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 1119 경계선 지능 장애 업데이트 12 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경계선 지능 장애“?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382+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경계선 지능 장애 경계선 지능장애 썰, 경계선 지능장애 테스트, 경계선 지능장애 여자친구, 경계선지능장애 여자, 경계성 지능장애 직업, 경계선 지능장애 디시, 경계선 지능장애 친구, 경계선 지능장애 갤러리

경계선 지능 – 나무위키

6 ngày trước — 경계선 지능은 지적장애와 달리 티가 나지 않고, 발달 지연도 심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발견되지 못한다. 발견되더라도 중학생 이상이 되어서 발견되는 …

  • Source: namu.wiki
  • Views: 53867
  • Publish date: 8 minute ago
  • Downloads: 74924
  • Likes: 1173
  • Dislikes: 1
  • Title Website: 경계선 지능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6 ngày trước — 경계선 지능은 지적장애와 달리 티가 나지 않고, 발달 지연도 심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발견되지 못한다. 발견되더라도 중학생 이상이 되어서 발견되는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21330
  • Date: 23 minute ago
  • Download: 48315
  • Likes: 3335
  • Dislikes: 9

경계선 지적 지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TP Alloway (May 2010). “Working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profiles of individual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54 (5): 448–56. doi:10.1111/j.1365-2788.2010.01281.x. PMID 20537050. 가 나 The Best Test Preparation for the Advanced Placement Examination in Psychology, Research & Education Association. (2003), p. 99

평균(BAIQ) 이하 IQ(below average IQ)라고도 한다. 이 그룹은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어 숙련성 작업, 전문 기술 습득에 다소 어려움을 보인다. 외관상 정상인이라 진료나 상담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사례도 존재한다. 다른 별칭으로는 경계선 정신 지체(Borderline mental retardation), 경계선 정신 결핍(borderline mental deficiency), 경계선 지능(borderline intelligence), 결핍 지능(deficientia intelligentiæ) 등으로도 부른다.

유전병과 결합된 증후군적인 경계선 지능의 경우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수학하기 힘들고, 주위의 배려가 없다면 고등학교를 마치지 못하기도 한다. 성인이 되면 학업 이수나 훈련 이수를 실패하고, 비숙련, 비전문성 단순노동 등의 다소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갖게 된다. 사회활동과 대화, 의사소통은 가능하나 정상지능에 비해 사물, 상황을 인식, 판단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범죄의 피해자가 될 빈도는 일반인보다는 높다. 경계선 지적 지능은 인지력 장애이지만, 환경, 여건 등에 따라 학교에서 특수 교육을 받지 못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경계선 지적 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orderline mental retardation, (in the ICD-8))은 일종의 인지 장애의 하나로, 비장애인과 지적 장애인 …

  • Source: ko.wikipedia.org
  • Views: 15363
  • Publish date: 12 hours ago
  • Downloads: 47585
  • Likes: 9250
  • Dislikes: 1
  • Title Website: 경계선 지적 지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경계선 지적 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orderline mental retardation, (in the ICD-8))은 일종의 인지 장애의 하나로, 비장애인과 지적 장애인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ull] 삶의 경계에 내몰리다, 경계선 지능 | #시사직격 115회 KBS 220415방송

  • Source: Youtube
  • Views: 22016
  • Date: 1 minute ago
  • Download: 75460
  • Likes: 863
  • Dislikes: 9

경계선 지적 지능

경계선 지적 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orderline mental retardation, (in the ICD-8))은 일종의 인지 장애의 하나로, 비장애인과 지적 장애인 지능의 중간, 정확히는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지능이다. 암기 능력, 분별력, 인지력 등이 일반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그러나 외관상 정상인이고 의사소통은 가능하여, 이들의 행동이 고의적인 것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평균(BAIQ) 이하 IQ(below average IQ)라고도 한다. 이 그룹은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어 숙련성 작업, 전문 기술 습득에 다소 어려움을 보인다. 외관상 정상인이라 진료나 상담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사례도 존재한다. 다른 별칭으로는 경계선 정신 지체(Borderline mental retardation), 경계선 정신 결핍(borderline mental deficiency), 경계선 지능(borderline intelligence), 결핍 지능(deficientia intelligentiæ) 등으로도 부른다.

개요 [ 편집 ]

경계선 지적 기능의 DSM-IV-TR 코드는 V62.89이고, DSM-5 진단 코드는 V62.89 및 R41.83이다.

