본인 상태의 징후와 증상을 스스로 진단할 수있게 해주는 본 무료 온라인 다면적 인성 테스트의 게시자로서, 저희는 본 테스트를 통계적 통제 및 검증의 적용을 통해 가능한 한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본 온라인 다면적 인성 테스트와 같은 무료 온라인 테스트는 어떤 종류의 전문적인 평가나 권장 사항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테스트는 전적으로 “있는 그대로” 제공됩니다. 본 온라인 테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비스 약관을 참조 바랍니다.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 나무위키
20 thg 12, 2022 — 정신과 병원이나 상담센터 등에서 심리검사를 실시할 때 빠지지 않고 실시하는 검사이다. … 심리학자들 중에서 호불호가 갈리지 않고 검사 실시와 채점이 …
- Source: namu.wiki
- Views: 42086
- Publish date: 15 hours ago
- Downloads: 96676
- Likes: 2004
- Dislikes: 7
- Title Website: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20 thg 12, 2022 — 정신과 병원이나 상담센터 등에서 심리검사를 실시할 때 빠지지 않고 실시하는 검사이다. … 심리학자들 중에서 호불호가 갈리지 않고 검사 실시와 채점이 …
임상심리사 자격증✌🏻 (심리검사) 6강 | 다면적 인성검사
- Source: Youtube
- Views: 12856
- Date: 4 hours ago
- Download: 60451
- Likes: 457
- Dislikes: 10
‘다면적 인성검사’ MMPI란 무엇인가요? (+검사 이유, 방법)
29 thg 9, 2022 — MMPI 검사란 무엇인가요? … 개발한 자기보고형 심리검사입니다. … 아주 객관적인 성격검사라고 볼 수 있답니다. … 개인 성격의 여러 방면을 자세히 측정 …
- Source: www.on-maum.com
- Views: 109331
- Publish date: 57 minute ago
- Downloads: 11914
- Likes: 8595
- Dislikes: 2
- Title Website: ‘다면적 인성검사’ MMPI란 무엇인가요? (+검사 이유, 방법)
- Description Website: 29 thg 9, 2022 — MMPI 검사란 무엇인가요? … 개발한 자기보고형 심리검사입니다. … 아주 객관적인 성격검사라고 볼 수 있답니다. … 개인 성격의 여러 방면을 자세히 측정 …
임상심리사 자격증✌🏻 (심리검사) 7강 | 다면적 인성검사 2
- Source: Youtube
- Views: 5157
- Date: 1 hours ago
- Download: 79066
- Likes: 5221
- Dislikes: 7
MMPI 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10가지 성격유형 – 정보를 알려드림
척도1은 원래 건강염려증과 관련된 증상 패턴을 보이는 환자들을 가려내기 위해 개발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에 대해 집착하면서 질병에 대해 공포를 느끼는 임상적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높은 점수에서 극적이고 기이한 신체적 염려를 지니고 있을 수 있고 전환 장애와 신체관련 망상의 가능성을 고려합니다.
이 성격 검사는 크게 임상 척도와 타당성 척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임상척도에는 심기증, 우울증, 히스테리, 정신병질, 남여향성, 편집증, 정신쇠약증, 조현증(정신분열증), 경조증, 사회적 내향성이라는 열 개의 하위검사가 있고 타당성척도에는 허구점수, 신뢰점수·수검태도 점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세 개의 하위검사가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척도를 구성할 경우 척도들이 원래의 척도보다 문항수는 적을지라도 타당도나 신뢰도와 같은 심리 측정적인 특성들은 달라지지 않는다고 해요. 또한 13개 정도의 단축형 MMPI가 제안 되었으며 여러 연구에서 검사 문항수가 200개 이하로 적게 되는 경우 타당도와 신뢰도에서 많은 문제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9 thg 1, 2021 —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MMPI)는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장면에서 환자들의 정신 병리를 신뢰할 만하고 효율적 진단 평가 목적으로 개발된 자기보고형 …
- Source: eyudj.tistory.com
- Views: 53678
- Publish date: 11 hours ago
- Downloads: 8639
- Likes: 4374
- Dislikes: 5
- Title Website: MMPI 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10가지 성격유형 – 정보를 알려드림
- Description Website: 29 thg 1, 2021 —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MMPI)는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장면에서 환자들의 정신 병리를 신뢰할 만하고 효율적 진단 평가 목적으로 개발된 자기보고형 …
MMPI 검사란 무엇인가?
- Source: Youtube
- Views: 83164
- Date: 9 minute ago
- Download: 92154
- Likes: 6937
- Dislikes: 6
MMPI 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10가지 성격유형
MMPI 검사
다면적 인성검사라고 불리고 있는 MMPI 검사를 통해 성격 특성 등을 측정할 수 있는 MMPI 검사에 사람들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는 사람의 다면 인성을 검사할 수 있는 병리적 마음을 다루고 있는 검사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MMPI 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하기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MMPI)는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장면에서 환자들의 정신 병리를 신뢰할 만하고 효율적 진단 평가 목적으로 개발된 자기보고형 검사로 개인의 성격, 정서, 적응 수준 등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보고형 성향 검사입니다.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 정도 소요가 된다고 합니다. 또한 성인용 버전의 MMPI-2와 청소년 버전의 MMPI-A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성인용 버전은 19세 부터 사용 가능하여 567문항이 있고 청소년 버전은 만 13세~18세 이용 가능하며 478문항이 있어요.
다면적 인성검사 하기
MMPI 검사가격
MMPI는 각 문항에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대답할 수 있으며 총 14개 척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는 4개의 타당도 척도 및 10개의 임상척도가 존재합니다. 가격은 만원 안팍으로 별도의 상담과 치료 등 금액은 따로 청구 되기 때문에 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해야 됩니다.
MMPI 검사방법은 정신과 병원, 심리상담센터, 언어 심리발달 치료센터,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심리상담센터 등에서 가능 하며 MMPI 검사 비용은 동일하지 않고 다르기 때문에 직접 전화를 해서 가격 확인이 필요하며 아래 가격표는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MMPI 검사가격
MMPI 척도 구성
이 성격 검사는 크게 임상 척도와 타당성 척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임상척도에는 심기증, 우울증, 히스테리, 정신병질, 남여향성, 편집증, 정신쇠약증, 조현증(정신분열증), 경조증, 사회적 내향성이라는 열 개의 하위검사가 있고 타당성척도에는 허구점수, 신뢰점수·수검태도 점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세 개의 하위검사가 있습니다.
MMPI는 각 문항에 대해 단순하게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대답하게 되어 있는 질문지형 검사지 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아래 보이시는 MMPI의 척도 구성 사진처럼 총 14개의 척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MPI 척도 구성
MMPI 검사를 실시하는데 있어 문항수가 많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지적이 있었는데요. 지난 30년간 단축형 MMPI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꾸준히 하게 되어서 단축형은 요인분석, 문항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통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척도를 구성할 경우 척도들이 원래의 척도보다 문항수는 적을지라도 타당도나 신뢰도와 같은 심리 측정적인 특성들은 달라지지 않는다고 해요. 또한 13개 정도의 단축형 MMPI가 제안 되었으며 여러 연구에서 검사 문항수가 200개 이하로 적게 되는 경우 타당도와 신뢰도에서 많은 문제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는 임상장면에서 383문항형이 단축형으로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점도 같이 참고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MMPI 검사는 정답을 찾는 시험은 아니며 나의 심리건강을 위해 진행되는 것이므로 정답이 없어 편안하게 검사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건강염려증 척도1
척도1은 원래 건강염려증과 관련된 증상 패턴을 보이는 환자들을 가려내기 위해 개발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에 대해 집착하면서 질병에 대해 공포를 느끼는 임상적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높은 점수에서 극적이고 기이한 신체적 염려를 지니고 있을 수 있고 전환 장애와 신체관련 망상의 가능성을 고려합니다.
다소 높은 점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모호하고 불특정적인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합니다. 주로 건강 문제에 자주 집착하게 되며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 증상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상황적 혹은 일시적 문제보다는 장기간 지속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리: 자기중심적, 자기도취적, 비관적 세계관, 냉소적 시각, 적개심과 비난, 신체 불편감, 신체화
우울증 D 척도2
우울증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 되었으며 사기가 저하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상실하며 전반적인 불만족감을 느끼게 되는 척도 입니다. 다른 사람과 거리를 두며 조심스럽고 관습적인 방식으로 행동을 합니다.
감정을 지나치게 통제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며 자신의 충동을 부인하고 불쾌감을 회피하려고 하며 남들과의 대결을 피하기 위해 양보해 버릴 수 있는 성격입니다. 이것은 개인적인 고통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리: 우울, 불만족, 무망감, 비관적, 자기비하, 죄책감, 불안정감, 무력감(무능력), 실패감, 위축
히스테리 Hy 척도3
스트레스 상황에서 히스테리 반응을 보이는 환자들을 가려내기 위해 개발 되었으며 히스테리의 주된 특징은 불수의적인 심인성 기능상실 혹은 기능장애로 순진할 정도로 낙관적 태도를 보입니다.
심리적 혹은 정서적 문제에 대한 전반적 부인과 사회적 상황의 불편감에 대한 전반적으로 부인을 하며 매우 높은 점수에서 고전적인 히스테리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병리적 상태를 시사합니다. 또한 실제 의학적 문제가 있는 경우 다소 높은 점수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며, 신체적 증상을 이용하여 책임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고 자신의 증상을 초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기저의 원인에 대한 통찰이 전혀 없으며, 자신의 동기와 감정에 대한 통찰도 매우 부족합니다.
또한 심리적으로 미성숙하며 때로 유아적으로 묘사되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지대한 관심과 애정을 기대하며 피상적인 대인관계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리: 문제에 대한 전반적 부인, 순진함, 자기중심, 유아적(미성숙), 압도감, 취약한 느낌, 책임회피, 신체화, 통찰부족
반사회성 Pd 척도4
반사회적 혹은 비도덕적인 유형의 반사회성 성격으로 진단되는 환자들을 가려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거짓말, 절도, 성적 방종, 지나친 음주 등 일상생활에서의 일탈행동이 특징적입니다. 또한 삶에 대한 불만족, 가족 문제, 일탈행동, 성문제, 권위와의 갈등을 보입니다.
