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 1639 리눅스 용량 확인 업데이트 196 시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리눅스 용량 확인“?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382+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리눅스 용량 확인 리눅스 폴더별 용량 확인, 리눅스 용량 확인 GB, 리눅스 현재 디렉토리 용량 확인, 리눅스 파일 용량 확인, 리눅스 전체 용량 확인, 리눅스 용량 확인 df, 리눅스 서버 용량 확인, 리눅스 용량 확인 du

Linux 디스크 용량 확인하기 – UZILOG

13 thg 6, 2020 — df : 디스크 남은 용량 확인 (기본 명령어) · df -k : 킬로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 확인 · df -m : 메가 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 확인 · df -h : 깔끔하게 …

  • Source: uzihoon.com
  • Views: 53828
  • Publish date: 15 hours ago
  • Downloads: 54627
  • Likes: 3348
  • Dislikes: 2
  • Title Website: Linux 디스크 용량 확인하기 – UZILOG
  • Description Website: 13 thg 6, 2020 — df : 디스크 남은 용량 확인 (기본 명령어) · df -k : 킬로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 확인 · df -m : 메가 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 확인 · df -h : 깔끔하게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32929
  • Date: 12 minute ago
  • Download: 34293
  • Likes: 2867
  • Dislikes: 2

리눅스 디렉토리 용량 확인 방법(du) – 냉정과 열정 사이 – 티스토리

-a 전체 파일 크기 출력 (–all) -h 디렉토리/파일 크기 KB/MB/GB 단위로 표시 (–human-readable) -s 디렉토리의 전체 사용량만 표시 –max-depth=N 최대 N번째 하위 디렉토리까지 표시 —apparent-size 실제 파일의 용량 표시 -b 바이트 단위 실제 파일의 용량 표시

–max-depth를 2로 설정하는 경우 /data/plexdrive/cache와 /data/plexdrive/config의 하위 디렉토리까지 표시됩니다.

기본 상위 10개의 디렉토리만 가져오고 head 뒤에 -5 등으로 상위 N개만 볼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리눅스의 du 명령어로 각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u 명령어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Source: psychoria.tistory.com
  • Views: 86742
  • Publish date: 18 hours ago
  • Downloads: 42710
  • Likes: 5769
  • Dislikes: 7
  • Title Website: 리눅스 디렉토리 용량 확인 방법(du) – 냉정과 열정 사이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리눅스의 du 명령어로 각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u 명령어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리눅스 강좌 – 기초 명령어 100 :: du 용량 확인, df 파티션 보기

  • Source: Youtube
  • Views: 66623
  • Date: 1 hours ago
  • Download: 29376
  • Likes: 3089
  • Dislikes: 5

리눅스 디렉토리 용량 확인 방법(du)

리눅스의 du 명령어로 각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u 명령어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du 명령어

du 명령어 입력 시 현재 디렉토리의 첫 단계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해서 KB 단위의 크기를 출력합니다.

du

다음과 같이 결과가 표시됩니다.

du 결과

du 명령어의 몇 가지 유용한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전체 파일 크기 출력 (–all) -h 디렉토리/파일 크기 KB/MB/GB 단위로 표시 (–human-readable) -s 디렉토리의 전체 사용량만 표시 –max-depth=N 최대 N번째 하위 디렉토리까지 표시 —apparent-size 실제 파일의 용량 표시 -b 바이트 단위 실제 파일의 용량 표시

보통 다음과 같이 -s와 -h 옵션을 함께 사용하고 디렉토리 경로를 입력해서 출력합니다.

du -sh /data/plexdrive

다음과 같이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한 해당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간략하게 표시합니다.

dh -sh 결과

현재 디렉토리는 경로를 입력하지 않거나 .(마침표)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첫 단계의 하위 디렉토리의 결과를 포함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du -h –max-depth=1 /data/plexdrive

–max-depth의 설정 값에 따라 하위의 하위까지 단계 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x-depth 사용

–max-depth를 2로 설정하는 경우 /data/plexdrive/cache와 /data/plexdrive/config의 하위 디렉토리까지 표시됩니다.