평균(일반적으로 70~85 IQ)[1] 인식 능력이지만 지적 장애(70 미만)만큼 심각하지는 않은 정도인 지능의 한 분류이다. BAIQ(below average IQ)로 부르기도 한다. 기술적으로는 인지 능력 결손이지만 이 그룹은 특화된 서비스의 자격이 주어지는 지적 장애에 충분히 해당되지 않을 수 있다.[2]

일부 암기 능력과 판단능력, 분별력이 일반인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진다. 통학 기간 중 경계선 지적 지능이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학습지진아(學習遲進兒)들이며,[2] 그러나 외관상으로는 지적 장애가 아닌 정상인으로 보이며, 의사소통도 가능하기에, 주위로부터 고의적으로 하는 행동으로 오해를 사기도 한다.

유전병과 결합된 증후군적인 경계선 지능의 경우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수학하기 힘들고, 주위의 배려가 없다면 고등학교를 마치지 못하기도 한다. 성인이 되면 학업 이수나 훈련 이수를 실패하고, 비숙련, 비전문성 단순노동 등의 다소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갖게 된다. 사회활동과 대화, 의사소통은 가능하나 정상지능에 비해 사물, 상황을 인식, 판단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범죄의 피해자가 될 빈도는 일반인보다는 높다. 경계선 지적 지능은 인지력 장애이지만, 환경, 여건 등에 따라 학교에서 특수 교육을 받지 못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기타 [ 편집 ]

DSM-5에 따르면, 경계선 지적 기능과, 가벼운 경증의 지적 장애를 구별하려면 적응력 및 지적 기능과 그 변형에 대한 다소 세심한 평가가 필요하며, 특히 표준화된 검사(예, 주의력 검사)에 대한 환자의 순응에 영향을 줄 수있는 병적 정신과적 장애가 있는 경우, 또는 충동성 또는 정신 분열증이 있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여부도 세심하게 살펴봐야 된다고 한다.

관련 서적 [ 편집 ]

박찬선, 장세희,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들> (이담북스, 2018)

박찬선, <경계선 지능과 부모> (이담북스, 2020)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 TP Alloway (May 2010). “Working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profiles of individual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54 (5): 448–56. doi:10.1111/j.1365-2788.2010.01281.x. PMID 20537050. 가 나 The Best Test Preparation for the Advanced Placement Examination in Psychology, Research & Education Association. (2003), p. 99

참고 문헌 [ 편집 ]

경계성지적능력 (경계성지능장애) 란? – 네이버 블로그

오늘 포스팅에서는 경계성지적능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에 대한 정의, 증상, 검사결과, 치료 방향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하여 자신의 수준보다 못한 기능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한 치료를 통하여 좀 더 나은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대개 언어능력, 추론능력, 개념화 등에 대한 부족이 많아서 이에 대한 반복 훈련을 통하여 학습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7 thg 2, 2018 — 학습능력 부진이 가장 두드러집니다. 학업효율이 떨어지고 노력에 비하여 성적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이해속도가 느리고, 배운 것을 응용하지 못하여 …

  • Source: m.blog.naver.com
  • Views: 77122
  • Publish date: 57 minute ago
  • Downloads: 3292
  • Likes: 4111
  • Dislikes: 7
  • Title Website: 경계성지적능력 (경계성지능장애) 란? – 네이버 블로그
  • Description Website: 7 thg 2, 2018 — 학습능력 부진이 가장 두드러집니다. 학업효율이 떨어지고 노력에 비하여 성적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이해속도가 느리고, 배운 것을 응용하지 못하여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정신과 의사가 알려주는 경계선 지능의 오해와 진실

  • Source: Youtube
  • Views: 105149
  • Date: 14 hours ago
  • Download: 11473
  • Likes: 9761
  • Dislikes: 2

경계성지적능력 (경계성지능장애) 란? – 증상/ 지능검사 (IQ검사)/ 치료에 대하여

3) 검사소견 / 면담소견

검사를 시행하면 전반적인 지능지수도 떨어지지만,

동작성 기능에 비하여 언어성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흔합니다.

나이에 맞는 고급스런 어휘나 단어 선택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규칙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서 여러차례 반복해서 설명을 해주어야 하고,

일단 이해가 되면 비교적 수월하게 진행이 되곤 합니다.

추상적인 개념이나 비유적인 표현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다시 말하면 영화를 보는데 내용은 하나하나 기억을 하지만 전반적인 교훈이나 분위기를 뽑아내지는 못합니다.

4) 치료 방향

근본적으로 지적능력이 조금 부족한 것을 좋아지게 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가지고 있는 능력수준에서 좀 더 나은 기능을 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대개 언어능력, 추론능력, 개념화 등에 대한 부족이 많아서 이에 대한 반복 훈련을 통하여 학습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할수 있는 정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무리한 목표는아이를 힘들게 합니다.

그 수준에 맞는 적절한 직업활동, 활동을 권유하는게 바람직합니다.

