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리눅스 cpu 확인“?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382+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리눅스 cpu 확인 리눅스 CPU, 메모리 확인, 리눅스 코어수 확인, 리눅스 CPU 사용량 모니터링, 리눅스 RAM 확인, 리눅스 CPU 코어 확인, 리눅스 CPU 확인 명령어, 리눅스 서버 CPU 사용률 확인, 리눅스 코어별 cpu 사용률 확인
CPU 유형을 결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proc/cpuinfo 가상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proc/cpuinfo 파일을 사용하여 프로세서 유형을 식별하려면 추가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Table of Contents
Linux : CPU 정보 조회, 확인 방법, 예제, 명령어
시스템에 있는 CPU의 종류와 CPU 속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 본 적이 있습니까? 시스템 내부에 있는 CPU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커널 모듈을 로드하거나 하드웨어 관련 문제를 디버깅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이든 Linux에서는 명령줄에서 프로세서 유형과 속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ource: jjeongil.tistory.com
- Views: 98269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100236
- Likes: 8705
- Dislikes: 4
- Title Website: Linux : CPU 정보 조회, 확인 방법, 예제, 명령어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35946
- Date: 4 minute ago
- Download: 73095
- Likes: 7049
- Dislikes: 9
Linux : CPU 정보 조회, 확인 방법, 예제, 명령어
CPU(중앙 처리 장치)는 종종 단순 프로세서라고 불리며 컴퓨터의 필수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모든 유형의 데이터 처리 작업을 수행하며, 종종 컴퓨터의 뇌라고 합니다.
시스템에 있는 CPU의 종류와 CPU 속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 본 적이 있습니까? 시스템 내부에 있는 CPU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커널 모듈을 로드하거나 하드웨어 관련 문제를 디버깅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이든 Linux에서는 명령줄에서 프로세서 유형과 속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nux : CPU 정보 조회, 확인 방법, 예제, 명령어
Linux CPU 정보 확인
CPU 유형을 결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proc/cpuinfo 가상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proc/cpuinfo 파일을 사용하여 프로세서 유형을 식별하려면 추가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용 중인 Linux 배포에 관계없이 작동합니다.
터미널을 열고 덜 사용하거나 cat을 사용하여 /proc/cpu 정보의 내용을 표시합니다.
less /proc/cpuinfo
명령어는 식별 번호를 가진 각 논리적 CPU를 인쇄합니다. 예를 들어 코어 프로세서가 8개인 경우 0에서 7까지 시작하는 모든 코어 목록이 표시됩니다. 다음은 출력의 예입니다.
# processor : 0 # vendor_id : GenuineIntel # cpu family : 6 # model : 142 # model name : Intel(R) Core(TM) i5-8250U CPU @ 1.60GHz # stepping : 10 # microcode : 0x96 # cpu MHz : 700.120 # cache size : 6144 KB # physical id : 0 # siblings : 8 # core id : 0 # cpu cores : 4 # apicid : 0 # initial apicid : 0 # fpu : yes # fpu_exception : yes # cpuid level : 22 # wp : yes # flags : 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syscall nx pdpe1gb rdtscp lm constant_tsc art arch_perfmon pebs bts rep_good nopl xtopology nonstop_tsc cpuid aperfmperf tsc_known_freq pni pclmulqdq dtes64 monitor ds_cpl vmx est tm2 ssse3 sdbg fma cx16 xtpr pdcm pcid sse4_1 sse4_2 x2apic movbe popcnt tsc_deadline_timer aes xsave avx f16c rdrand lahf_lm abm 3dnowprefetch cpuid_fault epb invpcid_single pti ssbd ibrs ibpb stibp tpr_shadow vnmi flexpriority ept vpid fsgsbase tsc_adjust bmi1 avx2 smep bmi2 erms invpcid mpx rdseed adx smap clflushopt intel_pt xsaveopt xsavec xgetbv1 xsaves dtherm ida arat pln pts hwp hwp_notify hwp_act_window hwp_epp flush_l1d # bugs : cpu_meltdown spectre_v1 spectre_v2 spec_store_bypass l1tf # bogomips : 3600.00 # clflush size : 64 # cache_alignment : 64 # address sizes : 39 bits physical, 48 bits virtual # power management: # # …
프로세서 – 0부터 시작하는 각 프로세서의 고유 식별 번호입니다.
모델 이름 – 프로세서 브랜드를 포함한 프로세서의 전체 이름입니다. 사용 중인 CPU의 정확한 유형을 알게 되면 프로세서 사양에 대한 제품 설명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래그 – CPU 기능입니다. 여기서 모든 기능 목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출력을 필터링하려면 grep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할 프로세서 이름만 표시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grep -m 1 ‘model name’ /proc/cpuinfo model name : Intel(R) Core(TM) i5-8250U CPU @ 1.60GHz
CPU 수를 인쇄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grep -c ‘model name’ /proc/cpuinfo # 8
소스에서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해야 할 때 CPU 수를 아는 것이 편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병렬 프로세스 수를 알고자 합니다. CPU 수를 찾는 또 다른 방법은 nproc 명령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nproc # 8
lscpu 를 사용하여 CPU 정보를 확인
lscpu는 CPU 아키텍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줄 유틸리티입니다. lscpu는 모든 Linux 배포 환경에 설치되는 util-linux 패키지의 일부입니다.
셸 프롬프트에서 lscpu를 입력합니다.
