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 1505 기계 공학과 취업 새로운 업데이트 16 시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기계 공학과 취업“?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1.castu.org 탐색에서: 새로운 상위 849 가지 팁 업데이트.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기계 공학과 취업 기계공학과 취업 현실, 기계공학과 졸업 후 진로, 기계공학과 취업 후기, 기계공학과 취업 스펙, 기계공학과 취업 기업, 4년제 기계공학과 취업, 기계공학과 취업 준비,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취업

기계공학과 커리어패스 – 잡코리아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확인

기계공학과 전공자들이 선택한 직무는 무엇일까요? · 1. 자동차·조선·기계. 12.9% · 2. 생산관리·공정관리·품질관리. 12.4% · 3. 기계설계·CAD·CAM. 11.5% · 4. 생산·제조·설비 …

  • Source: www.jobkorea.co.kr
  • Views: 36110
  • Publish date: 7 hours ago
  • Downloads: 45263
  • Likes: 3666
  • Dislikes: 9
  • Title Website: 기계공학과 커리어패스 – 잡코리아
  • Description Website: 기계공학과 전공자들이 선택한 직무는 무엇일까요? · 1. 자동차·조선·기계. 12.9% · 2. 생산관리·공정관리·품질관리. 12.4% · 3. 기계설계·CAD·CAM. 11.5% · 4. 생산·제조·설비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97171
  • Date: 23 minute ago
  • Download: 63288
  • Likes: 4343
  • Dislikes: 7

기계공학과 커리어패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확인

기계공학과 현실에 대해서 알아보자(안보면 손해임)

자율주행 적용으로 기계는 수요 감소하고 전자 컴퓨터 수요 증가 하고 조선 금형 제철은 이미 ㅈ망하고 공기업은 점점 기계 티오 줄어들고(이건 전기도 마찬가지긴 한데) 그나마 남은데는 삼전 SK하닉같은 전자쪽 회사 설비직으로 가는수 밖에 없는데 그런 직군은 3교대거나 워라밸 근무환경 심각해서 대기업인데도 뛰쳐나오는 사람 많고…

학사기준) 몇년전만해도 전화기 중에서도 탑이라고 들었는데… 지금은 전자 컴퓨터한테 밀리고 앞으로도 전기차 수소차 전환때문에 기계공학과가 많이 가는 현차가 내연기관 개발중단+변속기 계발중단(여전히 섀시 설계에 인력 필요하긴 한데 기존 자동차 R&D에서 가장 중요한 엔진 변속기가 없어지면 수요가 많이 줄어듦)+전장,

기계는 절대 안망한다고 하는건 맞는 말인데 문제는 취업이고 취업에서는 학문의 중요성 따위보다 기업에서의 수요가 중요한데 기계공 졸업자는 맨날 똑같이 나오는데 수요가 기업들 수요가 줄어들어서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서 곡소리나오는듯

28 thg 5, 2022 — 기계과 졸업 후 가능한 직업은 대부분 생산관리, 설비관리, 생산기술, 구매, 영업 , 품질관리, 연구개발 등이 있다. 근데 연구개발은 최소 석사가 맡고, …

  • Source: verystory12.tistory.com
  • Views: 72931
  • Publish date: 15 minute ago
  • Downloads: 91435
  • Likes: 8776
  • Dislikes: 5
  • Title Website: 기계공학과 현실에 대해서 알아보자(안보면 손해임)
  • Description Website: 28 thg 5, 2022 — 기계과 졸업 후 가능한 직업은 대부분 생산관리, 설비관리, 생산기술, 구매, 영업 , 품질관리, 연구개발 등이 있다. 근데 연구개발은 최소 석사가 맡고,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이제 기계공학과는 취업이 어려운 걸까?

  • Source: Youtube
  • Views: 41414
  • Date: 17 hours ago
  • Download: 81777
  • Likes: 4223
  • Dislikes: 10

기계공학과 현실에 대해서 알아보자(안보면 손해임)

기계공학과 현실

오늘은 기계공학과 현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아참, 사실 기계공학과에 진학해서 공부하다보면,

가끔 내 지능의 한계를 느낄때가 온다.

그럴땐 아래에서 교수들이 알려주는걸 배워보면은 어떨까 싶다.

1. 기계공학과 현실

출처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admission&no=2771447

15학번임.

학교는 지방 사립대 나와서 울산 서연이화 다닌다. 지거국이랑 국숭세단 비메이저 공대 , 자연대랑 지방 사립대 붙었는데 지역인재 + 장학금도 있고,

그때는 현중 잘나가는 것도 있었고, 그래도 전화기를 가야 취업 잘될거 같아서 기계과 갔었음.

기계과 졸업 후 가능한 직업은 대부분 생산관리, 설비관리, 생산기술, 구매, 영업 , 품질관리, 연구개발 등이 있다.

근데 연구개발은 최소 석사가 맡고, 학사는 SKY, 포공, 카이스트가 대부분 간다.

그럼 남는게 6개인데 생산관리, 품질관리는 산업공학과에 뺏기는 추세다.

그래서 to가 제일 많은 곳이 생산기술직인데, 여기는 말만 거창하지 그냥 ‘야가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계과가 취업 잘 되는 이유도 이 생산기술직을 ㅈㄴ 많이 뽑아서 그런거임. 뭐 다른곳도 취업 많이 하지만 생산기술직이 취업 제일 많이 한다.

생산기술직을 하게 되면 하이바 쓰고 공장 들락날락 거리는건데, 공장이 어디에 있나? 대부분 지방에 있음. 평택, 울산 등등등.

너가 기계과고 생산기술직에 합격했다 하면 지방공장에 파견되서 3교1234대하는 SCV가 되는거임.

서울에 있는 대학교 상위권, 중위권 대학생들도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SCV로 전직해서 지방 오게 된다.

물론 요즘같이 취업한파에 다른 곳보다 취업 잘되는 주제에 볼멘소리 하지마라!! 라고 할 수 있지만 기계과 공부량으로 전전, 컴공 공부했으면 근무여건이 훨씬 더 좋은 곳에서 근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자신이 석,박사 이상 생각이 없고 학사로 끝낼거다. 하면 전전, 컴공 가셈.

2. 기계공학과 현실

출처 : https://m.ygosu.com/board/study/257394/?searcht=&search=&m3=real_article&frombest=Y&page=8

1. 계산기는 좋은 거 사라

입학할 때는 돈쓸 데 많으니 만원짜리 싸구려 카시오계산기 쓰더라도

2학기때는, 하다못해 군대에서 돈 좀 모았다가 복학할 때는 좀 좋은거 사라(10만원정도)

혹자는 싸구려계산기만으로도 4년동안 무리없이 공부해서 졸업했으니 좋은 계산기 쓸 필요없다하지만,

이는 마치 모쏠아다새끼가

다른과는 좋은계산기가 필요없다해도

기계과나 전자과는 좋은계산기가 좋은학점을 부른다고 생각한다.

좋은 계산기를 써보면, 왜 좋을걸 써야하는지 알 수 있다.

(1) 인터페이스가 좋아 수식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계산실수가 적어진다.