조금 부족한 능력이지만, 최대한 발휘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일반인구에 비하여 정신의학적 문제가 많이 발생합니다.

우울증. 불안증, 조울증, 사회공포증 ADHD, 충동조절장애 등이 흔합니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하여 자신의 수준보다 못한 기능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한 치료를 통하여 좀 더 나은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경계성지적능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에 대한 정의, 증상, 검사결과, 치료 방향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실질적인 문제인 진단/군대 문제, 치료의 개괄적인 내용에 대한 포스팅 참고바랍니다.

[보호받지 못하는 약자]① 경계성 지능장애, 어디까지 아세요?

경계성 지적 지능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지능지수(IQ)는 일반적으로 70~85 사이다. 흔히 ‘경계성 지능장애’라고 불리는데, 이들은 평균보다 낮은 지적 능력 때문에 생활과 학습 등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 경제적·사회적으로 소외된다. 하지만 지적장애 수준이 아니라는 이유로 제도권 복지도 비껴간다. <뉴스포스트>는 경계선에서 위태롭게 외줄타기 하는 우리 사회 약자들에 대해 지면을 할애했다. -편집자 주-

연구 사례 역시 부족하다. 경계성 지능장애에 대한 국내 연구는 주로 아동·청소년 기 학습 부진 문제에 쏠려있다. 변관석 경남은혜학교 교사와 신진숙 창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가 지난 2017년 발표한 ‘경계선 지능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의 연구가 학령기, 그중에서도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에 집중됐다. 사회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성인 사례에 대한 연구는 극히 일부였다.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현행법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장기간에 걸쳐 일상·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들을 장애인으로 정의한다.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인권이 유린되거나 부당한 차별을 받지 않아야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처우는 매우 열악하다. 국가는 둘 사이의 비상식적인 간극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복지라는 이름의 법과 제도를 통해 장애인을 지원하고 있다.

3 thg 1, 2022 — 경계성 지적 지능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지능지수(IQ)는 일반적으로 70~85 사이다. 흔히 ‘경계성 지능장애’라고 불리는데, 이들은 평균보다 낮은 지적 …

  • Source: www.newspost.kr
  • Views: 98947
  • Publish date: 59 minute ago
  • Downloads: 109874
  • Likes: 6792
  • Dislikes: 7
  • Title Website: [보호받지 못하는 약자]① 경계성 지능장애, 어디까지 아세요?
  • Description Website: 3 thg 1, 2022 — 경계성 지적 지능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지능지수(IQ)는 일반적으로 70~85 사이다. 흔히 ‘경계성 지능장애’라고 불리는데, 이들은 평균보다 낮은 지적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IQ 70과 85 사이…’경계선 지능’을 아시나요? / SBS

  • Source: Youtube
  • Views: 9816
  • Date: 17 hours ago
  • Download: 15112
  • Likes: 8914
  • Dislikes: 3

[보호받지 못하는 약자]① 경계성 지능장애, 어디까지 아세요?

경계성 지적 지능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지능지수(IQ)는 일반적으로 70~85 사이다. 흔히 ‘경계성 지능장애’라고 불리는데, 이들은 평균보다 낮은 지적 능력 때문에 생활과 학습 등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 경제적·사회적으로 소외된다. 하지만 지적장애 수준이 아니라는 이유로 제도권 복지도 비껴간다. <뉴스포스트>는 경계선에서 위태롭게 외줄타기 하는 우리 사회 약자들에 대해 지면을 할애했다. -편집자 주-

(사진=픽사베이)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현행법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장기간에 걸쳐 일상·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들을 장애인으로 정의한다.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인권이 유린되거나 부당한 차별을 받지 않아야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처우는 매우 열악하다. 국가는 둘 사이의 비상식적인 간극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복지라는 이름의 법과 제도를 통해 장애인을 지원하고 있다.

세상은 장애인과-비장애인이라는 이분법으로 나뉘지 않는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그룹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이들이 우리 사회에는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 이들은 비장애인 중심 사회에서 사회적·경제적으로 소외됨과 동시에 장애인 범주에 해당하지 않아 국가로부터 최소한의 복지 지원조차 받지 못한다. 이른바 ‘경계성 지능장애’에 해당하는 이들이 대표적인 사례다.

‘경계선 지능’, ‘경계성 지적장애’, ‘경계성 지적 지능’ 등으로 불리는 ‘경계성 지능장애’는 평균보다 낮은 지적능력을 의미한다. 서울대학교병원이 제공하는 의학정보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지능지수(IQ)는 70~85 수준으로 90에서 100대에 이르는 일반 성인보다는 낮으나, 경도 지적장애에 해당하는 IQ 50~69 보다는 높다.

