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닌텐도 스위치 커펌“?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382+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닌텐도 스위치 커펌 닌텐도 스위치 커펌 방법, 닌텐도 스위치 신형 커펌, 닌텐도 스위치 커펌이란, 닌텐도 스위치 커펌 단점, 닌텐도 스위치 커펌 대행 비용, 닌텐도 스위치 커펌 게임, 닌텐도 스위치 커펌 가능 기기, 닌텐도 스위치 커펌 게임 넣는법
Table of Contents
초보자를 위한 올인원! 닌텐도 스위치 13.2.1 버전 커스텀 펌웨어
22 thg 3, 2022 — 작업 전 스위치는 우측의 홈버튼을 1초이상 길게 누르면 나타나는 퀵메뉴에서 비행기 모드를 ON 으로 설정합니다. 이후 진행하게될 과정에서 커펌 …
- Source: opencourse.tistory.com
- Views: 68553
- Publish date: 3 hours ago
- Downloads: 59370
- Likes: 6014
- Dislikes: 2
- Title Website: 초보자를 위한 올인원! 닌텐도 스위치 13.2.1 버전 커스텀 펌웨어
- Description Website: 22 thg 3, 2022 — 작업 전 스위치는 우측의 홈버튼을 1초이상 길게 누르면 나타나는 퀵메뉴에서 비행기 모드를 ON 으로 설정합니다. 이후 진행하게될 과정에서 커펌 …
- Source: Youtube
- Views: 58284
- Date: 15 hours ago
- Download: 59973
- Likes: 4377
- Dislikes: 5
초보자를 위한 올인원! 닌텐도 스위치 13.2.1 버전 커스텀 펌웨어 – KEFIR 설치가이드
글 작성자: 꾀지남편
오랜만에 작성하는 케피르 통합팩 설치 가이드입니다.
당분간 설치방식이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기에 매버전 마다 작성하지는 않을듯합니다.
기존 가이드에서 매번 문의가 들어오던 내용을 본문에 추가하고, 초보자가 보기에 난해한 내용들을 조금 더 쉽게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부족한 설명이나 헷갈리는 내용이 있다면 보완해볼테니 댓글로 알려주세요.
커스텀 펌웨어 설치가 가능한 경우
1. 스위치 커스텀 펌웨어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2018년 7월 이전 생산 기기를 보유하고 계신 경우.
2. 신형기기인 경우 반드시 별도의 모드칩(SX Core , hwfly)등이 설치 되어 NVIDIA 칩셋의 취약점인 RCM 모드로 진입이 가능해야만 합니다.
그 외에는 커펌으로 진입하실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18년 7월 이후 생산된 기기 중 모드칩이 설치되지 않은 신형 기기들을 가진 분들은 본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추가로 현재 OLED 기기들 같은 경우는 모드칩을 설치하더라도 64GB emmc로 인해 FAT32 파티션 작업이
헤카테에서 아직 직접적으로 지원해주는 수준이 아니다 보니 직접 PC에서 파티션을 작업하는등 에뮤낸드 생성시 매끄럽지 않고 번잡한 경우들이 있습니다.
스위치의 커스텀 펌웨어는 스위치의 주요 칩셋인 Nvidia사의 Tegra X1 칩의 USB 리커버리 모드의 취약점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적인 방법이 아닌 하드웨어 취약점이라고 불립니다.
더보기 1) 테그라 X1은 일종의 칩이며 이 칩에는 부트롬(bootROM)이란 것이 있는데, 이를 보호하는 운영 체계를 이 USB 복구 모드로는 피해갈 수 있습니다. 2) 제대로 코딩되지 않은 USB 제어 프로시저에 적절치 못한 길이의 인자를 실어 보내면 사용자는 시스템이 제어 요청 한 건마다 최대 65,535 바이트를 요청하도록 강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가 부트롬 내 치명적인 직접 메모리 접근(DMA) 버퍼로 오버플로우를 발생시킵니다. 3) 이렇게 되면 데이터가 보호가 된 애플리케이션 스택으로 복제되고 공격자는 임의의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제조사가 과거 이미 생산해서 팔려나간 1480만대 가량의 물량은 패치할 수 없는 하드웨어 취약점이 존재하는 스위치이며, 물량은 전세계에 풀려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본문에서는 제가 보유하고 있는 통칭 구구형 그러니까 RCM 모드 방지칩이 적용되기 전인 초기 홍콩판 발매 버전 모델을 기준으로 진행하며 국내 발매이후 18년 7월 이전에 판매된 초기 모델들 역시 해당합니다. 커스텀 펌웨어를 설치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비공식 에뮬레이터를 설치하거나, 기기를 오버 클럭하거나, 비공식 한글 패치, 이른바 해적판 이숍 등의 다양한 추가 컨텐츠를 사용 가능하다는 이유로 진행하게 됩니다.
본 가이드에서 소개 드릴 케피어 또는 케피르라 불리는 위 올인원은 아트모스피어를 기반으로 하며, 현재 가장 간단하게 구성 가능한 커스텀 펌웨어 올인원 구성입니다.
rashevskyv 라는 개발자가 제공하는 위 러시아 우크라이나산 올인원의 특징은 극도의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설치방법과,
유지보수 역시 마찬가지로 최초 설치 이후에는 PC가 없어도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더욱 편리하도록 구성되어있습니다.
0. 헤카테 에뮤낸드 백업 (SD카드에 약 30기가 가량의 비어있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https://opencourse.tistory.com/619
최근 펌웨어 업데이트 이후 부팅이 되질 않는다는 문의가 많아, 설치전에 에뮤낸드를 별도로 백업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만약 부팅이 불가능하게 되면 달리 세이브를 구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먼저 백업부터 진행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히나 구버전에서 한번에 데이브레이크등으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경우 자주 발생한다고 하는군요.
참고로 제경우 과거 10버전대 부터 11등의 구버전에서 업데이트 시에 문제가 된적이 없으니 무조건 발생하는 것은 아닐것으로 보입니다.
출시기간이 오래됨에 따라 기존에 최두자등으로 이미 오염된 낸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아닐까 조심스래 의심만 해보고 있습니다.
1. 스위치 커스텀 펌웨어가 설치 가능한지 시리얼로 확인
스위치의 시리얼 코드는 기기 좌측에 있습니다.
스위치 커스텀 펌웨어 설치가능 여부는 기기 하단의 시리얼을 통해 조회가 가능합니다.
제조년이 18년 7월 이전이라면 무리없이 작업이 가능하실겁니다.
더보기 먼저 기기를 구매한 시기가 가물가물 하실텐데 정확한 확인을 위해 시리얼을 통해 조회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유저들이 모여서 만든 데이터들이라 공식적인 방법은 아니기에 100% 정확하다고 할수는 없지만 한창 스위치 커펌이 핫해지기 시작한, 2018년도부터 수없이 많은 데이터를 축적한 방식인 만큼 최소 90% 정도는 믿을만 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기기 시리얼은 위 사진처럼 스위치 충전포트 쪽 하단 좌측, 그리고 스위치 제품 박스에 스티커로 붙어 있습니다. 시리얼이 벗겨지거나 박스가 상했을 경우에도, 시리얼을 스위치의 설정 메뉴에서도 직접 확인 가능하니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설정 -> 본체 -> 시리얼 정보 메뉴를 통해 기기에서 직접 확인이 가능합니다. 시리얼 조회를 통한 커펌 가능여부를 확인 가능한 사이트 https://ismyswitchpatched.com/ Home – Is My Switch Patched? A: It depends. If it is still sealed and you have the possibility to return it, you should probably try to get a Switch in the green region. If you can’t return it, just try and see for you self if it is patched or not. ismyswitchpatched.com 바코드 아래쪽의 숫자 시리얼을 위 사이트에서 조회해보시면 현재 내 기기가 커펌이 가능한 기기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1) 시리얼 앞 4자리 선택 (2) 앞 4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시리얼의 6자리까지만 입력 위처럼 입력시 녹색 알림창으로 커펌이 가능하다고 나오면 커펌이 설치 가능한 기기이니 이후 작업을 진행하셔도 좋습니다. 분명 제조일자나 구매시기는 확실한데도 위 사이트에 데이터가 없거나 스위치의 출고당시 버전을 특정할수 없다거나, 심지어 제조년월이 18년 7월 이전인데도 노란색으로 표기되는 경우에는 포기하지 마시고 커스텀 펌웨어를 설치후 부팅이 되는지 체크해서 정확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커스텀 펌웨어 설치 작업을 위한 준비물
먼저 커스텀 펌웨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준비물들이 필요합니다.
스위치를 SD카드 리더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최초 설치시에는 SD카드 리더기가 있는편이 작업이 편합니다.
준비물 용도 1. USB A to C 타입 케이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야합니다. 2. SD 카드 반드시 파일 시스템이 FAT32 방식이어야합니다. 3. SD 카드 리더기 일반적인 USB 타입의 리더기면 OK 4. RCM JIG(지그) 스위치 복구모드인 RCM모드로 진입을 돕습니다. 5. RCM 로더기(편의사항으로 반드시 필요하진 않음) RCM 모드 진입과 함께 페이로드 주입까지 가능합니다.
더보기 위 항목 중 4.RCM 지그같은 경우 클립을 구부려서 자작으로 대체가 가능하지만 그 과정이 매우 불편(?!) 하며, 성공률도 낮은데다가 심지어 조이콘 레일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도 있으니 저렴한 제품을 반드시 하나 정돈 구매하기 바랍니다. SD카드의 경우 에뮤낸드의 원활한 구동을 보장받기 위해 반드시 최소 삼성 evo 이상급. 또는 클래스 U3급의 메이저 제조사의 고성능 제품을 사용하실것을 권장합니다. 쿠X,알X 등에서 판매하는 중국발 삼성 SD의 가품이나 렉사 등의 저가형 제품들이 앞으로 밴방지를 위해 설치하게될 에뮤낸드에서 실행불가 또는 호환성 문제들이 종종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왠만하면 국산 삼성 정품을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3. 커스텀 펌웨어 설치 작업전 밴 방지를 위한 비행기 모드 진입!