왼쪽계산기는 가장 흔한 만오천원짜리, 오른쪽은 11만짜리 중고로 7만원에 삼

오른쪽계산기는 적분,미분,분수,지수,행렬 모두 실제 모양그대로 표현된다.

(2) 여러 가지 기능을 활용하여 계산속도가 빨라진다.

이산데이터의 분산을 구하려면

왼쪽은 평균먼저 구하고 하나하나 입력해서 분산구해야하지만,

오른쪽은 데이터만 입력하면 평균, 분산 다 구해준다. 데이터 종류가 두개면 상관관계도 물론 구해줌

통계뿐만아니라, 그래프, 고차방정식, 연립방정식, 회계 다양한 기능이 있다.

이를 잘활용하면 시험때 어마어마한 도움이된다고본다.

(3) 특히 반복계산에서는 짜여진 코딩에 입력값만 집어넣어 바로 계산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기능으로 계산기에 공식을 집어넣고 갈수도 있고,

계산을 여러번 반복해서 계산해야하는 경우 프로그래밍 기능을쓰지 않더라도 그냥 연산창에서

문자 변수를 이용해 for문을 만들수있다.

이거 수치해석 시험시간에 써먹어서 시간졸라 단축했다ㅎㅎ

물론 좋은계산기를 사서 국끓여먹는애들이 있다.

좋은거 샀으면 설명서 읽고 기능 파악해둬라.

공학용 계산기는 카시오와 TI가 양대산맥이다.

난 카시오밖에 안써봐서 잘모르지만 기능은 TI가 더 좋고, 사용하기는 카시오가 편하다더라.

금수저놈들은 이거사라. 현존하는 최고의 계산기다.

Ti-nspire cx

25만원이었나 잘모르겠다

옆에 CAS라고 적혀있는 계산기는 손으로풀수없는 부정적분을 풀어주는 기능이 탑재되어있다는것이다.

이거 있으면 가격 엄청비싸진다.

2. 매학기 방학동안 할거 없을때 공부할거 알려준다.

1순위. 엑셀

전공과 관련된건 엑셀뿐이어서 엑셀이라고만 썼지만

엑셀과 한글과 파워포인트는 전공을 불문하고 대학생의 기본중의 기본이다 .

전공과제에 계산하거나 분석하거나 그래프를 그리라는게 나오는데

이를 어떤 툴을 이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본인 몫이다.

C와 매트랩은 기본적으로 다룰줄 알아야하지만, 엑셀이 오히려 편하고 빠를때도 많다.

한글이랑 엑셀은 자격증을 목표로 공부해라.

워드프로세서랑 컴활2급.

어차피 개나소나 다 있는 자격증이라 어차피 취업에 도움안되니 컴활 쓸데없이 1급하지말고 2급해라

파워포인트는 자격증하지말고 그냥 잘만든 ppt 따라만들면서 감각만 익혀두는 연습좀 해라.

특히 PPT에서 도형만 잘다룰줄 알면 포토샵못지않게 일러스트 만드는 기술이 생긴다.

기계과 애들 ppt 졸라못만드니 좀만 잘해도 눈에 확띈다.밑에는 실제 기계과 기말ppt다. 이걸보고 뭐가 잘못됐는지 모르면 연습하자

2순위. 매트랩

Matlab은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우리학교는 따로 안알려주고,

그냥 갑자기 “Matlab을 이용하여 푸시오”하는 과제가 나와 당황한적이 있다.

과제나 프로젝트가 주로 매트랩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밑에 사진은 매트랩에서 칸테라응용프로그램을 설치 후 열열학 프로젝트과제를 계산한 코딩이다.

C를 어느정도 할줄안다면 matlab도 금방 익힐것이다.

기능이 매우매우 많아서 직업이 아니라면 마스터할수 없으니

기본적인 기능과 문법만 익혀두고, 나머지는 그때그때 알아가자

보통은 역학계산이나 그래프그릴때 유용하게 쓰이지만

전자제어할때도 아주 많이 쓰인다.

3순위. 카티아(CATIA)

보통 CAD라고 알고있는데, 뭐 같은 말이라 보면된다.

3D모델링하는 프로그램인데 이거 할줄알면 너가 원하는 제품 너가 만들수 있다.

작성한 카티아 파일을 3D프린팅업체에 넘기면 돈받고 뽑아준다.

활용도는 단연 매우 높다. 할줄 안다면 강력한 무기가 된다.

이 역시 매우매우 기능이 많아 마스터 할수 없으니

기본기능만 익혀둬라

밑에는 내가 알바하면서 제작한 사원증케이스이다.

귀찮아서 미루고있다ㅜㅜ 내일부터 해볼게

4순위. 아두이노

졸업설계 등 작품만들때 아주 유용한다.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매우 너가 만들고 싶은 제품을 무궁무진하게 구현할수있다.

물론 아두이노를 하기위해서는 C언어와 기본적인 전자회로 공부가 선행되어야한다.

코딩은 C랑 동일하진 않지만 많이 비슷하다.

아두이노 쉽게 익힌사람이라면 라즈베리파이도 해라

물론 영어는 0순위이다.

근데 1학년때는 영어공부 별로 비추한다. 군대갔다오면 어차피 다시해야함..

영어는 군대에서 공부하고 말차나와서 시험봐라. 군인할인 개꿀

토익800, 토익스피킹 레벨6만 받아도 취업에 불이익 받는일 없다.

물론 고고익선

3. 전기전자공학이랑 프로그래밍을 가까이해라

기계공학의 수요가 좀 줄어들었다.

물론 기계공학이 망할 일은 절대 없지만 많은 기계적인 장치들이 점점 전자화되어가고 있는건 사실이다.

요즘 자동차만 보더라도, 점점 센서를 통해 자동제어되고 있다.

분명 동력전달같은 기계적인 부분이 대체될 일은 없지만 전자적인 부분이 늘어남에 따라

기계공학과 전자공학의 연결고리를 해줄 인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전기공학, 전자공학, 메카트로닉스, 자동체어, 반도체 등의 과목들을 수강해두면 제품 연구개발직으로의 취업에 많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한다.

물론 취업뿐만 아니라 졸업작품 등 제품개발할때도 전자적인 부분없이는 작품을 만들수 없다.

기본적인 전기공학과 전자공학은 필수적인 부분이라 생각한다.

프로그래밍은

(1) C언어에 대한 문법이해, (2) 코딩(알고리즘 짜는) 능력

두 가지만 잘하면된다.

기계공학에서 계산을할 때, C를 쓰기도하고 Matlab을 쓰기도하는데 matlab도 근간은 C이다.

아두이노에서 프로그램짜서 제어할때도 그 문법이 C와 굉장히 유사하다

C만 잘해두면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는 걸 말해주고 싶다.

4. 솔루션은 꼭 반드시 무슨 일이 있어도 구해라

솔루션의 유무는 곧 너의 전공이해도와 직결된다.

솔루션구해서 과제 베껴내라는 소리가 아니다. 공부하는데 써라.

본인의 풀이가 뭐가 잘못됐는지, 올바른 풀이는 무엇인지 솔루션을 통해 피드백해라.

관련 카페 미리 가입/등업해놔라.