의사소통도 가능해 비장애인과 외관상 구분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학습이나 사회생활에서 비장애인과 확연히 구분되는 지점이 있다. 경계성 지능장애 아동의 경우 또래 아이들보다 학습 능력이 떨어지고, 성인은 직업 선택이나 일처리 등 기본적인 사회생활에서 비장애인보다 어려움을 겪는다.

존재하고 있지만, 알려지지 않은 이들

주변에서 경계성 지능장애를 겪는 이들을 마주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전 세계 인구 중에 13.6%가 경계성 지능장애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웩슬러 지능검사 정규분포 곡선을 참고해 IQ 70~85 사이 비율을 참조해 추정한 수치다. 생각보다 많은 인구가 경계성 지능장애 범위에 해당하지만, 국내에서는 명확한 통계조차 없다.

연구 사례 역시 부족하다. 경계성 지능장애에 대한 국내 연구는 주로 아동·청소년 기 학습 부진 문제에 쏠려있다. 변관석 경남은혜학교 교사와 신진숙 창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가 지난 2017년 발표한 ‘경계선 지능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의 연구가 학령기, 그중에서도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에 집중됐다. 사회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성인 사례에 대한 연구는 극히 일부였다.

최근에서야 경계성 지능인들에 대한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경계성 지능장애 여성이 성범죄 타깃이 된다는 문제다. 홍미영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발표한 ‘경계성 지능장애 여성의 성폭력·성매매 피해 예방방안’을 통해 경계성 지능인 당사자들이 단순히 학습부진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안전도 보호받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서울시의회 내부. 서울시는 지난해 9월 전국 최초로 경계성 지능인 평생교육 지원 조례안을 가결했다. (사진=뉴시스)

지원은 교육 한정…극히 일부

경계성 지능장애에 해당하는 이들이 사회에서 배제되지 않으려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원인이나 예방법이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고, 질병의 개념도 아니라서 마땅한 치료법을 찾는데 어렵기 때문이다. 지원은 교육이나 사회성, 직업 훈련 등 다방면에 걸쳐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경계성 지능장애 당사자에 지원은 열악하다. 정부 차원의 지원은 보건복지부가 시행하는 ‘경계선 지능 아동 자립 지원사업’이 대표적인데, 이마저도 복지시설 내 아동 중심의 사업이다. 교육부는 기초학력 부진 학생 지원 사업에 경계성 지능인 지원 내용을 일부 포함한 정도다.

지자체에서는 지난해가 돼서야 관련 조례가 제정됐다. 전년 9월 서울시에서 제정된 조례에는 ▲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계획의 수립 ▲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 ▲ 지원 사업 등의 내용이 담겼다. 서울시를 시작으로 경기 일부와 광주 등에서 관련 조례가 잇따라 제정됐다. 대부분 지역에서는 경계성 지능장애에 대한 지원을 찾아보기 어렵다.

조례안을 발의한 채유미 더불어민주당 서울시 의원은 경계성 지능장애 문제에 대한 관심과 관련 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는 “(경계성 지능장애 당사자는) 사회적으로 사각지대에 놓여 취약계층으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며 “서울시 조례안을 계기로 각 시·도에서도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관심을 가져주길 바라며, 국회에서도 관련 법안이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장애도 비장애인도 아닌 경계선 지능인을 아시나요? – 당진신문

이와 관련해 당진시 오세영 평생학습정책팀장은 “일부 지자체의 조례 제정, 업무 등을 파악했을 때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업무를 평생학습과에서 소관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면서 “현재 명확하게 정해진 부분은 없지만, 당진시교육지원청 그리고 청소년 재단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해서 앞으로 경계선 지능인 실태조사와 그에 따른 대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명수 의원은 “경계선 지능의 원인이나 예방법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고, 질병의 개념도 아니라 이들이 사회에서 배제되지 않으려면 국가와 지자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초중등교육법 제28조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을 개정한 지 6년이 지났지만 수도권 외에는 변화가 없는 것 같다. 당진도 실태조사를 단 한 차례도 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몇몇 지자체에서 하는 대안은 보여주기식의 지원이다. 이를 통해 달라지는 것은 있겠지만 현재는 주변에 시스템이 많지 않기에 전부 개인의 몫”이라고 지적하며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인식이 가장 중요하고, 행정적인 이해가 시급하다. 실질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부서를 정하고 관련된 부서와의 협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5 thg 10, 2022 — IQ 71~84에 해당하는 경계선 지능인은 일반인 평균 IQ 100과 지적장애로 분류하는 IQ 70 사이에 있는 사람들로, 장애도 비장애도 아닌 중간 영역에 속한다 …