마지막으로 -b 옵션으로 실제 사용 중인 정확한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u -sb /data/plexdrive

다음과 같이 실제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량

모든 파일의 실제 사용량을 확인할 때는 -s 대신 -a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2. du 활용법

용량이 부족하거나 할 때 디렉토리의 사용량의 크기 별로 확인하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du -b –max-depth=1 /data/plexdrive | sort -hr

첫 단계의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해서 디렉토리 용량을 기준으로 큰 순서로 표시됩니다.

큰 용량의 디렉토리를 확인해서 파일을 비우고 디스크 용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head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량 기준 상위 N개의 디렉토리만 가져올 수 있습니다.

du -b –max-depth=1 /data/plexdrive | sort -hr | head

기본 상위 10개의 디렉토리만 가져오고 head 뒤에 -5 등으로 상위 N개만 볼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du 명령어로 리눅스 디스크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Linux 디스크용량 체크하기 df/du – 가야태자 – 티스토리

대충 위오 같은 느낌으로 나옵니다. 일단 용량이 많아서 저위에는 KiloByte 단위로 표시 되었네요 그래서 콤마를 찍어서 세자리씩 끊어 가지고, 메가 기가를 계산하면, / 같은 경우에 91GB 정도남아 있습니다.

윈도우즈에서는 내컴퓨터에서 해당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한 다음에 속성을 클릭 하면 아래와 같이 사용량과 비어 있는 양을 알려 줍니다.

제일 처음에 제가 착각한 것은 단위를 게산할때 컴퓨터는 1024로 나눠줘야합니다. 저는 귀찮아서 1000으로 나눠서 용량이 좀 차이가 납니다. ^^

15 thg 1, 2021 — 윈도우즈에서는 내컴퓨터에서 해당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한 다음에 속성을 클릭 하면 아래와 같이 사용량과 비어 있는 양을 알려 …

  • Source: talkit.tistory.com
  • Views: 10533
  • Publish date: 5 hours ago
  • Downloads: 44715
  • Likes: 8732
  • Dislikes: 4
  • Title Website: 리눅스/Linux 디스크용량 체크하기 df/du – 가야태자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15 thg 1, 2021 — 윈도우즈에서는 내컴퓨터에서 해당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한 다음에 속성을 클릭 하면 아래와 같이 사용량과 비어 있는 양을 알려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리눅스 침해사고 분석 – 디스크와 디렉터리 용량 확인하기

  • Source: Youtube
  • Views: 36654
  • Date: 5 hours ago
  • Download: 33956
  • Likes: 8733
  • Dislikes: 7

리눅스/Linux 디스크용량 체크하기 df/du

리눅스도 요즘은 X Windows로 접속하면 탐색기에서 폴더를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시면 위와 같이 비어 있는 공간을 표시해 줍니다.

윈도우즈에서는 내컴퓨터에서 해당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한 다음에 속성을 클릭 하면 아래와 같이 사용량과 비어 있는 양을 알려 줍니다.

그런데, 서버로 사용하는 리눅스는 X Client로 접속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SSH Client인 Putty 같은 것으로 접속 합니다.

이 까만 환경에서 디스크용량과 사용량을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지 알아 봅니다.

오늘 알려 드릴 명령어는 df 라는 명령어오 du 라는 명령어 있습니다.

df는 디스크/파티션 기준으로 사용량과 비어 있는 요량을 알려 줍니다.

du는 원하는 폴더의 사용량을 알려 주는 명령어 입니다.

우선 df 라는 명령어를 리눅스에서 처 보십시오.

대충 위오 같은 느낌으로 나옵니다. 일단 용량이 많아서 저위에는 KiloByte 단위로 표시 되었네요 그래서 콤마를 찍어서 세자리씩 끊어 가지고, 메가 기가를 계산하면, / 같은 경우에 91GB 정도남아 있습니다.

영어 뜻 그대로 입니다. Used 아래에 있는 숫자들이 사용량 입니다.

Available 는 사용가능한 용량 즉 비어 있는 용량입니다.

이번에는 df -h 명령을 사용해 보십시오.

그러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h 는 human 즉 사람이 이해하는 욜양을 표시 해달라는 옵션입니다.

그래서 -h를 줬더니 우와 같이 Giga Byte 단위로 또는 Mebye 단위로 게산 되어서 나와 있습니다.