개강하면 제일 먼저 할일이 솔루션 구하는 일이다.

없으면 공부하기 힘들어진다.

5. 복잡한 수식을 외워야하는지 말아야하는지 모르겠으면 교수님께 물어봐라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처음 접하는 학문에나오는 수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모른다.

처음하는 공부라면 이 수식이 시험에서 주어질지, 안주어질지 모르는게 당연하니

미련하게 다 외우지말고, 교수님께 물어보고 반드시 표시해둬라

수업중에도 좋고, 수업끝난 후 개인적으로 질문해도 좋다.

사진은 수치해석과 열역학이다.

6. 진로는 빨리정할수록 좋다.

기계공학 전공자들이 선택하는 주요 진로는 크게 일곱가지이다.

⑴ 사기업 취업

보통 대기업에 가고 싶어하고, 그 중 탑티어라 불리는 연봉 쎈 곳을 가고 싶어한다.

가장 인기 있는 사기업은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SKT 이다.

셋 다 성과급포함 초봉6천이 넘는다 카더라. (현대자동차는 요새 상황이 안좋다.)

사기업 취직은 3학년 시작하기 전까지 목표 기업이나 직무를 정해두는게 좋다.

보통 3학년 1학기부터 산학장학생을 모집하고, 3학년 2학기부터 인턴을 모집한다.

산학장학생이란, “너 장학금도 주고 용돈도 주고 노트북도 줄테니, 방학마다 우리 회사에서 조기교육 받고 졸업하면 꼭 우리회사 입사해라”하는 것이다.

원하는 회사라면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에선 연구장학생이라고 하는데, 학기중엔 월70만원, 방학때 프로젝트하나 끝날때마다 300만원, 그리고 노트북도 지급하고,

웬만큼 깽판치지 않는 이상 졸업 후 취업이 보장된다.

물론 합격하기 어렵다.

인턴은 꼭해라, 두 번해라. 요즘은 취업에서 스펙으로 영어점수나 학점은 예전보다 덜 본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소서고, 그 다음이 인턴이나 실습 경험이다.

인턴을 했고 안했고가 취업의 성패를 좌우한다.

ㅈ소기업이라도 해라. 그거도 없으면 스타트업회사에서라도 해라. 아예안하는것보다는 낫다.

이왕이면 전환형 인턴을 해라.

부서에 따라 전환율 60%이상 되는 곳도 있는데 거기서 취업 확정되면 남들 4학년 때 취업스트레스 받는동안 편하게 학교다닐 수 있다.

취업할 때, 필요한 기본 스펙은 토익점수(보통 800이상)와 스피킹점수(토스레벨6이상, 오픽은 모름)이다.

이건 3학년 올라가기 전에 만들어둬라.

⑵ 공기업 취업

공기업은 안정적인 근속년수와 칼퇴근으로 인한 높은 삶의 질이 선호의 근거가 되긴하나,

뺑뺑이 지방근무나 대기업에 비해 적은 급여는 어쩔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뺑뺑이아니고 급여도 높은 인천국제공항공사(일명 인국공)은 모든 취준생들이 가고싶어하는 신의 직장이다.

공기업주제에 초봉 4천이상이라카며, 워낙할게 없어서 근무시간에도 일거의 없고 칼퇴근해서 월급받기 미안하다고 한다.

이외에도 한수원, 한전, LH공사 등이 있다.

공기업 취업하려면, 군대에서 한국사1급을 따고, 4학년때 일반기계기사자격증을 따라.

시간남으면 NCS문제좀 풀어봐라.

물론 영어와 학점은 기본이다.

⑶ 전공 대학원 진학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으면 1학년때부터 학과에서 주최하는 기계공학세미나에 다 참석해라.

교수님들이 어떤 분야를 연구하시는지, 너가 관심있는 분야는 무엇인지 미리 확인해둬라.

대학원진학이 목표라면 학점이 최우선이다.

보통은 카이스트나 서울대 대학원을 가고싶어하는데, 집안에 돈좀있으면 외국나가는것도 좋다.

석사는 2년이고, 석박사 통합과정은 교수마다 다르지만 보통 5년~8년 정도하는듯하다.

이 변수에는 본인의 능력도 있고, 교수의 재량도 있고, 연구분야도 있다.

보통 자대 대학원가면 전액장학금에 일정 생활비도 지급해준다.(물론적다)

제일 중요한 사항은 전문연구요원 대체복무제도가 폐지됐다는 점이다.

내 동기들 중 대학원가는애들은 군대안가고 그랬는데, 요즘엔 다 군대가야하나보더라.

잘생각해보자

석사를 마치면 보통 취업을 하고,

박사학위 받으면 professional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되어 취업이나 교수, 정부기관 연구원 등 다양한 길이 열린다.

이건 정말 멋진 일이지만, 그만큼 고되고 힘든시간을 보낼거다.

공부에 뜻이 있는 사람만 해라.

들어가긴 좀 쉬워도 버티기가 매우 힘들다.

⑷ 비전공 대학원진학

좀 드믄 케이스지만 공돌이의 한계를 느끼고,

의느님이 되기위해 MEET을 보고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DEET(치과의사)나 PEET(약사), LEET(로스쿨)도 있다.

기계공학과는 전혀 다른 분야이기 때문에 4년 등록금이 좀 아까울수도 있지만,

성공만 한다면 매우 좋다. (의느님은 페이닥터도 월2천씩 번다더라…부럽)

물론 되기 어렵다.

⑸ 변리사

변리사도 기계공학과는 좀 거리가 있긴하나 공대생들에게 매우 인기있는 직업이다.

변리사란, 특허에 관련해서 출원을 돕거나 특허분쟁에 있어서 변호사와 같은 역할을 한다.

사실 공돌이 보다는 변호사에 가깝다. 법만 달달 외우던데..

삼성이랑 애플이랑 특허소송으로 싸울 때 그 뒤에는 수많은 변리사들이 있었고, 삼성 승리할 때 그 사람들 돈벼락 맞았다.

특허분쟁이 늘어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변리사 채용을 늘리고있다.

변리사는 연봉을 딱 알려줄 순 없고, 변호사처럼 개인의 능력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그런데 요즘 변리사에 대해 2가지 안좋은 소식이 있다.

– 하나는 인공지능의 발달로 변리사직업이 사라질것이라는 전망.

– 다른 하나는 변리사의 밥그릇의 일부를 변호사들이 공유하는 법개정이 추진중이라는 것이다. 이건 기사 봤었는데 못찾겠다.

보통 3학년 마치고 휴학한 후 준비한다. 보통 2년~4년 걸린다고 한다.

관심있으면 학교에서 변리사 설명회할 때 들어라.

막 아주 어려운건 아니지만 공부량이 어마어마하다고한다.

⑹ 기술고시(5급공무원) 및 7,9급 공무원

기술고시는 공대생들의 행정고시라고 생각하면 된다.

각 전공마다 TO가 있고 기계는 다른데에 비해 좀 많이 뽑는편이지만 그래도 적다.

1년에 전국에서 기계직 10명인가 뽑는다. (토목이 제일많음 그 두배정도)

본인이 권력욕이 좀 있고, 머리가 좋다 생각하면 도전해봐라.