lscpu
CPU 수, 아키텍처, 벤더, 제품군, 모델, 속도, 캐시, 플래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Architecture: x86_64 # CPU op-mode(s): 32-bit, 64-bit # Byte Order: Little Endian # CPU(s): 8 # On-line CPU(s) list: 0-7 # Thread(s) per core: 2 # Core(s) per socket: 4 # Socket(s): 1 # NUMA node(s): 1 # Vendor ID: GenuineIntel # CPU family: 6 # Model: 142 # Model name: Intel(R) Core(TM) i5-8250U CPU @ 1.60GHz # Stepping: 10 # CPU MHz: 593.577 # CPU max MHz: 3400.0000 # CPU min MHz: 400.0000 # BogoMIPS: 3600.00 # Virtualization: VT-x # L1d cache: 32K # L1i cache: 32K # L2 cache: 256K # L3 cache: 6144K # NUMA node0 CPU(s): 0-7 # Flags: 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syscall nx pdpe1gb rdtscp lm constant_tsc art arch_perfmon pebs bts rep_good nopl xtopology nonstop_tsc cpuid aperfmperf tsc_known_freq pni pclmulqdq dtes64 monitor ds_cpl vmx est tm2 ssse3 sdbg fma cx16 xtpr pdcm pcid sse4_1 sse4_2 x2apic movbe popcnt tsc_deadline_timer aes xsave avx f16c rdrand lahf_lm abm 3dnowprefetch cpuid_fault epb invpcid_single pti ssbd ibrs ibpb stibp tpr_shadow vnmi flexpriority ept vpid fsgsbase tsc_adjust bmi1 avx2 smep bmi2 erms invpcid mpx rdseed adx smap clflushopt intel_pt xsaveopt xsavec xgetbv1 xsaves dtherm ida arat pln pts hwp hwp_notify hwp_act_window hwp_epp flush_l1d
/proc/cpuinfo 파일의 내용과 달리 lscpu 출력에 모든 논리적 CPU 목록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시스템 CPU에 대한 정보를 찾는 방법을 보여드렸습니다. 또한 dmidecode, hardinfo 및 lshw와 같은 CPU 이름 및 벤더를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도구도 있지만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Linux 시스템에 설치되지 않습니다.
[리눅스] CPU 정보 확인 – Hello IT World! – 티스토리
-> siblings의 값이 cpu cores 값의 2배 라면 Hyper Threading이 활성화 된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 하이퍼스레딩에 의해 OS(윈도우, 리눅스 등)에서 코어 수가 실제 코어 수의 2배로 인식됩니다.
#] cat /proc/cpuinfo | egrep ‘siblings|cpu cores’ | head -2
리눅스는 각종 정보들을 파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cpuinfo 파일에 cpu 정보들이 담겨져 있습니다. 명령어를 통해서 cpu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Source: letitkang.tistory.com
- Views: 30607
- Publish date: 11 minute ago
- Downloads: 1284
- Likes: 3934
- Dislikes: 8
- Title Website: [리눅스] CPU 정보 확인 – Hello IT World!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리눅스는 각종 정보들을 파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cpuinfo 파일에 cpu 정보들이 담겨져 있습니다. 명령어를 통해서 cpu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top 명령어 파악하기 2편 (Cpu% / Mem%)
- Source: Youtube
- Views: 37456
- Date: 7 hours ago
- Download: 108817
- Likes: 6609
- Dislikes: 2
Hello IT World! :: [리눅스] CPU 정보 확인
오늘은 리눅스의 cpu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는 각종 정보들을 파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cpuinfo 파일에 cpu 정보들이 담겨져 있습니다.
명령어를 통해서 cpu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cpu 정보 확인 명령어
#]cat /proc/cpuinfo
2. 용어
위의 결과에서 중요한 것들이 몇개 있습니다.
processor, model name, siblings, cpu cores 정도만 알아 두면 됩니다.
3. CPU 코어 정보 확인 명령어
1) CPU 코어 전체 개수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4
->현재 PC의 가상 CPU 코어 수는 4개 입니다.
2) 물리 CPU 개수
#] grep ^processor /proc/cpuinfo | wc -l
4
-> 현재 PC의 물리 CPU 수는 4개 입니다.
3) CPU 당 물리 코어 개수
#]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4
-> 현재 PC의 CPU 당 물리 코어 개수는 4개 입니다.
4) Hyper Threading 여부
#] cat /proc/cpuinfo | egrep ‘siblings|cpu cores’ | head -2
siblings : 4
cpu cores : 4
-> siblings의 값이 cpu cores 값의 2배 라면 Hyper Threading이 활성화 된 것이다.
Hyper Threading이 활성화 되면, 물리코어 1개를 논리적으로 코어 2개처럼 작동되도록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 하이퍼스레딩에 의해 OS(윈도우, 리눅스 등)에서 코어 수가 실제 코어 수의 2배로 인식됩니다.
[Linux] Linux(리눅스)에서 CPU 정보 확인 방법 – :: IT School ::
Linux(리눅스)에서 많은 방법으로 CPU 정보를 알 수 있으나, 특별한 패키지 설치 없이 Linux(리눅스) 내 기본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다.
$ cat /proc/cpuinfo | grep ‘core id’ core id : 0 core id : 1 core id : 2 core id : 3
Linux(리눅스)에서 제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proc/cpuinfo” 명령어를 통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7 thg 6, 2020 — Linux(리눅스)에서 많은 방법으로 CPU 정보를 알 수 있으나, 특별한 패키지 설치 없이 Linux(리눅스) 내 기본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 …
- Source: info-lab.tistory.com
- Views: 27445
- Publish date: 1 hours ago
- Downloads: 17455
- Likes: 9583
- Dislikes: 9
- Title Website: [Linux] Linux(리눅스)에서 CPU 정보 확인 방법 – :: IT School ::
- Description Website: 7 thg 6, 2020 — Linux(리눅스)에서 많은 방법으로 CPU 정보를 알 수 있으나, 특별한 패키지 설치 없이 Linux(리눅스) 내 기본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 …
- Source: Youtube
- Views: 62055
- Date: 10 hours ago
- Download: 72746
- Likes: 9145
- Dislikes: 4
[Linux] Linux(리눅스)에서 CPU 정보 확인 방법
간혹 사용중인 시스템의 CPU 정보(모델, 코어 갯수, 코어 속도등)에 대해서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Linux(리눅스) OS에서 CPU 정보를 확인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proc/cpuinfo
Linux(리눅스)에서 제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proc/cpuinfo” 명령어를 통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제 테스트 서버의 정보는 “i5-7500 3.40GHz” 이며, 각종 CPU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1.1 프로세스 갯수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구할 수 있다.
$ cat /proc/cpuinfo | grep processor | wc -l 4
1.2 코어 갯수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구할 수 있다.
$ cat /proc/cpuinfo | grep ‘core id’ core id : 0 core id : 1 core id : 2 core id : 3
2. lscpu
Linux(리눅스)에서 특별히 옵션등 필요 없이 간단한 CPU 정보를 보여주는 “lscpu” 명령어도 알아보도록 하자.