극단적으로 높은 점수에서 사회의 가치와 기준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으며 권위적인 인물에 반항하는 경향이 있으며 흔히 소란스럽고 갈등이 많은 가족관계를 영위합니다. 또한 문제와 관련하여 가족구성원들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타인의 욕구나 감정에 둔감하고 다른 사람들을 이용하는 데에만 관심이 많으며 전형적으로 외향적이며 사교적이나 삶의 목표가 결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에게는 깊은 정서 반응이 없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허로움과 권태로움 우울한 느낌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정리: 권위갈등, 행동화, 사회적 일탈, 반항성, 충동성, 낮은 인내, 낮은 좌절 감내 능력, 적대적, 공격적, 자기중심적, 냉소적
남성성-여성성 Mf 척도5
동성애 남성을 가려내는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변별력이 떨어짐고 전형적이 남성적 흥미와 여성적 흥미를 나타냅니다. 높은 점수에서는 수검자가 자신의 실제 성별로부터 상당히 이탈되어 있음을 의미하거나 양성적인 흥미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편집증 Pa 척도6
관계사고, 피해의식, 웅대한 자기개념, 의심성, 지나친 예민성, 경직된 의견 및 태도 등과 같은 편집증상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을 가려내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매우 높은 경우(70T 초과), 분명한 정신병적 행동을 나타낼 수 있고, 사고장애나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사고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주된 방어기제는 투사이며 다른 사람의 견해에 지나치게 예민하며, 너무 과도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자신들이 힘겹고 불공평하게 살아가고 있다고 느끼며, 자신의 어려움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면서 자기를 합리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의심하고 경계하며 적대감과 분노를 드러내고 논쟁적인 태도를 취하며 매우 도덕적이고 경직되어 있으며 합리성을 지나치게 강조합니다.
정리: 의심, 경계, 적대감, 분노, 경직, 예민, 망상, 위축
강박증 Pt 척도7
강박증(신경쇠약)의 전반적 증상패턴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지나친 회의, 강박행동, 강박사고, 이치에 맞지 않는 두려움을 느낍니다. 통제 불가능한 혹은 강박적인 생각, 두려움, 불안, 자신의 능력에 대한 회의감이 이으며 불행감, 신체적 불평, 주의집중 곤란 등도 반영됩니다.
높은 점수에서, 상당한 혼란과 동요를 경험하고 지나치게 불안하고, 긴장하고 초조해 합니다. 또한 슬프고 불행한 느낌과 비관성을 느끼고 내성경향이 강하고 통제력을 상실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낍니다.
자신감이 부족하고 자신에게 비판적이며 자의식이 강하고 자기 회의를 느끼며 완벽주의적이고 양심적이며 죄책감을 느낍니다. 또한 의존적이고 자기주장을 하지 않으며 미성숙한 사람으로 묘사되곤 합니다.
정리: 강박사고, 경직성, 불안, 긴장, 초조, 두려움, 비관적, 무능감, 완벽주의
정신분열증 Sc 척도8
정신분열증 환자를 가려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현실에 대한 그릇된 해석, 망상, 환각이 있습니다. 제한된 정서반응, 위축된 행동, 공격적 행동, 기태적 행동이 있으며 사회적 소외, 빈약한 가족관계, 성에 대한 연려, 충동통제 곤란, 주의집중 곤란, 두려움, 걱정, 불만족감 등 주제를 포괄합니다.
75T 이상의 높은 점수에서, 정신병적 장애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물질남용이나 의학적 상태를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고립되고 소외되고 오해받고 수용받지 못한다고 느끼며 분열성의 생활방식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위축되어 있고, 은둔적이고, 자신을 숨기며, 남들이 쉽게 다가가기 어려움을 느끼며 예기 불안 및 일반화된 불안을 상당히 많이 경험하고 있을 수 있으며 주의집중이 곤란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보이는 전형적인 반응은 공상에 빠지는 것입니다.
현실과 공상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을 수 있고 자기에 대한 회의로 괴로워하며 불안정감, 무능감, 불만족감을 느낍니다. 추상적이고 모호하며 문제해결에 필요한 기본적인 상식이 부족하며 의미있는 관계 형성 능력이 부족한 편입니다.
정리: 현실지남력 상실, 와해된 사고, 망상, 환각, 소외, 불안, 위축, 은둔, 거리두기, 주의집중곤란, 자기회의, 의심, 무능감, 불안정감, 열등감
경조증 Ma 척도9
경조증 증상을 보이는 정신과 환자들을 가려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고양된 기분, 말과 행동의 속도가 빨라짐, 화를 잘 냄, 사고의 비약, 단기간의 우울증을 느낍니다. 활동수준, 흥분성, 신경질, 웅대성이 있으며 심리적 신체적 활력의 측정치로 여겨지며 높은 점수는 지나치게 많은 활력을 의미합니다.
90T를 초과하는 극단적인 점수는 조증삽화 시사하고 과도하고 목적 없는 행동을 보이며 환각이나 과대망상이 있을 수 있고 정서적으로 매우 불안정합니다. 심리적인 혼란과 사고의 비약이 나타나며 과잉행동 경향성 및 자기를 비현실적으로 과장되게 평가합니다.
폭넓은 흥미를 가지고 있으나 세부적인 것에는 관심을 갖지 않음. 쉽게 지루해 하고 안절부절 못하는 경향이 있으며 충동, 분노, 적대감을 폭발시킬 수 있고 웅대한 포부를 지니고 한계를 잘 인식하지 못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우위에 서거나 지배하려는 경향성으로 피상적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편입니다.
정리: 고양감, 사고의 비약, 목적 없는 활동성, 과대 자기, 충동성, 한계 인식 부재
내향성 Si 척도0
사회적인 접촉이나 책임으로부터 물러서는 경향을 평가하며 사회적인 상황에서 심한 불안정감과 불편감 경험, 특히 이성과 있을 때 불편함 호소합니다. 자신감이 부족하고 남의 눈에 띄지 않으려 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타인의 평가에 예민하고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며 수동적, 복종적, 순응적이고 처리 속도가 노리고 경직되고 융통성 없는 태도나 의견 고수하며 쉽게 포기합니다. 또한 걱정이 많고 과민하며 불안한 경향을 느낍니다.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MPI-2는 타당도 척도(Validity scales)와 임상척도(Clinical scales)의 2개의 기본척도와 4개 부가척도(내용척도,보충척도,성격병리5요인척도,재구성임상척도)가 있다. 계속적인 MMPI문항에 대한 연구 작업은 추가적인 척도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타당도 척도와 임상척도에는 각각 10개의 척도가 있으며 임상척도는 하위 임상소척도를 가지고있다. 내용척도(Content Scales)는 15개(ANX,FRS,OBS등)의 하위척도가 있다. 보충척도(supplemental scales)는 15개(A,R 등)의 하위척도가, 성격병리5요인척도(PSY-5 Scales)는 5개(AGGR, PSYC, DISC, NEGE, INTR)의 하위척도가 있다.재구성임상척도(RC,Restructured Clinical Scales)는 9개(RCd포함) 하위척도이다.
고유번호 약호(Abbreviation) 임상척도(Description) 문항 개수 1 Hs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32 2 D (5) 우울증(Depression) 57 3 Hy (5) 히스테리(Hysteria) 60 4 Pd (5) 사이코패스(Psychopathy) 50 5* MF 남성성(Masculinity), 여성성(Femininity) 56 6 Pa (3) 편집증(Paranoia) 40 7 Pt 불안증(Psychasthenia) 48 8 Sc (6) 조현병(Schizophrenia) 78 9 Ma (4) 경조증(Hypomania) 46 0* Si 외향성과 내향성(Social Introversion,사회적 내성) 69
척도(약호) 타당도 척도(validity scale) CNS 무응답(Questions not answered) VRIN 가변응답불일치(Variable Response Inconsistency) TRIN 비가변응답불일치(True Response Inconsistency) F 인프리퀀시(Infrequency) F(B) F Back(후자) F(P) F-Psychopathology(F-정신 병리학) FBS 신체반응(Infrequent Somatic Response) F(-K) F 마이너스 K(F minus K) L 거짓(Lie) K 방어(Defensiveness) S 최상급 자기보고(Superlative Self-Presentation)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는 성인의 성격과 정신병리의 표준화된 심리측정 도구이다.
- Source: ko.wikipedia.org
- Views: 62049
- Publish date: 53 minute ago
- Downloads: 15959
- Likes: 2652
- Dislikes: 7
- Title Website: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는 성인의 성격과 정신병리의 표준화된 심리측정 도구이다.
MMPI 다면적인성검사로 실제 성격 알아보기 / 상담대학원생의 해설은? / MBTI는 덤으로!
- Source: Youtube
- Views: 39127
- Date: 8 hours ago
- Download: 22258
- Likes: 5691
- Dislikes: 9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는 성인의 성격과 정신병리의 표준화된 심리측정 도구이다.[1] 심리학자들 및 정신건강 의료인들은 다양한 버전의 MMPi를 사용하여 치료 계획을 구성하는데 이를 통한 지원 및 활용하고있는 성격검사이다. 또한 감별진단과 함께 사용되거나 법정심리학에서 다루는바와같이 법적인 질문의 답변을 지원하거나 인사 선발 과정 중의 직업 후보 검사, 치료 평가 과정의 일부로서 사용되기도 한다.[2]
역사 [ 편집 ]
MMPI의 원 개발자들은 스타크 해서웨이(Starke R. Hathaway) 박사와 존 맥킨리(John Charnley McKinley) 의학 박사이다. MMPI의 저작권은 미네소타 대학교에 있다. 한국어판은 미네소타 대학교 출신의 한경희 심리학자 및 임지영 심리학자가 번역에 기여하였다.[3]
MMPI [ 편집 ]
원래의 MMPi는 1930년대 말, 1940년대 초에 규모 대 규모(scale-by-scale) 기준으로 개발되었다.[4]
MMPI의 최초의 주요 개정판은 MMPI-2로서, 미국의 새로운 성인 견본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었으며 1989년에 출시되었다.[5] 현재 MMPI-2는 567개 문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읽기및독해에 따라 1~2시간 정도 소요된다. 그것은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 저학년 수준을 전후하는 기준에서의 독해 수준을 요구하도록 설계되었다.[6] MMPI-2에서의 370개항목으로 축약 구성된 테스트의 약식 형태는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7]
14세~18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계된 테스트 버전인 MMPI-A는 1992년에 출시되었다.
