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 1836 교정 유지 장치 새로운 업데이트 50 일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교정 유지 장치“?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1.castu.org 탐색에서: c1.castu.org/blog.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교정 유지 장치 교정 유지장치 안맞음, 교정 유지장치 떨어짐, 교정 유지장치 안하면, 교정 유지장치 평생, 교정 유지장치 아픔, 교정 유지장치 10년, 교정 유지장치 가격, 교정유지장치 키스

교정치료후…..나는 어떤 유지장치를 하게 될까? 선택가능??

28 thg 8, 2022 — 기나긴 교정치료가 끝난후에는 반드시 유지장치를 하게 됩니다.유지장치의 종류는 치아안쪽에 얇은 철사를 붙이는 고정식 유지장치가 있고, …

  • Source: www.youtube.com
  • Views: 72133
  • Publish date: 21 hours ago
  • Downloads: 49745
  • Likes: 9255
  • Dislikes: 9
  • Title Website: 교정치료후…..나는 어떤 유지장치를 하게 될까? 선택가능??
  • Description Website: 28 thg 8, 2022 — 기나긴 교정치료가 끝난후에는 반드시 유지장치를 하게 됩니다.유지장치의 종류는 치아안쪽에 얇은 철사를 붙이는 고정식 유지장치가 있고,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25888
  • Date: 53 minute ago
  • Download: 91855
  • Likes: 2544
  • Dislikes: 2

[교정칼럼] 교정치료 후 유지관리,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

고정성 유지장치는 세 가닥으로 꼬여진 얇은 철사(직경 0.0175인치의 twistflex 혹은 triflex wire)를 앞니 설측면에 부착하며, 보통 비발치로 교정한 경우는 송곳니까지(3-3), 발치교정의 경우는 제2소구치까지(5-5) 연장합니다. 세 가닥으로 꼬여진 철사를 이용하는 이유는 꼬여진 철사가 같은 두께의 통으로 된 철사보다 더 유연하고 강하면서도 치아 뒷면의 굴곡을 따라 형태를 잘 부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치아는 뼈와 완전히 붙어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교정 후 유지단계에서 어느 정도의 움직임은 허용하면서도 배열된 상태를 잡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몇 년 전 치과신문 중 하나인 <덴탈 아리랑>에 ‘우주를 유영하는 교정유지장치’라는 칼럼을 게재한 적이 있습니다. 가끔 영화나 드라마에서 교정장치를 붙이고 있는 배우의 모습을 보게 되는데, 뭔가 미운오리새끼 같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클리쉐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교정의사의 입장에서는 반갑기도 하지만 식상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유지장치가 나오는 경우는 흔치는 않은데 영화 ‘그래비티’를 보면 초반부에 흥미를 끄는 장면이 있어 이를 모티브로 유지장치에 대한 칼럼을 썼었습니다. 그중 한 대목을 소개하겠습니다.

위에서 설명해 드린 가철성 유지장치와 더불어 많이 쓰이는 것으로 Clear retainer(투명 유지장치)가 있습니다. 투명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기간 사용 시 지저분해지고 파손되며, 교합면을 덮기 때문에 교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는 불리하므로 저희 병원에서는 일시적으로만 사용합니다. 또한 가철성 유지장치는 잘 때만 끼는 것을 권유 드리므로 굳이 보이는 문제 때문에 투명유지장치를 선택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Source: news.kdha.or.kr
  • Views: 81431
  • Publish date: 47 minute ago
  • Downloads: 69299
  • Likes: 8629
  • Dislikes: 4
  • Title Website: [교정칼럼] 교정치료 후 유지관리,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치아 교정 유지 장치 평생 한다고요?! | 교정 유지 장치 기간 딱! 정해드릴게요!