Linux(리눅스)에서 많은 방법으로 CPU 정보를 알 수 있으나, 특별한 패키지 설치 없이 Linux(리눅스) 내 기본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다.
[리눅스] 리눅스에서 CPU 정보 확인하기 – nota’s story – 티스토리
24 thg 1, 2013 — 1. CPU 코어 전체 개수 확인.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2. 물리 CPU 수 확인. >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 3. CPU …
- Source: nota.tistory.com
- Views: 97570
- Publish date: 8 hours ago
- Downloads: 108401
- Likes: 9198
- Dislikes: 8
- Title Website: [리눅스] 리눅스에서 CPU 정보 확인하기 – nota’s story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24 thg 1, 2013 — 1. CPU 코어 전체 개수 확인.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2. 물리 CPU 수 확인. >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 3. CPU …
리눅스 침해 사고 분석 – 프로세스 정보 확인 및 유용한 옵션
- Source: Youtube
- Views: 36706
- Date: 19 hours ago
- Download: 58458
- Likes: 8207
- Dislikes: 9
[Linux] CPU 정보 및 코어(core) 개수 확인 – 초록술 – 티스토리
CPU 모델 : Intel(R) Xeon(R) Gold 6226R CPU @ 2.90GHz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28 thg 7, 2021 — 리눅스 운영체제의 CPU 정보와 코어 개수 확인 아래 명령어와 예제를 확인 바랍니다. 1. CPU 확인 cat /proc/cpuinfo CPU 모델 : Intel(R) Xeon(R) …
- Source: greensul.tistory.com
- Views: 10092
- Publish date: 9 minute ago
- Downloads: 43828
- Likes: 1619
- Dislikes: 8
- Title Website: [Linux] CPU 정보 및 코어(core) 개수 확인 – 초록술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28 thg 7, 2021 — 리눅스 운영체제의 CPU 정보와 코어 개수 확인 아래 명령어와 예제를 확인 바랍니다. 1. CPU 확인 cat /proc/cpuinfo CPU 모델 : Intel(R) Xeon(R) …
컴퓨터 CPU 불량 확인 방법 (CPU 불량으로 나타나는 현상)
- Source: Youtube
- Views: 37556
- Date: 21 hours ago
- Download: 38984
- Likes: 1547
- Dislikes: 6
[Linux] CPU 정보 및 코어(core) 개수 확인
리눅스 운영체제의 CPU 정보와 코어 개수 확인
아래 명령어와 예제를 확인 바랍니다.
1. CPU 확인
cat /proc/cpuinfo
CPU 모델 : Intel(R) Xeon(R) Gold 6226R CPU @ 2.90GHz
2. CPU 전체 코어 개수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전체 코어 개수 : 64 개
3. 물리적 CPU 개수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CPU 개수 : 2개 (physical id 2개)
4. CPU 물리적 코어 개수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물리적 코어 개수 : 16개 (cpu cores)
참고. 인텔 CPU 상세 규격 확인 방법
리눅스(CentOS) CPU 개수 및 코어 수 확인하기
하이퍼 쓰레딩(hyper-threading)에 따른 CPU 전체 개수 확인에 혼란이 있을 수 있음
사용중인 분석 서버는 하이퍼 스레딩을 지원하고 있어 전체 코어수가 36개가 아닌 72개로 나타남
리눅스(CentOS)에서 CPU 개수 및 Core 수를 확인 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4 thg 3, 2021 — 리눅스(CentOS)에서 CPU 개수 및 Core 수를 확인 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현상 회사에서 사용하는 분석 서버의 스펙을 요청받아 상세 CPU …
- Source: didalsgur.tistory.com
- Views: 53000
- Publish date: 9 hours ago
- Downloads: 21130
- Likes: 799
- Dislikes: 4
- Title Website: 리눅스(CentOS) CPU 개수 및 코어 수 확인하기
- Description Website: 4 thg 3, 2021 — 리눅스(CentOS)에서 CPU 개수 및 Core 수를 확인 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현상 회사에서 사용하는 분석 서버의 스펙을 요청받아 상세 CPU …
내 컴퓨터 CPU 모델명 확인하는 방법, CPU 성능 순위 확인하기
- Source: Youtube
- Views: 57060
- Date: 22 hours ago
- Download: 100624
- Likes: 1217
- Dislikes: 2
리눅스(CentOS) CPU 개수 및 코어 수 확인하기
리눅스(CentOS)에서 CPU 개수 및 Core 수를 확인 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현상
회사에서 사용하는 분석 서버의 스펙을 요청받아 상세 CPU 정보 확인이 필요해 짐
조치
분석 서버(Linux)에서 아래 명령어들을 입력하여 상세 정보 확인
1. 물리적인 CPU 개수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2. CPU 1개 당 물리적인 코어(Core) 수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3. CPU 전체 코어 개수
사용중인 분석 서버는 하이퍼 스레딩을 지원하고 있어 전체 코어수가 36개가 아닌 72개로 나타남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참고사항
하이퍼 쓰레딩(hyper-threading)에 따른 CPU 전체 개수 확인에 혼란이 있을 수 있음
결과 전달시 해당 서버의 하이퍼 쓰레딩 지원 유무도 함께 전달 하는 것이 필요
관련 링크
[1] 리눅스 CPU당 코어(core) 수 확인 [2] 하이퍼 스레딩이란 무엇입니까?System Info.