이제 -k 옵션은 KilloByte 단위로 해달라는 명령어여서 젤 위에하고 거의 동일하구요.

df -m 명령어를 실행해 보십시오.

MegaByte 단위로 보여 줍니다.

이런식으로 적잘하게 볼 수도 있지만,

-h 옵션으로 그냥 사람이 알아 들을 수 있는 욜양으로 표시하는 것이 더 편할 것 같습니다.

제일 처음에 제가 착각한 것은 단위를 게산할때 컴퓨터는 1024로 나눠줘야합니다. 저는 귀찮아서 1000으로 나눠서 용량이 좀 차이가 납니다. ^^

df 는 여기 까지 하고 du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du 명령어를 그냥 쳐 보십시오.

위와 같이 나옵니다. 저렇게 쫙 나오지 않게 하려면

du -s . 이렇게 치시면 현재 디렉토리를

du -s 원하는디렉토리 하시면 원하는 디렉토리의 용량만 표시해 줍니다.

du -s . 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현재 디렉토리 아래의 모든 용량을 나타내줍니다.

특정 디렉토리를 해보셔도 비슷할 껍니다.

그런데 여기서 앞에서 배운 h를 응용합니다.

du -sh 옵션을 주면은 어떻게 될까요?

아셨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용량표시로 현재 폴더의 용량을 표시해 줍니다. ^^

알면 쉬운 명령어이지만 모르면 어려운게 리눅스 입니다.

그래서 조금씩 기초 부터 써가고 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Linux] 서버 남은 용량 확인 명령어 – 끄적끄적 스토리 – 티스토리

—————————————————————-

———————————-

df . :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

[Linux] 서버 남은 용량 확인 명령어 … df -k : kb 단위로 현재 남은 용량 확인 …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

  • Source: jjyloves.tistory.com
  • Views: 31934
  • Publish date: 20 hours ago
  • Downloads: 9823
  • Likes: 6171
  • Dislikes: 5
  • Title Website: [Linux] 서버 남은 용량 확인 명령어 – 끄적끄적 스토리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Linux] 서버 남은 용량 확인 명령어 … df -k : kb 단위로 현재 남은 용량 확인 …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5분 따라하기] 리눅스에서 용량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파일/디렉토리 찾기

  • Source: Youtube
  • Views: 84182
  • Date: 11 minute ago
  • Download: 62285
  • Likes: 6475
  • Dislikes: 10

[Linux] 서버 남은 용량 확인 명령어

매일매일 까먹으며 검색 했던것들

하나씩 메모하는김에 남겨놓는다.

df : 디스크의 남은 용량을 확인

———————————-

df -k : kb 단위로 현재 남은 용량 확인

df -m : mb 단위로 남은 용량확인

df -h : 깔끔하게 보여줌

df . :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

du : 현재 디렉토리에서 서브디렉토리까지의 사용량을 확인

—————————————————————-

du -a :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파일단위 출력

du -s : 총 사용량을 확인

du -h : 보기 좋게 바꿔줌

du -sh * : 한단계 서브디렉토리 기준으로 보여준다.

리눅스 디스크 용량 및 저장 공간 확인, 부족 시 대처법

19 thg 7, 2021 — 리눅스 계열 서버의 디스크 공간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df [옵션] [경로] 형태로 사용하는데, 경로를 생략하면 전체 시스템의 디스크를 보여준다.

  • Source: blog.naver.com
  • Views: 29105
  • Publish date: 17 hours ago
  • Downloads: 24215
  • Likes: 8933
  • Dislikes: 7
  • Title Website: 리눅스 디스크 용량 및 저장 공간 확인, 부족 시 대처법
  • Description Website: 19 thg 7, 2021 — 리눅스 계열 서버의 디스크 공간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df [옵션] [경로] 형태로 사용하는데, 경로를 생략하면 전체 시스템의 디스크를 보여준다.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하드디스크 용량 확인하셨나요?