작업 전 스위치는 우측의 홈버튼을 1초이상 길게 누르면 나타나는 퀵메뉴에서 비행기 모드를 ON 으로 설정합니다.
이후 진행하게될 과정에서 커펌 모듈이 설치되고 부팅하는 과정에서 아직은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른바 시스낸드 커펌 등의 환경에서 동작하게 되면 이숍 접속이나 업데이트등, 인터넷 연결시 기기에 이력이 남아 밴을 당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굳이 비행기 모드로 진입해두고 시작하겠습니다.
커펌 작업간 실수로 시스낸드 커펌으로 부팅하고, 인터넷 연결을 하는 바람에 밴을 당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는 비행기 모드를 반드시 미리 설정하도록 합니다.
비행기 모드는 모든 와이파이 연결을 차단해주며 가장 간단하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이후 과정에서 다룰 복제낸드인 에뮤낸드라는걸 만들기 전까진 일단 비행기모드를 유지합니다.
물론 비행기 모드는 권장사항으로 반드시 진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만약 실수로 누락되었다고 해도
부팅시 즉시 밴을 당하거나 하진 않습니다.
추가로 기기에 게임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커스텀 펌웨어 설치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커펌 작업 전에는 카트리지를 반드시 먼저 제거해주시고 작업을 진행합니다.
위처럼 스위치의 비행기 모드를 켜두었다면 스위치 정펌에서의 준비는 끝났습니다.
기기의 전원버튼을 길게 눌러 완전히 종료해줍니다.
기기가 종료되면 SD카드를 본체에서 분리해줍니다.
4. PC에서 커스텀 펌웨어 올인원 케피르(KEFIR) 다운로드
https://github.com/rashevskyv/kefir/releases
우크라이나 개발자가 유지보수 하고있는 편리한 올인원, 케피르의 공식 깃허브 주소는 위와 같습니다.
최초 설치시에는 펌웨어가 하위 버전인 경우에도 모두 케피르 최신 버전에서 하위 버전을 지원하기 때문에
항상 설치할 당시의 최신 버전의 펌웨어와 케피르 올인원 파일을 설치를 하는것이 유리합니다.
각 버전별 하단의 Assets 에 첨부된 kefirXXX.zip 파일 중 최신버전을 다운로드 하셔서 설치에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PC에서 반디집이나 7zip같은 압축툴을 이용하셔서 다운로드 받으신 파일의 압축을 풀어주세요.
바탕화면 등의 접근이 편한 곳에 압축을 풀어줍니다.
5. SD카드 포맷 (또는 구버전 커펌기기에 설치된 파일들의 삭제)
SD카드를 PC에 연결하면 위처럼 헤카테의 에뮤낸드 파티션을 인식하지 못한 윈도우가 포맷하겠다며 협박합니다.
절대절대 포맷을 누르시면 안됩니다.
취소를 눌러서 SD카드를 절대 건드리지 않도록 합니다.
미리 비행기 모드에 진입해둔 스위치의 전원을 정상적으로 완전하게 종료해준 상태이실 겁니다.
여기서 부터는 시용자의 현재 기기 상황에 따라 포맷 방식이 살짝 달라집니다.
5-1. 기기에 커스텀 펌웨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기를 초기화 했거나 모두 지워져도 무관한 처음 커펌을 진행하는 경우, 더보기를 눌러 아래 포맷과정을 진행합니다.
5-2. 기존에 무언가 커펌이 설치 되어 있던 기기인 경우
기존에 커펌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에뮤낸드 관련 파일들을 잃지 않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무작정 포맷을 진행할 수는 없으니 아래 과정을 참고합니다.
다른 커스텀 펌웨어 올인원을 사용하거나, 케피르로 계속 사용하다가 오랜만에 업데이트를 하려는 경우, 그리고 SX OS 사용자가 포함됩니다.
더보기 기존 커펌 사용자의 경우에는 정펌의 파일 폴더인 Nintendo와 에뮤낸드용 emuMMC 폴더를 제외하고 사고방지를 위해 전부 백업해줍니다. 과거 밴방지 방법이었던 Incognito 키 백업파일을 깜빡하고 지우는 일들이 있으니 작업이 완료 될때까지 반드시 남은 파일들을 백업해두어야 하며 5분이면 가능하니 반드시 귀찮아도 복사해둡니다. PC에 새폴더를 하나 만들어서 복사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백업폴더에는 emuMMC와 Nintendo 폴더를 제외한 모든 파일들이 이동(복사)되었습니다. 위처럼 복사된다면 커펌 업데이트 작업이 모두 완료되고 이상이 없다고 판단될 때까지 삭제하지 마시고 잠시 보관해주세요. 이번엔 SD카드에 emummc, Nintendo 폴더를 제외한 모든 파일을 SD카드에서 삭제해줍니다. 어떤 경우라도 emummc 폴더가 존재하는 경우 에뮤낸드의 설정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절대 삭제하지 않습니다. (기존 시스낸드 커펌 사용자는 위 폴더가 없을테니 폴더가 없다면 무시하셔도 좋습니다.) Nintendo 폴더의 경우 정펌에서 사용하는 폴더로 삭제하더라도 이숍에서 쉽게 재설치가 가능하지만, 다시 다운로드 받는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편의상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결과적으로 SD카드에 위 두 폴더만 남았다면 준비가 완료된 셈입니다. 기존에 무엇이든 다른 커스텀 펌웨어가 설치되어 있던 경우라 해도 케피르를 설치하기 위해 추가적인 복잡한 작업이 필요하진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위처럼 두개의 폴더만 남겨두고 아래의 6. SD카드에 KEFIR 설치하기 과정으로 이동하겠습니다. 위 파일 정리가 모두 끝났다면 이제 실제로 SD카드에 커스텀 펌웨어 파일들을 복사 해보겠습니다.
6. SD카드에 KEFIR 설치하기
케피르를 SD카드에 설치하는 방법은 직접 파일을 복사해주거나, 윈도우 배치파일을 이용한 자동화 설치가 가능합니다.
우선 6-1 번의 배치 파일을 이용한 설치를 추천드리지만, 만약 설치 작업 간에 문제가 있다거나, 리눅스 또는 맥 환경뿐이라 윈도우가 아닌 OS에서 설치를 진행하는 경우 두번째 방법인 직접 SD카드에 복사하시기를 권합니다.
6-1. WIndows 환경에서 케피르의 Install.bat 을 이용한 커스텀 펌웨어 설치
케피르의 Install.bat 배치 스크립트는 윈도우 환경에서 SD카드에 커펌관련 파일을 편리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단순히 윈도우에서 실행하고 설치 드라이브를 지정하는 것 만으로 배치파일을 통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더보기 새 카드 또는 새 기기에 처음 설치하는 경우 위 사진처럼 SD카드가 비어있는 상태이실겁니다. 커펌으로 사용중이던 기존 카드에 설치하는 경우라면 위 사진처럼 emummc, Nintendo 폴더가 남아있는 상태이실겁니다. 4. PC에서 커스텀 펌웨어 올인원 케피르(KEFIR) 다운로드 과정에서 압축을 풀어두었던, 폴더를 열어보겠습니다. 개발자가 SD 카드에 편리하게 설치하기 위해 설치 바로가기를 윈도우 배치파일로 만들어 두었습니다. 따라서 당연하게도 지금 부터 진행할 작업은 윈도우 PC에서만 작업이 가능합니다. 위 사진의 install.bat 파일을 더블 클릭해서 실행해줍니다. 윈도우의 경고 메세지가 나타나지만 무시하시고 추가 정보를 눌러줍니다. 추가정보를 누르면 나타나는 하단의 실행 버튼을 눌러 배치파일을 실행해줍니다. 배치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문자열을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사용하시는 PC에서라면, D 드라이브 이후의 문자열을 가지게 되실텐데요. 내 PC 아이콘을 눌러 실행하시면 현재 드라이브 문자열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작업을 진행하는 PC 기준으로 SD카드는 (F:) => F 드라이브로 인식이 되어 있습니다. 물론 당연히도 위 사진이 아닌 반드시 본인의 PC에서 보이는 드라이브 문자열을 넣어주셔야합니다. 제 SD 카드의 경우 드라이브 문자열은 F이니 그대로 F를 입력하도록 하겠습니다. 드라이브 문자열인 F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줍니다. 주르르륵 파일들이 복사되며 터미널을 지나갑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파일을 직접 넣어주는 것보다 편리하게 불필요한 구버전 파일들은 삭제하고 새로운 파일들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한번에 설치가 끝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All Done 메세지와 함께 SD카드에 커펌파일의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무키나 눌러서 cmd창을 종료합니다. 기존 파일중에 사전에 케피르에서 정의한 일부 커펌과 관련된 파일만을 찾아서 신규 파일로 교체해줍니다. 물론 최초 설치시엔 SD카드가 비어 있었을 것이기에 위처럼 파일들이 구성되실 겁니다. 작업은 순식간에 끝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으실겁니다.
6-2. 스위치 SD카드에 파일 단순 복사를 이용한 케피르(KEFIR) 수동 설치
배치파일 구동에 문제가 있는 경우, 간단하게 아래 파일 복사 과정을 통해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 방식은 윈도우 환경이 없는 경우, 리눅스 또는 맥에서 케피르를 설치하려는 경우에도 해당하게 됩니다.
더보기 새 카드 또는 새 기기에 처음 설치하는 경우 위 사진처럼 SD카드가 비어있는 상태이실겁니다. 최초 설치의 경우 별도로 파일에 대해 작업하실 것은 없습니다. 커펌으로 사용중인 기존 카드에 설치하는 경우라면 위 사진처럼 emummc, Nintendo 폴더가 남아있는 상태이실겁니다. 기존 커펌 설치 사용자분들은 이후 따로 백업해놓은 파일들은 SD카드상에서 모두 삭제하시고 위 Nintendo , emummc 두 폴더만 남겨주세요. 4. PC에서 커스텀 펌웨어 올인원 케피르(KEFIR) 다운로드 과정에서 다운로드 받은 케피르 올인원 파일의 압축을 풀어주셨을겁니다. install.bat 파일을 제외하고 SD 카드에 그대로 복사해서 넣어주세요. 커펌 파일은 모두 SD카드의 파일을 추가로 구동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최초설치, 기존 커펌 사용자 모두 동일합니다. 이렇게 수동으로 복사하는 방식과 windows 배치를 통해 복사하는 방식 모두 결과는 동일하다고 보실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오셨다면 일단 커펌 설치를 위한 SD카드의 파일 세팅은 끝났습니다.