Windows 10
Python 3.8.1
PyCharm 2020.3.3 (Community Edition)
R version 4.0.3 (2020-10-10)
RStudio Version 1.4.1103
JRE: 11.0.2+159 amd64
JVM: OpenJDK 64-Bit Server VM by JetBrains s.r.o
리눅스 CPU 정보 확인하기(CPU 정보, 코어수 등등)
28 thg 4, 2020 — 리눅스운영체제(Ubuntu, Cent OS) CPU 정보 확인하기. cat /proc/cpuinfo. CPU 전체 코어 확인.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 Source: blog.dalso.org
- Views: 28170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23216
- Likes: 3261
- Dislikes: 4
- Title Website: 리눅스 CPU 정보 확인하기(CPU 정보, 코어수 등등)
- Description Website: 28 thg 4, 2020 — 리눅스운영체제(Ubuntu, Cent OS) CPU 정보 확인하기. cat /proc/cpuinfo. CPU 전체 코어 확인.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메모리 사용량의 진실 | 내 컴퓨터의 램이 부족한걸까? [비케이][BK SYSTEM][4K]
- Source: Youtube
- Views: 107380
- Date: 14 hours ago
- Download: 29074
- Likes: 8181
- Dislikes: 6
[LINUX] CPU / 메모리 / 디스크 / 네트워크 정보 명령어 총정리
# active 상태인 network port만 정렬 $ ifconfig # 모든 network 장치를 확인 $ ifconfig -a # enp0라는 이더넷에 아이피 192.168.0.9를 설정 $ ifconfig enp0 192.168.0.9 # enp0라는 이더넷에 서브넷 마스크만 255.255.255.224로 설정한다. $ ifconfig enp0 netmask 255.255.255.224 # enp0라는 이더넷에 브로드캐스트주소만 192.168.0.255로 설정한다. $ ifconfig enp0 broadcast 192.168.0.255 # enp0라는 이더넷에 아이피 192.168.0.9를 설정하고,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224로 설정한다. $ ifconfig enp0 192.168.0.9 netmask 255.255.255.224 # enp0라는 이더넷을 올린다(활성화한다). $ ifconfig enp0 up # enp0라는 이더넷을 내린다(비활성화한다). $ ifconfig enp0 down
# CPU 코어 전체 개수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4 # 현재 PC의 가상 CPU 코어 수는 4개 # 물리 CPU 개수 $ grep ^processor /proc/cpuinfo | wc -l > 4 # 현재 PC의 물리 CPU 수는 4개. # CPU 당 물리 코어 개수 $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 4 # 현재 PC의 CPU 당 물리 코어 개수는 4개 # Hyper Threading 여부 $ cat /proc/cpuinfo | egrep ‘siblings|cpu cores’ | head -2 > siblings : 4 > cpu cores : 4 # siblings의 값이 cpu cores 값의 2배 라면 Hyper Threading이 활성화 된 것이다.
– us: 사용자가 사용한 CPU 시간 – sy: 커널이 사용한 CPU 시간 – ni: niced 사용자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데 소요 된 시간 – id: 대기시간 – wa: IO 대기 시간 – hi: 하드웨어 인터럽트 사용 시간 – si: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사용 시간 – st: 하이퍼 바이저가 다른 프로세서를 처리하는 동안 가상 CPU가 대기하는 시간 숫자 1키를 누르면 각 cpu 상세 코어마다 목록을 볼수 있음
8 thg 3, 2022 — CPU 정보 확인. cat /proc/cpuinfo 명령어; lscpu 명령어 · CPU 사용량 확인. mpstat 명령어; pidstat 명령어 · MEMORY 사용량 확인. free 명령어. Cache와 …
- Source: inpa.tistory.com
- Views: 35206
- Publish date: 16 hours ago
- Downloads: 7151
- Likes: 561
- Dislikes: 2
- Title Website: [LINUX] CPU / 메모리 / 디스크 / 네트워크 정보 명령어 총정리
- Description Website: 8 thg 3, 2022 — CPU 정보 확인. cat /proc/cpuinfo 명령어; lscpu 명령어 · CPU 사용량 확인. mpstat 명령어; pidstat 명령어 · MEMORY 사용량 확인. free 명령어. Cache와 …
리눅스 top 명령어 파악하기 3편 (프로세스 세부정보)
- Source: Youtube
- Views: 101516
- Date: 13 hours ago
- Download: 71081
- Likes: 2541
- Dislikes: 4
[LINUX] 📚 CPU / 메모리 / 디스크 / 네트워크 정보 명령어 총정리
CPU 정보 확인
현재 시스템의 cpu정보는 /proc/cpuinfo 파일 안에 상세히 적혀져 있다.
다만 core 당 정보를 한페이지씩 출력하기 때문에, 코어가 많아질수록 페이지가 길어죠 more 옵션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
cat /proc/cpuinfo 명령어
$ cat /proc/cpuinfo
위의 결과에서 중요한 것들 일부 processor, model name, siblings, cpu cores 정도만 알아 두면 좋다.
# CPU 코어 전체 개수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4 # 현재 PC의 가상 CPU 코어 수는 4개 # 물리 CPU 개수 $ grep ^processor /proc/cpuinfo | wc -l > 4 # 현재 PC의 물리 CPU 수는 4개. # CPU 당 물리 코어 개수 $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 4 # 현재 PC의 CPU 당 물리 코어 개수는 4개 # Hyper Threading 여부 $ cat /proc/cpuinfo | egrep ‘siblings|cpu cores’ | head -2 > siblings : 4 > cpu cores : 4 # siblings의 값이 cpu cores 값의 2배 라면 Hyper Threading이 활성화 된 것이다.
Hyper Threading이 활성화 되면, 물리코어 1개를 논리적으로 코어 2개처럼 작동되도록 한다.
흔히 cpu에서 말하는 4코어 8쓰레드가 이를 말하는 것이다.
lscpu 명령어
위의 /proc/cpu의 정보를 좀 간단히 볼 수 있는 명령어이다.