이거 되면 집안의 경사다.

학교에서는 건물에 너 이름 현수막 걸어준다.

5급하다가 실패할 것 같아 무서우면 7급이랑 같이 병행해라.

5급은 주관식, 7급은 객관식이라는 점 빼고 내용은 거의 동일하다.

7급이 웬만한 대기업보다 낫다는게 일반적인 견해이나 급여는 그에 한참 못미친다.

공기업과의 갑을관계는 확실해서 신의 직장 인국공에서도 7급공무원 오면 말 잘듣는다.

그래도 난 인국공이 좋다.

9급은 생략한다. 공부하면된다.

⑺ 창업하는 진로도 있는데 생략하겠다.

7. 공부할때 나무만 보지말고 기계공학의 숲을 봐라

기계공학이 왜 취업이 잘될까?

활용범위가 엄청 넓고 그만큼 배우는게 엄청나게 많기 때문이다.

4년내내 정규학기나 방학이나 새벽부터 새벽까지 도서관에서 공부하는게 아니라면

학부수준이라 하더라도 기계공학의 전부를 배울수는 없다.

기계공학에서 뭘 배우는지 분야별로 확인하고,

큰 분야부터 조금씩 배워가면서 적성에 맞는 좁은 분야을 찾고,

그 분야에 해당하는 과목을 골라 수강하면서 파는걸 추천한다.

그럼 학부생이라도 나름대로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고, 전공에 대한 이해도는 이것저것 배운학생보다 훨씬 좋아진다.

* 물론 분야를 불문하고 기계공학도라면 정역학과 4대역학(재료역학, 열역학, 유체역학, 동역학)은 꼭 듣는게 좋고,

* 뭐가 맞는지 모르겠다면 위의 5대역학이랑 열전달, 시스템해석, 기계진동학, 자동제어, 기계요소설계 , 컴퓨터지원설계(CAD) 만 수강해도 취업하는데 어려움은 없을거다

* 어떤 분야를 파든지 수학은 기본이다. 수학은 어디에든 존재하며, 어디에든 쓰인다.

우리가

수능수학을 공부한 이유는 대학미적을 배우기 위함이고,

대학미적을 공부한 이유는 공업수학을 배우기 위함이며,

공업수학을 공부한 이유는 공학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수학잘하자

8. 기계과에 적성이 맞아서 다니는 사람은 거의 없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난 기계과랑 안맞는것 같아’라는 생각을 4년내내 하다가 졸업한다.

정말 너무너무너무너무 안맞는거 같다 싶으면, 1학년때 개열심히 공부하고, 교양 다 땡겨들어서 학점 높여서 2학년때 전과해라.

개인적인 견해로, 상대적으로 로드량은 적은데 취업은 잘되는과는 신소재공학인것 같다.

건축공학, 도시공학으로는 가지마라(제발)

그런데, 처음부터 지레겁부터 먹고 전과할 생각은 안했으면 좋겠다.

고3힘들다는 소리 중딩때부터 들어봤지만 막상해보니까 그런대로 할만했지?

군대도 그래. 무섭고 가기싫지만 막상가보면 또 그런대로 할만하다.

기계공학이라는 학문이 다른과에 비해 힘들건 사실이지만

그 안에서 재미와 적성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기계공학과 현실

출처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employment&no=1524041

학사기준) 몇년전만해도 전화기 중에서도 탑이라고 들었는데… 지금은 전자 컴퓨터한테 밀리고 앞으로도 전기차 수소차 전환때문에 기계공학과가 많이 가는 현차가 내연기관 개발중단+변속기 계발중단(여전히 섀시 설계에 인력 필요하긴 한데 기존 자동차 R&D에서 가장 중요한 엔진 변속기가 없어지면 수요가 많이 줄어듦)+전장,

자율주행 적용으로 기계는 수요 감소하고 전자 컴퓨터 수요 증가 하고 조선 금형 제철은 이미 ㅈ망하고 공기업은 점점 기계 티오 줄어들고(이건 전기도 마찬가지긴 한데) 그나마 남은데는 삼전 SK하닉같은 전자쪽 회사 설비직으로 가는수 밖에 없는데 그런 직군은 3교대거나 워라밸 근무환경 심각해서 대기업인데도 뛰쳐나오는 사람 많고…

물론 그거말고 눈 낮추면 여전하 기계거 안쓰이는곳은 없기 때문에 갈 수 있는데 문제는 그런데 갈 바에는 걍 9급치고 공무원하는게 낫고

기계는 절대 안망한다고 하는건 맞는 말인데 문제는 취업이고 취업에서는 학문의 중요성 따위보다 기업에서의 수요가 중요한데 기계공 졸업자는 맨날 똑같이 나오는데 수요가 기업들 수요가 줄어들어서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서 곡소리나오는듯

라고들 하던대 ㄹㅇ임?

기계공학과 현실 끝.

이제 기계공학과는 취업이 어려운 걸까? – 브런치

불과 몇 년 전, 기계공학과에 진학하는 것은 딱히 유별난 선택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주변 어른들은 취업이 잘되는 학과를 선택했다고 좋아하셨죠. 소위 취업 깡패라 불리던 ‘전화기’, 전기공학이나 화학공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던 학과였으니까요. 그래서 큰 고민 없이 기계공학과를 선택했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고학번이 되어서부터 였을까요? 기계공학과에 대한 관심이 학생들로부터 서서히 줄어드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대학원에 진학할 때는 기계공학과 학생들이 학과를 바꾸어 진학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어요. 단순히 기분 탓은 아니었던 것이 최근 제 모교 신입생 분들의 학과 선택 결과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선택할 수 있는 총 10개의 학과 중에 기계공학과가 무려 꼴찌를 기록한 건데요. 자연계열을 크게 선호하는 학생들이 있는 학교의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정말 충격적인 지표였습니다. ‘기계공학과는 이제 취업이 어려워진 걸까’ 하는 담론이 형성되어도 전혀 이상해 보이지 않았어요.

그럼에도 기계공학은 여전히 산업에 필요한 학문이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제조업과 같이 실제 세상에 존재하는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행위는 오래전부터 중요해 왔으니까요. 기계공학은 현실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의 움직임과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학문입니다. 그렇기에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폭발적인 수요가 있지는 않아도 항상 어디에나 필요한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실제 물성이 있는 제품을 만드는 산업현장과의 밀접한 정도를 따져 보면 그 중요성이 퇴색되기는 쉽지 않다고 봅니다. 더불어 이전에 인턴을 했을 때 한 팀원분께서 ‘정말 뛰어난 엔지니어는 기계공학과에서 주로 나오는 것 같다’는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학부과정에서 여러 분야를 폭넓게 배우는 만큼 복잡한 시스템을 마주하더라도,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해낼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러한 말씀을 해 주신 것이 아닐까 싶어요.