  • Source: Youtube
  • Views: 75949
  • Date: 16 hours ago
  • Download: 79121
  • Likes: 1872
  • Dislikes: 2

리눅스 디스크 용량 및 저장 공간 확인, 부족 시 대처법

리눅스서버 리눅스 디스크 용량 및 저장 공간 확인, 부족 시 대처법 이웃삼촌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리눅스 디스크 용량 및 저장 공간 확인 Linux :: 리눅스 디스크 용량 및 저장 공간 확인 리눅스 계열 서버 디스크 용량 및 저장 공간 확인 및 부족 시 대처법 이번 포스팅의 주 목적은 리눅스 계열 서버를 운용하다 보면 갑자기 디스크 사용률이 100%가 찾을 경우, 어느 경로에 파일이 꽉 찾으며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위한 포스팅이다. 이를 위해 알아야 할 기본적인 명령어들은 df 와 du이다. #리눅스저장공간확인 #리눅스디스크용량확인 #centos저장공간확인 #centos디스크용량확인 및 부족 시 조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 ​ df 명령어 df는 disk free의 줄임말이다. 리눅스 계열 서버의 디스크 공간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df [옵션] [경로] 형태로 사용하는데, 경로를 생략하면 전체 시스템의 디스크를 보여준다. 옵션은 다양한 값들이 있는데 나는 주로 -h 외엔 잘 사용하지 않는다. ​ 사용 예시를 보면 먼저 df만 쳤을 때의 결과이다. [hithere@hithere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tmpfs 3953640 0 3953640 0% /dev tmpfs 3971036 0 3971036 0% /dev/shm tmpfs 3971036 353704 3617332 9% /run tmpfs 3971036 0 3971036 0% /sys/fs/cgroup /dev/mapper/centos-root 52403200 21870408 30532792 42% / /dev/nvme0n1p2 1038336 212872 825464 21% /boot /dev/nvme0n1p1 204580 11428 193152 6% /boot/efi /dev/mapper/centos-home 426295940 49284752 377011188 12% /home tmpfs 794208 0 794208 0% /run/user/100 시스템의 전체 공간을 보여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1k-blocks가 해당 폴더의 용량이며 Used는 사용 중인 공간, Available 가 사용 가능한 공간, Use는 현재 사용량을 %로 보여준다. 하지만 한눈에 들어오지는 않는다. 이때 -h 옵션을 사용하는데, h는 human의 줄임말이다. 즉 사람이 보기 좋게 표기해 준다는 뜻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해당 옵션을 사용해보면 다음과 같다. [hithere@hithere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tmpfs 3.8G 0 3.8G 0% /dev tmpfs 3.8G 0 3.8G 0% /dev/shm tmpfs 3.8G 346M 3.5G 9% /run tmpfs 3.8G 0 3.8G 0% /sys/fs/cgroup /dev/mapper/centos-root 50G 21G 30G 42% / /dev/nvme0n1p2 1014M 208M 807M 21% /boot /dev/nvme0n1p1 200M 12M 189M 6% /boot/efi /dev/mapper/centos-home 407G 48G 360G 12% /home tmpfs 776M 0 776M 0% /run/user/1000 용량을 보기 좋은 단위로 표기해 주고 있으며, 한눈에 이해가 된다. du 명령어 du는 disk usage의 약자이다. 리눅스 계열 서버의 디스크 사용률을 구하기 위해 사용한다. df [옵션] [경로] 형태로 사용하는데, 마찬가지로 경로는 생략이 가능하다. 이 역시 df 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옵션이 있는데, 마찬가지로 -h 외엔 잘 사용하지 않는다. ​ 사용 예시를 보면 [hithere@hithere ~]$ du /home/hithere/ 48395900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nohup 297672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gclog 188600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access 48909236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 48909236 /home/hithere/hithereLog/tc_log hithere 경로를 기준으로 해당 폴더들이 사용 중인 공간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보기 쉽지 않다. ​ -h 옵션을 사용해보면 [hithere@hithere ~]$ du -h /home/hithere/ 47G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nohup 291M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gclog 185M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access 47G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 47G /home/hithere/hithereLog/tc_log 마찬가지로 보기 좋게 정렬이 되어 어느 폴더가 얼마나 사용 중 인지를 알 수 있다. 