그러나 본 설치 과정에서 윈도우 환경에 따라 배치파일 실행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위 윈도우 배치파일이 아닌, 기존 커펌 사용자와 마찬가지로 6-2번 과정의 수동 설치를 동일하게 진행해주셔도
사실상 동일한 과정이니 문제없이 사용가능합니다.
7. 스위치의 복구모드, RCM 모드 진입과 페이로드 주입
처음 소개드렸던 것처럼 스위치의 취약점을 통한 커스텀 펌웨어로의 부팅은 반드시 RCM 모드라는 일종의 복구모드를 진입해야만 합니다.
복구모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조이콘의 특정 핀을 쇼트시키는 방식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홈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주어야합니다.
어떠한 스위치든 커펌으로 기동하기 위해선 반드시 페이로드(payload) 주입 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기기 전원을 끄게 되면 다시 커펌으로 부팅하기 위해서 매번 RCM 모드 진입과 페이로드 주입이 필요합니다.
위와 같은 특성 때문에 커펌 사용자들은 대부분 평소에 기기를 끄지 않고 슬립모드로 기기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7-1. PC를 이용한 페이로드 주입 방법
페이로드주입에는 스마트폰이나 RCM 로더기 동글, PC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가장 범용적인 PC에서 스위치를 커펌으로 부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보기 https://github.com/eliboa/TegraRcmGUI/releases Releases · eliboa/TegraRcmGUI C++ GUI for TegraRcmSmash (Fusée Gelée exploit for Nintendo Switch) – eliboa/TegraRcmGUI github.com 먼저 TegraRCMGUI라는 유틸리티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TegraRcmGUI 개발자의 공식 깃허브인 위 사이트로 들어가줍니다. TegraRCMGUI 설치버전도 존재 하지만 편의상 설치조차 필요 없는 포터블 버전을 다운로드 받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사용자들은 msi 설치버전을 사용하셔도 무관합니다. 클릭해서 다운로드 받아 주세요.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TegraRCMGUI 포터블 버전은 단순히 압축만 풀어주시면됩니다. TegraRCMGUI 포터블 폴더안에 4. PC에서 커스텀 펌웨어 올인원 케피르(KEFIR) 다운로드 과정에서 다운로드 받았던 케피르 올인원 폴더 내의 payload.bin 파일을 복사해줍니다. RCM 모드에 진입하면 위 payload.bin 파일을 이용해서 커펌으로 부팅하게 됩니다. 페이로드 주입을 위해 TegraRCMGUI를 실행해줍니다. PC에서 스위치로 페이로드 파일을 보내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스위치와의 연결을 위한 APX 드라이버라는 것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1) 상단의 탭중에 Settings를 눌러줍니다. (2) Install Driver를 눌러줍니다. 드라이버 설치창이 나오면 첫번째 예(Y)를 눌러주세요. 장치 드라이버 설치 마법사가 나타나면 다음 버튼만 계속 연타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위 사진처럼 드라이버 설치 완료창이 나타나면 준비 완료입니다.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은 PC에 USB C타입 케이블을 연결해주세요. 보통 일반적인 스마트폰 구매시 포함된 데이터 케이블 정도면 큰 문제없이 스위치 연결과 페이로드 주입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TegraRCMGUI에 페이로드 파일을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1) TegraRCMGUI의 상단의 폴더모양 열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2) 방금 복사해주신 payload.bin 파일을 선택해주세요. (3) 열기 버튼을 눌러 준비해줍니다. 스위치에는 6. SD카드에 KEFIR 설치하기 과정에서 미리 준비해두신 케피르가 세팅된 SD카드를 넣어 주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우측 조이콘 레일에 설치하여 RCM 모드로 진입을 돕는 RCM JIG(지그) 를 준비해줍니다. 우측 조이콘을 분리해주세요. 조이콘의 레일을 따라 지그를 살살 밀어줍니다. 조이콘을 장착하는 방식과 동일합니다. 끝까지 밀어넣어 주시면 되는데 이때 너무 꽉 끼도록 누르지 않으셔도 됩니다. 작은 핀 두개로 일종의 접지를 해주는 역할이기 때문에 너무 꽉꽉 넣으면 느슨해지는 수가 있습니다. RCM 모드로 진입 방법은 볼륨 +를 누른채로 전원버튼을 1초정도 눌러주면 진입이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복구모드 진입과 유사하다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먼저 볼륨 +버튼을 꾹 누르고 계신 채로 전원버튼을 살짝 1초정도 눌러줍니다. 소리가 난다거나 무언가 변화가 생기진 않습니다. 사실 이렇게 기기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마치 꺼져있는것처럼 동작하는데 실제로는 화면만 안들어 왔을뿐 복구모드에 들어가 있는 상황입니다. 제대로 부팅이 되었는지 PC와 USB C타입 케이블을 연결해보는 것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연결하자 마자 PC에서는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음이 딩동댕~ 하고 들리게 됩니다. PC에 연결하면 하단의 스위치 아이콘이 RCM OK로 넘어갑니다. 이때 스위치는 볼륨 – 버튼을 연타할 준비를 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케피르는 기본옵션이 커펌으로 자동부팅이기 때문에 마음의 준비할 겨를도 없이 부팅이 진행됩니다. TegraRCMGUI를 이용해 RCM모드인 스위치에 페이로드를 주입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진의 빨간네모의 Inject payload 버튼을 눌러주세요. 주황색 모래시계가 0.5초정도 나타나며 페이로드를 주입하는 중입니다. 페이로드 주입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USB를 연결하고 페이로드를 주입하는 위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케이블을 바꾸어 보시거나 , USB 포트를 2.0이 아닌 3.0 포트로 연결하는등 장착 위치를 변경해서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케피르 페이로드를 주입하게 되면 케피르의 업데이터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이게 커펌으로 최초 부팅시 자동으로 키파일인 prod.keys등의 파일들을 추출해주고 SD카드에 설치한 커펌파일들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 설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먼저 락픽 RCM(Lockpick_RCM.bin) 이라는 녀석이 자동으로 실행되며 스위치의 타이틀 실행등의 필요한 키파일 이란 것이 자동으로 추출됩니다. SD 카드 안에 switch 폴더에는 prod.keys 라는 파일은 기기의 고유 키파일로 절대 공유하지 않습니다. 키파일의 생성은 시스낸드 펌웨어 기준일 것이라 시스낸드 버전은 언제나 최신 버전인 편이 유리합니다. 다음은 테그라 RCM 익스플로러를 이용해 최초 커스텀 펌웨어 설치가 진행됩니다. 위 업데이터는 기존에 사전 설치된 파일을 단순히 배치처럼 풀어주는 것이라 SD카드 내의 구버전 홈브류들을 삭제하고, 설치 당시 복사해둔 케피르 파일의 버전으로 교체하는 등의 작업이 진행됩니다. 추후 홈브류 메뉴상의 케피르 업데이터를 통해 커스텀 펌웨어 파일을 업데이트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재부팅을 통해 위 과정으로 동일하게 진행되니 익숙하게 보실 화면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기존 커펌 사용자가 아니라면 에뮤낸드 생성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과정이 있으니 다음 과정의 사진에 집중하도록 합니다. 이때 왼손은 볼륨 – 버튼 위에 올려놓습니다. 업데이트 화면에 이어 위 부트로고 화면에서 볼륨 -를 눌러야 하는데, 생각보다 과정이 빠르게 지나가기 때문에 타이밍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케피르 통합 커펌으로 부팅될때 좌측 상단의 Press Vol- to load Hekate 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볼륨 마이너스 버튼을 눌러야 헤카테로 진입한다는 안내이니 미리 준비해두셨다가. 위 화면이 나타나면 볼륨 – 버튼을 연타해줍니다. 만약 놓치게 된다면 전원을 종료하고 언제든 다시 시도가 가능하니 놓쳤다고 너무 아쉬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케피르의 경우 기본이 설정된 커펌으로 자동부팅이다 보니 최초 설치시 프론트 엔드인 헤카테를 들르지 않고 곧바로 시스낸드 커펌으로 부팅되어 버립니다. (물론 기존의 에뮤낸드가 설정된 경우라면 에뮤낸드로 자동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위 사진처럼 헤카테로의 부팅에 실패해도 걱정하지마세요. 만약 이때 당황해서 헤카테 진입을 놓치신 경우 자동으로 시스낸드 커펌으로 부팅이 되실겁니다. 밴방지가 들어있으니 일단 놀라지 마시고 전원을 눌러 스위치를 종료하시면 되겠습니다. 이후 다시 TegraRCMGUI를 이용해 스위치를 RCM모드로 놓고 페이로드주입을 통해 케피르로 부팅해줍니다.
7-2. RCM 로더기를 이용한 커스텀 펌웨어 부팅
위 로더류를 사용하는 경우 간편하게 PC없이 페이로드 주입이 가능합니다.
로더기를 사용하시는 경우 내부의 페이로드 파일을 변경해주셔야합니다.