$ lscpu
CPU 사용량 확인
top 명령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시스템의 전체 정보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top
옵션 의미 -n 지정한 숫자만큼 화면 출력을 갱신한후 명 -u 지정한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b 출력결과를 파일이나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달 -d 화면갱신주기를 초 단위로 설정 -p 지정한 PID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현재 CPU의 사용률, 메모리 사용률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행 – 프로세스 시간 간략 요약
top – 19:20:12 : 현재 시스템의 시간
: 현재 시스템의 시간 up 21:03 : 현재 시스템이 운영중인 총 시간. 21시간째 리눅스를 운영중
: 현재 시스템이 운영중인 총 시간. 21시간째 리눅스를 운영중 2 users : 현재 시스템에 접속중인 사용자는 2명
: 현재 시스템에 접속중인 사용자는 2명 load average: 0.06, 0.06, 0.07 : 1분, 5분, 15분 간의 시스템 평균 사용률
2행 – 프로세스의 상태
Tasks: 299 total, 1 running, 290 sleeping, 8 stopped, 0 zombie
– 현재 실행중인 전체 프로세스는 299개,
– 실행중 1개,
– 대기 138개,
– 정지 0개,
– 좀비상태 0개
3행 – CPU 상태
Cpu(s): 0.1%us, 0.0%sy, 0.0%ni, 99.8%id, 0.0%wa, 0.0%hi, 0.0%si, 0.0%st
– us: 사용자가 사용한 CPU 시간
– sy: 커널이 사용한 CPU 시간
– ni: niced 사용자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데 소요 된 시간
– id: 대기시간
– wa: IO 대기 시간
– hi: 하드웨어 인터럽트 사용 시간
– si: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사용 시간
– st: 하이퍼 바이저가 다른 프로세서를 처리하는 동안 가상 CPU가 대기하는 시간
– us: 사용자가 사용한 CPU 시간 – sy: 커널이 사용한 CPU 시간 – ni: niced 사용자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데 소요 된 시간 – id: 대기시간 – wa: IO 대기 시간 – hi: 하드웨어 인터럽트 사용 시간 – si: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사용 시간 – st: 하이퍼 바이저가 다른 프로세서를 처리하는 동안 가상 CPU가 대기하는 시간 숫자 1키를 누르면 각 cpu 상세 코어마다 목록을 볼수 있음
4행 – 메모리 상태
Mem: 3925.5 total, 429.5 free, 1261.4 used, 2234.5 buff/cache
– 메모리 총 4G,
– 1.2G를 사용 중,
– 0.4G를 추가 사용 가능.
– 2G가 버퍼용/캐쉬 으로 사용중
5행 – 스왑 메모리 상태
Swap: 1634.2 total, 1632.2 free, 2.0 used, 2373.9 avail Mem
– 스왑 공간의 메모리
스왑은 바로 밑 메모리 사용량 부분에서 확인에서 추가 설명 한다.
PR – 우선순위
NI – Nice value(-20~19 사이의 숫자이며 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음)
VIRT – 작업에 사용된 가상 메모리 총사용량
RES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실제 메모리양
SHR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공유 메모리양
S –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냄
TIME+ – 프로세스가 시작하여 사용한 CPU시간
엔터를 누르면 바로 지금 상태 사용량으로 갱신된다.
1초마다 자동 갱신을 하고 싶다면 $ top -d 1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mpstat 명령어
CPU time을 CPU별로 측정
CPU별로 불균형한 상태 확인
$ apt install sysstat # 명령어 설치 $ mpstat
pidstat 명령어
TOP이랑 비슷하지만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황
MEMORY 사용량 확인
free 명령어
전체 메모리(사용하고 있는 메모리, 남은 메모리, 버퍼메모리) 에 대한 상태를 확인한다.
시스템의 실제메모리와 스왑메모리에 대한 사용현황 확인가능하다. 출력 정보의 기본 설정은 KB 단위이다.
$ free
옵션 의미 -b 바이트 단위로 표현 -m 메가바이트 단위로 표현 -g 기가바이트 단위로 표현 -k 킬로바이트 단위로 표현 -l 최고/최저 메모리 상황 구분해서 표현 -s N N초마다 출력
free 항목 도표 설명 Mem 시스템의 물리적인 메모리에 대한 사용량 Swap 스왑이라는 특정 메모리영역에 대한 사용량 Total 전체메모리 용량(kbyte 단위) Used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메모리 용량 Free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은 메모리 용량 Shared 현재 시스템에서 공유한 메모리 용량 Buff/cache 현재 캐시메모리에서 버퍼링된 사용량 표시 Available 쓸수 있는 가용메모리 용량
1행 – Mem
시스템의 메모리 총합은 3925M(4G)
사용중(used)인 메모리는 1.2G
사용 가능한(free) 메모리는 430MB
공유 중인(shared) 메모리 16MB
버퍼/캐쉬 메모리 2G
2행 – 스왑
스왑 공간 메모리 1634MB
스왑 사용중인 메모리 2MB
스왑 사용 가능한 메모리 1632MB
Cache와 Buffer
리눅스는 항상 여유 메모리 공간을 Buffer와 Cache로 사용 하려고 시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원리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해서 느린 디스크로의 접근을 최대한 줄여 성능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Buffer는 버퍼 캐시로 디바이스 블록에 대한 메타데이터들을 메모리에 캐싱한 크기다.
주기억 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정보를 임시로 기억해두고, 사용할 수 있는 공간 빠른쪽에서 느린쪽으로 데이터를 보낼 때 손실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도 쓰인다.
버퍼가 사용되면 CPU는 입출력 자료를 기다릴 필요 없이 입력이나 출력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블록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메모리에 저장해 둔다.
Cache는 페이지 캐시와 slab으로 사용중인 메모리 크기다.
페이지 캐시 는 한 번 디스크로 읽어온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같은 데이터를 다시 읽을 때 디스크로 요청하지 않고 메모리에서 바로 읽어올 수 있게 한다. (기본 캐시 원리)
는 한 번 디스크로 읽어온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같은 데이터를 다시 읽을 때 디스크로 요청하지 않고 메모리에서 바로 읽어올 수 있게 한다. (기본 캐시 원리) slab 은 커널에서 관리하는 커널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단위 이다.
커널은 애플리케이션 할당 단위인 페이지 보다 작은 단위인 slab 단위로 메모리를 사용한다.
하나의 메모리 페이지에 여러 slab들이 존재할 수 있다.
slab에 파일의 inode나 dentry 정보들을 캐싱할 수 있다.
위 free 명령어 결과 메모리 사용량 출력 도표에서,
total 대비 free memory는 얼마 되지 않고 cached와 buffers의 크기가 큰 것 을 알 수 있다.
이유는 리눅스 커널에서는 프로세스가 반납한 메모리를 곧장 free로 돌리지 않기 때문이다.
즉, 버퍼/캐쉬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메모리가 필요하다면 곧바로 대체될 수 있는 free memory 인 셈이다.
커널 이란?
커널은 OS계층이며 HW와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들을 연결 해주는 역할을 한다.
커널은 OS의 핵심이며 컴퓨터를 부팅시키면 가장먼저 메모리에 올라오고 그리고는 컴퓨터가 꺼질때 까지 내내 메모리에 상주하게 된다.
커널은 모든 어플리케이션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HW를 컨트롤하고 프로세스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것을 허락해준다.
SWAP
스왑은 디스크의 일정 부분 을 메모리 공간 부족시 메모리처럼 사용 하기 위해 설정해둔 공간 이다.