  • Source: www.idjnews.kr
  • Views: 3627
  • Publish date: 10 hours ago
  • Downloads: 3557
  • Likes: 8205
  • Dislikes: 9
  • Title Website: 장애도 비장애인도 아닌 경계선 지능인을 아시나요? – 당진신문
  • Description Website: 15 thg 10, 2022 — IQ 71~84에 해당하는 경계선 지능인은 일반인 평균 IQ 100과 지적장애로 분류하는 IQ 70 사이에 있는 사람들로, 장애도 비장애도 아닌 중간 영역에 속한다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느린학습자와 함께 걷기 | 이보람 특수교사 | #경계선지능 #특수교사 #자녀 #육아 | 세바시 1589회

  • Source: Youtube
  • Views: 104696
  • Date: 11 hours ago
  • Download: 6768
  • Likes: 9292
  • Dislikes: 9

장애도 비장애인도 아닌 경계선 지능인을 아시나요?

느린 학습자, 인지기능 결함..학습부진, 소통 등 어려움 느껴

법적인 제도 전무에, 보여주기식 지원만..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당진신문 함현주 편집기자

[당진신문=이혜진 기자] 지적장애인과 비지적장애인 사이의 경계에 있어 국가로부터 최소한의 지원도 받지 못하고,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이 있다. 바로 느린 학습자인 경계선 지능인이다.

IQ 71~84에 해당하는 경계선 지능인은 일반인 평균 IQ 100과 지적장애로 분류하는 IQ 70 사이에 있는 사람들로, 장애도 비장애도 아닌 중간 영역에 속한다. 이들은 인지기능의 미세한 결함으로 학습능력, 어휘력, 인지능력, 이해력, 대인관계 등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현재 우리나라에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지능의 정규분포에 의하면 경계선 지능인은 전체 인구 중 14%(약 80만 명)를 차지할 만큼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경계선 지능인은 보기에는 지적장애와 달리 티가 잘 나지 않기에 대화를 나누거나 함께 생활하지 않는 이상 구분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경계선 지능인과 그 가족들 또한 학습의 부진, 사람들과의 관계 맺기, 소통의 문제 등의 불편함을 느끼면서도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개념을 인식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경계선 지능인은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성장기를 보내는 경우가 많으며, 학교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해 더 큰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경제적 자립이 필요하지만 부족한 인지능력으로 인해 취업하기에 쉽지 않으며, 남성의 경우 군대 문제, 여성의 경우 성범죄에 노출되기도 한다.

실제로 군대 입대 전까지 자신이 조금 느리다고만 생각했던 이창갑(25, 당진시) 씨는 방역 판정검사에서 경계선 지능을 진단받았다. 진단을 받은 이후 한동안 방황했던 이창갑 씨는 현재 경계선 지능인에 대해 알리기 위해 당진시의회를 비롯한 여러 토론회에 참석하며, 경계선 지능인을 위한 체계적인 대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경계선 지능인에 대해 알리기 위해 당진시의회를 비롯한 여러 토론회에 참석하며, 체계적인 대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는 이창갑 씨(25,당진시) ⓒ당진신문 이혜진 기자

이창갑 씨는 “사실 말하지 않는 이상 모르는 사람이 많지만, 남들은 성장하는데 나만 중학생에 멈춘 듯한 느낌”이라면서 “지금은 스스로 이겨내기 위해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사비로 자세 교정, 코칭 등 상담을 받고 있으며, 느린 학습자 공부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몇몇 지자체에서 하는 대안은 보여주기식의 지원이다. 이를 통해 달라지는 것은 있겠지만 현재는 주변에 시스템이 많지 않기에 전부 개인의 몫”이라고 지적하며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인식이 가장 중요하고, 행정적인 이해가 시급하다. 실질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부서를 정하고 관련된 부서와의 협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당진시지역아동센터협의회 현천순 회장은 “대부분이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학업을 시작하면서 본인이 조금 느리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초기진단이나 균형 잡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12개 지역아동센터에 전문인력을 배치해 일대일 케어가 확대됐으면 한다”고 바람을 전했다.

일부 지자체 조례 재정 통해 지원체계 마련

당진시, 소관부서 없어 실태파악 어려워

지난 2월 당진시지역아동센터협의회는 프로그램 진행 전 경계선 지능이 의심되는 아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당진시 전체 지역아동센터 보호 아동 329명 가운데 60명의 아동을 추천받아 경계선 지능연구소에 경계선 지능 선별체크리스트검사를 의뢰했다.

그 결과, 60명 중 86.7%에 해당하는 52명의 아동이 경계선 지능 또는 경도 지적 장애를 가졌을 것으로 의심돼 선별된 아동의 종합심리검사실시를 권유받았다.