더보기 로더기 내부 저장소에 내장되어 있는 페이로드 파일이 가장 중요합니다. PC에 마이크로 USB 5핀 케이블로 RCM 로더기를 연결하면 내장 배터리의 충전이 진행됩니다. 그리고 탐색기에서 확인해 보시면 USB 드라이브로 1.57 메가바이트의 작은 저장소 영역이 나타납니다. USB 드라이브를 열어보면 LED 색상별로 다양한 폴더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RCM 로더의 +버튼을 길게 눌러서 전환하는 LED 색상 중에도 가장 기본인, LED의 파랑색 불빛에 해당하는 ATMOSPHERE_HEKATE 폴더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https://opencourse.tistory.com/209 커펌 스위치용 호환 RCM Loader – 더 이상 PC가 필요없는 페이로드 주입 스위치 커펌의 경우 하드모딩이라도 하지않는다면, RCM모드 이후 페이로드 주입을 위한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외부에서 PC연결을 하기 쉽지않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도 주입이 가능하 opencourse.tistory.com 로더기 설정이나 내부 구조에 대한 좀더 자세한 설명은 위 포스트를 참고하시면 이해가 편하실겁니다. 먼저 ATMOSPHERE_HEKATE 폴더를 열어보도록 합니다. 기존에 사용중이거나 구매시 들어있던 구버전의 payload.bin 파일이 보입니다. 동일한 이름으로 새로운 버전의 페이로드 파일을 로더기 내 올바른 폴더에 넣어주면 업데이트 완료입니다. 위 ATMOSPHERE_HEKATE 폴더는 파랑색 LED에 해당하는 폴더입니다. 스위치에는 6. SD카드에 KEFIR 설치하기 과정에서 미리 준비해두신 케피르가 세팅된 SD카드를 넣어 주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우측 조이콘 레일에 설치하여 RCM 모드로 진입을 돕는 RCM JIG(지그) 를 준비해줍니다. 우측 조이콘을 분리해주세요. 조이콘의 레일을 따라 지그를 살살 밀어줍니다. 조이콘을 장착하는 방식과 동일합니다. 끝까지 밀어넣어 주시면 되는데 이때 너무 꽉 끼도록 누르지 않으셔도 됩니다. 작은 핀 두개로 일종의 접지를 해주는 역할이기 때문에 너무 꽉꽉 넣으면 느슨해지는 수가 있습니다. 로더기를 설치하고 전원키와 볼륨 +버튼 위에 손을 올려줍니다. 볼륨 +버튼을 먼저 누른채로 전원 버튼을 톡 눌러주시면 RCM모드로 진입하게 되며 , 로더기가 꽂혀있기 때문에 페이로드 주입이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이때 로더기의 LED색상은 페이로드 파일을 미리 넣어둔 ATMOPHERE_HEKATE 폴더에 해당하는 파랑색이어야 합니다. 만약 색상이 다르다면 로더기에 달린 +버튼을 길게 눌러서 파랑색으로 바뀔때까지 전환해줍니다. 업데이트 화면이 나타나면 자동으로 케피르 설치가 진행됩니다. PC에서 주입할때와 마찬가지로 바로 헤카테로 진입할 준비를 해야하니 왼손은 볼륨 – 버튼위에 올려둡니다. 위 부트화면에서 헤카테라는 커스텀 펌웨어 프론트엔드에 진입해야 하니 미리 준비해야합니다. 업데이트 화면에 이어 부팅 로고 화면에 생각보다 빠르게 지나가기 때문에 타이밍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케피르 통합 커펌으로 부팅될때 좌측 상단의 Press Vol- to load Hekate 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볼륨 마이너스 버튼을 눌러야 헤카테로 진입한다는 안내이니 미리 준비해두셨다가. 위 화면이 나타나면 볼륨 – 버튼을 연타해줍니다. 만약 놓치게 된다면 전원을 종료하고 언제든 다시 시도가 가능하니 놓쳤다고 너무 아쉬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케피르의 경우 기본이 설정된 커펌으로 자동부팅이다 보니 최초 설치시 프론트 엔드인 헤카테를 들르지 않고 곧바로 시스낸드 커펌으로 부팅되어 버립니다. 실패하신 경우 위처럼 시스낸드 커펌으로 부팅되어버립니다. 만약 이때 당황해서 헤카테 진입을 놓치신 경우 자동으로 시스낸드 커펌으로 부팅이 되실겁니다. 밴방지가 들어있으니 일단 놀라지 마시고 전원을 눌러 스위치를 종료하시면 되겠습니다. 처음에 한번에 헤카테로 진입을 실패한 경우 마찬가지로 위 과정을 반복하셔서 부팅중 볼륨 – 버튼으로 헤카테로 진입할때까지 시도해주세요.
여기까지 정상적으로 잘 진행하셨다면 위 Hekate(헤카테) 화면이 나타나게 되며 정상적으로 헤카테에 진입하신겁니다.
일단 한숨 돌리시면 되겠습니다.
8. Hekate 파티션 매니저(Partition Manager)로 커펌전용 에뮤낸드 파티션 생성하기
위 그림처럼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저장장치는 시스낸드와 SD카드, 달랑 두개 뿐입니다.
기존에 이미 에뮤낸드를 사용하고 계신 커펌기기 사용자라면 본 에뮤낸드 관련 작업을 절대 진행하시면 안됩니다.
이 과정에서 SD카드의 데이터가 모두 삭제될테니, 기존 커펌을 단순히 업데이트 하시려는 경우는 절대 진행해서는 안되겠습니다.
신규로 설치하시는 분들만 진행해주세요.
커펌 업데이트를 목적으로 가이드를 진행하고 계신거라면 9번 과정으로 이동합니다.
스위치의 시스낸드 커펌은 이숍과 멀티등을 실행할때 본체의 시리얼을 이용하기 때문에 밴 위험이 존재합니다.
밴을 회피하기 위해 만드는 에뮤낸드라는 개념은 SD카드에 히든파티션이란 것을 만들어서 시스낸드 대신 사용하는 것입니다.
에뮤낸드 사용시의 장점은 아트모스피어의 엑소스피어라는 모듈을 통해 낸드 내의 시리얼 정보를 강제로 변조해줍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별다른 작업 없이도 밴의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습니다.
정펌에서는 이숍과 정품 멀티를 사용하고, 에뮤낸드에서는 각종 홈브류와 와이파이를 맘껏 사용하게됩니다.
시스낸드 = 스위치 안에 설치된 기본 32g emmc 메모리
에뮤낸드 = SD카드의 숨겨진 파티션 영역
헤카테로 부팅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커스텀 펌웨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SD카드를 포맷할 차례입니다.
8-1. 커스텀펌웨어 버전 업데이트가 아닌, 에뮤낸드를 새로 생성하거나 최초 설치하는 경우
새로운 SD카드에 설치하거나 최초 설치하는 경우 에뮤낸드 파티션을 만들 준비를 해주셔야합니다.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SD카드는 라이센스 문제로 파일시스템이 기본인 exfat이 아닌 fat32로 반드시 포맷되어야합니다.
따라서 위에서 설치를 위해 이미 SD카드의 포맷을 한번 하셨더라도 이는 설치까지 오기위한 준비단계로 실제로 커펌에 맞는 포맷은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기본적으로 윈도우에서 32기가 이상의 SD카드는 exFAT 방식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어째서 FAT32만을 써야하느냐? 라고 궁금해하실 수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아트모스피어와 헤카테에서 반드시 FAT32를 쓰도록 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exFAT 파일 시스템으로는 커펌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무료 라이센스도 아닌 exFAT의 경우 사실상 윈도우 전용으로 안정성이 떨어지고 파일 전송중 끊김시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의 NTFS 처럼 USB 저장매체에서의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exFAT (FAT64)의 경우 개발자들이 라이센스 없이 exFAT 드라이버를 이용한 오픈소스 개발 자체가 불가능 합니다.
따라서 SD카드를 주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스위치 커펌인 아트모스피어 및 헤카테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되었습니다.
(물론 과거에는 이를 완전히 무시하고 라이센스 깡패로 개발하던 SX OS의 경우 exFAT을 사용하던 시절이 있긴 했습니다.)
최초 설치의 경우 아래의 더보기를 눌러 Hekate(헤카테)의 포맷 과정을 진행해주세요.
더보기 본 과정은 최초 설치 사용자를 위한 신규 에뮤낸드 사용과정입니다.
에뮤낸드를 재생성하는 순간 기존 세이브를 모두 날려버리게 됩니다.
따라서 기존 커펌 사용자는 본 과정을 건너 뛰고 9. Hekate emuMMC (에뮤낸드) 로 부팅 과정으로 이동 합니다. 먼저 커스텀펌웨어를 구동하기 위해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SD카드는 반드시 파일 시스템 포맷을 FAT32로 바꿔야합니다. 헤카테 5.2.0 이상 버전부터는 스위치에서 SD카드의 파티션도 나누고 포맷도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 프로그램의 도움 없이 무려 스위치에서 자체적으로 파티션 작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자사의 파일 시스템을 밀어주는 윈도우 상에서는 32기가 이상의 저장매체를 FAT32로 포맷할 수 없게 제한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32기가 이상의 저장장치를 무조건 exFAT 방식으로 권장하고 있으니, 우리는 직접 스위치의 헤카테 툴즈(Tools) 상에서 FAT32 방식으로 포맷을 진행하겠습니다. 헤카테에서 상단의 Tools 메뉴를 터치해줍니다. 헤카테 메뉴에서 상단의 (1) Tools를 터치하면 위 사진처럼 화면이 전환됩니다. (2) 파티션 설정이 가능한 메뉴인 Partition SD Card 를 터치합니다. 파티션 매니저에 진입하면 현재 SD카드의 파티션 상태를 팝업창으로 현재 파티션 상태를 보여줍니다. 현재 SD카드는 별다른 파티션 분리 작업을 진행한 것이 없기 때문에, 위 사진처럼 녹색의 HOS 항목만 존재하실겁니다. OK를 눌러 창을 닫아줍니다. 명칭 용도 HOS (FAT32) 스위치 정펌과 커펌에서 사용할 SD카드 공유 용량 emuMMC (RAW) 에뮤낸드 생성에 사용할 RAW 파티션 용량 Linux (EXT4) 리눅스 설치시 사용할 영역 Android (USER) 안드로이드 설치시 사용할 영역 착각하기 쉬운데 위 파티션 매니저는 현재 SD카드의 파티션의 상황을 보여주는 메뉴가 아닙니다.
그때 그때 파티션을 오로지 생성만 할수 있는 화면으로 매번 실행시 모두 포맷을 시켜버리는 구조입니다.