예를 들어, RAM이 부족할때 하드디스크를 swap memory로 만들어 RAM처럼 사용한다.
커널은 메모리가 부족한 상황 에서는 Buffer와 Cache로 할당된 것 중 에 자주 사용 되지 않는 것들을 비우고 메모리에 할당을 하려고 시도한다.
또한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 중 최근 자주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 를 SWAP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SWAP-OUT)
그리고 SWAP으로 옮겨진 데이터를 프로세스가 읽기 위해 메모리로 데이터를 다시 가져오는 원리이다. (SWAP-IN)
하지만 이는 디스크로부터 옮겨 졌던 데이터를 다시 메모리로 가져오기 때문에 레이턴시(latency)가 길어져 결국 성능 저하로 이어진다.
레이턴시(latency)는 자극과 반응 사이의 시간이며, 더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관찰되는 시스템에서의 어떠한 물리적 변화에 대한 원인과 결과 간의 지연 시간이다.
레이턴시는 물리적 상호작용이 추진할 수 있는, 물리적으로 제한된 속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즉, 일시적인 메모리 사용 증가로 일정 SWAP을 사용하는 상황과,
지속적인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SWAP이 커지는 경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메모리 증설 시점을 고려해야 한다.
리눅스는 윈도우와 다르게 메모리를 최대한 활용한다.
현재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때는 1행의 used와 2행의 used를 모두 확인하여 버퍼와 캐쉬로 활용되는 메모리를 잘 확인해야 한다.
cat /proc/meminfo 명령어
/proc 아래에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정보와 시스템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중 /meminfo에는 현재 메모리 사용 정보가 저장된다. 현재 시스템의 전체 메모리(MemTotal), 가용 메모리(MemAvailable)를 이용해 현재 시스템의 메모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실제로 free에서 나온 메모리 저보랑 약간 다르다는 점은 유의하자. (free에선 버퍼크기가 있는데 meminfo에선 없다)
free -k 명령에 대응되는 /proc/meminfo 표
free명령어에서 결과값이랑 meminfo에서 확인한 결과값이랑 매칭되는 비교 표 이다.
DISK 사용량 확인
mount가 되어있는 디스크 정보를 나열한다.
$ df -h # 디스크 남은 용량(여유 용량) 확인 $ du -h # : 현재 디렉토리에서 서브 디렉토리까지 사용량 확인
+ 디스크 명령어에 대한 상세한 카리큘럼은 따로 포스팅했다.
NETWORK 정보 확인
hostname -I (대문자 i) 명령어
$ hostname -I
ifconfig 명령어
현재 IP 및 Mac address 확인이 가능하며, Rx & Tx packets 및 errors, drop 등의 많은 정보를 보여준다.
# active 상태인 network port만 정렬 $ ifconfig # 모든 network 장치를 확인 $ ifconfig -a # enp0라는 이더넷에 아이피 192.168.0.9를 설정 $ ifconfig enp0 192.168.0.9 # enp0라는 이더넷에 서브넷 마스크만 255.255.255.224로 설정한다. $ ifconfig enp0 netmask 255.255.255.224 # enp0라는 이더넷에 브로드캐스트주소만 192.168.0.255로 설정한다. $ ifconfig enp0 broadcast 192.168.0.255 # enp0라는 이더넷에 아이피 192.168.0.9를 설정하고,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224로 설정한다. $ ifconfig enp0 192.168.0.9 netmask 255.255.255.224 # enp0라는 이더넷을 올린다(활성화한다). $ ifconfig enp0 up # enp0라는 이더넷을 내린다(비활성화한다). $ ifconfig enp0 down
ifconfig 항목 정보
[enp0s3]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flags] : 네트워크 카드의 상태 표시
네트워크 카드의 상태 표시 [mtu]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최대 전송 단위(Maximum Transfer Uni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최대 전송 단위(Maximum Transfer Unit) [ine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 [netmask]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넷마스크 주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넷마스크 주소 [broadcas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브로드캐스트 주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브로드캐스트 주소 [inet6]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v6 주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v6 주소 [prefixlen] : IP 주소에서 서브 넷 마스크로 사용될 비트 수
IP 주소에서 서브 넷 마스크로 사용될 비트 수 [scopeid] : IPv6의 범위. LOOPBACK / LINKLOCAL / SITELOCAL / COMPATv4 / GLOBAL
IPv6의 범위. LOOPBACK / LINKLOCAL / SITELOCAL / COMPATv4 / GLOBAL [ether]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주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주소 [RX packets] : 받은 패킷 정보
받은 패킷 정보 [TX packets] : 보낸 패킷 정보
보낸 패킷 정보 [collision] : 충돌된 패킷 수
충돌된 패킷 수 [Interrup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사용하는 인터럽트 번호
ip a 명령어
ifconfig와 거의 흡사하지만 rx, tx에 관한 정보는 따로 없으며 UP & DOWN 정보와 ip 및 mac 정보를 확인이 가능하다.
[CentOS 7] CPU, 메모리 사양 정보 확인 – For Cloud – 티스토리
18 thg 3, 2021 — CPU 상세정보 # cat /proc/cpuinfo. CPU 상세 정보. 코어 수 # nproc. CPU 코어 숫자. dmidecode 상세 스펙 # dmidecode -t processor.
- Source: forcloud.tistory.com
- Views: 62040
- Publish date: 32 minute ago
- Downloads: 94365
- Likes: 5205
- Dislikes: 9
- Title Website: [CentOS 7] CPU, 메모리 사양 정보 확인 – For Cloud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18 thg 3, 2021 — CPU 상세정보 # cat /proc/cpuinfo. CPU 상세 정보. 코어 수 # nproc. CPU 코어 숫자. dmidecode 상세 스펙 # dmidecode -t processor.