미네소타 대학교 프레스는 새로운 판의 MMPI-2인 MMPI-2-RF(MMPI-2 Restructured Form)를 2008년에 출간하였다.[8]
척도 [ 편집 ]
MMPI-2는 타당도 척도(Validity scales)와 임상척도(Clinical scales)의 2개의 기본척도와 4개 부가척도(내용척도,보충척도,성격병리5요인척도,재구성임상척도)가 있다. 계속적인 MMPI문항에 대한 연구 작업은 추가적인 척도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타당도 척도와 임상척도에는 각각 10개의 척도가 있으며 임상척도는 하위 임상소척도를 가지고있다. 내용척도(Content Scales)는 15개(ANX,FRS,OBS등)의 하위척도가 있다. 보충척도(supplemental scales)는 15개(A,R 등)의 하위척도가, 성격병리5요인척도(PSY-5 Scales)는 5개(AGGR, PSYC, DISC, NEGE, INTR)의 하위척도가 있다.재구성임상척도(RC,Restructured Clinical Scales)는 9개(RCd포함) 하위척도이다.
타당도 척도 [ 편집 ]
척도(약호) 타당도 척도(validity scale) CNS 무응답(Questions not answered) VRIN 가변응답불일치(Variable Response Inconsistency) TRIN 비가변응답불일치(True Response Inconsistency) F 인프리퀀시(Infrequency) F(B) F Back(후자) F(P) F-Psychopathology(F-정신 병리학) FBS 신체반응(Infrequent Somatic Response) F(-K) F 마이너스 K(F minus K) L 거짓(Lie) K 방어(Defensiveness) S 최상급 자기보고(Superlative Self-Presentation)
타당도척도는 응답자의 광범위한 방어적인 응답으로부터 본 테스트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본 테스트를 무효화할 수 있다.
임상척도 [ 편집 ]
고유번호 약호(Abbreviation) 임상척도(Description) 문항 개수 1 Hs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32 2 D (5) 우울증(Depression) 57 3 Hy (5) 히스테리(Hysteria) 60 4 Pd (5) 사이코패스(Psychopathy) 50 5* MF 남성성(Masculinity), 여성성(Femininity) 56 6 Pa (3) 편집증(Paranoia) 40 7 Pt 불안증(Psychasthenia) 48 8 Sc (6) 조현병(Schizophrenia) 78 9 Ma (4) 경조증(Hypomania) 46 0* Si 외향성과 내향성(Social Introversion,사회적 내성) 69
‘ * ‘ 표기번호는 RC에는 대응이 없다. 척도 ()는 추가 하위 소척도 항목수이다.
정신역동 [ 편집 ]
MMPI의 주요 접근중에 하나로 정신역동적 접근이 사용될수있다. MMPI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여러 접근 체계가 용이하도록 방어기제등이 설계에 반영되어 있다.
연관 소척도 [ 편집 ]
권고 및 참고할 수 있는 소척도(subscale)에는 헤리스 링고스 소척도(Harris Lingoes subscale)등이 있다.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참고](심리검사 사용을 위한 국제 지침: 한국어판,한국심리학회 공인)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f8zRX0pRC5cJ:www.koreanpsychology.or.kr/files/International%2520Test%2520Commission%2520(ITC)%2520Guidelines%2520on%2520Test%2520Use-The%2520Korean%2520Version.doc+&cd=1&hl=ko&ct=clnk&gl=kr
[참고]Graham, J.R. (2011). MMPI-2: Assessing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 Oxford.. Oxford. [참고](한국판 MMPI-2의 개발 연구 Korean MMPI-2 Standardization Study 한경희, 임지영, 민병배, 이정흠, 문경주, 김중술
한국심리학회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제25권 제2호2006.05533 – 564 KCI등재)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71252
다면적 인성검사 – YES24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했다. 동 대학원 심리학과를 졸업하며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의학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후에 가톨릭 의대 신경정신과 전임강사와 조교수를 역임하였으며 미국 미네소타 대학 교화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전신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했다. 동 대학원 심리학과를 졸업하며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의학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후에 가톨릭 의대 신경정신과 전임강사와 조교수를 역임하였으며 미국 미네소타 대학 교화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전신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10 thg 7, 2010 — 다면적 인성검사. : MMPI의 임상적 해석. [ 개정15판 ]. 김중술 저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Source: www.yes24.com
- Views: 26313
- Publish date: 38 minute ago
- Downloads: 45607
- Likes: 7201
- Dislikes: 4
- Title Website: 다면적 인성검사 – YES24
- Description Website: 10 thg 7, 2010 — 다면적 인성검사. : MMPI의 임상적 해석. [ 개정15판 ]. 김중술 저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MMPI-2가 뭐에요? 심리검사가 궁금해요
- Source: Youtube
- Views: 61483
- Date: 17 hours ago
- Download: 100090
- Likes: 1799
- Dislikes: 1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했다. 동 대학원 심리학과를 졸업하며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의학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후에 가톨릭 의대 신경정신과 전임강사와 조교수를 역임하였으며 미국 미네소타 대학 교화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전신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했다. 동 대학원 심리학과를 졸업하며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의학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후에 가톨릭 의대 신경정신과 전임강사와 조교수를 역임하였으며 미국 미네소타 대학 교화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전신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객관적 성격 검사 – 해오름한의원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객관적 성격 검사 … MMPI는 개인의 인성특징의 비정상성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상담 및 정신치료에 기여함을 물론, 비정상적이고 불건전한 방향 …
- Source: haeorumcare.com
- Views: 74632
- Publish date: 13 hours ago
- Downloads: 100421
- Likes: 3979
- Dislikes: 4
- Title Website: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객관적 성격 검사 – 해오름한의원
- Description Website: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객관적 성격 검사 … MMPI는 개인의 인성특징의 비정상성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상담 및 정신치료에 기여함을 물론, 비정상적이고 불건전한 방향 …
직업상담사 2급 실기시험 대비 : 다면적인성검사(MMPI)
- Source: Youtube
- Views: 7348
- Date: 3 minute ago
- Download: 86239
- Likes: 565
- Dislikes: 10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객관적 성격 검사 > 해오름 자료실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객관적 성격 검사MMPI는 개인의 인성특징의 비정상성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상담 및 정신치료에 기여함을 물론, 비정상적이고 불건전한 방향으로 진전될 가능성을 찾아내어 예방 및 지도책을 도모하기 위한 검사이다.● 검사문항의 의미- 질문지형 성격검사 문항에 대한 반응을 검토해 보면 때로는 그 사람이 제시하는 자기보고와 다른 사람들이 그 사람의 행동을 보고 느끼는 것과의 사이에 차이가 있는데 부정확한 자기 기술을 초래하게 되는 이유가 있을 수 있다.① 검사문항을 제작하는 사람들은 각 문항이 검사를 받는 사람에게 원칙적으로 똑같은 의미로 해석되리라고 가정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검사문항에 내재하는 모호성 때문에 객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자기기술을 얻는다는 어려운 일이며, 어느 특정 문항에 대답하는 사람과 그 문항 내용에 대해서 그 사람을 평정하는 관찰자 사이에는 문항에 대한해석에 다소 차이가 생길 수 있다.② 직접적인 행동관찰이 비실제적이거나 불가능하거나 비효율적인 경우에는 문항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자기 평가가 유용한 방법이지만 사람들 간에는 자기 인식이나 적절한 행동을 보고하고자하는 의지나 능력의 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③ 이성적인 방법으로 검사를 제작하고자 할 때 제작자는 각 개 문항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과 측정하고자하는 성질 사이의 관계에 대해 충분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지만 검사 제작자가 성격 검사의 역동적 관계에 대하여 깊게 이해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검사 실시- 검사의 목적, 결과의 용도, 결과의 비밀보장 등에 설명 하여주고 이 검사에서 얻어지는 정보가 환자에게매우 중요한 자료가 됨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검사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자기에게 해당되지 않는 검사문항에 대해서는 어떤 사실 자체보다 그가 어떻게 생각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채점 및 프로파일 작성- 빠뜨린 문항이나 이중으로 답한 문항이 있는지 살펴본 다음, 답지위에 채점판을 대고 구멍이 뚫린 곳에 나 타나는 답 표시의 수를 세어 답지 아래쪽에 있는 원 점수에 기록한다.