  • Source: Youtube
  • Views: 65082
  • Date: 39 minute ago
  • Download: 45975
  • Likes: 3335
  • Dislikes: 2

[교정칼럼] 교정치료 후 유지관리,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

최낙천 원장

안녕하세요. 작년 6월 첫 교정칼럼을 시작으로 매달 한 번씩 다양한 주제로 여러분을 만나온 지 벌써 1년이 지나 이제 마지막이네요. 이번 칼럼의 주제는 교정치료의 마지막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교정치료 후 유지관리’로, 실제 환자들에게는 교정치료를 하는 중만큼이나 유지관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항상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유지관리는 교정치료의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몇 년 전 치과신문 중 하나인 <덴탈 아리랑>에 ‘우주를 유영하는 교정유지장치’라는 칼럼을 게재한 적이 있습니다. 가끔 영화나 드라마에서 교정장치를 붙이고 있는 배우의 모습을 보게 되는데, 뭔가 미운오리새끼 같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클리쉐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교정의사의 입장에서는 반갑기도 하지만 식상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유지장치가 나오는 경우는 흔치는 않은데 영화 ‘그래비티’를 보면 초반부에 흥미를 끄는 장면이 있어 이를 모티브로 유지장치에 대한 칼럼을 썼었습니다. 그중 한 대목을 소개하겠습니다.

그런데 영화를 감상하던 중 필자의 눈을 사로잡는 한 장면이 있었다.

허블 망원경을 수리하던 중 폐기된 인공위성 파편에 의해 우주공간으로 날아가 버린 산드라 블록을 조지 클루니가 구조하여 모선으로 돌아왔던 장면이었다. 모선은 이미 파편으로 인하여 만신창이가 되고 동료들은 모두 사망한 그때.. 우주선 속에 있던 다양한 물건들 (모자, 큐브, 인형 등등…)이 무중력 상태에서 둥둥 떠다니던 중 교정의사인 제가 포착한 것은 바로 교정유지장치였다

교정치료 마무리 단계에는 치료 후 안정성을 고려하며 조금 더 디테일한 치아배열에 집중하며, 환자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파악하여 반영하여야 합니다. 이후 마무리가 다 되면 교정장치를 제거하고 유지장치를 장착하게 됩니다.

유지장치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치아 안쪽 면에 붙여 놓는 ‘고정성 유지장치(fixed retainer)’ 와 뺐다 꼈다 할 수 있는 ‘가철성 유지장치(removable retainer)’로 구별됩니다.

위 ‘그래비티’ 장면에서 나온 유지장치는 가장 단순한 기본형태의 가철성 유지장치로서 Hawley retainer (홀리 유지장치)라고 하며, 성장기 교정환자나 일시적인 유지장치로 주로 이용됩니다. 이보다 더 많이 사용되는 것은 Wrap-around retainer(랩어라운드 유지장치) 혹은 Circumferential retainer(써컴 유지장치)라고 불리는 가철성 유지장치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치아의 바깥 면을 감싸는 두꺼운 철사와 입천장의 resin base, 그리고 앞쪽에서 이 둘을 연결해주는 얇은 Supporting wir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든 치아를 안팎에서 잡아주기 때문에 유지효과가 더 뛰어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철성 유지장치는 환자의 교정 전후 상태와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기도 합니다.

위에서 설명해 드린 가철성 유지장치와 더불어 많이 쓰이는 것으로 Clear retainer(투명 유지장치)가 있습니다. 투명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기간 사용 시 지저분해지고 파손되며, 교합면을 덮기 때문에 교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는 불리하므로 저희 병원에서는 일시적으로만 사용합니다. 또한 가철성 유지장치는 잘 때만 끼는 것을 권유 드리므로 굳이 보이는 문제 때문에 투명유지장치를 선택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가철성 유지장치를 잘 끼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더 필수적인 것은 고정성 유지장치(fixed retainer)가 치아에 잘 부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고정성 유지장치는 fixed retainer, bonded retainer, 혹은 lingual DBS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립니다.