현재 SD카드의 파티션 상태는 최초 파티션 매니저에 진입했을때 팝업 형태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1) 먼저 에뮤낸드를 생성하기 위한 파티션을 잡도록 하겠습니다. emuMMC (RAW) 영역의 (1) 슬라이더를 터치로 드래그해서 29 FULL로 설정합니다. 당연하게도 에뮤낸드 생성을 위해서는 최소 29기가 이상의 여유가 있는 SD카드에서만 작업이 가능합니다. 어째서 하필 용량이 29기가인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텐데 그 이유는 스위치에 설치된 기본 저장장치.
emmc 모듈의 32g 낸드에 설치된 용량이 실제로 약 29기가에 못미치기 때문입니다.
에뮤낸드는 시스낸드를 그대로 복사하는 것이 목적이니..
따라서 낸드 용량이 더 클 필요도 없고 반대로 29기가 보다 작으면 아예 복사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emuMMC(에뮤낸드)는 시스낸드를 그대로 복제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용량역시 32G ecmmc 를 담을수 있도록 29기가 이상으로 생성해야합니다. (2) 화면의 좌측 상단의 New Partition layout 을 보면 붉은색 emuMMC (RAW) 영역을 확인합니다. 확인하셨다면 Next Step을 눌러 SD카드의 포맷을 진행합니다. 작업 도중에 모든 SD카드의 데이터를 날릴 수 있으니 반드시 작업전에 백업하라는 문구가 나타납니다. 이후 파티션 생성을 위해 Start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헤카테의 Tools상의 파티션 작업은 기존 파일을 모두 별도 공간으로 백업한 뒤 파일 시스템을 포맷하고 다시 파일을 복구하는 편리한 방식입니다.
문제는 이때 자동 백업과 복구가 가능한 용량은 오로지 1기가 이하 일때만 가능합니다.
새로운 기기에 커펌 작업시엔 신경쓸 문제가 아니지만, 1기가 이상의 파일이 이미 SD카드에 존재하는 경우
위 포맷 작업을 따라하시는 경우 새로 파티션을 만들다가 기존 설치 데이터를 홀랑 날려먹기 좋으니 주의하세요. 그러나 만약 위 사진처럼 파티션 매니저가 모든 파일을 지운다는 메세지가 나오는 경우 이미 SD카드에 헤카테 파티션 매니저의 자동백업 기준인 1기가 용량을 초과해서 사용하고 있는 케이스입니다. SD카드에 설치 데이터는 모두 삭제 되니 재설치를 하실게 아니라면 PC에 백업하도록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현재 파티션 작업을 잠시 중단하시고 현재 화면에서 그대로 SD카드를 분리해서 PC에 연결합니다. SD카드의 파일을 모두 PC에 백업을 진행하고 다시 돌아오셔서 Start를 눌러주세요. (필요하다면 백업해둔 파일은 작업 완료 후에 복원합니다.) 최초 사용자의 경우 대부분 SD카드 내 1기가 이하의 파일이기에 별다른 문제없이 헤카테 파티션 매니저에서 자동으로 SD카드의 파일을 백업하고 FAT32로 포맷시키며 이른바 파티션 분리가 진행됩니다. 만약 위 파티션 작업 간에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SD카드가 가품이거나 고장난 경우일겁니다.
혹시 모르니 오류가 발생한다면 상단의 Fix Hybrid MBR 버튼을 눌러 파티션 오류를 해결해봅니다.
파티션에 문제가 없다면 이후 다시 한번 SD카드를 윈도우에서 포맷을 진행하고 위 헤카테 파티션 작업을 다시 한번 진행해주세요. 일반적인 경우라면 파티션 생성 Start를 눌렀을때 위처럼 완료 메세지만 표시되실겁니다. 약 10분정도 기다리시면 파티션 생성 작업이 모두 완료되어 Status: Done! 이라는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설치된 파일에 따라 SD카드의 백업 & 복구과정이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OK를 눌러줍니다. 파티션 매니저에 진입해보면 현재 파티션 용량이 29기가의 붉은색 emuMMC 영역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처럼 나타나게 된다면 파티션 생성 작업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윈도우에서 SD카드를 삽입하고 파일 시스템이 헤카테 포맷이후 어떻게 바뀌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PC에 연결시 위처럼 반드시 주의할 것이 에뮤낸드 파티션을 포맷한다고 메세지가 나오거든 반드시 취소를 눌러줍니다. 이때 디스크 포맷을 누르면 지금까지 애써진행한 에뮤낸드 생성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해야합니다. (1) 파일은 모두 그대로 백업되어 FAT32 방식의 SD카드로 이동되었습니다. 등록정보를 보면 SD카드의 파일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FAT32로 변경되었습니다. (2) 윈도우는 알아채질 못하는 RAW타입의 에뮤낸드 생성을 위한 29기가의 알 수 없는 드라이브가 생성되었습니다. (사용하시는 OS의 버전이나 환경에 따라 아예 드라이브가 보이지 않으실 수도 있습니다만 문제 되진 않습니다.) 다음은 밴 방지를 위해서 별도의 가상낸드인 에뮤낸드를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RCM 지그를 장착하고 전원키와 볼륨 +버튼 스위치를 RCM 모드로 진입하게 만든 뒤 부팅 중 부트로고가 나타나면 마찬가지로 볼륨 – 버튼을 이용해 헤카테로 부팅해주세요. 헤카테에서 에뮤낸드를 설치하기 위한 파티션은 이미 생성하셨을테니 이번엔 본격적으로 에뮤낸드를 생성하겠습니다. 가장 우측 메뉴인 emuMMC 항목을 터치해줍니다. 마찬가지로 기존 에뮤낸드 커펌을 이미 사용하고 있는 유저라면 절대 재생성 하시면 안됩니다.
본 과정을 건너 뛰고 10번 과정으로 이동합니다.
추후 에뮤낸드는 데이브레이크 등을 통해 수동으로 업데이트 하게 됩니다. 현재 에뮤낸드 상태는 Disabled! 로 사용 안함으로 설정되어있습니다. 먼저 우측의 Create emuMMC를 터치해서, 본격적으로 에뮤낸드를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헤카테에서 SD파일 타입과 SD 파티션 타입중 어떤 형태로 에뮤낸드를 생성할지 물어보는데, 가운데 항목인 SD 파티션 타입으로 에뮤낸드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때 Hekate Tools 에서 미리 만들어둔 29기가 가량의 파티션을 사용하게 되는 것 입니다. 좌측의 SD File 타입이란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겁니다.
과거 SXOS 등에서도 사용했던 파일 기반의 에뮤낸드로 파티션 버전보다 기본적으로 속도가 느립니다.
물론 최근엔 많이 개선되어 파티션 급에 준한 수준으로 쫒아오고 있다곤 하지만 아직까지 안정성만 보아도 파티션 타입 쪽이 우월하다고 평가받고 있으니 SD Partition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에뮤낸드 생성 과정은 사실상 시스낸드 파티션을 SD카드의 신규 파티션으로 똑같이 복제하는 과정입니다. 에뮤낸드의 경우 총 3개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SD Partition을 선택하게 되면 에뮤낸드를 생성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둔 29기가 파티션을 헤카테가 발견하게됩니다. 에뮤낸드 설치가 가능한 파티션은 Part 1 이라고 표시되니 터치해서 에뮤낸드를 생성해줍니다. 최대 3개까지 에뮤낸드를 생성 가능하며 만약 굳이 한 SD카드에서 버전별로 에뮤낸드를 두개 이상 사용하고 싶다면 파티션을 두개 만들어서 Part1, Part2 등의 조합으로도 사용가능합니다. 잠시 기다리시다보면 미리 헤카테 파티션 매니저에서 미리 만들어둔 29기가 파티션에 시스낸드 데이터가 설치파일 목록 및 세이브를 포함하여 모두 통째로 복사됩니다. 보통 SD카드 환경에 따라 10분에서 15분정도 소요되니 잠시 차 한잔 드시면서 기다려주시면 됩니다. 에뮤낸드 생성 작업이 모두 완료된 모습입니다. 총 8분 24초가 걸리는군요. 우측 상단의 Close를 눌러서 닫아줍니다. emuMMC Info & Selection 항목이 Enabled! 로 변경되면 작업 완료입니다. 마찬가지로 우측 상단의 Close를 눌러 헤카테 Home 메뉴로 이동합니다.
9. Hekate emuMMC (에뮤낸드) 로 부팅
에뮤낸드 커펌으로 부팅하기 위해 헤카테 메뉴에서 첫번째 항목인 Launch 항목을 선택합니다.
Launch는 헤카테의 부트 설정파일인 hekate_ipl.ini의 내용에 따라 미리 설정된 부팅 메뉴로 케피르에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항목들이 존재합니다.
가장 첫번째 항목인 Atmosphere 는 커스텀 펌웨어로 부팅하기 위한 메뉴입니다.
터치해서 커펌으로 부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Atmosphere 는 에뮤낸드가 설정된 경우 에뮤낸드로 부팅되고, 에뮤낸드가 설치 되지 않은 상태라면 시스낸드로 부팅됩니다.
에뮤낸드 생성후 헤카테 Launch에서 Atmosphere 항목으로 부팅하면 위 사진처럼 케피르 부트로고가 나타납니다.
익숙한 아트모스피어 로고가 나타납니다.
케피르에서 커스텀한 몹시 귀여운 스위치 로고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최초 부팅시 경우에 따라 위 사진처럼 검은 화면의 먹통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전원버튼을 12초동안 눌러 기기를 종료해주시고 다시 RCM 모드를 통해 다시 부팅을 진행해줍니다.
로더가 있으신 경우 바로 볼륨 +버튼과 전원버튼을 눌러주시면됩니다.
테그라 RCM GUI를 사용하시는 것보다는 좀 더 편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RCM모드에서 페이로드를 주입해주시고 다시한번 케피르로 부팅을 진행해줍니다.