● MMPI의 척도내용타당도 척도 – 타당도 개념은 검사가 측정하려고 하는 바를 실제로 측정하고 있느냐는 문제를 다룬 것 이다. 그러나 MMPI의 타당도는 실제로 피검사자가 일관성 있게 검사문항에 응답했는가를 의미한다. 4개의 타당도 척도들은 잘못된 검사태도를 탐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임상척도와 더불어 검사 이외의 행동에 대하여 유추 할수 있는 자료까지도 제공해주며 타당도 척도 자체가 유의미한 인성 요인을 밝혀준다는 것은 여러 임상 결과에서 입증되었다.① ? (알 수 없다 척도)? 척도는 환자가 빠뜨린 문항, 즉 답하지 않거나 혹은 ‘그렇다’ ‘아니다’ 모두에 답한 문항들의 총합이다. 문항의 누락은 보통 검사지시에 따라 좌우된다. ? 척도는 다른 척도들처럼 정해진 특정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 점수의 크기는 다른 척도 점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빠뜨린 문항의 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음은 물론이다. 처음 시작할 때 환자에게 설명해 주는 것이 검사 완성에 필요한 환자의 충분한 협조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만일 환자가 너무 많은 문항(11개 이상)을 빠뜨리면 검사자는 환자에게 빠뜨린 문항들을 다시 읽어보게 한 후 꼭 그렇지는 않더라도 대개 그렇다거나 혹은 아니다에 따라 답하도록 권유한다.․ 1 ~ 6 – 보통범위에 속하나, 누락된 문항들이 무작위한가 아니면 패턴을 이루고 있는가를 살펴야함.․ 7 ~ 30 – 많은 문항을 빠뜨렸음. 그것들이 속하는 척도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31 이상 – 자신에 관한 어떤 정보도 누설시키지 않으려는 조심성. 지나친 강박성 으로 인하여 문항에 대한 바른 반응을 결정할 수 없음.② L 척도L 척도는 원래 피검사자가 자신을 좋은 모양으로 나타내 보이려는 다소 고의적이고도 부정직하며 세련되지 못한 시도를 측정하려는 척도이다. MMPI의 모든 척도가 경험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문항으로 구성된 반면 L 척도만은 이성적 근거에 의하여 선발된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L 척도의 문항을 살펴보면 어떤 반응이 비정상적 반응인지를 쉽게 가릴 수 있는 명백 문항들이다.L 척도가 높은 사람은 지나치게 관습적이고, 사회에 순응적이며 독창성이 부족하며 완고하고 도덕적이며 스트레스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하며 자신을 과대평가 한다. L 척도가 낮은 사람들은 자신의 인간적인 약점을 솔직히 인정하는 사람으로 자기 자신에 대해 충분한 자신감을 가진 사람이다. 이들은 지각력이 우수하고 독립적이고 자기 신뢰감이 높은 사람이다. 때로는 다른 사람들에게 냉소적인 인상을 주기도 하지만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타인에게 표현 할 수 있다.․ 44이하 – 인간의 일반적인 약점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비교적 독립적이며 자기 신뢰감이 높고 대체로 교육 수준이 높은 정상인․ 45 ~ 59 – 사소한 사회적 약점을 적절히 부인하거나 인정할 줄 알며, 호감을 주는 자아상을 창조하려 시도 되는 세련된 환자․ 60 ~ 69 – 보통보다 다소 더 사회적 순응성이 높고 도덕적으로 조심성이 많은 정상인․ 70 이상 – 가장 보편적인 인간의 약점도 부인하려 하며 자기 통제가 매우 강하고 자기 행동의 동기가 무엇 인지 통찰력이 부족하거나 인사선불과 같은 상황에서 과도하게 좋은 인상을 주려고 애쓰는 사람스트레스에 대한 인내력이 약하고 사고의 독창성이 없으며 문제 해결에서 유연하지 못함③ F 척도F 척도는 64개의 검사문항에 대해 비전형적인 방법으로 응답하는 사람들을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대중의 생각이나 경험과 다른 정도를 측정한다. F 척도가 높을 때 고의적으로 나쁘게 보이려는 경우는 드물다.F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그는 대부분의 정상적인 사람들이 하지 않는 것으로 그가 가지고 있는 기준 집단과 정상집단간의 문항 반응을 비교하여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정상 성인 피험자들로부터 이들 문항에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답하는 사람이 10%를 넘지 않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어떤 사람이 F 척도에서 많은 문항에 채점되는 방향으로 답했다면 그는 대부분의 정상적인 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반응하지 않은 것이 된다.․ 50 이하 – 비교적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 정상인. 사회적 순응도가 높음.․ 50 ~ 64 – 어떤 특별한 영역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 외견상 잘 나타나지 않는 정신병 환자70T 이상의 임상척도가 있으면 그것이 나타내는 문제에 적응되어 별로 걱정하지 않는 상태․ 65 ~ 79 – 보통과는 매우 다른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정신증적 장애 및 행동장애, 심한 신경증․ 80 이상 – 무효 프로파일. 심하게 혼란된 정신병적 환자.고의적으로 병을 가장하거나, 보통과는 매우 다르게 보이려는 사람.그 사람이 겪고 있는 정신병자의 심한 정도를 반영함④ K 척도-T점수를 표준방식으로 산출한 유일한 타당도 척도이다.K 척도는 분명한 정신적인 장애를 지니면서도 정상적인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람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30개 문항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척도가 측정하는 것은 방어성과 경계심으로 L 척도의 측정내용과 중복되기는 하나 L 척도보다는 은밀하게 그리고 보다 세련된 사람들에게서 측정한다는 점이 다르다.․ 35 이하 – 자신의 단점을 과장하거나 자신에 관하여 나쁜점을 강조하고자 함.심한 정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문제를 조작햇거나 과장함.․ 36 ~ 45 –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심한 정신적 장애를 가지고 있고, 자기자신 및 타인에 대하여 비판적인 태 도를 가지고 있음. 자신의 행동이나 동기에 대한 통찰력이 결여되어 있고 타인의 동기에 대하여 의심이 많음.․ 46 ~ 59 – 자기 노출과 자기 보호 간에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임.심리적인 치료를 원하고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성격적 자질을 가지고 있음. 교육수준이 높은 환자에서는 중등도의 장애가 예상됨.․ 60 ~ 69 – 심리적인 장애를 인정하려 하지 않으며 방어적인 환자임.부인과 히스테리적 방어가 특징적이고 특히 저수준 환자에서 그러함.․ 70 이상 – 외견상 적절함과 통제력을 과시하려 무척 노력하며 여하한 문제나 약점도 자신에게 인정하려 하지 않음.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이해나 정서적 통찰이 심히 결여되고 있고 평가도 거부함.환자 역할을 거부하고 극단적으로 방어적이며 프로파일에서의 그의 문제성을 식별하기 곤란함.● 임상척도 – 임상척도는 MMPI 검사의 주된 내용으로 주요 비정상 행동의 종류를 측정하는 10가지 척도.① 척도 1 : 건강염려증 (신중성)척도1은 그 사람이 호소하는 신체적 증상과 이러한 증상들이 다른 사람을 조정하는데 사용되고 있지 않은가의 여부를 측정하는 3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이다. 이 척도의 측정내용은 신체 기능에 대한 과도한 집착 및 이와 관련되는 질환이나 비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불안의 정도이다. 이 증상들은 그 같은 장애를 부인하는 의학적 검사 결과나 설득에 대해서 신체 기능에 대한 신경증적 걱정을 의미하는 것이다.척도 1이 높은 (T=65이상) 사람들은 책임이나 심리적인 문제를 직접 처리하기를 회피하고 주변 사람들을 조정하기 위해서 실제 또는 상상적인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로서 그 중 특히 신장 계통의 장애가 보편적이다. 이들의 일반적인 성격특진은 자기중심적, 이기적, 자기도취적이며 외부 세계를 비관적이고 냉소적인 태도로 본다. 또한 불안을 크게 나타내지 않으며 현저한 신체적 호소는 의존 욕구가 신체적 증상으로 전치된 것이며 이것이 그들의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이기도 하다.이 척도가 높으면서 다른 임상척도가 이보다 더 높은 것이 있으면 이때는 그 사람이 가장 높은 척도가 나타내는 감정이나 행동과 관련되는 신체적 증상을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척도 1이 낮은 (T = 45이하) 사람은 건강염려증적인 고통을 부인하는 사라들로 이들은 정상적인 통증이나 증상도 용납하기를 거부하거나 매우 악화될 때까지 병을 무시하는 건강에 지나친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대체로 기민하고 낙관적이며 심리적인 통찰력을 갖춘 효율적인 사람이다.실제로 신체적인 병이 있는 사람은 척도 1에서 중간 정도의 높이(T-점수 60내외) 밖에 올라가지 않는다.그 같은 사람들은 자신의 정당한 신체적 증상에는 응답하나 이 척도가 측정하는 모호한 신체적 고통의 영역 전부에는 응답하지 않는다. 실제적인 신체적 질병에 대해서는 척도 1보다 척도 2가 더 상승하는 예가 많다.․ 44 이하 – 보호한 신체적 증상이나 건강에 대한 걱정을 부인하는 사람.기민하고 낙천적이며 통찰력 있고 효율적임.․ 45 ~ 55 – 보통 범위에 속하는 신체적 증상을 호소함.․ 56 ~ 65 – 실제로 신체적 질환이나 장애가 있는 사람. 미성숙하고, 고집 세고, 의욕이 약함.자신 및 타인의 신체적 건강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상인.조심성 있고 사려 깊고 진실하며 양심적임.․ 65 이상 – 자신에게 어떤 신체적 병이 있다고 생각하거나 그 같은 병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을 조종하고 지배하려 함. 모호한 신체적 증상에 과도하게 집착하고 불평이 많고 냉소적이며 요구사항이 많고 부정적이고 비관적임.② 척도 2 : 우울증(평가)척도 2의 60개 문항들은 원래 우울 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검사 실시 당시의 그 사람의 비관 및 슬픔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분의 척도이다. 또한 이 척도에는 자신에 대한 태도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 절망감 및 희망의 상실, 방어기계의 붕괴정도, 무력감으로 나타나는 활동에 대한 흥미의 결여 수면장애와 같은 신체적 증상 및 과도한 민감성 등이 주요 영역으로 포함된다.척도 2는 신경증적 혹은 내인성 우울증이라기보다는 반응성 혹은 외인성 우울증을 측정한다. 따라서 척도2의 점수는 환자의 기분이 변함에 따라 하루하루 변할 수 있다.또한 척도 2는 환자가 자기 자신 및 자시의 생활 상황에 대하여 얼마나 안정되고 안락하게 느끼는가 하는 것을 가리키는 좋은 지수라 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점수는 그만큼 강한 불만도를 나타내며, 자기 자신 및 상황에 대한 평가가 달라짐에 따라 척도2의 점수도 변하게 된다. 