테스트를 위해 톰켓을 띄우고 몇 달간 로그를 찍었더니 용량이 47GB나 쌓였다. 디스크 사용률이 100%일 때 어느 구간인지 확인하기 이제는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도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해 포스팅해본다. 우선 리눅스 서버를 운용 중이라면 수시로 디스크 상태를 체크할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나 중요한 시스템이라면 다양한 방식(문자메시지, 카카오톡, 모니터링 등)을 사용해 알람을 줄 것이다. 임계치를 90%로 설정해놨을 경우 디스크 사용률이 90%가 넘으면 알림이 오고 서버 관리자는 확인을 해볼 것이라 생각된다. ​ 최초에는 df 명령어를 통해 전체 디스크 상황을 확인한 다음, 조치를 취해야 한다. df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본 결과 /home/hithere 의 경로의 디스크 사용률이 90%라는 걸 알게 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hithere@hithere ~]$ du /home/hithere/ | sort -n | tail -5 48395900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nohup 48909236 /home/hithere/hithereLog/tc_log 48909236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 49127792 /home/hithere/hithereLog 49248176 /home/hithere/ 이는 /home/hithere 하위 경로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용량을 사용 중인 폴더를 구분하는 방법이다. 즉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nohup 경로에 고용량의 파일이 쌓였으니, 이 부분을 확인해보면 된다고 해석하면 된다. 해당 경로로 이동하면 어마어마한 로그 파일이 쌓여있을 것이다. ​ 그럼 저 명령어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확인을 해본다. 먼저 sort 옵션을 통해 정렬을 해본다. [hithere@hithere ~]$ du -h /home/hithere/ | sort -n 0 /home/hithere/.config 0 /home/hithere/.config/abrt … 996K /home/hithere/tomcat/domains/schoolap/work/Catalina/localhost/ROOT/org/apache/jsp/WEB_002dINF 996K /home/hithere/tomcat/domains/schoolap/work/Catalina/localhost/ROOT/org/apache/jsp/WEB_002dINF/view 전체 내용이 너무 길어 중간에 …는 생략된 부분이다. sort 명령을 통해 정렬을 하니 파일의 사이즈 크기별로 정렬이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이상한 점이 하나 있는데, 제일 큰 파일의 용량이 996k 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분명 저 위에는 45GB의 파일이 있어야 하는데… ​ 그 이유는 전체 내용 중 중간에 생략된 부분을 보면 알 수 있다. 44K /home/hithere/tomcat/apache-tomcat-8.5.49/webapps/examples/jsp/tagplugin 44K /home/hithere/tomcat/applications/hithere.war/css/images 47G /home/hithere/ 47G /home/hithere/hithereLog 47G /home/hithere/hithereLog/tc_log 47G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 47G /home/hithere/hithereLog/tc_log/hithere/nohup 47M /home/hithere/tomcat/applications/device 48K /home/hithere/tomcat/apache-tomcat-8.5.49/webapps/examples/jsp/jsp2/tagfiles -h 옵션을 사용했기 때문에 MB 나 GB 단위로 변경이 되면서 47G가 48K 보다 작은 것처럼 정렬이 되었다. 이로써 크기별로 정렬 시에는 -h 옵션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해당 옵션을 지우고 다시 확인해보니 [hithere@hithere ~]$ du /home/hithere/ | sort -n 0 /home/hithere/.config 0 /home/hithere/.config/abrt … 49127792 /home/hithere/hithereLog 49248176 /home/hithere/ 정상적으로 정렬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그럼 마지막으로 뒤에 tail 옵션은 무엇일까? tail이라는 단어는 꼬리라는 뜻의 단어인 것처럼, 지정된 파일의 가장 마지막을 보여주는 명령이며, 뒤에 – 다음 붙은 숫자만큼의 라인을 보여준다. 로그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이 tail 명령어를 자주 쓴다. ​ 결국은 지정된 경로 하위의 폴더나 파일들을 사이즈 별로 정렬한 다음, 가장 큰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경로를 보여주는 명령어인 셈이다. 이 명령어를 통해 리눅스 계열 서버 용량 관리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인쇄