다시 한번 귀여운 닌텐도 로고가 나타나고…
두번째 부터는 정상적으로 에뮤낸드로 부팅됩니다.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설정에 들어가서 버전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스템 버전은 13.2.1 펌웨어에서 생성한 에뮤낸드이니 동일하게 13.2.1 으로 표기됩니다.
바로 우측에는 KEF 케피르 버전이 최신버전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마지막 알파벳이 E 로 표기되면 에뮤낸드, S 로 표기되면 시스낸드로 부팅된 것입니다.
다음은 설정에서 아래 메뉴로 이동해보시면 시리얼 정보 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A버튼으로 실행해주세요.
가장 상단의 시리얼 넘버가 XAW00000000000 로 표기된다면 SD카드에 만들어둔 에뮤낸드 위에서
밴방지를 위한 아트모스피어의 기본 모듈인 exosphere (엑소스피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인 것 입니다.
위 상태에서는 닌텐도 서버와의 접속을 차단하기 때문에 밴에대한 위험을 최대한으로 줄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반대로 멀티나 닌텐도 이숍을 이용하기 위해선 전원을 끄고 RCM모드에 진입하지 마시고 일반 부팅하시면 됩니다.
그저 전원을 끄고 다시 켜서 걱정없이 정펌에서 정품을 즐길 수 있으니 편리합니다.
9-1. 에뮤낸드를 새로 생성한 경우, 기존 시스낸드에서 복제(Clone)된 타이틀 목록 제거
최초 에뮤낸드로 부팅하고 나면 기존 시스낸드의 복사본이다 보니 위 사진처럼 시스낸드에서 설치한 타이틀 이력들이 불필요하게 존재하고 있을겁니다.
현재 작업된 SD카드에 타이틀 설치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위처럼 구름 모양 아이콘이 나타나며
마치 재다운로드를 해야하는 것처럼 나타납니다.
SD카드를 포맷했는데 어떻게 게임들이 남아있는지 궁금하실텐데 스위치의 타이틀 정보는
기기의 낸드(NAND)상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SD카드 포맷 여부와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나아가 구매 기록은 계정 단위로 서버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스위치 기기에 오프라인으로 남아있는 설치 기록들은 굳이 불필요하니 모두 삭제하는 편이 간단합니다.
더보기 현재 에뮤낸드에서는 시리얼 변조를 통해 닌텐도 서버와의 연결을 차단했기 때문에, 이숍에선 다운로드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일일이 지워주는 방법과 기존 Nintendo 폴더를 복사해서 데이터를 살려주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 기존 데이터를 살려서 그대로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에뮤낸드 Nintendo 폴더에 기존 파일을 복사하는 방법으로 복구가 가능합니다. 에뮤낸드에서 사용하는 Nintendo 폴더의 위치는 위 사진처럼 emummc 폴더 아래에 위치합니다. emuMMC 폴더의 RAW1 폴더 하단의 Nintendo 폴더에 SD카드 내 Nintendo 폴더를 복사해주시면 그대로 이어서 사용가능합니다만, 그리 편리한 방법도 아니고 추천 드리진 않겠습니다. 불필요한 설치 이력을 지우기 위해서는 타이틀 위에서 +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메뉴를 이용해서 하나씩 모두 소프트웨어 삭제를 눌러주는 것으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천천히 하나씩 지워주시면됩니다. 참고로 시스낸드와는 전혀 관계없는 에뮤낸드에서의 삭제이기 때문에 부담없이 몽땅 지워주시면됩니다. 위 과정을 반복해서 하나씩 모두 지워줍니다. 만약 이숍 다운로드 타이틀이 많은 경우 일일이 삭제하는게 쉽지 않을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메인화면 보다는 좀 더 쉬운 소프트웨어 상세관리 메뉴가 있습니다. 윈도의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 제거 처럼 스위치에서도 비슷한 기능의 메뉴가있습니다. 설정 – 데이터관리 – 소프트웨어 상세 관리 메뉴로 이동합니다. 타이틀 정보만 남아있는 다운로드 컨텐츠를 모두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A버튼을 눌러서 하나씩 상세화면으로 이동해줍니다. 좌측 하단의 소프트웨어 삭제를 눌러주세요. 마찬가지로 삭제를 반복합니다. 자 노가다를 통해 모두 깔끔하게 삭제되었습니다. 추가로 데이터 관리 메뉴에서는 낸드에 저장되는 세이브 역시 삭제가 가능합니다. 만약 세이브 데이터도 몽땅 날려버리고 싶으시다면 저장 데이터 삭제 라는 메뉴를 이용해서 지울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세이브까지 지우고 싶은 일은 없을테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설치된 타이틀이 모두 깔끔하게 정리되었습니다. 이후 홈브류 메뉴등을 구동해서 원하는 작업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9-2. 구버전 펌웨어가 설치되어있는 경우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
케피르 설치를 통해 커스텀 펌웨어 버전 자체는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지만, 펌웨어는 아직 구버전이실겁니다.
펌웨어는 낸드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SD카드 파일 교체만으로는 업데이트 할 수가 없습니다.
데이브레이크라는 수동 업데이트 방식을 사용해야 하지만 케피르는 좀 더 쉬운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opencourse.tistory.com/633
케피르 업데이터를 이용한 펌웨어 업그레이드 가이드는 내용이 많으니 별도의 업데이트 가이드를 링크하겠습니다.
10. 홈브류 메뉴와 틴포일의 바로가기 (NSP Forwarder) 설치
스위치 커펌은 외관만 봐선 알 수 없지만 R버튼을 꾹 누르신 채로 A버튼으로 앨범이 열릴때까지 누르고 계시면
앨범 대신 홈브류 메뉴라는 것이 대신 실행됩니다.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케피르의 팔방미인 설치툴인 DBI라는 홈브류입니다.
그대로 A버튼으로 실행해줍니다.
파란것은 화면이요.
하얀것은 글씨인 CLI 화면이 나오는데 외관과 달리 워낙 기능이 뛰어나니 당황하지 마시고 따라와주세요.
첫번째 항목인 Browse SD Card (SD카드 탐색) 메뉴를 A버튼으로 선택해줍니다.
케피르 기본 설치 폴더 중 games 라는 폴더를 선택해주세요.
두개의 NSP 설치 파일이 보입니다.
위 NSP들은 메모리 제한없이 홈브류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마치 게임처럼 설치하는 이른바 바로가기 NSP입니다.
지금은 nro 파일과 nsp 바로가기의 모든 내용을 이해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먼저 hbmenu_XXX.nsp 를 A버튼으로 선택해줍니다.
아래의 Start install을 눌러 설치를 진행합니다.
잠시 설치가 진행되고 완료되면 B버튼을 눌러 뒤로 돌아갑니다.
이번엔 tinfoil_XXX.nsp 역시 A버튼으로 선택해서 설치해줍니다.
마찬가지로 설치를 위해 Start install을 눌러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홈버튼을 눌러 홈화면으로 나가주세요.
홈브류 메뉴와 틴포일 바로가기가 모두 설치되었습니다.
홈브류 메뉴는 수동 타이틀 설치시에 사용하게 되고 틴포일은 와이파이를 통해 인터넷 설치가 가능합니다.
불법적인 요소가 가득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설치된 버전의 바로가기는 앨범으로 실행할 때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한번 홈브류 메뉴를 실행해봅니다.
홈브류 메뉴를 실행해보면 더이상 우측 상단에 Applet Mode(애플릿 모드) 라는 붉은 문구가 더 이상 나타나질 않습니다.
이로써 홈브류 메뉴상에서 Awoo 나 tinleaf등의 추가적인 홈브류들로 수동 설치가 가능해집니다.
물론 사용하시려는 홈브류들은 일종의 커펌 스위치용 앱스토어인 HB App Store 에서 직접 설치해주셔야합니다.
이미 에뮤낸드인 것을 확인했으니 시스낸드에서 사고방지를 위해 켜두었던 비행기모드를 해제해줍니다.
댁에서 사용하시는 와이파이에 연결해주세요.
11. 틴포일의 기본 설정 (한글적용)
다음은 아마도 케피르를 설치하는 가장 큰 이유일 대망의 틴포일입니다.
개발자가 직접 location.conf 파일이라는 프X샵 주소를 관리해주는 식이기 때문에 따로 주소를 등록하는 수고가 없습니다.
그러나 애초에 우크라이나 개발자인 만큼 틴포일의 기본 언어를 러시아어로 설정해 둔 상태입니다.
실행이 되고나면 팝업으로 뜨는 항목은 전부 OK를 눌러 닫아주세요.
이를 한글로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좌측 메뉴에에서 아래로 쭉 내려 오셔서 위 사진의 메뉴에 들어갑니다.
우측의 RU라는 러시아어 항목을 KR로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방향키로 선택하셔서 KR을 선택하고 A버튼으로 선택해줍니다.
자동으로 아래의 언어도 ko로 변경됩니다.
B버튼을 연타해서 나갈 수 있으며 틴포일을 한번 종료해주셔야만 언어 적용이 가능해집니다.
B버튼을 연타해서 위 화면이 나타날때까지 뒤로 가셔서 OK를 눌러 종료해주세요.
다시 한번 홈화면에서 틴포일을 재실행해줍니다.
한글로 변경되었습니다.
기본적인 틴포일의 사용법은 불법적인 내용이 많아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만, 사용팁 정도는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검색 기능의 경우 새게임 메뉴에 커서를 놓고 +버튼을 누르시면 검색창이 나타납니다.
영문으로 입력하시고 확인을 누르면 검색결과가 목록으로 나타나게됩니다.
검색된 목록에서 원하는 작업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은 새게임 타이틀 목록에서 마이너스 – 버튼을 눌러 주시면 위처럼 타이틀 명이 아닌 썸네일 방식으로 표시가 가능합니다.
타이틀 목록에서는 +버튼을 눌러 출시를 선택하시면 예전것부터 표기, 한번 더 선택시 최신 타이틀부터 표기하도록 정렬 방식을 바꾸실 수 있습니다.
출시를 두번 선택해서 출시일 기준으로 정렬한 모습입니다.
최신타이틀 기준으로 관리하실테니 출시일 정렬 옵션이 유용합니다.