이 척도에서의 매우 높은 점수는 임상적인 우울증을 의미하지만 중간 정도로 높은(60~65T) 점수는 생활에 대한 가벼운 불만을 의미하며, 이 같은 불만이 아주 심하지 않으므로 크게 걱정할 정도가 아니든가 혹은 너무 오랫동안 지속되어 그것과 더불어 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척도 2에서 높은 점수(T점수 65이상)를 보이는 사람들은 대체로 우울증적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우울하고, 불안하고, 위축되어 있으며 자신의 미래를 비관적으로 생각하며, 자기 비하 적이고 문제 해결할 능력이 없다고 느낀다. 행동상 으로는 말하기 거북해 하고 동작이 느리고 초조해 하며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회피하고 흥미를 잃는다. 척도 2가 낮은 (T = 45이하) 능동적이고 기민하여 낙관적인 사람으로 대체로 자신감이 있고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다. 그러나 때로는 허세를 부리고 자기 과시적이어서 다른 사람들에게서 적대감을 불러일으키고, 대인관계를 해치는 경우도 있다.․ 40 이하 – 사교적이고 낙관적이며 기민한 사람. 사고나 행동이 자유로움.․ 41 ~ 59 – 정력과 열의가 균형을 이룬 생활태도나 행동.․ 60 ~ 69 – 자신이나 어떤 일에 대하여 불만이 있으나 이 같은 상태를 우울한 것이라고 느끼지는 않으며 오히려 상황에 적절할 수도 있음.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에 걱정을 하지 않거나 만성적인 우울 상태에 적응된 상태. 스트레스 하에서는 자신의 행동에 과도하게 비판적인 자세를 취하고 죄책감에 잘 빠지며 걱정과 불안을 나타냄.․ 70 이상 – 인생이나 자신에 관하여 비관과 우울한 기분을 보이는 환자. 자기 비하적, 현실 회피적, 죄의식, 우유부단 걱정이 많음. 점수가 높아질수록 운동지체, 극단적 무망감, 부적절감, 자기비하 등이 확산되고 망상적이 됨.③ 척도 3 : 히스테리(표현)척도 3은 현실적 어려움이나 갈등을 회피하는 방법으로 부인 기제를 사용하는 경향 및 정도를 진단하려는 것으로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 3의 문항들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하나는 특정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는 문항이며 다른 하나는 자신은 사회적으로 잘 적응하고 있고 아무런 심리적, 정서적 장애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항들이다.부인의 실제영역은 척도 3의 상승도와 다른 임상척도의 상승도를 비교해 봄으로써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척도 3보다 높은 척도가 나타내는 증상들은 환자가 인정하고 보려 하지만 척도 3보다 낮은 척도가 나타내는 증상은 부인하고 보려 하지 않는다.척도 3은 지능수준이나 교육정도 및 사회적 계층과도 관계가 있다. 상류사회에 속하면서 머리가 우수하고 교육정도가 높은 사람들은 이 척도에서 점수가 높은 경향이 있으면서, 정상인이나 정신과 환자집단 모두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척도 3이 현저하게 높은 사람들은 부인과 피암시성이 강하고 대개 신체적 증상을 나타냄으로써 스트레스에 대처하거나 책임을 회피하려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주로 나타내는 증상으로는 두통, 흉통, 무기력감, 심박항진, 급성불안, 발작 등이며 우울증적 양상이 수반될 경우도 있다. 보통때는 아무런 증상도 없는 경우가 많으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고, 스트레스가 지나가면 증상도 갑자기 없어진다.신체적 증상 외에 다른 증상들은 이 사람들에게서 비교적 잘 나타나지 않는다. 때로 그들은 스스로 걱정이 많은 편이라고 스스로 말하지만 긴장이나 불안감 혹은 우울감 등을 호소하는 예는 비교적 드물다. 실제로 척도 3이 높은 사람들에서 정신병 진단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척도 3 이 낮은 점수를 보이는 사람들은 대체로 일상생활에 순응적이고 현실적이며 논리적이다.그러나 그들은 흥미 범위가 제한되어 있고 또한 자신을 보호할 방어기제가 부족하여 어려운 상황에 처하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40 이하 – 냉소적이고 불신하며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환자.세상을 냉혹하게 대처하며 흥미 범위가 좁고 방어기제가 약함.․ 41 ~ 59 – 히스테리 역동의 태도나 행동을 전형적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대부분의 정상인.․ 60 ~ 69 – 과다 노출적, 외향적, 피상적인 환자. 순박하고 자기중심적이며 여하한 문제도 부인함.인생의 긍정적인 측면만 보려하고 불유쾌한 일들은 외면하려 함.정서적이고 긍정적인 감정을 잘 나타냄.․ 70 이상 – 스트레스 하에서는 특수한 신체적 장애가 나타남. 미성숙하고 요구가 많고 억압이 강함.단순하고 구체적인 문제 해결책을 요구함. 심리적 치료는 어려움.④ 척도 4 : 반사회성(주장성)”무엇인가와 싸우고 있는 것이 5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4의 상승과 관련되는 대표적 표현이다. 갈등의 정확한 성질과 그 적절성은 갈등의 대상(부모, 친구, 배우자, 사화, 학교 등), 그에 수반돤 혼란의 정도(특히 척도 8의 상승) 및 그것이 발생한 상황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며,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을 알아보지도 않고 이 척도가 나타내는 행동은 무조건 나쁘다고 판단내리는 것은 온당하지 못하다.척도 4는 주로 가정이나 권위적 대상 일반에 대한 불만, 자신 및 사회와의 괴리, 권태 등이 주요 특정대상으로 5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 4는 반사회적 성격으로서 비도덕적인 성격경향 정도를 재려는 것이다. 이 척도에서는 사회적 적응곤란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침착성과 자신감을 함께 주장한다.척도 4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사람의 주된 특징은 분노감, 충동성, 정서적 피상성 및 예측불허성 등이다.그들은 사회적으로 비순응적이고 거짓말을 잘하며 일반적으로 사회적 규범에 대해 거부적이며 권위적 대상에 대해 적개심을 지니는 경우가 많다.척도 4의 점수가 높은 환자들은 심한 주관적인 불안이나 우울감을 호소하지 않는 게 상례이나, 간혹 우울증이 나타날 때에도 주로 우울한 감정이나 생각을 보이기는 하되 정신적 운동지체나 그밖에 우울증이 극단적인 무력 증상들은 나타내지 않는다.척도 4에서 낮은 점수를 얻은 사람들은 매우 통속적이고 순응적이며 권위에 대해 수용적이며 복종적이다. 또한 이들은 욕망의 수준이 낮은 것이 특징적으로 경쟁심이 강하지 못하다. 남자들은 성에 대한 흥미가 적은 편이며 때로는 실제로 여자를 두려워 할 때도 있는바, 특히 척도 4가 프로파일에서 가장 낮은 점수일 때 그러하다. 그들의 흥미 범위는 좁고 독창적이지 못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40 이하 – 매우 지루하고 권태로운 생활도 잘 견딜 수 있음.․ 41 ~ 55 – 권위, 소외감 및 불평에 대하여 정상 범위에 속하는 불평을 하는 환자.환경적 갈등에 적응되어 있는 상태사회적 갈등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거나 혹은 습관적인 대인관계 및 사회적 갈등에 적응되 어 있는 상태. 자기주장을 잘하고 신체적 원기와 욕구를 잘 표현하는 정상인.욕구가 좌절되면 공격적이고 사회적 부적응 행동을 보일 수 있음.․ 65 이상 – 화나 있고, 싸우고 있는 사람임. 주로 권위적 대상과 갈등을 겪고 있는 환자이며 이 갈등은 행동 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적대감이나 반항심으로 나타나고 있음. 신뢰성이 결여되어 있고, 자기 중 심적이며 무책임함. 경험에서 배울 줄 모르며 계획성이 없고 충동적임. 좌절 인내력 낮음.⑤ 척도 5 : 남성특성 – 여성특성(역할 유연성)척도 5를 구성하는 60개 문항들은 내용상 매우 다양한데 주요한 내용 영역으로는 직업 및 취미에 대한 관심, 심미적 및 종교적 취향, 능동성, 수동성, 대인 감수성이다. 남․녀의 척도 수준에 따른 해석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척도 5는 흥미형태의 남성특성과 여성특성을 측정, 진단하는 것이다.척도 5가 높은 남자는 정형화된 남성적 흥미가 부족하고, 심미적이고 예술적인 관심이 높으며 때로는 성적 자아정체에 갈들이 있으며 자신의 남성적 역할에 대하여 불안정하며 여성적 역할을 동일시하는 경향이 많다.척도5가 T-점수 60 이상으로 상승할수록 나타나는 두 가지 행동상의 특징이 있는데, 첫 번째는 미술, 음악, 문학과 같은 심미론적 흥미이며, 이것은 교육수준과 더불어 증가한다. (대학 졸업자의 규준이 60에서 70 사이임) 두 번째 행동특징은 수동성으로서 여기서 수동적이라함은 공공연하고 직접적인 방법보다는 은밀하고 간접적인 방법으로 사물을 처리하기 좋아하는 성향을 의미한다.척도 5가 낮은 점수를 보이는 남자는 거의 강박적으로 남성적 특성을 과시 하려는 사람으로 공격적이고 모험적이며 거칠고 부주의하며 남성적 흥미를 강조한다. 척도 5가 낮은 여자들은 수동적이고 복종적이며 전통적인 여성역할과 강하게 동일시한다. 극단적으로 낮은 점수 (T < 35)를 보이는 여자들은 매우 위축되고 자기 연민에 빠져 있으며 자기 비하 적이며 의존적이다.․ 40 이하 - 전통적인 남성역할과 매우 강하게 동일시하는 남자. 남성특성에 대하여 강박적이며 경직되어 있음. 공격적 충동을 적절히 해소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41 ~ 59 - 전통적인 남성적 흥미와 활동에 관심이 많음.공학이나 농학과 같은 비교적 남성취향적 분야에서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 60 ~ 69 - 예술, 음악, 문학과 같은 심미적인 취미를 가지고 있음.다양하고 통찰력 있고 참을성 있음.비교적 수동적이며 은밀하고 간접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함.․ 70 이상 - 전통적인 남성역할과 동일시하지 않음.수동적이고, 내면 지향적이며, 심미적인 취미를 가지고 있음.관계 형성에 대하여 너무 관심이 많음.․ 34 이하 - 정형적인 여성역할과 과도하게 동일시하며 수동적이고, 수줍어하며 양보심이 많고 스스로 무력 하다고 생각함.․ 35 ~ 44 - 전통적인 여성적 취미나 활동에 관심이 많은 전형적인 여자.가정 밖에서의 활동에는 흥미가 많으나 다소 수동적임.․ 45 ~ 59 - 운동 및 기타 옥외활동을 좋아함.남성적 취미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나 여성적으로 보이는 것에는 흥미가 없음.․ 60 이상 - 전통적인 여성역할에 합당한 행동이나 외모에는 분명히 흥미가 없음. 그것을 강요하면 불안해 지거나 공격적이 됨. 공격적인 충동을 적절히 해소하는데 어려움이 많음.⑥ 척도 5 : 편집증(호기심)척도 6을 구성하는 40개 문항들은 주로 대인관계에서의 민감성, 의심성, 집착증, 피해의식, 자기 정당성을 나타내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정상적인 적응을 하고 있을 때 이 척도는 호기심이 많고 탐구적인 태도를 나타내며, 이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진취적이고 흥미 범위도 넓으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와 같은 장점들이 의심성, 과민성 및 왜곡된 지각등으로 변모한다.