[Linux] 서버 용량 확인 (df, du 명령어: 서버 상태 체크)

삭제 로직을 추가하거나 로그레벨을 조정하면 되지만 우선 급한대로 수기로 지워야 합니다.그리고 보통 우리는 격무에 시달리기 때문에 삭제 로직을 언젠가 자체 개선 건으로 작업해야지 하면서 매일 서버 용량 체크를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일하다 보면 WAS 사용량이 90% 초과하고 있다는 알림 혹은 연락을 받곤 합니다. 모니터링 툴이 없다면 리눅스에서 현재 내 서버 용량의 사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du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용량 확인(하위 포함) du -h 예쁘게 보기 du -a 디렉토리 내 파일의 용량도 같이 출력 du -s 총 용량 확인

19 thg 3, 2022 — 모니터링 툴이 없다면 리눅스에서 현재 내 서버 용량의 사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버 사용량 초과 연락이 자주 온 …

  • Source: studyingazae.tistory.com
  • Views: 57631
  • Publish date: 3 minute ago
  • Downloads: 77103
  • Likes: 1839
  • Dislikes: 10
  • Title Website: [Linux] 서버 용량 확인 (df, du 명령어: 서버 상태 체크)
  • Description Website: 19 thg 3, 2022 — 모니터링 툴이 없다면 리눅스에서 현재 내 서버 용량의 사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버 사용량 초과 연락이 자주 온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따라學IT] 12. 리눅스의 로그 – 다양한 로그 파일 확인 실습

  • Source: Youtube
  • Views: 103413
  • Date: 29 minute ago
  • Download: 73179
  • Likes: 8290
  • Dislikes: 5

[Linux] 서버 용량 확인 (df, du 명령어: 서버 상태 체크)

리눅스 서버 용량 확인

일하다 보면 WAS 사용량이 90% 초과하고 있다는 알림 혹은 연락을 받곤 합니다. 모니터링 툴이 없다면 리눅스에서 현재 내 서버 용량의 사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버 사용량 초과 연락이 자주 온다면?

Log파일을 생성하거나 SFTP 다운로드 등 서버 용량을 차지하는 작업에는 항상 일정 기간 전의 파일을 지워주는 작업이 있어야 합니다.

(3개월 단위 log 보관 예) Server_2022_04_01.log 생성 전에 Server_2022_01_01.log 삭제 로직 추가

이런 삭제 로직이 잘 구현되었다면 사용량 초과 연락을 받을 일이 없을텐데 이 작업이 없을 수 있습니다.

어딘가에 불필요한 이미지 혹은 log 파일이 쌓이고 있을 겁니다.

삭제 로직을 추가하거나 로그레벨을 조정하면 되지만 우선 급한대로 수기로 지워야 합니다.그리고 보통 우리는 격무에 시달리기 때문에 삭제 로직을 언젠가 자체 개선 건으로 작업해야지 하면서 매일 서버 용량 체크를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자주쓰는 서버 용량 체크 명령어

df -h

가장 깔끔하게 보여줍니다.

use%의 숫자가 100%에 가깝다면 주의하셔야 합니다.

워낙 짧아서 몇번 쓰다보면 외워지지만 오랜만에 쓰려면 잘 기억이 안 납니다.

외워지기 전에는 Alias에 check 등으로 추가해두고 쓰곤 했습니다.

Alias 등록 방법

df 명령어

df 디스크 용량 확인 df -h 예쁘게 보기 df -k, df -m kb, mb 단위로 보기

du 명령어

du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용량 확인(하위 포함) du -h 예쁘게 보기 du -a 디렉토리 내 파일의 용량도 같이 출력 du -s 총 용량 확인

블로그의 다른 IT 글 보기

리눅스 / 명령어 / du / 디렉토리와 파일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rdate는 서버의 시간과 타임서버의 시간을 동기화해주는 명령어입니다. rdate는 설치되어있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필요하다면 설치를 해야 합니다. CentOS라면 yum install rdate Ubuntu라면 apt install rdate 와 같이 명령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타임서버의 시간을 확인할 때는 -p 옵션을 사용합니다. 현재 서버의 시간을 변경하지 않습니다. rdate -p time.bora.net 현재 서버의 시간을 타임서버의 시간으로 맞출 때에는 -s 옵션을 붙입니다. rdate -s time.bora.net CentOS …

리눅스 / 명령어 / rdate / 타임서버의 시간과 동기화해주는 명령어

26 thg 7, 2018 — du는 disk usage의 약자로 디렉토리(폴더)와 파일의 용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du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와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을 표시 …