고정성 유지장치는 세 가닥으로 꼬여진 얇은 철사(직경 0.0175인치의 twistflex 혹은 triflex wire)를 앞니 설측면에 부착하며, 보통 비발치로 교정한 경우는 송곳니까지(3-3), 발치교정의 경우는 제2소구치까지(5-5) 연장합니다. 세 가닥으로 꼬여진 철사를 이용하는 이유는 꼬여진 철사가 같은 두께의 통으로 된 철사보다 더 유연하고 강하면서도 치아 뒷면의 굴곡을 따라 형태를 잘 부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치아는 뼈와 완전히 붙어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교정 후 유지단계에서 어느 정도의 움직임은 허용하면서도 배열된 상태를 잡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철성 장치의 경우는 잘 때 끼도록 권유하고, 정기 검진을 진행하며 점차 착용하는 시간을 줄여나가게 됩니다. 그러나 고정성 유지장치의 경우에는 특별한 문제가 있지 않은 이상에는 계속 붙이고 계시는 것이 교정 후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교정 후 유지기간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지만 저는 life-time retention의 개념으로 평생 유지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정 후 정기검진은 6개월마다, 적어도 1년에 한 번씩은 병원에 내원하여 스케일링 후 고정성 유지장치가 탈락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가철성 장치가 잘 맞는지, 혹시 느슨해졌다면 조금 더 조여주기도 하며, 이후 충치와 잇몸상태 등 일반적인 검진도 시행합니다. 또한, 정기검진 외에도 유지장치에 이상이 있거나 치열이 변하는 것 같다면 언제든 병원에 내원하셔야 함을 강조합니다.

간혹 유지장치에 문제가 있는데도 안 오시고 장기간 정기검진도 빼먹는 분들이 계십니다. 만약 재발이 되었다면 간단하게는 기존의 가철성 유지장치인 W-A를 이용하거나 투명장치를 몇 단계 제작하여 조절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단계를 넘어서 재발되었으나 앞니에 국한된 경우 ‘육전치교정(앞니교정)’을 통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재교정을 통해 해결하기도 합니다.

이번 회까지 열두 번의 칼럼이 교정치료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치위협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치아교정 유지 장치, 기간은 얼마나 해야 하나요? – 네이버 블로그

겨우 했는데 교정 기간이 끝난 후에도 교정 유지 장치는 평생 해야 한다?

치아 교정 유지장치 기간은 언제까지 착용해야 하는 걸까요?!😮

단 하루라도 빨리 교정장치를 떼고 싶은 마음인데..

  • Source: m.blog.naver.com
  • Views: 82227
  • Publish date: 23 hours ago
  • Downloads: 25710
  • Likes: 8821
  • Dislikes: 3
  • Title Website: 치아교정 유지 장치, 기간은 얼마나 해야 하나요? – 네이버 블로그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2-37.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 뭐가 더 좋을까요? 한 번에 이해되실 겁니다. ⭐치아교정 부작용 막기⭐

  • Source: Youtube
  • Views: 103681
  • Date: 13 hours ago
  • Download: 7170
  • Likes: 5037
  • Dislikes: 7

치아교정 유지 장치, 기간은 얼마나 해야 하나요?

치아 교정! 오래 해야 한다고 해서 고민고민하다가

겨우 했는데 교정 기간이 끝난 후에도 교정 유지 장치는 평생 해야 한다?

단 하루라도 빨리 교정장치를 떼고 싶은 마음인데..

치아 교정 유지장치 기간은 언제까지 착용해야 하는 걸까요?!😮

더욱 빠르게 만나보는 유익한 구강 정보

🔽치대남 유튜브 구독하기🔽

유치장치의중요성 – 예이랑 치과의원

교정치료를 마무리 했다고 해도, 치조골과 섬유의 재형성에는 길게 1년이상 걸리므로 교정장치 제거후 1년간은 보정장치를 24시간 착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 후 유지계획에 따라 밤에만 착용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교정치료 총 치료기간의 두 배이상을 붙여 유지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 오래 붙이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가철식 유지장치는 최소 6개월에서 1년간은 24시간 착용해야합니다. 이 후 착용 시간을 점차적으로 줄여가게 됩니다.

  • Source: www.smileline.kr
  • Views: 3838
  • Publish date: 45 minute ago
  • Downloads: 17409
  • Likes: 2005
  • Dislikes: 6
  • Title Website: 유치장치의중요성 – 예이랑 치과의원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교정vlog] 거의 끝나가요! 아래 유지장치 붙이고, 정중선 맞춰주기

  • Source: Youtube
  • Views: 79103
  • Date: 43 minute ago
  • Download: 15398
  • Likes: 9717
  • Dislikes: 5

예이랑 치과의원

교정진료기간 만큼 유지기간도 중요합니다!