척도 6이 T-점수 40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그럴 때에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는 그 사람이 사실상 척도 6이 높은 사람으로서 과민하고 의심성이 높은 경우이다. 척도 6은 비교적 명백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는 이문항들에서 채점되는 방향을 피하고 보통 남들이 하리라고 생각되는 방향으로 응답했는데 그것이 지나쳐서 비정상적으로 낮게 나온 것이다.두 번째는 그 사람이 고지식하게 응답한 경우인데, 흔히 이와 같은 사람은 남에게 잘 속는 사람으로 남을 너무 쉽게 믿는다. 그는 남들이 실제로 어떤지를 지각할 만큼 충분히 예민하지 못한 상태인 것이다.이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의심이 많고 적대적이며 경계심이 많고 지나치게 민감하며 논쟁을 좋아하고 남의 탓을 잘한다.낮은 점수를 보이는 사람들은 대체로 고집이 세고 회피적이며 지나치게 조심스런 사람들이다.이들은 자기중심적이고 자기에게 직접적으로 관계된 일이 아니면 관심을 갖지 않고 문제 해결의 유연성이 부족하다.․ 44 이하 - 흥미범위가 고집이 세며 회피적이고 경계심이 많고 불만이 많음.정신증적 증상을 보이지는 않으니 편집형적 양상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의 생각에 예민하고 동기를 의식하며 분노가 많음.․ 45 ~ 59 - 과민하고 의심성이 많으나 명백 문항을 피할 줄 아는 환자.정신증적 증상을 보이지는 않으나 편집형적 양상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의 생각에 예민하고동기를 의식하며 분노가 많음.․ 60 ~ 69 - 대인관계에서 민감하며 타인의 의견에 과도하게 반응하며 경계심과 의심이 많고 잘못된 일은 타인의 탓으로 돌림. 편집증적 성향을 띤 행동이나 특성을 다양하게 나타냄. 비판에 과도하게 민감하고 타인의 행동을 자신과 연관시킴.․ 70 이상 - 의심 많고 적대적이며 과도하게 민감한 환자.사고장애가 있을 수 있고, 피해망상이나 과대망상을 보이며 정신분열증이나 편집형 장애로 진단 될 수 있다.⑦ 척도 7 : 강박증(조직화)척도 7의 48개 문항들은 주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만성적 불안을 측정한다. 때로는 스트레스 상황에 의하여 이 척도가 상승할 때도 이 척도가 원칙적으로는 걱정을 많이 하는 성격형에서 나타나는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척도 7은 병적인 공포, 불안, 근심걱정 및 강박관념, 강박행동 이외에도 자기비판, 자신감의 저하, 주의집중 곤란, 우유부단 및 죄책감을 측정한다.척도 7이 높은 사람들은 불안하고 긴장되며 매우 사소한 일에도 걱정이 많으며 내성적이고 강박적 사고를 많이 한다. 이와 같은 생각들은 불안정감이나 열등감에 집중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심과 이와 관련되는 우울한 양상을 보인다. 특정한 공포증이나 강박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특징적인 것이라고 할 정도는 아니다.실제로 극히 강박적인 환자들에게서 척도7이 전혀 상승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그들의 강박성이 효과적이어서 불안정감이나 자신의 가치에 대한 걱정 같은 것을 떨쳐 버릴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척도 7은 성격적인 불안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그 불안의 양상은 척도 7과 함께 상승하는 다른 척도가 어떤 것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척도 2가 함께 상승할 경우에는 우울감과 우유부단한 행동이 걱정이나 불안과 함께 나타나며, 척도 8이 함께 상승할 경우에는 혼란과 사고장애가 불안과 함께 나타난다.일반적으로 이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단정하고 꼼꼼하며 신뢰성은 있으나 문제 해결에 있어 창의력이 부족하다. 남자의 경우에는 책임감 있고 양상적이며 이상주의적이나 여자의 경우는 걱정이 많고 감정적이며 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낮은 사람은 대체로 잘 적응하고 있으며 공포나 불안감이 있지 않고 자신만만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꾸준하고 성공지향적 이다.․ 40 이하 - 불안이나 공포를 느끼지 않으며 안정되어 있고, 자신에 만족하고 있는 사람.성공 지향적이고 유능하며 걱정이 없음.․ 41 ~ 59 - 비정상적인 불안이나 걱정 없이 자기 업무나 책임을 잘 수행하는 사람.․ 60 ~ 69 - 자신의 책임을 정확하게 수행하며, 그렇지 못할 때에는 걱정이 많아짐.다소 강박적인 성격의 소유자이며 쉬이 걱정하고 불안해지거나 우울해질 수 있음.․ 70 이상 - 자타가 인정하는 심한 불안상태를 보이며, 걱정이 많고, 긴장되고, 우유부단함. 초조하고 주의집 중이 안 됨. 극단적으로 높을 때에는 (T > 80) 강박적인 사고와 초조가 너무 심하여 불안을통제할 수 없음. 매우 심한 죄책감과 더불어 우울증이 있을 수 있음.심리치료를 시행하기 전에 약물요법이 필요함⑧ 척도 8 : 정신분열증(상상력)척도 8은 정신적 혼란을 측정하는 척도로써 가장 많은 78개 문항을 포함한다.이 척도는 기괴한 사고방식이나 행동 양식을 지닌 사람을 판별하는 것으로 이 척도가 높을수록 그 사람은 더욱 심하게 혼란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척도 8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그 점수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이 척도만을 단독으로 해석하기에는 가장 어려운 단일 척도라 할 수 있다.척도 8이 높은 사람들은 냉담하고 무감동적이며 사고와 의사소통에 곤란이 있고 정신병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들은 실제적인 대인관계보다 백일몽이나 환상을 즐기며 열등감 및 심한 자기 불만에 빠져있다. 이 척도가 낮은 사람들은 순응적이고 복종적이며 권위에 대하여 지나치게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다. 그들은 실용적인 현실주의자로서 어떤 사변적이나 철학적 문제에 대해서는 별로 흥미가 없고 비창조적이고 경직되고 짜여진 생활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40 이하 – 관습적, 현실적이며, 이론적이거나 철학적인 문제에는 흥미가 없는 환자.상상력이 부족하고, 비창조적이며, 세상을 자기와 다르게 지각하는 사람을 이해할 수 없음.․ 41 ~ 59 – 정신병적 과정에 적응된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정상인.․ 60 ~ 69 – 보통사람들과는 생각하는 바가 좀 다른 사람들. 창조적, 전위적, 혹은 분열성과 유사한 과정의 환자.환상이나 공상을 통하여 현실을 회피하려 함.․ 70 ~ 89 – 환경으로부터의 소외감과 유리감을 느끼는 환자. 대개는 정신분열증이나, 때로는 환경적 혹은 심리적 스트레스에 기인할 수도 있음.․ 90 이상 – 급성적이며 심한 환경적 스트레스에 처래 있는 불안이 심한 환자.자아정체 위기를 맞고 있는 사람.⑨ 척도 9 : 경조증(열의)척도 9의 46개 문항들은 정신적 에너지를 측정하는 척도여서 이 척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그 사람은 정력적이고 그 정력으로 무엇인가를 하지 않고는 못 견디는 사람이다. 인지영역에서는 사고의 다양성, 비약 및 과장성을 보이고, 행동영역에서는 과잉 활동적이고 안절부절하며 정서영역에서는 불안정성, 흥분성, 민감성 및 기분의 고양을 나타낸다.T-점수 70까지는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도 활동적이고 정력적이며 활기 넘치는 상태를 의미하며 만일 이 같은 욕구가 만족되지 않으면 다소 긴장도가 높아지고 생활일반에서 가벼운 불만감을 느낀다. 이 척도가 70이 상으로 높아지면 정신적 에너지의 증대가 문제를 야기할 정도여서 과도하게 활동적이고 활발하며, 행동에 대한 억제가 부족하고 화를 잘 내며, 너무 많은 일에 관여하나 완성하는 일은 별로 없다.척도 9도 이것만을 따로 해석하기에는 곤란하며, 특히 이 척도는 함께 상승한 다른 임상척도들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문제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척도9와 함께 척도4가 상승하였다면 척도4의 투쟁성이 강조되어 투쟁에 대하여 머리 속에서만 은밀히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누구와 실제로 싸우는 외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정상인의 연구에서 척도9에 대한 남자의 평균 점수는 55이다. 남자가 여자보다 이 척도에서 의미 있게 높은데, 그 원인은 과격행동에 대한 성 역할적 시인 때문이라고 본다.척도가 높은 사람들의 3가지 특징은 과잉 활동성, 정서적 흥분성 및 사고의 비약이다. 이 환자들은 충동적이고, 경쟁적이며 말이 많고, 자기 도취적이며 사회적 관계에서 피상적이다. 그들은 행동통제에 문제가 있고 대체로 기분이 좋으나 때로 화를 잘 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 척도가 극단적으로 높으면 (T > 90) 실제로 조울병의 증세를 보여 사고의 비약, 기분의 불안정, 과대망상 충동성 및 과잉활동성 등을 나타낸다. 중등도 정도로 높은 사람들은 완전히 정신병적 상태를 보이지는 않더라도 활동 과다와 비현실적 자기평가의 경향을 보여 정력적이고 말이 많고 생각보다는 행동을 좋아한다. 그들은 다양한 흥미를 가지고 있고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일들을 추진하나 자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계획한 일들을 끝맺지 못한다. 그들은 쉽게 권태를 느끼고 안절부절 해지며 욕구좌절에 대한 내성이 약하다.이 척도가 높은 정상인들은 대체로 좋게 기술되고 있어서 , 우호적이고 사교적이며 정력적이고 말이 많고 열성적이다 근본적으로 그들은 명랑하고 외향적인 기질을 가지고 있다 . T-점수가 75이상으로 올라가면 활동과다, 충동성 및 신경질적인 경향이 나타나고, 때로는 갈등을 행동으로 폭발시키는 행위까지도 있을 수 있다.이 사람들이 잘 쓰는 방어기제는 부인과 감정발산이며, 특히 척도4가 함께 상승되어 있으면, 감정발산이 더욱 현저하다.척도 9가 낮은 사람들도 대체로 좋게 기술되고 있는 바, 그들은 신뢰성 있고 성숙되어 있으며 양심적이고 믿음직스럽다. 문제 해결 방식이 실제적이고 합리적이나, 자신감이 부족하고 남들이 보기에 겸손하고 진지하며 조용하다. 감정 억제가 심한 경향이 있고 사회적 활동에 별로 참여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극단적으로 낮은 점수(T < 40)를 보이는 사람들은 무감동적이고 기운이 없으며 의욕이 없고 비활동적이며 때로는 만성적인 피로감과 공허함을 호소한다.이와 같은 사람들은 척도2에서 낮은 점수를 보이더라도 우울한 것이 보통이며, 다른 임상척도들이 정상범위에 속하고 있어도 우울증의 가능성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척도9의 낮은 점수가 척도2의 높은 점수보다 심각한 우울증을 나타낼 가능성이 더 많다고 보고 있으며, 특히 환자가 점차로 활기를 회복하고 있을 경우에 오히려 자살의 위험성이 더 크다고 경고한다.․ 40 이하 - 활력 및 활동수준이 낮은 환자. 그 원인은 우울증일 수도 있고, 혹은 피로나 일시적인 병(감기 등)에 기인 할 수도 있음.극단적으로 낮을 경우(T < 35)에는 척도 2의 상승에 관계없이 우울증을 의미함.․ 41 ~ 59 - 정상정인 활동수준을 보이는 환자.정상적인 대학생 및 청소년(55 ~ 59 T)․ 60 ~ 69 - 활동적이고, 외향적이며, 정력적인 환자, 활동성에 대한 외적 제약을 받으면 안절부절못하고 겉으로 불만감을 표현함.대학생, 특히 대학원생에서는 자기계획을 수행할 수 있는 정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현상임.