요즘 기계공학과의 취업이 어려워진 것은 학과에서 배우는 내용 의미가 퇴색되어서가 아니라, 시장이 크기가 줄어들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취업을 염두하고 있는 대학생의 입장에서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수요가 크게 늘어난 직종을 선택할 것인지, 앞으로도 꾸준히 수요가 존재할 만한 직종을 선택할 것인지 사이에서 분명한 정답은 당연히 없습니다. 수요가 많은 곳은 그만큼 사람이 몰려 경쟁이 치열할 수도 있고, 꾸준히 수요가 존재하는 곳은 같은 양의 질과 일을 하고도 다른 직종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대우를 받을 수도 있으니까요. 이런 상황에서 누군가는 수요가 충분한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어 내겠다고, 누군가는 공급이 줄어든 분야에서 내가 공급함으로써 가치를 인정받겠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을 겁니다.

11 thg 7, 2022 — 취업시장에서 바라보면 기계공학과의 수요가 줄어든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제조 기반의 산업보다는 IT 산업이 대두되어 관련학과인 전자공학과 …

  • Source: brunch.co.kr
  • Views: 52990
  • Publish date: 24 hours ago
  • Downloads: 88149
  • Likes: 9739
  • Dislikes: 3
  • Title Website: 이제 기계공학과는 취업이 어려운 걸까? – 브런치
  • Description Website: 11 thg 7, 2022 — 취업시장에서 바라보면 기계공학과의 수요가 줄어든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제조 기반의 산업보다는 IT 산업이 대두되어 관련학과인 전자공학과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기계공학과를 졸업하면 할 수 있는 7가지 직업

  • Source: Youtube
  • Views: 28314
  • Date: 2 minute ago
  • Download: 93202
  • Likes: 9177
  • Dislikes: 4

이제 기계공학과는 취업이 어려운 걸까?

불과 몇 년 전, 기계공학과에 진학하는 것은 딱히 유별난 선택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주변 어른들은 취업이 잘되는 학과를 선택했다고 좋아하셨죠. 소위 취업 깡패라 불리던 ‘전화기’, 전기공학이나 화학공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던 학과였으니까요. 그래서 큰 고민 없이 기계공학과를 선택했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고학번이 되어서부터 였을까요? 기계공학과에 대한 관심이 학생들로부터 서서히 줄어드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대학원에 진학할 때는 기계공학과 학생들이 학과를 바꾸어 진학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어요. 단순히 기분 탓은 아니었던 것이 최근 제 모교 신입생 분들의 학과 선택 결과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선택할 수 있는 총 10개의 학과 중에 기계공학과가 무려 꼴찌를 기록한 건데요. 자연계열을 크게 선호하는 학생들이 있는 학교의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정말 충격적인 지표였습니다. ‘기계공학과는 이제 취업이 어려워진 걸까’ 하는 담론이 형성되어도 전혀 이상해 보이지 않았어요.

취업시장에서 바라보면 기계공학과의 수요가 줄어든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제조 기반의 산업보다는 IT 산업이 대두되어 관련학과인 전자공학과나 컴퓨터공학과의 수요가 크게 상승하고 있으니까요. IT가 신대륙처럼 새롭게 개척되는 시장이기도 하고 생산과 배포에 컴퓨터와 인터넷만 있으면 되다 보니, 초기 비용이 많이 들고 확장이 비교적 어려운 제조 기반의 상품보다는 보다 큰 경제적 파급력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제 인터넷을 넘어 블록체인이나 메타버스와 같은 산업도 떠오르기 시작했으니 IT 산업의 강세는 당분간 이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연스레 관련 학과의 진학률도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 같아요.

이러한 흐름에서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기계공학과 출신들의 취업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커져가는 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내용을 전통적인 기계공학과에서는 주로 다루지 않으니까요. 안 그래도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연봉이 엄청나게 치솟는 요즘이다 보니, 같이 졸업한 친구들이 훨씬 더 많은 연봉을 받고 있는 것을 보면 학과를 잘못 선택한 건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체의 상호작용과 움직임을 분석하고 물리적인 시스템에 대한 직관을 기르는 일이 고리타분하게 느껴집니다.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별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닌지 고민이 되는 게 당연합니다.

그럼에도 기계공학은 여전히 산업에 필요한 학문이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제조업과 같이 실제 세상에 존재하는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행위는 오래전부터 중요해 왔으니까요. 기계공학은 현실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의 움직임과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학문입니다. 그렇기에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폭발적인 수요가 있지는 않아도 항상 어디에나 필요한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실제 물성이 있는 제품을 만드는 산업현장과의 밀접한 정도를 따져 보면 그 중요성이 퇴색되기는 쉽지 않다고 봅니다. 더불어 이전에 인턴을 했을 때 한 팀원분께서 ‘정말 뛰어난 엔지니어는 기계공학과에서 주로 나오는 것 같다’는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학부과정에서 여러 분야를 폭넓게 배우는 만큼 복잡한 시스템을 마주하더라도,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해낼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러한 말씀을 해 주신 것이 아닐까 싶어요.

요즘 기계공학과의 취업이 어려워진 것은 학과에서 배우는 내용 의미가 퇴색되어서가 아니라, 시장이 크기가 줄어들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취업을 염두하고 있는 대학생의 입장에서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수요가 크게 늘어난 직종을 선택할 것인지, 앞으로도 꾸준히 수요가 존재할 만한 직종을 선택할 것인지 사이에서 분명한 정답은 당연히 없습니다. 수요가 많은 곳은 그만큼 사람이 몰려 경쟁이 치열할 수도 있고, 꾸준히 수요가 존재하는 곳은 같은 양의 질과 일을 하고도 다른 직종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대우를 받을 수도 있으니까요. 이런 상황에서 누군가는 수요가 충분한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어 내겠다고, 누군가는 공급이 줄어든 분야에서 내가 공급함으로써 가치를 인정받겠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을 겁니다.

이미 지나간 일 이기도 하지만, 저는 제가 전공한 기계공학에 대해 크게 후회하지 않습니다. 세상에 실제로 존재하는 무엇인가를 이해하며 만들어 낼 수 있는 학문을 배웠고, 이를 바탕으로 IT산업 쪽의 지식까지 습득한다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으리라는 나름의 뿌듯함과 자신감이 있거든요. 무엇보다도 시장의 크기보다 중요한 것은 제 자신의 실력이라 생각합니다. 아무리 작은 시장이라도 저의 실력이 월등하다면 어디든 취업할 수 있을 테니까요. 그래서 저는 당분간 이 학문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기 위해 노력하려고 합니다. 산업의 불운만을 탓하기에는 저의 실력이 아직 많이 모자라니까요.

취업및진로 – 기계공학과 – 전북대학교

기계공학은 모든 공학의 토대가 되는 학문으로써 전 산업 분야에서 제품 개발, 설계, 생산가공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기계 산업뿐만 아니라 토목, 건축, 조선, 우주항공 등의 분야에서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컴퓨터를 포함한 반도체산업, 전자산업, 재료산업인 제철/철강 산업체에 이르기까지 가장 많은 인력을 구성하고 있는 등 모든 산업분야에서 기계공학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업무영역에 있어서도 산업체에서의 제품개발, 기술개발, 기초연구 수행에서부터 연구소에서의 기초 및 응용연구, 교수로서 대학교육 참여, 또는 자체적인 기업체 설립운영, 그리고 더 나아가 공직자로서의 국가개발 계획수립과 변리사 등의 기술전문직까지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서 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현재 각 분야에서의 필요한 졸업생들의 구인요청이 끊이지 않고 있다.