이창갑 씨가 공부하고 있는 느린학습자 인지훈련 프로그램 책자 ⓒ당진신문 이혜진 기자

이처럼 검사 결과를 통해 당진에 숨은 경계선 지능인이 많을 것으로 짐작되고 있지만, 당진시는 현재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실태조사는커녕 관리부서가 없어 현실적인 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다만, 당진시 여성가족과에서 경계선 지능아동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와 지역아동센터에서 진행하는 나답게 크는 아이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숨어있는 경계선 지능인을 찾고, 적절한 지원을 하기에는 부족하다.

이에 지난 21일 평생학습과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윤명수 의원과 최연숙 의원 또한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실태조사와 그에 따른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명수 의원은 “경계선 지능의 원인이나 예방법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고, 질병의 개념도 아니라 이들이 사회에서 배제되지 않으려면 국가와 지자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초중등교육법 제28조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을 개정한 지 6년이 지났지만 수도권 외에는 변화가 없는 것 같다. 당진도 실태조사를 단 한 차례도 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최연숙 의원 또한 “당진시 평생학습과가 중심이 되어 경계선 지능인과 관련된 추진체계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와 관련해 당진시 오세영 평생학습정책팀장은 “일부 지자체의 조례 제정, 업무 등을 파악했을 때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업무를 평생학습과에서 소관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면서 “현재 명확하게 정해진 부분은 없지만, 당진시교육지원청 그리고 청소년 재단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해서 앞으로 경계선 지능인 실태조사와 그에 따른 대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소년재단 김종만 사무처장도 “청소년 대상의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사업 수행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조례나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 좋겠다”면서 “경계선 지능인의 발달 특성이 무엇인지,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파악하고 보완해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평생학습과와 긴밀하게 협력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당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 반에 2~3명… ‘경계선 지능’ 아동에게 사랑만큼 중요한 것

6 thg 4, 2022 — 경계선 지능은 DSM-IV(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상 지능검사 지수가 70~85 사이에 있는 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정상 범주인 85보다는 아래고 지적 …

  • Source: health.chosun.com
  • Views: 73681
  • Publish date: 11 minute ago
  • Downloads: 40090
  • Likes: 9067
  • Dislikes: 9
  • Title Website: 한 반에 2~3명… ‘경계선 지능’ 아동에게 사랑만큼 중요한 것
  • Description Website: 6 thg 4, 2022 — 경계선 지능은 DSM-IV(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상 지능검사 지수가 70~85 사이에 있는 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정상 범주인 85보다는 아래고 지적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지적 장애 판단 기준] 오 박사가 말하는 ADHD와 지적 장애의 차이점 |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 85 회

  • Source: Youtube
  • Views: 38326
  • Date: 38 minute ago
  • Download: 11559
  • Likes: 7139
  • Dislikes: 4

친구도 공부도 난 왜 이렇게 힘들까요 – 경남도민일보

경계선지능 아동 부모들은 지능검사 기관에서 지능지수를 낮춰 주겠다는 제안도 받는다. 지적 장애 등급을 받으면 국가로부터 교통비, 공공요금, 세금을 할인받고 양육지원 등 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어서다. 무엇보다 일반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를 특수학교에 보낼 수도 있다. 하지만, 경계선지능 아동은 특수학교에서도 잘 적응하지 못한다. 일반 학교와 반대로, 너무 뛰어나기 때문에 섞이지 못하는 것이다. 이들에게 특수학교 교과 과정은 너무나 간단해서 잠재력에 맞는 교육적 자극을 주기 어렵다. 경계선지능 아동들은 어린 나이에도 ‘장애인’이라는 단어가 품은 낙인 효과를 쉽게 알아차린다. 혜주 역시 지역 소모임에서 주최하는 지적 장애 아동을 위한 봉사에 자주 참가했지만, 어느 순간 어색함과 거부감을 드러냈다. 수지 씨는 “선진국은 도움이 필요한 아이가 있으면 사회가 온 힘을 다해 맞춘다고 들었다”라며 “표준화된 한국 교육체계에 맞지 않는 경계선지능 아이는 갈 곳이 없다”라고 말했다.

중학교 1학년 혜주(가명·13)는 또래 사이에서 겉도는 아이다. 1교시부터 6교시까지 덩그러니 책상에만 앉아 있다 올 때가 잦다. 초등학생이던 지난해에는 온라인 수업이 많았다. 외톨이 처지가 싫어 학교에 가지 않는 게 좋았지만, 중학교에 가면 새 친구를 사귈 수 있을 거라는 희망에 들뜨기도 했다. 지금은 다시 제자리다. 첫 만남 이후 몇 번 말을 걸어주었던 동급생들은 제각기 마음 맞는 친구를 찾아갔다. 대화의 요령이 부족하고 화제에 끼지 못하는 혜주에게 금방 흥미를 잃은 것이다. 반장이나 학습부장이 가끔 적응하지 못하는 혜주를 챙겨줄 때나, 과외선생님과 잡담을 할 때마다 관계를 향한 그리움을 달랜다.