․ 70 이상 - 과잉활동, 정서적 불안정성, 사고비약을 보이는 환자.대체적으로 기분이 앙양되어 있으나, 폭발적인 분노표현이 있음.충동적이며, 만족의 지연이 곤란함. 자기도취적, 과대 망상적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조광적임.계획은 많으나 완성하는 일은 적으며, 환상적임. 바쁘게 움직이지 못하면 우울해짐.⑩ 척도 O : 내향성(자율성)이 척도는 그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가 (척도 0 이 높을때), 아니면 다른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는가 ( 척도 0 이 낮을때)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내향성이든 외향성이든 상황에 따라서 좋은점과 좋지 않은 점이 있는 것이며 어느 쪽이 좋다고 일반적으로 말할 수는 없는 일이다. 척도 0의 70개 문항들은 사회적 장면에서의 불편함, 고립, 일반적 부적응 및 자기비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척도 0이 높은 사람들은 정신과 환자나 정상인이나 마찬가지로 사회적으로 내향적이고 수줍어하고 현실 회피적이다. 그들은 혼자 있거나 몇몇 가까운 친구들하고만 있을 때 편하게 느끼고 여러 가지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싫어한다.극단적으로 높으면 (T >75) 다른 사람과의 관계형성이 부적절하고 냉담하며 자기비하적이고 타인과의 교류에서 불안해한다. 자신감이 부족하고 타인들이 그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매우 민감하며 자기 억제가 너무 심하여 감정표현을 잘 하지 못하고 권위적 대상에 대하여 지나치게 수용적이다.죄책감이 많고 때로 우울해질 때가 있으며 걱정이 많고 화를 잘 내고 불안해 한다. 척도 0의 상승은 대인관계에서의 분열성 회피증을 나타낼 수도 있고, 신경증적 회피성일 수도 있으며, 개인적 고민과 관계되는 자기비하일 수도 있고 혹은 단순히 내향적인 성격탓일수도 있으므로 척도 0의 점수는 정신병리와는 무관한 경우가 많다.척도 0이 낮은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외향적이고 사교적이다. 그들은 사람을 좋아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잘 어울리며 여러 사회적 활동에 참여한다. 사람들 앞에 나서기 좋아하고 과시적이며 적극적이고 정력적이며 권력이나 지위에 관심이 많고 경쟁적인 상황을 찾아 나선다. 한편 이 척도가 낮은 사람들은 충동억제에 문제가 있어서 만족을 지연할 줄 모르며 정서적인 총제가 부족하다. 그들은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행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다소 미숙하고 방종하기도 하다. 극단적으로 낮은 점수 (T >35) 를 보이는 사람들은 사교기술이 발달되어 있고 사회적 접촉이 많기는 하지만 변덕스럽고 타인과의 관계가 피상적이며 진실한 친근성이 결여되어 있다.․ 40 이하 – 외향적이며, 사람들과 함께 잇는 것을 좋아하고, 그것이 편한 환자.극단적으로 낮을 경우 (T <35) 대인관계가 피상적이고 참된 깊이가 없음.청소년 및 대학생들은 이 범위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정상적임.혼자 있는 것이 어려움.․ 41 ~ 59 - 외향적 행동이나 태도와 내향적 성향간에 균형을 이루고 있는 환자.․ 60 ~ 69 - 혼자 있거나 소수의 가까운 친구들하고만 있는 것을 더 좋아하는 환자.대인관계 형성의 능력은 있으나, 일반적으로 안하는 것을 더 좋아함.자율성, 독립성 및 자기실현이 가능한 정상인.․ 70 이상 - 내향적이고, 수줍어하며,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정해지는 환자. 과민하며, 때로는 의심성이 있음.도움을 줄 수 있는 친근한 사람들의 회피하고, 사회적 접촉을 기피함으로써, 그들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음.감정 발산의 가능성은 적은 반면에, 명상이 많음.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MMPI①(성격 검사, 성격 평가, 심리 …
– K척도는 5가지 임상 척도의 진단상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교정 목적의 척도로도 사용된다. 특히 척도 7 Pt(강박증), 척도 8 Sc(정신분열증)에는 K척도의 원점수 전부를 더하고, 척도 1Hs(건강염려증), 척도 4 Pd(반사회성), 척도 9 Ma(경조증)에는 K척도의 점수 일부를 더하여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 측정 결과가 100T 이상인 경우, 망상, 환청, 뇌의 기질적 손상 등 심각한 정신과적 장애를 가진 것으로 의심할 수 있다. 반면, 피검자의 문항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이나 자신의 상태에 대한 의도적인 왜곡을 짐작할 수도 있다. 비임상 장면에서는 T점수가 80 이상인 경우 검사자료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해서웨이는 미국 심리학자로서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로 알려진 심리 평가를 존 맥킨리(John Charnley McKinley) 의학박사와 공동 저술한 인물이다. 그는 미네소타 대학 심리학과의 교수로 오랫동안 재직했다.
16 thg 5, 2022 — 오늘부터는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MMPI (1) MMPI의 의의 : ① MMPI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가장 …
- Source: narrare3.tistory.com
- Views: 109035
- Publish date: 30 minute ago
- Downloads: 17936
- Likes: 3984
- Dislikes: 8
- Title Website: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MMPI①(성격 검사, 성격 평가, 심리 …
- Description Website: 16 thg 5, 2022 — 오늘부터는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MMPI (1) MMPI의 의의 : ① MMPI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가장 …
아이톡톡홈티 –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Source: Youtube
- Views: 83541
- Date: 5 hours ago
- Download: 109218
- Likes: 9153
- Dislikes: 4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MMPI①(성격 검사, 성격 평가, 심리 검사, 타당도 척도, 무응답 척도, ?척도, 비일관적, 비전형적 반응, 방어성, L척도, F척도, K척도, S척도)
◆ 오늘부터는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MMPI
(1) MMPI의 의의 :
① MMPI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가장 많이 연구되어 있는 객관적 성격검사이다.
② 1943년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해서웨이와 매킨리(Hathaway & McKinley)가 처음 발표하였으며, 진단적 도구로써의 유용성과 다양한 장면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스타크 해서웨이(Starke R. Hathaway, 1903~1984) :
해서웨이는 미국 심리학자로서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로 알려진 심리 평가를 존 맥킨리(John Charnley McKinley) 의학박사와 공동 저술한 인물이다. 그는 미네소타 대학 심리학과의 교수로 오랫동안 재직했다.
* 출처 : [위키백과], 스타크 해서웨이
③ 임상 장면에서의 규준 집단을 사용하여 개발된 것으로써, 비정상적인 행동과 증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임상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 주목적이다.
④ MMPI는 본래 일반적 성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으나, 진단적. 병리적 분류의 개념이 정상인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에도 어느 정도 유효하다는 전제 하에, 일반적 성격 특성을 유추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2) MMPI의 특징 :
① 20세기 초반 대다수의 심리 검사들이 이론적 제작 방법에 의해 고안된 반면, MMPI는 실제 환자들의 반응을 토대로 경험적 제작 방법에 의해 만들어졌다 .
② 즉, 검사 제작 초기에 검사 개발을 목표로 이론적인 접근을 하여 문항을 제시하기는 하지만, 최종 단계에서 문항을 질문에 포함시킬 것인지는 목표 집단과 통제 집단의 반응 차이 여부에 따라 결정이 이루어진다.
③ 대표적인 자기보고식 검사로, 검사 실시. 채점. 해석이 용이하며,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④ 투사적 검사에서와 달리 비교적 덜 숙련된 임상가라도 간편하고 정확한 해석을 할 수 있다.
⑤ MMPI는 550개의 문항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중 16개의 문항이 중복되어, 총 56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복된 16개의 문항은 피검자의 반응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된다.
⑥ 피검자는 각 문항에 대해 ‘그렇다’ 혹은 ‘아니다’의 두 가지 답변 중 하나를 택하여 반응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반응은 주요 비정상 행동을 측정하는 10가지 임상 척도와 피검자의 검사 태도를 측정하는 4가지의 타당도 척도에 따라 채점된다.
⑦ 원점수를 T점수로 환산하여 평가하며, 이때 T점수는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Z점수를 변환한 점수에 해당한다.
⑧ 피검자의 성격적 특징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피검자가 검사의 문항에 솔직하게 반응하는지, 의도적으로 좋게 또는 나쁘게 보이려고 하는지 파악한다.
⑨ 보다 올바르고 풍부한 해석을 위해서는 임상가의 수련과 경험이 필요하며, 성격 및 정신병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⑩ MMPI의 문항 수가 너무 많고 방대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단축형 MMPI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참고로, 현재 임상 장면에서는 38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MMPI의 발달 :
① 다면적 인성 검사 II(MMPI-2) :
㉮ 1943년 MMPI가 처음 개발된 이후 1960년대부터 사회 문화적인 변화에 따른 문항들의 새로운 규준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남자 1,138명, 여자 1,462명을 규준 집단으로 하였다.
㉰ MMPI-2는 원판 MMPI의 개정판으로, 기존 원판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최신의 규준을 확보하여 새로운 문항과 척도들을 추가한 것이다.