보통 기계공학과라고 하면 제일 먼저 기계를 떠오르게 된다. 하지만 기계를 직접 용접하고, 기름칠 하고, 옮기고 하는 일을 배우는게 아니라 기계를 설계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과이다. 따라서 기계에 관련되 모든 학문 즉, 열에관한 열역학, 힘과 운동에 관한 동역학, 응력과 변형에 관한 재료학 등 역학과목과 기계제어에 필요한 자동제어, 해석에 필요한 수치해석, 프로그램밍 등등 기계의 설계, 생산, 설치, 실행 등에 필요한 모든 학문을 총체적으로 배우는 학과이다. 따라서 수학, 과학을 기초로 많은 학문을 배워야 한다.

건설기계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설재료시험기사, 건축설비기사, 공업계측제어기사, 공정관리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기계공정설계기사, 농업기계기사, 누설비파괴검사기사, 메카트로닉스기사, 소방설비기사, 승강기기사, 열관리기사, 용접기사, 일반기계기사, 자동차검사기사, 조선기사, 철도차량기사, 치공구설계기사, 폐기물처리기사, 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항공기사 등.

보통 기계공학과라고 하면 제일 먼저 기계를 떠오르게 된다. … 취업분야. 자동차, 항공기, 선반 생산 기업체 및 부품 생산 기업체; 제철, 산업기계 및 공작기계 생산 …

  • Source: me.jbnu.ac.kr
  • Views: 20683
  • Publish date: 18 hours ago
  • Downloads: 86677
  • Likes: 2254
  • Dislikes: 4
  • Title Website: 취업및진로 – 기계공학과 – 전북대학교
  • Description Website: 보통 기계공학과라고 하면 제일 먼저 기계를 떠오르게 된다. … 취업분야. 자동차, 항공기, 선반 생산 기업체 및 부품 생산 기업체; 제철, 산업기계 및 공작기계 생산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기계공학과 취업 떡락,,, 문과만도 못하다고? 기계공학과 취업 떡락의 현실 (몽과장의 고민상담)

  • Source: Youtube
  • Views: 65160
  • Date: 52 minute ago
  • Download: 97765
  • Likes: 6079
  • Dislikes: 7

/WEB-INF/jsp/k2web/com/cop/site/layout.jsp

me_sub

기계공학과란?

보통 기계공학과라고 하면 제일 먼저 기계를 떠오르게 된다. 하지만 기계를 직접 용접하고, 기름칠 하고, 옮기고 하는 일을 배우는게 아니라 기계를 설계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과이다. 따라서 기계에 관련되 모든 학문 즉, 열에관한 열역학, 힘과 운동에 관한 동역학, 응력과 변형에 관한 재료학 등 역학과목과 기계제어에 필요한 자동제어, 해석에 필요한 수치해석, 프로그램밍 등등 기계의 설계, 생산, 설치, 실행 등에 필요한 모든 학문을 총체적으로 배우는 학과이다. 따라서 수학, 과학을 기초로 많은 학문을 배워야 한다.

기계공학과를 졸업하면 어떠한 일을 하게 되는가?

기계공학은 모든 공학의 토대가 되는 학문으로써 전 산업 분야에서 제품 개발, 설계, 생산가공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기계 산업뿐만 아니라 토목, 건축, 조선, 우주항공 등의 분야에서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컴퓨터를 포함한 반도체산업, 전자산업, 재료산업인 제철/철강 산업체에 이르기까지 가장 많은 인력을 구성하고 있는 등 모든 산업분야에서 기계공학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업무영역에 있어서도 산업체에서의 제품개발, 기술개발, 기초연구 수행에서부터 연구소에서의 기초 및 응용연구, 교수로서 대학교육 참여, 또는 자체적인 기업체 설립운영, 그리고 더 나아가 공직자로서의 국가개발 계획수립과 변리사 등의 기술전문직까지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서 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현재 각 분야에서의 필요한 졸업생들의 구인요청이 끊이지 않고 있다.

취득 가능한 자격증

건설기계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설재료시험기사, 건축설비기사, 공업계측제어기사, 공정관리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기계공정설계기사, 농업기계기사, 누설비파괴검사기사, 메카트로닉스기사, 소방설비기사, 승강기기사, 열관리기사, 용접기사, 일반기계기사, 자동차검사기사, 조선기사, 철도차량기사, 치공구설계기사, 폐기물처리기사, 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항공기사 등.

취업분야

자동차, 항공기, 선반 생산 기업체 및 부품 생산 기업체

제철, 산업기계 및 공작기계 생산 기업체

기계류 생산 기업체 (설계, 생산, 자재, 개발, 영업, 공장관리)

국가기간 산업체

기술직 공무원 및 국가출원 연구소

자동화, 기계화된 반도체, 전자, 화학 등 전 산업체

창업 (설계, 자동화, 금형 등 전문분야별)

업종별 선호학과(연합뉴스)

기계공학과 취업 현실과 후기 알려드립니다(ft.메타버스가 온다)

기계공학 출신들은 반도체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반도체 쪽 출신들이 말도 안 되는 요구를 하게 되면 이해가 안 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서로 협의가 필요한데, 우리나라 종족 특성상 협의할 마음가짐이 없습니다. 반도체 분야에서 기계공학 출신들이 연봉을 올리려면 반도체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아야 받고,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회사든 산업분야든 본인이 주도적인 위치에 있으려면 핵심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IT산업이 오기 전까지만 해도 컴퓨터공학이나 전자공학 출신들은 기를 펴고 살지를 못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제야 산업이 빛을 발하면서 연봉이나 처우가 높아졌을 뿐입니다. 사실 정확한 내막을 들여다보면 아는 지인이 하는 얘기가 야근을 엄청 한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제는 스마트폰 시대를 넘어서 산업환경 자체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말에 의하면 메타버스 환경이 구축되는 시기는 2025년 내외로 보고 있습니다. 3대 역학, 재료물성을 배우는데 지쳐있는 기계공학도 들에게 또 다른 배울 거리가 생겨버리는 꼴이 되는데, 코딩이라도 배워놓아야 하는 것일까요?

4 thg 10, 2021 — 기계공학과 취업률. 2019년도 데이터를 보면 기계공학 전공으로 대학에 지원한 인원수는 9만 2천 명 정도 되고, 이 중에서 입학한 …

  • Source: cd3504.tistory.com
  • Views: 11305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72952
  • Likes: 1001
  • Dislikes: 9
  • Title Website: 기계공학과 취업 현실과 후기 알려드립니다(ft.메타버스가 온다)
  • Description Website: 4 thg 10, 2021 — 기계공학과 취업률. 2019년도 데이터를 보면 기계공학 전공으로 대학에 지원한 인원수는 9만 2천 명 정도 되고, 이 중에서 입학한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공대생들의 졸업 후 진로 21가지 총정리 | 공신위 진로#1 (1부)

  • Source: Youtube
  • Views: 55599
  • Date: 35 minute ago
  • Download: 89679
  • Likes: 385
  • Dislikes: 3

기계공학과 취업 현실과 후기 알려드립니다(ft.메타버스가 온다)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지 어느덧 10년이 다되어가는데, 요즘에 기계공학과 졸업생들이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모습을 보고 있자면 굉장히 불안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위기일 때 오히려 기회가 온다라는 말이 떠오르곤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취업 현실과 후기에 대해서 공유를 하려고 합니다.