유지장치의 중요성

교정치료후 장치를 제거하고 나면 유지장치 또는 보정장치를 착용하게 됩니다.

교정치료를 마무리 했다고 해도, 치조골과 섬유의 재형성에는 길게 1년이상 걸리므로 교정장치 제거후 1년간은 보정장치를 24시간 착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 후 유지계획에 따라 밤에만 착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개인별로 유지기간이 다를수 있으며 별다른 보정장치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도 있습니다.

유지장치의 종류

고정식 유지장치

교정용 가는 철사를 치아 설측면에 맞게 제작 후 치면에 붙여 치아의 틀어짐을 방지합니다.

일반적으로 교정치료 총 치료기간의 두 배이상을 붙여 유지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 오래 붙이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가철식 유지 장치

치아의 본을 떠서 제작하며 전체적으로 치아를 감싸 유지하는 형태이며 뺐다 꼈다 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가철식 유지장치는 최소 6개월에서 1년간은 24시간 착용해야합니다. 이 후 착용 시간을 점차적으로 줄여가게 됩니다.

Clear retainer

치아 모형을 찍어내 만든 투명한 유지장치입니다.

내구성이 약해 오랜기간 사용하기는 어렵습니다.

wrap around retainer

레진상과 유지부 및 순측 와이어로 치아를 단단히 유지하는 유지장치입니다.

치아교정 – 나무위키

  • Source: namu.wiki
  • Views: 79899
  • Publish date: 55 minute ago
  • Downloads: 71593
  • Likes: 959
  • Dislikes: 3
  • Title Website: 치아교정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교정러들 필수시청! ★방심하면 큰일나는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 관리, 세척 방법 ]

  • Source: Youtube
  • Views: 100606
  • Date: 39 minute ago
  • Download: 109828
  • Likes: 1360
  • Dislikes: 1

유지 장치와 치료 후 관리의 중요성 – 대한치과교정학회

교정 치료가 끝나 장치를 모두 제거한 후에는 가철성 유지 장치를 장착해야 합니다. 식사 때와 칫솔질 할 때를 제외하고 하루 종일 벙척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정기적으로 …

  • Source: www.kao.or.kr
  • Views: 36088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20159
  • Likes: 8755
  • Dislikes: 10
  • Title Website: 유지 장치와 치료 후 관리의 중요성 – 대한치과교정학회
  • Description Website: 교정 치료가 끝나 장치를 모두 제거한 후에는 가철성 유지 장치를 장착해야 합니다. 식사 때와 칫솔질 할 때를 제외하고 하루 종일 벙척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정기적으로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치아교정 유지장치 끼는 날, 하루씩 줄여드릴게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 교정유지장치!

  • Source: Youtube
  • Views: 101772
  • Date: 7 hours ago
  • Download: 13019
  • Likes: 897
  • Dislikes: 1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의 관리와 기간 – 바이스치과

고정성 유지 장치의 부착 기간은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교정 치료 후 재발은 1년 정도 지나면 거의 사라지지만, 저작이나 발음 등 기능을 하면서 힘을 계속 받는 치아이므로 1년 이후에도 치아는 다시 틀어질 수 있습니다. 치주염이나 노화에 따른 변화도 치아의 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정성 유지 장치가 잘 부착되어 있고 환자 스스로 느끼는 불편감이 없다면 평생 제거하지 않고 부착하고 계시는 편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유지 철사 주변의 잇몸 관리가 잘 안 되는 경우엔 유지 철사를 제거하고 가철식 장치만 사용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고정성 유지 철사는 치아 설면에 부착되는가는 철사입니다. 보통은 얇은 철사를 여러 가닥 꼬아서 만들어진 철사를 이용해서 제작됩니다. 실처럼 가는 철사를 치아 설면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일주일 정도의 적응 기간이 지나면 이물감이 있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상악의 경우엔 앞니 4개를 연결하고 하악의 경우엔 송곳니에서 송곳니까지 앞니 6개를 연결합니다. 필요에 따라서 상악도 송곳니에서 송곳니까지 6개를 연결하기도 하며 발치 교정을 한 경우엔 발치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작은 어금니까지 총 8개의 치아를 연결하기도 합니다.