CPU 반품사건과 간단한 인텔 CPU 중고 판별법! (벌크 CPU 부팅전압 확인 후 반품사건)
- Source: Youtube
- Views: 51791
- Date: 6 hours ago
- Download: 70373
- Likes: 8924
- Dislikes: 4
리눅스에서 CPU 정보를 확인하는 8가지 명령어 (cpuinfo, lscpu …
capabilities: fpu fpu_exception wp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syscall nx x86-64 constant_tsc arch_perfmon pebs bts rep_good nopl aperfmperf pni dtes64 monitor ds_cpl vmx est tm2 ssse3 cx16 xtpr pdcm sse4_1 xsave lahf_lm dtherm tpr_shadow vnmi flexpriority cpufreq
flags : 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syscall nx lm constant_tsc arch_perfmon pebs bts rep_good nopl aperfmperf pni dtes64 monitor ds_cpl vmx est tm2 ssse3 cx16 xtpr pdcm sse4_1 xsave lahf_lm dtherm tpr_shadow vnmi flexpriority
/proc/cpuinfo 파일은 CPU 코어 개별적인 세부사항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를 보시면 제조사가 GenuineIntel 로 되어있고 모델명은 Q8400 이며 코어가 4개이며 클럭 속도는 2.66GHz 인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 less /proc/cpuinfo 를 입력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참고로 종료를 하실때에는 q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10 thg 1, 2017 — 리눅스에서 CPU 정보를 확인하는 8가지 명령어 (cpuinfo, lscpu, hardinfo, lshw, nproc, dmidecode, cpuid, inxi) · less /proc/cpuinfo · $ cat /proc/ …
- Source: skylove1982.tistory.com
- Views: 105883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30455
- Likes: 794
- Dislikes: 6
- Title Website: 리눅스에서 CPU 정보를 확인하는 8가지 명령어 (cpuinfo, lscpu …
- Description Website: 10 thg 1, 2017 — 리눅스에서 CPU 정보를 확인하는 8가지 명령어 (cpuinfo, lscpu, hardinfo, lshw, nproc, dmidecode, cpuid, inxi) · less /proc/cpuinfo · $ cat /proc/ …
Linx 설치 및 사용법
- Source: Youtube
- Views: 103282
- Date: 12 hours ago
- Download: 8052
- Likes: 1654
- Dislikes: 5
리눅스에서 CPU 정보를 확인하는 8가지 명령어 (cpuinfo, lscpu, hardinfo, lshw, nproc, dmidecode, cpuid, inxi)
CPU 정보에는 프로세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즉 CPU의 구조, 판매자, 모델, 코어갯수, 코어의 속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리눅스에서 이와같은 세부사항을 얻을 수 있는 몇가지 명령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proc/cpuinfo
/proc/cpuinfo 파일은 CPU 코어 개별적인 세부사항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를 보시면 제조사가 GenuineIntel 로 되어있고 모델명은 Q8400 이며 코어가 4개이며 클럭 속도는 2.66GHz 인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 less /proc/cpuinfo 를 입력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참고로 종료를 하실때에는 q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less /proc/cpuinfo
processor : 0
vendor_id : GenuineIntel
cpu family : 6
model : 23
model name : Intel(R) Core(TM)2 Quad CPU Q8400 @ 2.66GHz
stepping : 10
microcode : 0xa07
cpu MHz : 1998.000
cache size : 2048 KB
physical id : 0
siblings : 4
core id : 0
cpu cores : 4
apicid : 0
initial apicid : 0
fpu : yes
fpu_exception : yes
cpuid level : 13
wp : yes
flags : 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syscall nx lm constant_tsc arch_perfmon pebs bts rep_good nopl aperfmperf pni dtes64 monitor ds_cpl vmx est tm2 ssse3 cx16 xtpr pdcm sse4_1 xsave lahf_lm dtherm tpr_shadow vnmi flexpriority
bogomips : 5303.14
clflush size : 64
cache_alignment : 64
address sizes : 36 bits physical, 48 bits virtual
power management
모든 프로세서 또는 코어가 속도와 캐쉬 사이즈와 모델명이 설명과 함께 각각 리스트 되어 표시가 됩니다.
프로세싱 유닛 숫자를 구하기 위해서 grep 과 wc 을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4가 표시가 됩니다. 참고로 결과값은 CPU 마다 다릅니다.
$ cat /proc/cpuinfo | grep processor | wc -l
4
/proc/cpuinfo 를 통해서 보여지는 프로세서의 숫자는 프로세서의 실제 코어 갯수가 아닐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2개의 코어를 가진 프로세서로 하이퍼쓰레딩(hyperthreading)을 한다면 4개의 코어로 표시가 될 수 있습니다.
코어의 실제 갯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코어 아이디를 체크해야 합니다.
$ cat /proc/cpuinfo | grep ‘core id’
core id : 0
core id : 2
core id : 1
core id : 3
위에서 보듯이 4개의 다른 코어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제 코어의 갯수가 4개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lscpu
lscpu 는 어떠한 옵션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하고 빠르게 보여줄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CPU 하드웨어의 정보를 사용자가 보기 편한 방식으로 간단하게 출력해 줍니다.
$ lscpu
Architecture: x86_64
CPU op-mode(s): 32-bit, 64-bit
Byte Order: Little Endian
CPU(s): 4
On-line CPU(s) list: 0-3
Thread(s) per core: 1
Core(s) per socket: 4
Socket(s): 1
NUMA node(s): 1
Vendor ID: GenuineIntel
CPU family: 6
Model: 23
Stepping: 10
CPU MHz: 1998.000
BogoMIPS: 5303.14
Virtualization: VT-x
L1d cache: 32K
L1i cache: 32K
L2 cache: 2048K
NUMA node0 CPU(s): 0-3
3. hardinfo
hardinfo 명령어는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정보(hardware components)를 리포트로 생성하여 보여주는 gtk 기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툴(gui tool) 입니다. 하지만 또한 gui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지 않을때 코멘드 라인(command line)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hardinfo | less
만일 여러개의 하드웨어 요소들이 있다면 많은 양의 리포트가 생성 (/pro 디렉토리의 파일을 읽음)될 수 있습니다. CPU 정보는 리포트가 생성될때에 첫 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또한 리포트는 테스트 파일로 쓰여질 수 있습니다.
hardinfo 는 리포트가 표시되기전에 몇가지의 벤치마크 테스트를 하기때문에 몇분이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
4. lshw
lshw 명령어는 CPU 에 대한 정보를 제한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lshw 로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서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보여주며, ‘-class’ 옵션을 사용하여 특정 하드웨어 요소에 대한 정보를 뽑아 올 수 있습니다.