요즘에는 인공지능, 메타버스, 반도체가 세상을 독식해버리고 있기 때문에 한때 우리나라를 점령했었던 기계공학 출신들 뿐만 아니라 후배분들도 또한 경악을 금치 못할 것입니다. 그런데 고리타분하게 변하지 않는 세상에서 독식하는 것보다 변화 속에서 기계공학에 대한 역량을 발전시키는 것도 공학도 입장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저 또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동을 해보지는 못했지만, 여러 번 이직한 경험을 토대로 기계공학과 졸업생들의 취업 현실을 알려드리고, 현재 변화하고 있는 세상에서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지 조언을 해드리겠습니다.

기계공학과 취업률

2019년도 데이터를 보면 기계공학 전공으로 대학에 지원한 인원수는 9만 2천 명 정도 되고, 이 중에서 입학한 사람은 1만 명 정도 된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취업을 하는 비율은 90%가 넘어가고,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비율이 10%도 안된다고 합니다. 남녀 성비는 여전히 남자가 90% 정도로 우세합니다.

첫 직장의 월평균 금액은 200만 원선으로, 특별하게 다른 분야에 비해서 대우를 받는다거나 그러지는 않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메타버스 관련 산업이 발전하면서 프로그래머, 웹 개발자 등의 IT 엔지니어들의 연봉이 오르고 있는 추세이지만, 아시다시피 회사는 연봉을 올리는 만큼 성과가 나와야 하기 때문에 출퇴근의 자유가 없습니다.

기계공학과라고 해서 나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좋은 대우를 받는 것도 아니다는 것을 인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결국에는 기업의 규모에 따라서 연봉이나 복지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취업 후기와 진로 계획

공무원이 최고?

아마 최근에 졸업하신 기계공학 출신들은 공무원 또는 군무원, 아니면 공기업으로 취업 준비를 하실 겁니다. 제 후배들을 만나보거나 주변에 소식들을 들어보면 기계공학을 전공해서 취업을 하더라도 일은 더러운데, 대우를 받지 못하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안정적인 직업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저 또한 군무원 기계직을 준비해본 경험이 있고, 공부를 하면서 이쪽 분야에 대한 소식을 많이 듣게 되었습니다. 사람 성향마다 다르긴 하지만, 고등학교든 대학교든 기계 관련 전공을 선택해놓고 내 취향이나 성격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이 드는 사람들에게는 공공분야로 취업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학교를 다니면서 전공 커리어를 쌓는 시간도 결국 본인이 투자를 한 것이기 때문에 아예 다른 전공으로 방향을 트는 것은 위험요소가 큽니다. 내가 게임을 여러 번 할 수 있는 생명이 많다면 도전해볼 만도 하지만, 일반적인 가정에서 태어났다면 그 기회는 많지가 않을 것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도, 기계공학을 졸업해서 더 발전하는 것보다 안정적인 직업을 원한다면 한수원, 한전 등의 굵직한 공기업으로 취업 준비를 하는 것이 본인의 남의 인생을 역전시킬 수 있는 첫 단계인 것 같습니다.

전통산업이 무너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오기 전에 우리나라는 건설, 자동차, 항공, 선박 등 전통 기계 쟁이들이 즐비한 전통산업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그런데 세상이 점차 변화하면서 발전하지 못하는 분야들이 하나둘씩 쓰러져가기 시작했고, 이런 현상들이 자연스럽게 기계공학과를 선택했거나 졸업하신 분들에게도 타격이 오기 시작했습니다.

적어도 대학교를 다니면서 4~5년 넘게 취업 진로를 한 분야로 생각했었는데, 갑자기 방향을 틀어야 하는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새로운 분야이기 때문에 모두에게 동등한 기회가 주어지는 것일 수도 있지만, 새로운 것을 또 받아들여야 하는 부담감도 만만치 않습니다.

단편적인 예로, 저 같은 경우에는 건설 쪽 설계를 담당하다가 의료분야, 반도체 분야 등 다양하게 경험했는데 각자 설계하는 방식이 다르고, 제가 쌓아온 기술적인 근본까지 변화를 줘야 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기계공학과 반도체 취업

기계공학 출신이라면 현대, 기아자동차 밑에는 수많은 1차 밴더, 2차 밴더가 있는 것을 아실 겁니다. 반도체 분야도 마찬가지인데요. 모든 분야가 그렇듯이 상위 레벨에 있는 기업들에게 집중되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종족 특성상 위아래가 성립이 되어야 일이 잘되는 것 때문에 실력보다는 아부에 치중하는 경우가 많죠.

반도체를 만드는 것은 삼성전자가 하지만, 거기에 들어가는 장비와 부품들은 삼성이 전부 만들지 않습니다. 자동차 산업과 다른 점이 바로 이것인데, 유일하게 슈퍼을 이 존재하는 곳이기도 합니다.(ASML)

그런데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반도체와 관련된 모든 기업들은 기계공학 출신들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눈으로 보는 모든 제품들은 생산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기계공학과 출신들이 누구보다 유리한 것은 사실입니다.

재료공학과나 전자공학 사람들이 CAD나 3D 모델링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죠.

그런데, 반도체 산업의 핵심인력들은 재료공학 또는 전자공학 출신들입니다. 왜냐하면 반도체를 설계하고 연구하는 인력들이 전부 이쪽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반도체를 안정적으로 생산해내려면 기계공학 출신들이 필요한데, 자신들의 말을 들어줄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내가 이렇게 하라고 하면 이렇게 해줄 사람이 필요한 것이죠.

여기에서 충돌이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기계공학 출신들은 반도체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반도체 쪽 출신들이 말도 안 되는 요구를 하게 되면 이해가 안 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서로 협의가 필요한데, 우리나라 종족 특성상 협의할 마음가짐이 없습니다. 반도체 분야에서 기계공학 출신들이 연봉을 올리려면 반도체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아야 받고,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앞서 얘기한 대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전통과 기술들을 내려놓아야 하죠.

그러면, 새로운 도전을 위해 대학원 진학을 알아봐야 할까요?

공대 대학원 진학 장점 분석 편

메타버스가 온다

4차 산업혁명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제는 스마트폰 시대를 넘어서 산업환경 자체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말에 의하면 메타버스 환경이 구축되는 시기는 2025년 내외로 보고 있습니다. 3대 역학, 재료물성을 배우는데 지쳐있는 기계공학도 들에게 또 다른 배울 거리가 생겨버리는 꼴이 되는데, 코딩이라도 배워놓아야 하는 것일까요?