가철식 유지 장치의 착용 기간은 교정 치료를 담당해주신 원장님께서 정해주시는 기간을 준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교정치료를 받은 기간의 절반에서 2/3 정도의 기간은 밤낮으로 착용하고 식사할 때와 양치할 때만 빼는 것이 추천되며 그 이후엔 역시 교정 치료 기간의 절반에서 2/3 정도의 기간 동안 잘 때 끼는 것이 추천됩니다. 하지만 재발의 우려가 높은 사례나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엔 좀 더 오래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장치를 착용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은 경우에는 좀 더 오랫동안 밤에 끼는 것도 좋습니다.

하나는 치아 설면에 접착제를 이용해서 고정하는 유지 철사이고, 다른 하나는 치열 전체를 감싸는 가철식 유지 장치입니다. ◇ 교정 후 ‘고정성 유지 철사’의 관리와 기간

  • Source: www.weiss.co.kr
  • Views: 103384
  • Publish date: 30 minute ago
  • Downloads: 25373
  • Likes: 1052
  • Dislikes: 6
  • Title Website: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의 관리와 기간 – 바이스치과
  • Description Website: 하나는 치아 설면에 접착제를 이용해서 고정하는 유지 철사이고, 다른 하나는 치열 전체를 감싸는 가철식 유지 장치입니다. ◇ 교정 후 ‘고정성 유지 철사’의 관리와 기간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 세척 \u0026 관리 방법 – 가철식 유지장치 편

  • Source: Youtube
  • Views: 106774
  • Date: 8 hours ago
  • Download: 20296
  • Likes: 6116
  • Dislikes: 5

바이스치과 교정과 치과의원

제목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의 관리와 기간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의 관리와 기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기사로 넘어갑니다)

교정 치료는 교정기의 제거와 함께 마무리되지만, 교정 치료 과정만큼 중요한 것이 유지 관리입니다.

교정 치료라는 것이 가만히 있던 치아를 이동시켜 새로운 위치에 보내는 치료인 만큼 교정 치료를 마친지 얼마 안 되는 치아는 작은 외력에도 틀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유지 장치를 사용하여 치아가 치조골에 다시 자리를 잡을 때까지 고정해주는 유지 장치가 필요합니다. 유지 장치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치아 설면에 접착제를 이용해서 고정하는 유지 철사이고, 다른 하나는 치열 전체를 감싸는 가철식 유지 장치입니다.

◆ 교정 후 ‘고정성 유지 철사’의 관리와 기간

1. 고정성 유지 철사란?

고정성 유지 철사는 치아 설면에 부착되는가는 철사입니다. 보통은 얇은 철사를 여러 가닥 꼬아서 만들어진 철사를 이용해서 제작됩니다. 실처럼 가는 철사를 치아 설면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일주일 정도의 적응 기간이 지나면 이물감이 있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상악의 경우엔 앞니 4개를 연결하고 하악의 경우엔 송곳니에서 송곳니까지 앞니 6개를 연결합니다. 필요에 따라서 상악도 송곳니에서 송곳니까지 6개를 연결하기도 하며 발치 교정을 한 경우엔 발치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작은 어금니까지 총 8개의 치아를 연결하기도 합니다.

2 고정성 유지 철사의 관리

고정성 유지 장치는 간혹 접착제가 탈락하거나 철사가 끊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반드시 병원에 연락하고 병원에 와서 빠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정성 유지 철사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혀 등 구강 내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부만 발생한 이상이 전체적으로 확대돼서 유지 철사 전체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철사가 떨어진 치아의 경우 틀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유지 철사나 접착제에 문제가 느껴지면 최다한 빠른 내원이 필요합니다.

3. 고정성 유지 장치의 부착 기간은?