  • Source: www.manualfactory.net
  • Views: 25077
  • Publish date: 17 hours ago
  • Downloads: 66489
  • Likes: 6460
  • Dislikes: 4
  • Title Website: 리눅스 / 명령어 / du / 디렉토리와 파일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 Description Website: 26 thg 7, 2018 — du는 disk usage의 약자로 디렉토리(폴더)와 파일의 용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du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와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을 표시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Linux] 디스크 용량 살펴보기 ★밤비와 코딩

  • Source: Youtube
  • Views: 49050
  • Date: 4 minute ago
  • Download: 35307
  • Likes: 9162
  • Dislikes: 7

리눅스 / 명령어 / du / 디렉토리와 파일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리눅스 / 명령어 / rdate / 타임서버의 시간과 동기화해주는 명령어

rdate는 서버의 시간과 타임서버의 시간을 동기화해주는 명령어입니다. rdate는 설치되어있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필요하다면 설치를 해야 합니다. CentOS라면 yum install rdate Ubuntu라면 apt install rdate 와 같이 명령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타임서버의 시간을 확인할 때는 -p 옵션을 사용합니다. 현재 서버의 시간을 변경하지 않습니다. rdate -p time.bora.net 현재 서버의 시간을 타임서버의 시간으로 맞출 때에는 -s 옵션을 붙입니다. rdate -s time.bora.net CentOS …

[Linux]남은 용량 확인하기 – 박상권의 삽질블로그 – 티스토리

– df : 남은용량 확인(기본 명령어) – df -h : 깔끔하게 정리해서 보여줌 – df . : 현재 경로의 디스크용량만 확인 – df -m, -k : megabyte, kilobyte단위로 확인

– du : 현재경로 아래 확인(기본명령어) – du -sh * : 현재 경로 아래 사용량 확인 1depth – du -a : 파일단위로 사용량 확인

제가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 ‘개발자 테드박’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27 thg 7, 2015 — 디스크 전체 남은용량 확인 – df : 남은용량 확인(기본 명령어) – df -h : 깔끔하게 정리해서 보여줌 – df . : 현재 경로의 디스크용량만 확인 – df …

  • Source: gun0912.tistory.com
  • Views: 83619
  • Publish date: 60 minute ago
  • Downloads: 46615
  • Likes: 5130
  • Dislikes: 5
  • Title Website: [Linux]남은 용량 확인하기 – 박상권의 삽질블로그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27 thg 7, 2015 — 디스크 전체 남은용량 확인 – df : 남은용량 확인(기본 명령어) – df -h : 깔끔하게 정리해서 보여줌 – df . : 현재 경로의 디스크용량만 확인 – df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유무선공유기 USB 외장하드 간이 NAS 쓰면 벌어지는 일. NAS 버려라?

  • Source: Youtube
  • Views: 60628
  • Date: 16 hours ago
  • Download: 73942
  • Likes: 5513
  • Dislikes: 6

[Linux]남은 용량 확인하기

박상권의 삽질블로그

제가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 ‘개발자 테드박’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스타트업/개발자/IT 관련된 여러 영상을 올리고 있습니다.

영상보러가기

블로그를 Medium으로 옮겨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새로운 글은 모두 미디엄 블로그를 통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미디엄에서 다양하고 유익한 포스팅을 살펴보세요

미디엄 블로그 보기

디스크 전체 남은용량 확인

– df : 남은용량 확인(기본 명령어) – df -h : 깔끔하게 정리해서 보여줌 – df . : 현재 경로의 디스크용량만 확인 – df -m, -k : megabyte, kilobyte단위로 확인

현재 경로 아래의 사용량 확인

– du : 현재경로 아래 확인(기본명령어) – du -sh * : 현재 경로 아래 사용량 확인 1depth – du -a : 파일단위로 사용량 확인

리눅스 디스크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df/du) – IT Blog – 티스토리

윈도우에서는 폴더의 우클릭을 해서 속성정보를 보면 간단하게 용량을 확인할 수 있지만 리눅스에서는 명령어 기반이기 때문에 어떤 명령어를 입력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눅스에서 폴더 명령어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크게 df / du 명령어가 있습니다.

df -h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람이 알아보기 쉽게 단위를 변환해서 보여줍니다. 메가바이트(M), 기가바이트(G), 테라바이트(T) 단위로 볼 수 있습니다.

df명령어를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전체 디스크의 용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Used의 단위는 bytes 단위 입니다.