회사든 산업분야든 본인이 주도적인 위치에 있으려면 핵심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IT산업이 오기 전까지만 해도 컴퓨터공학이나 전자공학 출신들은 기를 펴고 살지를 못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제야 산업이 빛을 발하면서 연봉이나 처우가 높아졌을 뿐입니다. 사실 정확한 내막을 들여다보면 아는 지인이 하는 얘기가 야근을 엄청 한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실제로 네이버와 카카오 내에서도 근무시간과 관련해서 말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남의 전공은 이 정도로 마무리를 하고요. 기계공학과 얘기를 좀 해봐야 합니다.

사실 IT기업에서 기계공학 출신들이 할 수 있는 직무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굳이 한 가지 꼽자면 데이터센터를 관리하는 시설관리 직무에 도전을 해볼 수 있겠네요. 물론 시설관리직도 괜찮은 직업 중에 하나이긴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방향성과는 거리가 좀 멉니다.

산업안전관리 쪽으로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전공을 하신 분들에게 오히려 맞는 직무일 수 있습니다.

우리 기계공학 출신들은 설계, 품질, 생산 등 제품이 만들어지는 일련의 과정들에서 하나라도 빠질 수 없는 인재들입니다. 이건 절대로 바뀔 수 없는 사실이고, 앞으로도 영원히 그럴 것입니다. 그런데, 최근 산업 트렌드를 보면 이번 주제처럼 메타버스와 같이 IT산업분야에서는 제조기반의 시설을 굳이 갖출 이유가 없습니다.

페이스북처럼 메타버스 AR, 가상현실을 구현해내기 위해서 오큘러스 안경을 출시하겠다고 발표를 하고, 연이어 애플이나 구글, 심지어 우리나라 삼성, LG에서도 기술 흐름을 따라가고 있죠. 페이스북만 놓고 볼까요?. 여기는 온라인 플랫폼 산업을 주로 하는 곳입니다. 초반부터 오큘러스 안경을 만들기 위해서 기계공학 출신들을 뽑을 이유가 없죠.

왜냐하면 메타버스 기술을 구현하는 안경에 불과한데, 이건 다른 외주업체에 맡겨서 시제품을 만들어보고, 양산단계로 거칠 때쯤에 우리가 생산시설을 별도로 구축할지 아니면 외주업체에서 받아올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눈치를 채셨나요? IT산업분야에서는 기계공학 출신들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돈을 주고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면 그만인 것입니다.

그럼 이 흐름 속에서 우리의 역할과 방향을 어느 정도 확인하셨을까요? IT산업분야의 굵직한 기업들을 상대로 맞춤형 제작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에 취업을 하든지, 본인이 능력이 된다면 창업을 통해서 시장 판로를 개척하면 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제조분야도 3D 프린팅 기술 덕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실제로 거대한 설비를 들여오기 위해서 땅을 구매하고, 시설을 확충하고, 필요한 인력을 채용하는 일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과거에는 몸빵으로 밀어붙였는데, 이제는 그렇게 하면 살아남지 못한다는 소리입니다.

핵심 정리

말이 길어졌는데, 정리하면 핵심은 현재 세상의 중심이 되고 있는 산업분야는 전통 기계분야가 아닙니다. 널린 것이 기계공학 출신이고, 실력으로 인정받기에는 가치가 너무 낮아졌습니다. 그렇다고 남 탓을 하면서 손을 놓고 있으면 안 되고, 위기가 찾아왔을 때 새로운 먹거리를 찾으면서 기회를 만들어내는 사람이 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오히려 잘 된 것이라고 보입니다. 이미 기계공학 분야는 고일 때로 고여버렸기 때문에 오히려 모든 사람들이 원점에서 능력을 재평가받을 수 있는 공평한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도움되는 글” 더보기

대학교 생활비, 취업준비자금 등이 필요하다면?

대학생을 위한 정부지원금 알아보기

▶ “흥미로운 글” 더보기

파트너스 활동으로 일정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Pgr21 – [일반] 기계공학과는 어쩌다 취업이 어려워졌는가?

4 thg 2, 2022 — 먹구름은 조선업, 중공업, 플랜트 등 기계과의 전성기를 뒤받치던 산업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의 변화를 나름대로 14학번 기계공학도 기 …

  • Source: pgr21.com
  • Views: 97866
  • Publish date: 1 hours ago
  • Downloads: 44177
  • Likes: 572
  • Dislikes: 8
  • Title Website: Pgr21 – [일반] 기계공학과는 어쩌다 취업이 어려워졌는가?
  • Description Website: 4 thg 2, 2022 — 먹구름은 조선업, 중공업, 플랜트 등 기계과의 전성기를 뒤받치던 산업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의 변화를 나름대로 14학번 기계공학도 기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기계공학과 취업률이 폭락하는 이유 (대기업12년차 몽과장의 고민상담)

  • Source: Youtube
  • Views: 65184
  • Date: 25 minute ago
  • Download: 21573
  • Likes: 545
  • Dislikes: 6

기계공학과 – 데이터시각화

2020년을 기준으로, 기계공학과 졸업 후 평균 취업률은 68.9% 였고, 남성은 69.6%, 여성은 62.4%로 취업하였습니다. 기계공학과 졸업생의 65.2%가 진로를 취업으로 하였고, …

  • Source: datakorea.datastore.or.kr
  • Views: 95400
  • Publish date: 18 hours ago
  • Downloads: 100643
  • Likes: 9678
  • Dislikes: 6
  • Title Website: 기계공학과 – 데이터시각화
  • Description Website: 2020년을 기준으로, 기계공학과 졸업 후 평균 취업률은 68.9% 였고, 남성은 69.6%, 여성은 62.4%로 취업하였습니다. 기계공학과 졸업생의 65.2%가 진로를 취업으로 하였고,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기계공학과 출신 현 연구원의 취업스토리 | 연봉, 직무, 자격증

  • Source: Youtube
  • Views: 98203
  • Date: 32 minute ago
  • Download: 101093
  • Likes: 8906
  • Dislikes: 7

기계공학과 – 나무위키

4 ngày trước — 기계공학 전공자들의 취업률이 높은 이유는 진출할 수 있는 산업분야가 넓기 때문인데, 자동차·항공우주·조선·철도차량·금속·철강·발전설비·냉공조· …

  • Source: namu.wiki
  • Views: 27364
  • Publish date: 12 hours ago
  • Downloads: 3819
  • Likes: 8212
  • Dislikes: 8
  • Title Website: 기계공학과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4 ngày trước — 기계공학 전공자들의 취업률이 높은 이유는 진출할 수 있는 산업분야가 넓기 때문인데, 자동차·항공우주·조선·철도차량·금속·철강·발전설비·냉공조·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기계공학과 진로고민 – 반도체, 항공기, 현엔 삼엔, 지방 발전 공기업, 9급 행정공무원, 공대 자퇴 후 초등교사

  • Source: Youtube
  • Views: 90524
  • Date: 13 hours ago
  • Download: 42695
  • Likes: 6228
  • Dislikes: 1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기계 공학과 취업

Bing에서 기계 공학과 취업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기계 공학과 취업.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기계 공학과 취업 기계공학과 취업 현실, 기계공학과 졸업 후 진로, 기계공학과 취업 후기, 기계공학과 취업 스펙, 기계공학과 취업 기업, 4년제 기계공학과 취업, 기계공학과 취업 준비,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취업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