고정성 유지 장치의 부착 기간은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교정 치료 후 재발은 1년 정도 지나면 거의 사라지지만, 저작이나 발음 등 기능을 하면서 힘을 계속 받는 치아이므로 1년 이후에도 치아는 다시 틀어질 수 있습니다. 치주염이나 노화에 따른 변화도 치아의 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정성 유지 장치가 잘 부착되어 있고 환자 스스로 느끼는 불편감이 없다면 평생 제거하지 않고 부착하고 계시는 편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유지 철사 주변의 잇몸 관리가 잘 안 되는 경우엔 유지 철사를 제거하고 가철식 장치만 사용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 교정 후 ‘가철식 유지 장치’의 관리와 기간

1. 가철식 유지 장치란?

앞니 부위에만 부착되는 고정식 유지 장치와는 달리 가철식 유지 장치는 치열 전체를 감싸주는 장치로 환자가 스스로 착용과 제거를 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치열궁의 유지 및 치열 전체의 유지에 효과적인 장치입니다. 부피가 커서 이물감이 있으며 식사할 때나 양치할 때는 장치를 빼야 하며 발음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고정성 장치와 달리 환자 스스로 착용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협조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2. 가철식 유지 장치의 종류

가철식 유지 장치는 과거에는 분홍색 플라스틱과 단단한 철사로 이루어진 장치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교정 치료 방법이나 발치 여부 그리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장치 디자인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장치는 단단한 철사가 치아 전체를 감싸고 그 철사를 분홍색 플라스틱이 잡아주는 모양입니다.

상악의 경우 분홍색 플라스틱이 입천장을 덮게 되고 하악의 경우엔 치아 설측 하방 잇몸까지 덮어주는 모양입니다. 이런 타입의 장치는 튼튼하므로 변형이나 파손의 위험이 적지만 이물감이나 발음 장해 등 환자가 사용하기에 불편감이 있으며 유지 장치의 철사가 앞니의 앞쪽 면을 지나가기 때문에 설측 교정이나 투명 교정 등 보이지 않는 교정 장치로 교정 치료를 받으신 분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최근에 성인들이 교정 치료를 많이 하고 설측 교정이나 투명 교정으로 교정 치료를 받으신 분들의 경우엔 기존의 장치보다는 투명 유지 장치를 사용하는 비율이 늘고 있습니다.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투명 유지 장치는 치아만을 덮기 때문에 훨씬 이물감이 적으며 착용 시에도 다른 사람들이 알아보기 힘들어서 낮에도 착용하기에 편리합니다. 다만 기존의 장치에 비해서 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변형이나 파손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주의해서 관리해야 하며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은 새 장치로 교체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3. 가철식 유지 장치의 관리

가철식 유지 장치는 어떤 타입이든지 파손의 가능성이 크므로 항상 주의해서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분실의 위험도 있으므로 착용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유지장치 케이스에 넣어서 보관해야 합니다. 그리고 입안에 끼는 장치이므로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양치할 때 항상 장치도 흐르는 물에 닦아 주시고 가끔은 치약을 묻힌 칫솔로 가볍게 닦아주시면 좋습니다. 좀 더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지 장치 세정제를 구입해서 일주일에 한두 번 소독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4. 가철식 유지 장치의 착용 기간

가철식 유지 장치의 착용 기간은 교정 치료를 담당해주신 원장님께서 정해주시는 기간을 준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교정치료를 받은 기간의 절반에서 2/3 정도의 기간은 밤낮으로 착용하고 식사할 때와 양치할 때만 빼는 것이 추천되며 그 이후엔 역시 교정 치료 기간의 절반에서 2/3 정도의 기간 동안 잘 때 끼는 것이 추천됩니다. 하지만 재발의 우려가 높은 사례나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엔 좀 더 오래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장치를 착용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은 경우에는 좀 더 오랫동안 밤에 끼는 것도 좋습니다.

<글 = 하이닥 의학기자 진훈희 원장 (치과 의사)>

<전문가 칼럼은 하이닥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 [출처] :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137645 | 하이닥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교정 유지 장치

Bing에서 교정 유지 장치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교정 유지 장치.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교정 유지 장치 교정 유지장치 안맞음, 교정 유지장치 떨어짐, 교정 유지장치 안하면, 교정 유지장치 평생, 교정 유지장치 아픔, 교정 유지장치 10년, 교정 유지장치 가격, 교정유지장치 키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