윈도우에서는 폴더의 우클릭을 해서 속성정보를 보면 간단하게 용량을 확인할 수 있지만 리눅스에서는 명령어 기반이기 때문에 어떤 명령어를 입력해야 할지 모르는 …

  • Source: realmojo.tistory.com
  • Views: 9433
  • Publish date: 12 hours ago
  • Downloads: 86713
  • Likes: 2521
  • Dislikes: 3
  • Title Website: 리눅스 디스크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df/du) – IT Blog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윈도우에서는 폴더의 우클릭을 해서 속성정보를 보면 간단하게 용량을 확인할 수 있지만 리눅스에서는 명령어 기반이기 때문에 어떤 명령어를 입력해야 할지 모르는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죽어버린 배터리 살려봤더니 이런 결과가?? 종지전압 밑으로 내려간 리튬이온배터리 살려서 상태체크하기 ! lithium ion battery

  • Source: Youtube
  • Views: 25950
  • Date: 11 hours ago
  • Download: 67572
  • Likes: 1762
  • Dislikes: 1

리눅스 디스크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df/du)

윈도우에서는 폴더의 우클릭을 해서 속성정보를 보면 간단하게 용량을 확인할 수 있지만 리눅스에서는 명령어 기반이기 때문에 어떤 명령어를 입력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눅스에서 폴더 명령어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크게 df / du 명령어가 있습니다.

1. df 명령어로 디스크 용량확인

df명령어를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전체 디스크의 용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Used의 단위는 bytes 단위 입니다.

2. df -h 명령어로 디스크 용량 확인

df -h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람이 알아보기 쉽게 단위를 변환해서 보여줍니다. 메가바이트(M), 기가바이트(G), 테라바이트(T) 단위로 볼 수 있습니다.

3. du -ah

du -ah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폴더와 파일 단위로 보여 줍니다.

4. du -sh

du -sh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의 총량을 보여줍니다.

Linux disk 남은 용량 확인

Linux 환경에서 terminal을 사용하여 특정 폴더 혹은 위치에 남은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 du -sh *: 한 step의 sub-directory 기준으로 사용량 표기

전체 disk의 남은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31 thg 3, 2021 — Linux 환경에서 terminal을 사용하여 특정 폴더 혹은 위치에 남은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disk의 남은 용량을 확인하기 …

  • Source: daanv.tistory.com
  • Views: 6568
  • Publish date: 1 minute ago
  • Downloads: 27856
  • Likes: 6921
  • Dislikes: 2
  • Title Website: Linux disk 남은 용량 확인
  • Description Website: 31 thg 3, 2021 — Linux 환경에서 terminal을 사용하여 특정 폴더 혹은 위치에 남은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disk의 남은 용량을 확인하기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리튬이온 배터리 전압 용량 사용시간 계산하는 방법 알아보기 ㅣ파워뱅크 선택시 유용해요

  • Source: Youtube
  • Views: 65470
  • Date: 35 minute ago
  • Download: 81643
  • Likes: 595
  • Dislikes: 10

Linux disk 남은 용량 확인

Linux 환경에서 terminal을 사용하여 특정 폴더 혹은 위치에 남은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disk의 남은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1. df: 남은 용량 확인 (기본)

> df -k: KB 단위로 남은 용량 표기

> df -m: MB 단위로 남은 용량 표기

> df -h: 보기 좋게 남은 용량 표기

> df . : 현재 directory가 포함된 영역의 남은 용량 표기

2. du: 현재 directory의 사용량 확인

> du -a: 파일 단위로 사용량 표기

> du -s: 총 사용량 표기

> du -h: 보기 좋게 사용량 표기

> du -sh *: 한 step의 sub-directory 기준으로 사용량 표기

[참고] jangjy.tistory.com/289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리눅스 용량 확인

Bing에서 리눅스 용량 확인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리눅스 용량 확인.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리눅스 용량 확인 리눅스 폴더별 용량 확인, 리눅스 용량 확인 GB, 리눅스 현재 디렉토리 용량 확인, 리눅스 파일 용량 확인, 리눅스 전체 용량 확인, 리눅스 용량 확인 df, 리눅스 서버 용량 확인, 리눅스 용량 확인 du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