◇특수교육도, 일반교육에도 섞이지 못해 = 한국에는 경계선지능이라는 개념이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이는 경계선지능 아동 부모도 마찬가지로, 혜주 어머니 수지(가명·39) 씨 역시 무척이나 혼란스러웠다. 처음에는 배우는 속도가 조금 느린 아이라고만 생각했고, 학교에 가면 또래들과 어울리면서 잘 적응할 거라고 믿었다. 하지만, 교과 과정이 어려워지면서 집에서 반복학습으로 쫓아가는 데 한계가 생겼다. 처음 겪는 상황에 대처를 잘 못하다 보니, 친구들이 괴롭혀도 묵묵히 당하는 일도 늘어났다. 수지 씨는 “답답해 잔소리도 하게 되지만, 그럴수록 아이가 자신감을 잃어가는 악순환이 반복됐다”라고 토로했다.

13 thg 7, 2021 — 경계선지능은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비장애인들보다 학습·인지 능력이나 사회성이 떨어지는 이들을 가리키는 용어다. 지능검사 정규분포에서 지능지수 71 …

  • Source: www.idomin.com
  • Views: 56656
  • Publish date: 10 hours ago
  • Downloads: 63326
  • Likes: 8955
  • Dislikes: 8
  • Title Website: 친구도 공부도 난 왜 이렇게 힘들까요 – 경남도민일보
  • Description Website: 13 thg 7, 2021 — 경계선지능은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비장애인들보다 학습·인지 능력이나 사회성이 떨어지는 이들을 가리키는 용어다. 지능검사 정규분포에서 지능지수 71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심층취재-경계선 지능] 《11편》 \”자립 힘들어요\” 성인되면 더 문제

  • Source: Youtube
  • Views: 52791
  • Date: 26 minute ago
  • Download: 21279
  • Likes: 1362
  • Dislikes: 1

친구도 공부도 난 왜 이렇게 힘들까요

지적 장애는 아닌 경계선지능

배움 늦고 사회성도 떨어져

학교에서 멀뚱멀뚱 겉돌기만

세상에는 편의에 따라 그어진 수많은 ‘금’이 있습니다. 크게는 사상·인종·국가, 작게는 인간관계에 이르기까지 씨줄과 날줄처럼 어지러이 얽혔습니다. 금이 만든 경계선은 양쪽을 손쉽게 나눌 수 있을 듯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모든 금 언저리에는 어디에도 섞이지 못하고 부유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지적 장애와 평균지능 경계에서 방황하는 ‘경계선지적기능인’도 그렇습니다. <경남도민일보>와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은 4회에 걸쳐 이들이 살아가는 자리를 돌아봅니다.

“종일 아무 말도 안 하고 왔어?” “할 말이 없었어.” “말 걸어주는 친구는?” “오늘은 없었어.”

중학교 1학년 혜주(가명·13)는 또래 사이에서 겉도는 아이다. 1교시부터 6교시까지 덩그러니 책상에만 앉아 있다 올 때가 잦다. 초등학생이던 지난해에는 온라인 수업이 많았다. 외톨이 처지가 싫어 학교에 가지 않는 게 좋았지만, 중학교에 가면 새 친구를 사귈 수 있을 거라는 희망에 들뜨기도 했다. 지금은 다시 제자리다. 첫 만남 이후 몇 번 말을 걸어주었던 동급생들은 제각기 마음 맞는 친구를 찾아갔다. 대화의 요령이 부족하고 화제에 끼지 못하는 혜주에게 금방 흥미를 잃은 것이다. 반장이나 학습부장이 가끔 적응하지 못하는 혜주를 챙겨줄 때나, 과외선생님과 잡담을 할 때마다 관계를 향한 그리움을 달랜다.

교과 과정을 따라가는 데도 힘에 부친다. 초등학생 때까지만 해도 티가 잘 안 났지만, 중학교에 올라가 시험을 보게 되자 성적은 바닥을 찍었다. 예습한 문제가 시험에 그대로 나올 때면 곧잘 맞히지만, 조금만 응용을 요구하면, 풀어내기 쉽지 않다. 혜주에게 시험은, 열심히 공부했는데도 한 번도 본 적 없는 문제들이 나오는 이상한 경험이었다. 자신도 남들보다 말이나 공부를 잘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잘 안다. 평소 부모님이 힘드냐고 물어볼 때까지 내색도 하지 않지만, 때때로 부족한 모습이 서러워 울음을 터뜨리기도 한다. 매일 딸의 자존감이 무너지는 모습을 보는 부모의 마음은 타들어간다.