$ hardinfo | less$ sudo lshw -class processor
*-cpu
description: CPU
product: Intel(R) Core(TM)2 Quad CPU Q8400 @ 2.66GHz
vendor: Intel Corp.
physical id: 0
bus info: cpu@0
version: Intel(R) Core(TM)2 Quad CPU Q8400 @ 2.66GHz
slot: LGA 775
size: 1998MHz
capacity: 4GHz
width: 64 bits
clock: 333MHz
capabilities: fpu fpu_exception wp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syscall nx x86-64 constant_tsc arch_perfmon pebs bts rep_good nopl aperfmperf pni dtes64 monitor ds_cpl vmx est tm2 ssse3 cx16 xtpr pdcm sse4_1 xsave lahf_lm dtherm tpr_shadow vnmi flexpriority cpufreq
판매자, 모델과 프로세서의 속도는 맞게 보여집니다. 그러나 위의 출력된 결과로부터 프로세서의 갯수를 추측하여 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5. nproc
nproc 명령어는 사용가능한 프로세싱 유닛의 갯수만을 출력합니다. 여기의 주의해야 할점은 프로세싱 유닛의 숫자가 항상 실제 코어의 갯수와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점입니다.
$ nproc
4
6. dmidecode
dmidecode 명령어는 CPU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소켓타입(socket type), 판매자(vendor name), 다양한 플래그(various flags) 값들을 포함합니다.
$ sudo dmidecode -t 4
# dmidecode 2.12
SMBIOS 2.4 present.
Handle 0x0000, DMI type 4, 35 bytes
Processor Information
Socket Designation: LGA 775
Type: Central Processor
Family: Pentium D
Manufacturer: Intel(R) Corporation
ID: 7A 06 01 00 FF FB EB BF
Signature: Type 0, Family 6, Model 23, Stepping 10
Flags:
FPU (Floating-point unit on-chip)
VME (Virtual mode extension)
DE (Debugging extension)
PSE (Page size extension)
TSC (Time stamp counter)
MSR (Model specific registers)
PAE (Physical address extension)
MCE (Machine check exception)
CX8 (CMPXCHG8 instruction supported)
APIC (On-chip APIC hardware supported)
SEP (Fast system call)
MTRR (Memory type range registers)
PGE (Page global enable)
MCA (Machine check architecture)
CMOV (Conditional move instruction supported)
PAT (Page attribute table)
PSE-36 (36-bit page size extension)
CLFSH (CLFLUSH instruction supported)
DS (Debug store)
ACPI (ACPI supported)
MMX (MMX technology supported)
FXSR (FXSAVE and FXSTOR instructions supported)
SSE (Streaming SIMD extensions)
SSE2 (Streaming SIMD extensions 2)
SS (Self-snoop)
HTT (Multi-threading)
TM (Thermal monitor supported)
PBE (Pending break enabled)
Version: Intel(R) Core(TM)2 Quad CPU Q8400 @ 2.66GHz
Voltage: 1.6 V
External Clock: 333 MHz
Max Speed: 4000 MHz
Current Speed: 2666 MHz
Status: Populated, Enabled
Upgrade: Socket LGA775
L1 Cache Handle: 0x0003
L2 Cache Handle: 0x0001
L3 Cache Handle: Not Provided
Serial Number: Not Specified
Asset Tag: Not Specified
Part Number: Not Specified
7. cpuid
cpuid 명령어는 인텔과 AMD 프로세서에 대한(Intel and AMD x86 processors) CPUID 정보를 가져옵니다(fetch).
이 프로그램은 우분트(ubuntu)에서 apt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cpuid
아래는 출력 예제 입니다.
$ cpuid
…..
Vendor ID: “GenuineIntel”; CPUID level 13
Intel-specific functions:
Version 0001067a:
Type 0 – Original OEM
Family 6 – Pentium Pro
Model 7 – Pentium III/Pentium III Xeon – external L2 cache
Stepping 10
Reserved 4
Extended brand string: “Intel(R) Core(TM)2 Quad CPU Q8400 @ 2.66GHz”
CLFLUSH instruction cache line size: 8
Initial APIC ID: 2
Hyper threading siblings: 4
Feature flags bfebfbff:
FPU Floating Point Unit
VME Virtual 8086 Mode Enhancements
DE Debugging Extensions
PSE Page Size Extensions
TSC Time Stamp Counter
MSR Model Specific Registers
PAE Physical Address Extension
MCE Machine Check Exception
CX8 COMPXCHG8B Instruction
APIC On-chip Advanced Programmable Interrupt Controller present and enabled
SEP Fast System Call
MTRR Memory Type Range Registers
PGE PTE Global Flag
MCA Machine Check Architecture
CMOV Conditional Move and Compare Instructions
FGPAT Page Attribute Table
PSE-36 36-bit Page Size Extension
CLFSH CFLUSH instruction
DS Debug store
ACPI Thermal Monitor and Clock Ctrl
MMX MMX instruction set
FXSR Fast FP/MMX Streaming SIMD Extensions save/restore
SSE Streaming SIMD Extensions instruction set
SSE2 SSE2 extensions
SS Self Snoop
HT Hyper Threading
TM Thermal monitor
31 reserved
…..
8. inxi
inxi 는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components)에 대한 정보를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읽기 쉽게 잘 구조화된 리포트로 생성하기 위한 스크립트입니다. 자세한 것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inxi 를 설치하시려면 아래와 같이 설치하실 수가 있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inxi
CPU 와 프로세서 관련된 정보를 표시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inxi -C
CPU: Quad core Intel Core2 Quad CPU Q8400 (-MCP-) cache: 2048 KB flags: (lm nx sse sse2 sse3 sse4_1 ssse3 vmx)
Clock Speeds: 1: 1998.00 MHz 2: 1998.00 MHz 3: 1998.00 MHz 4: 1998.00 MHz
참고 URL : http://www.binarytides.com/linux-cpu-information/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리눅스 cpu 확인
Bing에서 리눅스 cpu 확인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리눅스 cpu 확인.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리눅스 cpu 확인 리눅스 CPU, 메모리 확인, 리눅스 코어수 확인, 리눅스 CPU 사용량 모니터링, 리눅스 RAM 확인, 리눅스 CPU 코어 확인, 리눅스 CPU 확인 명령어, 리눅스 서버 CPU 사용률 확인, 리눅스 코어별 cpu 사용률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