㉱ 1989년 MMPI-2가 처음 출판되었으며, 이후 축적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2001년 MMPI-2 Manual Revised Edition이 출판되었다.
㉲ 총 567개의 문항과 함께 재구성 임상 척도, 내용 척도, 보충 척도, 성격 병리 5요인 척도(Psy-5 척도) 등이 포함되었으며, 원판 MMPI의 기본 타당성 척도 및 임상 척도의 틀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반응형
㉳ 구시대적인 표현, 성차별적인 문구 등이 제외되는 대신, 새로운 오락 문화, 성적 표현, 자살 및 약물 문제 등이 포함되었다.
㉴ 검사대상자는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이고, 동형 T점수를 사용하여 지표 간 백분위 비교가 가능하게 하여 지속적으로 지적되었던 규준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 임상 척도 간의 높은 상관성을 배제하고, 각각의 임상 척도가 다른 척도와 구분되는 핵심적 특징을 측정한다는 가정 하에 재구성 임상 척도를 개발하였다.
㉶ 내용 척도는 주로 명백 문항으로 되어 있어서 피검자의 수검태도를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② 다면적 인성 검사 II 재구성판(MMPI-2 Restructured Form, MMPI-2-RF) :
㉮ MMPI-2 RF는 MMPI-2의 단축형으로 338개의 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 남자 1,138명, 여자 1,138명을 규준 집단으로 하였다.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T점수를 제공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전체 규준에 따른 T점수를 제공한다.
㉰ MMPI-2 문항의 임상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총 50개의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타당도 척도 8개, 상위 차원 척도 3개, 재구성 임상 척도 9개, 특정 문제 척도 23개, 흥미 척도 2개, 성격 병리 요인 척도 5개가 포함된다.
㉱ MMPI-2와 다르게 재구성 임상 척도가 임상 척도를 대체하고 있다.
③ 청소년용 다면적 인성 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adolescent, MMPI-A) :
㉮ MMPI는 본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일부에서 청소년에게 부적절한 문항이 포함되거나 청소년기의 특징을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 MMPI-A는 청소년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가족이나 학교, 또래 집단에서의 문제 등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MMPI의 타당도 척도와 임상 척도의 큰 틀을 유지한 채, 청소년들에게 적절한 문항을 제시하고 그들의 특징을 담아내고 있다.
㉱ 일부 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정체감 혼란으로 인해 자신의 증상을 극단적으로 과장함으로써, 비전형 척도(F척도)의 T점수가 성인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문제를 고려하였다.
㉲ 총 478개의 문항과 함께 타당도 척도, 임상 척도, 내용 척도, 보충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는 청소년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척도들도 포함되어 있다. 다만, 재구성 임상 척도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4) MMPI의 구성 :
㉮ 타당도 척도 :
✔척도(무응답 척도, ?척도) :
– 척도란 응답하지 않은 문항 또는 ‘예’, ‘아니오’ 모두에 응답한 문항들의 총집합이다.
– 문항의 누락은 보통 검사 지시에 따라 좌우된다. 즉, 모든 문항에 응답하도록 요청하면 별로 빠뜨리는 문항없이 응답하며, ‘예’, ‘아니오’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답하지 않아도 된다는 지시를 주면 무응답 문항이 많아지게 된다.
– 제외되는 문항의 효과는 잠재적으로 전체 프로파일 및 해당 문항이 속한 척도의 높이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 보통 30개 이상의 문항을 누락하거나 양쪽 모두에 응답하는 경우, 프로파일은 무효로 간주될 수 있다. 다만, 30개 이상의 문항을 누락하더라도 기본적인 타당도 척도와 임상 척도가 위치한 검사의 전반부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비교적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일관적 반응 :
* 무선 반응 비일관성(VRIN 척도) :
– 이는 피검자의 무선 반응을 탐지하는 척도로, 문항의 내용을 제대로 읽지도 않고 응답했거나 무선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에 비일관성을 보이는 사람들을 확인할 수 있다.
* 고정 반응 비일관성(TRIN 척도) :
– 피검자가 척도 문항의 내용과 상관없이 무분별하게 문항 모두에 대해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반응하는 경향을 탐지하는 척도로 내용이 서로 상반되는 문항 쌍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 20개의 문항 쌍으로 되어 있으며, T점수가 80 이상일 경우 검사자료가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해석하지 않는다.
300×250
✔비전형 반응 :
* 비전형 척도(F척도) :
– F척도는 비전형적인 방식으로 응답하는 사람들을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생각이나 경험이 일반 대중의 그것과 다른 정도를 측정한다.
– 피검자의 부주의나 일탈된 행동, 질문 항목에 대한 이해 부족, 채점 상의 심각한 오류 등을 식별할 수 있다.
– 문항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비정상적인 방향으로의 응답이 10%를 초과하지 않은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예 : “내 혼이 가끔 내 몸에서 떠난다”).
– 양쪽으로 치우친 문항들을 통해 피검자가 ‘예’ 또는 ‘아니오’에 일률적으로 응답하는 일탈된 반응 태도를 확인하는데 유효하다.
– F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피검자는 대부분의 정상적인 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반응하지 않는 것을, 그가 가지고 있는 문제 영역이 많고 문제의 정도가 심각한 것을 나타낸다.
– 측정 결과가 100T 이상인 경우, 망상, 환청, 뇌의 기질적 손상 등 심각한 정신과적 장애를 가진 것으로 의심할 수 있다. 반면, 피검자의 문항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이나 자신의 상태에 대한 의도적인 왜곡을 짐작할 수도 있다. 비임상 장면에서는 T점수가 80 이상인 경우 검사자료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 무선 반응, 고정 반응, 정신 병리, 부정 가장에 민감한 척도이기 때문에 F척도가 상승할 경우 VRIN, TRIN 척도를 함께 살펴본다.
* 비전형-후반부 척도(F(B)척도) :
– 검사 후반부의 비전형 반응을 탐색하는 척도로, 검사의 과정에서 피검자의 태도 변화를 알 수 있다. T점수는 피검자의 검사태도가 변화되었는지를 파악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F(B)척도 점수가 높으면 검사 후반부에 위치한 내용 척도들을 해석하는데 주의하여야 한다.
– 임상 장면에서는 T점수가 110 이상일 때, 비임상 장면에서는 T점수가 90 이상일 경우 검사 자료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 비전형-정신 병리 척도(F(P)척도) :
– F척도에 비해 심각한 정신병리에 덜 민감하지만, F척도 상승이 정신병적인 문제에서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의도적으로 부정적인 모습을 보이려고 하는 것인지 판단하는데 유용한 척도이다.
– T점수가 100 이상일 경우 검사의 자료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T점수가 70~99인 경우 도움을 청하려는 의도로써 증상을 과장되게 보고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해석한다.
* 증상 타당도 척도(FBS 척도) :
– 개인 상해 소송이나 신체적 장애 신청 장면에서 F척도가 타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목적으로 개발된 척도이다.
– 개인 상해 소송 시 꾀병으로 판단된 사람과, 꾀병이 아닌 사람의 반응을 비교하여 선정된 43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 T점수가 100 이상일 경우, 과대 보고가 시사되기 때문에 검사의 자료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T점수가 70~99일 경우, 신체적. 인지적 증상들에 대한 신뢰할 수 없는 보고로 인해 과대 보고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방어성 :
* 부인 척도(L척도) :
– L척도는 사회적으로 찬양할만하나 실제로는 극도로 양심적인 사람에게서 발견되는 태도나 행동 등을 측정한다.
– 본래 피검자가 자신을 좋게 보이려고 하는, 다소 고의적이고 부정직하며 세련되지 못한 시도를 측정하려고 하는 척도이다.
– 이른바 ‘심리적 세련(Psychological Sophistication)’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세련됨이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 L척도의 점수는 피검자의 지능, 교육 수준, 사회 경제적 위치 등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지능 및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L척도의 점수는 낮게 나온다.
– 문항은 이성적으로는 가능하나 사실상 그대로 실행하기 어려운 것들이다(예 : “가끔 욕설을 퍼붓고 싶은 때가 있다”).
– MMPI의 모든 척도가 경험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문항으로 구성된 반면, L척도만은 논리적 근거에 의해 선발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측정 결과가 80T 이상으로 높은 경우, 프로파일이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 교정 척도(K척도) :
– K척도는 분명한 정신적인 장애를 지니면서도 정상적인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람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 즉, 심리적인 약점에 대한 방어적 태도를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검자가 자신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왜곡하여 좋은 인상을 주려고 하는지, 혹은 검사에 대한 저항의 표시로 나쁜 인상을 주려고 하는지 파악하는데 유효하다.
– L척도의 측정 내용과 중복되기도 하지만, L척도보다는 은밀하게, 그리고 보다 세련된 사람들에게서 측정한다는 점이 다르다.
– K척도는 5가지 임상 척도의 진단상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교정 목적의 척도로도 사용된다. 특히 척도 7 Pt(강박증), 척도 8 Sc(정신분열증)에는 K척도의 원점수 전부를 더하고, 척도 1Hs(건강염려증), 척도 4 Pd(반사회성), 척도 9 Ma(경조증)에는 K척도의 점수 일부를 더하여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 임상 장면에서 T점수가 65 이상인 경우와 T점수가 40 미만인 경우 검사결과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 비임상 장면에서 T점수가 75 이상인 경우와 T점수가 40 미만인 경우 검사결과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 과장된 자기제시 척도(S척도) :
– 자신을 매우 정직하고, 책임감 있고, 심리적 문제가 없고, 도덕적 결함이 없으며 남들과 잘 어울리는 원만한 사람인 것처럼 보이려는 경향성을 측정하려는 척도이다.
– K척도와 함께 방어성을 측정하려는 척도로, 두 척도 간 상관이 상당히 높은 특징을 보인다.
– 임상 장면에서 T점수가 70 이상인 경우, 비임상 장면에서 T점수 75 이상인 경우에 프로파일이 타당하지 않을 수 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MMP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교 심리학], 학교 심리학에서의 평가, 핵심 이론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다면적 인성 검사
Bing에서 다면적 인성 검사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다면적 인성 검사.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다면적 인성 검사 mmpi 무료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무료, 다면적 인성검사 해석, 다면적 인성검사 2 해석, 다면적 인성검사 우울증, mmpi-2 온라인 검사, MMPI 온라인 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답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