좌측 메뉴의 새 업데이트 메뉴를 통해 설치된 타이틀의 업데이트 설치가 가능합니다.
보통은 느린 다운로드 속도로 NSP를 따로 관리하고 위 메뉴에서 최신 업데이트만 관리하는 식으로 사용하실 겁니다.
단 DLC 나 새업데이트 메뉴는 기기에 설치된 타이틀 중 설치 가능한 항목이 있을때만 표시되고 평소엔 숨어있습니다.
만약 다운로드가 무조건 fail이 뜨는 경우 서버 자체의 문제도 잦은 편이지만, 통신사의 DNS 서버문제인 경우도 많습니다.
설정 – 와이파이의 DNS 서버를 수동으로 변경하시고 구글 DNS 서버인 8.8.8.8
보조 DNS 8.8.4.4로 설정하시고 종료후 다시실행해보세요.
12. DBI를 이용한 PC와의 MTP연결
마지막은 스크린샷을 꺼내거나 홈브류 메뉴 설치를 위해 스위치와 PC를 연결할때 편리한 MTP 모드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홈브류 메뉴로 들어오셔서 DBI를 실행해주세요.
가능하면 홈브류들은 홈브류 메뉴 바로가기로 실행해주시는 것이 메모리상으론 유리합니다만,
MTP는 워낙 가벼워서 앨범을 통해 애플릿 모드에서 사용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방향키로 커서를 내리셔서 Run MTP responder를 선택해줍니다.
30초안에 PC와 연결해달라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얼른 PC와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결이 되고나면 위와같은 화면으로 스위치는 대기하게 되고 PC에서 파일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그렇다면 PC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우측하단에 스위치가 연결되었다는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탐색기를 보면 스위치가 MTP로 연결되었다고 나타납니다.
스위치로 들어가 보시면 위처럼 기본적인 낸드 폴더의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Saves 또는 Installed Games 등의 폴더가 존재하는 것이 편리하고 신기하군요.
다만 정확히 알고 하는 작업이 아니라면 External SD Card 항목외엔 건드리지 마세요.
되려 낸드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첫번째 항목인 External SD Card 항목으로 들어가시면 SD카드를 뽑아서 연결한 것과 동일한 구조입니다.
위 상태에서 switch 폴더에 홈브류를 설치하거나 하는등의 작업이 가능합니다.
https://opencourse.tistory.com/641
DBI의 정신나갈 것 같은 다양한 기능들은 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13. 헤카테에서 부팅시 에뮤낸드와 시스낸드의 선택 방법
케피르의 경우 시스낸드 커펌으로 부팅하기 위한 Launch 메뉴를 따로 가지고 있습니다.
헤카테 Launch 메뉴에서 Stock (semi-stock) 항목을 터치해서 부팅하시면 시스낸드 커펌으로 부팅됩니다.
간혹 에딧등을 위해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알려드리는 것으로 일반적인 경우는 접근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우측의 Full Stock의 경우 커스텀 펌웨어 시스모듈을 모두 끄고 사실상 정펌으로 부팅하는 메뉴입니다.
RCM 모드로 무조건 진입해야하는 모드칩 (SX Core,Hwfly)등을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Full Stock을 통해 정펌으로 부팅이 가능합니다.
자 이렇게 커스텀 펌웨어 설치와 에뮤낸드 생성 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꽤 길고 복잡해보이는 과정이지만, 최초 설치냐, 기존 설치버전이냐 정도 차이만 있을뿐
과거 번잡하던 설치 방법들이 모두 생략된 것이나 다름 없어 정말 쉽게 설치하는 편입니다.
도움이 되시길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모든 닌텐도 스위치 커펌 설치대행… 펌웨어 15.0.1 HWFly v4.1 …
8 ngày trước — 커펌이란 : 정식 펌웨어를 변조해서 원래 시스템에서는 구형되지 않는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해킹입니다. 커펌을 하면 내부의 …
- Source: jinfeng55.tistory.com
- Views: 4031
- Publish date: 22 hours ago
- Downloads: 82006
- Likes: 4741
- Dislikes: 10
- Title Website: 모든 닌텐도 스위치 커펌 설치대행… 펌웨어 15.0.1 HWFly v4.1 …
- Description Website: 8 ngày trước — 커펌이란 : 정식 펌웨어를 변조해서 원래 시스템에서는 구형되지 않는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해킹입니다. 커펌을 하면 내부의 …
닌텐도 스위치 커펌부팅(멀티부팅 가능)
- Source: Youtube
- Views: 62156
- Date: 59 minute ago
- Download: 74751
- Likes: 7840
- Dislikes: 8
닌텐도 스위치 커스텀 펌웨어(커펌) 설치 후기 (14.1.1)
따라서 sx core, hwfly 와 같은 모드칩을 통해 기존의 취약점을 발생시켜야 하는데, team xecuter는 모종의 사건으로 개발이 중단되어 sx core 모드칩도 생산이 중단된 것으로 알고 있고, 카피칩인 hwfly의 가격도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보드 솔더링 난이도도 어렵다고 하니 아무래도 일반 사용자가 시도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단계입니다.
닌텐도의 커스텀 펌웨어는 엔비디아의 테그라 칩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을 이용합니다. RCM모드에서 오버플로를 의도적으로 일으켜 원하는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취약점이라고 하는데, 아직 지식이 부족하기에 스위치의 커스텀 펌웨어에 대한 기술적 부분을 설명 해드릴수는 없지만, 간단히 어떤 스위치가 커펌이 가능한지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참고로 여러 사이트에서 들은 의견으로는, 시리얼이 XAK10005~~ 까지는 전부 가능하고, XAK10006~~부터는 가능할수도, 불가능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10006 생산분부터 닌텐도가 하드웨어적으로 고친 듯 합니다.
15 thg 5, 2022 — 가이드는 스위치 커펌 가이드로는 제일 유명할 꾀지남편님의 가이드 글을 보고 진행하였습니다. 커스텀 펌웨어 설치가 가능한 스위치? 닌텐도의 커스텀 …
- Source: default83.tistory.com
- Views: 28180
- Publish date: 59 minute ago
- Downloads: 1626
- Likes: 1748
- Dislikes: 5
- Title Website: 닌텐도 스위치 커스텀 펌웨어(커펌) 설치 후기 (14.1.1)
- Description Website: 15 thg 5, 2022 — 가이드는 스위치 커펌 가이드로는 제일 유명할 꾀지남편님의 가이드 글을 보고 진행하였습니다. 커스텀 펌웨어 설치가 가능한 스위치? 닌텐도의 커스텀 …
신형 스위치 배터리개선판 최신 커펌 NEW SWITCH CFW SX CORE
- Source: Youtube
- Views: 41900
- Date: 58 minute ago
- Download: 75994
- Likes: 4516
- Dislikes: 10
닌텐도 스위치 커스텀 펌웨어(커펌) 설치 후기 (14.1.1)
얼마전 당근에서 운좋게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년월이 18년 6월 이전인 구형을 구했습니다.
OLED 버전을 이미 잘 사용하고 있기에 딱히 욕심은 없었으나, 너무 괜찮은 가격과 상태에 그만 충동적으로 거래를 했습니다.
마침 예전부터 스플래툰2를 한글패치로 멀티를 즐겨보고 싶었는데, 밴당해도 부텐도라 괜찮기도 하니 커펌 방법을 찾아보고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3DS는 익숙하지만, 스위치는 이전에 보유중이던 구형 기기로 커펌을 한번 해보고 그걸로 조금 만져본게 전부라 아는 지식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가이드는 스위치 커펌 가이드로는 제일 유명할 꾀지남편님의 가이드 글을 보고 진행하였습니다.
커스텀 펌웨어 설치가 가능한 스위치?
닌텐도의 커스텀 펌웨어는 엔비디아의 테그라 칩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을 이용합니다. RCM모드에서 오버플로를 의도적으로 일으켜 원하는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취약점이라고 하는데, 아직 지식이 부족하기에 스위치의 커스텀 펌웨어에 대한 기술적 부분을 설명 해드릴수는 없지만, 간단히 어떤 스위치가 커펌이 가능한지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닌텐도 스위치는 현재 총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제조년월이 2018년 7월 이전인 구형 스위치
2. 그 이후 생산된 구형 스위치
3. 배터리 개선판 스위치
4. OLED 버전 스위치
1의 경우 RCM 모드 진입 후 별 다른 작업 없이 테그라 칩의 취약점을 이용해 페이로드 파일을 주입할 수 있으나, 2, 3, 4의 경우 따로 모드칩(sx core, hwfly)을 구해 보드에 직접 납땜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sx core, hwfly 와 같은 모드칩을 통해 기존의 취약점을 발생시켜야 하는데, team xecuter는 모종의 사건으로 개발이 중단되어 sx core 모드칩도 생산이 중단된 것으로 알고 있고, 카피칩인 hwfly의 가격도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보드 솔더링 난이도도 어렵다고 하니 아무래도 일반 사용자가 시도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단계입니다.
2, 3, 4로 진행하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은 1의 스위치를 구해 커펌을 진행하실 겁니다.
– 스위치가 커펌 가능한지 확인하기
스위치 박스 하단의 제조연월이 2018년 7월 이전이면 대부분 다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시리얼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Home – Is My Switch Patched?
위의 사진과 같이 기기 하단 바코드 밑에 XAK~로 시작하는 시리얼 번호가 있습니다. 이 시리얼 번호를 그대로 위 사이트에 넣어 내 스위치가 커펌 가능한 기기인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여러 사이트에서 들은 의견으로는, 시리얼이 XAK10005~~ 까지는 전부 가능하고, XAK10006~~부터는 가능할수도, 불가능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10006 생산분부터 닌텐도가 하드웨어적으로 고친 듯 합니다.
커스텀 펌웨어 설치 과정
(아래 글은 그저 후기에 불과합니다. 실제로 시도하실 분들은 가이드 글을 직접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우선 SD카드를 컴퓨터에 주입에 포맷해줍니다.