▲ 경계선지능은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비장애인들보다 학습·인지 능력이나 사회성이 떨어지는 이들을 가리키는 용어다.

◇경계선지능, 10명 중 1명 = 혜주는 초등학교 2학년 때 종합지능검사를 받았다. 또래보다 늦된 모습을 염려한 선생님의 권유였다. 검사 결과 ‘경계선지적기능(이하 경계선지능)’ 범주에 들어간다는 진단을 받았다.

경계선지능은 지적 장애는 아니지만, 비장애인들보다 학습·인지 능력이나 사회성이 떨어지는 이들을 가리키는 용어다. 지능검사 정규분포에서 지능지수 71~84 사이 범주를 말한다. 지능지수 70 이하는 지적 장애로, 85부터는 평균지능으로 분류하니 이 사이에 끼어 있는 셈이다. 지능 정규분포곡선을 따라 추정해 볼 때, 전체 인구의 13.6% 정도로 추정한다. 단순히 생각해도 10명 중 1명 이상은 경계선지능이라는 이야기다. 이는 지적 장애 전체 집단 2.3%의 6배나 되는 수치다.

미국정신의학협회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4판은 ‘지적 장애로 볼 수는 없지만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주의해야 할 발달장애군’으로 정의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흔히 ‘느린 학습자’, ‘학습부진아’ 등으로 불려 왔다. 영화 <포레스트 검프>의 주인공 검프는 가상의 인물이지만, 대중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경계선지능인이다. 지나치리만큼 순박하고, 계산에 밝지 않은 모습으로 인물 설정을 드러냈다.

경계선지능인은 어릴 때는 평범한 아이로 보이다가 커 갈수록 사회성 부족·학습 부진으로 또래 집단에서 소외되기 쉽다. 시간을 들여 반복·체험 학습을 했을 때 조금씩 성과를 보이는 특성도 있지만, 학교와 사회는 이들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학업성취도 저하는 문제의 일부분일 뿐이다. 한창 클 나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고립되면 점점 사회적 소통 능력을 잃어버린다.

◇특수교육도, 일반교육에도 섞이지 못해 = 한국에는 경계선지능이라는 개념이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이는 경계선지능 아동 부모도 마찬가지로, 혜주 어머니 수지(가명·39) 씨 역시 무척이나 혼란스러웠다. 처음에는 배우는 속도가 조금 느린 아이라고만 생각했고, 학교에 가면 또래들과 어울리면서 잘 적응할 거라고 믿었다. 하지만, 교과 과정이 어려워지면서 집에서 반복학습으로 쫓아가는 데 한계가 생겼다. 처음 겪는 상황에 대처를 잘 못하다 보니, 친구들이 괴롭혀도 묵묵히 당하는 일도 늘어났다. 수지 씨는 “답답해 잔소리도 하게 되지만, 그럴수록 아이가 자신감을 잃어가는 악순환이 반복됐다”라고 토로했다.

경계선지능 아동 부모들은 지능검사 기관에서 지능지수를 낮춰 주겠다는 제안도 받는다. 지적 장애 등급을 받으면 국가로부터 교통비, 공공요금, 세금을 할인받고 양육지원 등 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어서다. 무엇보다 일반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를 특수학교에 보낼 수도 있다. 하지만, 경계선지능 아동은 특수학교에서도 잘 적응하지 못한다. 일반 학교와 반대로, 너무 뛰어나기 때문에 섞이지 못하는 것이다. 이들에게 특수학교 교과 과정은 너무나 간단해서 잠재력에 맞는 교육적 자극을 주기 어렵다. 경계선지능 아동들은 어린 나이에도 ‘장애인’이라는 단어가 품은 낙인 효과를 쉽게 알아차린다. 혜주 역시 지역 소모임에서 주최하는 지적 장애 아동을 위한 봉사에 자주 참가했지만, 어느 순간 어색함과 거부감을 드러냈다. 수지 씨는 “선진국은 도움이 필요한 아이가 있으면 사회가 온 힘을 다해 맞춘다고 들었다”라며 “표준화된 한국 교육체계에 맞지 않는 경계선지능 아이는 갈 곳이 없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경계선 지능 장애

Bing에서 경계선 지능 장애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경계선 지능 장애.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경계선 지능 장애 경계선 지능장애 썰, 경계선 지능장애 테스트, 경계선 지능장애 여자친구, 경계선지능장애 여자, 경계성 지능장애 직업, 경계선 지능장애 디시, 경계선 지능장애 친구, 경계선 지능장애 갤러리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