보통 에뮤낸드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128GB이상의 SD카드를 사용합니다. 저같은 경우 256GB SD카드를 사용하였습니다.
guiformat을 이용해 FAT32로 포맷해주었습니다.
다음은 SD카드에 KEFIR를 설치해 줄 차례입니다.
Releases · rashevskyv/kefir · GitHub
kefir(최신버전).zip 을 받아 압축을 풀어줍니다.
우크라이나 개발자가 제작한 올인원이라고 하는데, 애트모스피어+헤카테 기반입니다.
예전에는 다른 것들도 많았던 것으로 아는데, 현재 애트모스피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개발 중단되었다고 하네요.
사실 이런 올인원 말고 직접 애트모스피어부터 하나씩 설치해볼까 했지만, 설치해보고 느낀 것이 역시 올인원이 정말 편리합니다.
install.bat를 실행시켜 아까 포맷했던 SD카드의 문자열을 지정, 설치해줍니다.
그리고 설치된 SD카드를 확인, payload.bin 파일만 따로 다른 곳으로 복사를 해줍니다.
다음은 스위치의 RCM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준비를 해줍니다.
Releases · eliboa/TegraRcmGUI · GitHub
TegraRcmGUI_v최신버전_portable.zip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어줍니다.
작업이 완료된 SD카드를 스위치에 결합하고, RCM 지그를 준비해 우측 조이콘 레일에 그대로 꽂아줍니다.
다음과 같이 꽂아주었습니다.
TegraRcmGUI에 진입, 필요한 usb 드라이버를 설치해주었습니다.
이제 순정상태의 닌텐도를 부팅, 비행기모드를 켜고 전원을 완전히 꺼줍니다.
그리고 지그가 체결된 상태에서 볼륨 버튼의 +버튼을 누른 상태로 전원 버튼을 눌러주어 RCM 모드에 진입합니다.
그 상태에서 컴퓨터와 스위치를 연결하면 아래와 같은 RCM OK 사인이 뜹니다.
폴더 버튼을 눌러 아까 복사해주었던 payload.bin 파일을 지정해주고, Inject payload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KEFIR에 진입합니다.
가이드에 의하면 자동으로 케피르 업데이터가 실행된다고 하던데, 저같은 경우 바로 시스낸드 커펌으로 부팅되었습니다.
결국 직접 덤프를 하기로 했습니다. 위 사진과 같은 부팅 화면에서 볼륨 -버튼을 누르면 헤카테에 진입합니다.
Payloads를 눌러줍니다.
Lockpick_RCM.bin을 먼저 실행해줍니다.
Dump from SysNAND를 눌러 키파일을 덤프해줍니다.
그 다음 kefir_helper.bin 파일을 눌러 가이드와 똑같은 화면을 만들어주긴 했습니다만, 별 차이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이후 fuses 파일 덤프 등 옛날에 필수로 해줬던 작업을 해주긴 했습니다만, 현재도 해줘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제 에뮤낸드 세팅만 하면 설치 과정이 거의 끝납니다.
파티션 매니져에 들어가 emuMMC를 29 FULL로 설정해주었습니다.
예전엔 한때 3ds도 에뮤낸드 세팅을 해주던 시절이 있었는데, 언제부턴가 시스낸드만 사용하게 된 것 같습니다.
스위치는 기기 특성상 에뮤낸드 세팅이 거의 필수적입니다.
emuMMC Manage에 들어가 SD Partition으로 에뮤낸드를 설치해줍니다.
시간은 대략 8분정도 걸렸네요.
이후 생성된 에뮤낸드를 사용한다고 설정해주고, Launch 버튼을 누르고 Atmosphere 버튼을 눌러 에뮤낸드로 부팅해줍니다.
설정의 본체 탭에서 에뮤낸드로 잘 부팅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시스낸드 S / 에뮤낸드 E / 순정은 아무것도 없음)
이제 R버튼을 누르며 앨범에 진입하면 홈브류 메뉴가 구동됩니다.
약간 사용해본 결과, 정말 웬만한 기능이 대부분 이 DBI로 해결이 가능했습니다.
3DS로 따지면 3DS의 FBI와 비슷한 포지션의 에플리케이션인데, FBI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강력한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우선 이 DBI를 이용해 홈브류 메뉴와 틴포일을 설치해주었습니다.
기본 설정이 모두 완료된 모습입니다. 엑소스피어가 적용된 에뮤낸드이니 인터넷을 사용해도 괜찮고, 혹시 모를 경우에 대비해 DNS MITM도 설정해두었습니다.
홈브류 메뉴를 통해 애플릿 모드가 아닌 홈브류 메뉴로 진입할 수 있고, 틴포일은 그 옛 3DS의 Freeshop에 비견가는 녀석입니다.
간단 후기
옛날에 비해 설치 과정이 정말 많이 편해졌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올인원인 케피르를 이용했기에 가능한 것이겠지만요.
별 탈 없이 커펌이 잘 되어 다행입니다. 스플래툰3가 정발되기 전까지는 한글패치로 스플래툰2 멀티를 즐겨보고자 합니다.
닌텐도 스위치 커펌 | 브랜드 중고거래 플랫폼, 번개장터
닌텐도 스위치 커펌 닌텐도스위치 커펌 가능 풀박스닌텐도 스위치(커펌완료) 512g 최신펌Nintendo switch 본체 + 조이콘 (커펌 불가) 팝니다.닌텐도스위치 구형 풀박스 …
- Source: m.bunjang.co.kr
- Views: 70092
- Publish date: 55 minute ago
- Downloads: 63043
- Likes: 1720
- Dislikes: 8
- Title Website: 닌텐도 스위치 커펌 | 브랜드 중고거래 플랫폼, 번개장터
- Description Website: 닌텐도 스위치 커펌 닌텐도스위치 커펌 가능 풀박스닌텐도 스위치(커펌완료) 512g 최신펌Nintendo switch 본체 + 조이콘 (커펌 불가) 팝니다.닌텐도스위치 구형 풀박스 …
스위치 커펌용 RCM loader 사용설명
- Source: Youtube
- Views: 92947
- Date: 21 hours ago
- Download: 64207
- Likes: 8992
- Dislikes: 3
[스위치] 초심자용 닌텐도 스위치 커스텀 펌웨어 KEFIR 설치법 …
아무튼 이것 저것 기계를 뜯고 풀고 만지고, 설치안되는거 설치해보고 설정하는 것에
닌텐도가 왜 하필 이 AP로 강행을 했는지 이해가 가지않지만….
이 칩은 스위치로 사용되기전부터 이미 취약점이 있었습니다.
5 thg 1, 2022 — 스위치를 커펌 하기위해선 스위치 제조일자가 중요합니다. 물론 요즘 신형 스위치를 커험할수있는 납땜식 툴이 존재하지만. 전문가나 손재주가 좋은사람이 …
- Source: m.blog.naver.com
- Views: 9944
- Publish date: 45 minute ago
- Downloads: 70403
- Likes: 3873
- Dislikes: 1
- Title Website: [스위치] 초심자용 닌텐도 스위치 커스텀 펌웨어 KEFIR 설치법 …
- Description Website: 5 thg 1, 2022 — 스위치를 커펌 하기위해선 스위치 제조일자가 중요합니다. 물론 요즘 신형 스위치를 커험할수있는 납땜식 툴이 존재하지만. 전문가나 손재주가 좋은사람이 …
Nintendo SWITCH 10.1.0 CFW 스위치 10 1 0 최신버전 커펌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77115
- Date: 20 hours ago
- Download: 73691
- Likes: 2052
- Dislikes: 4
[스위치] 초심자용 닌텐도 스위치 커스텀 펌웨어 KEFIR 설치법 (커펌 방법, 해킹, 케피르설치) 따라만 하면된다. 닌텐도스위치커펌
먼저 말씀 드리면 롬 공유는 없습니다.
롬 관련 질문은 사양하겠습니다.
닌텐도 스위치는 테그라X1칩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칩은 스위치로 사용되기전부터 이미 취약점이 있었습니다.
닌텐도가 왜 하필 이 AP로 강행을 했는지 이해가 가지않지만….
아무튼 이것 저것 기계를 뜯고 풀고 만지고, 설치안되는거 설치해보고 설정하는 것에
재미를 느끼던 제가 넘어갈 수 없었습니다.
세팅을 다 해보고 설치법을 공유해 봅니다.
커펌에 의한 기기밴, 벽돌 및 각종 문제가 생길시
책임 지지 않습니다.
닌텐도 스위치 CFW 미니 갤러리 – 커뮤니티 포털 디시인사이드
흥한갤 전체 순위 전체 미니 갤러리 순위 중 300위 이내는 흥한갤이 됩니다. (20위 이내는 대흥갤)
이전 1 / 3 다음
스위치 커스텀펌웨어에 대한 정보공유를 위한곳입니다 – 닌텐도 스위치 CFW 갤러리에 다양한 이야기를 남겨 … 공지 닌텐도 커펌 작업 업자 관련 글 작성 금지합니다.
- Source: gall.dcinside.com
- Views: 61480
- Publish date: 31 minute ago
- Downloads: 109851
- Likes: 4089
- Dislikes: 2
- Title Website: 닌텐도 스위치 CFW 미니 갤러리 – 커뮤니티 포털 디시인사이드
- Description Website: 스위치 커스텀펌웨어에 대한 정보공유를 위한곳입니다 – 닌텐도 스위치 CFW 갤러리에 다양한 이야기를 남겨 … 공지 닌텐도 커펌 작업 업자 관련 글 작성 금지합니다.
신형스위치 커펌 hwfly sxcore
- Source: Youtube
- Views: 99723
- Date: 52 minute ago
- Download: 67739
- Likes: 1973
- Dislikes: 7
닌텐도 스위치 CFW 미니 갤러리
흥한갤 전체 순위 전체 미니 갤러리 순위 중 300위 이내는 흥한갤이 됩니다. (20위 이내는 대흥갤)
이전 1 / 3 다음
커스텀 펌웨어 – 나무위키
31 thg 12, 2022 — 닌텐도 3DS의 경우 기기에 사용되는 SD 카드를 사용해 게임, 브라우저 등의 취약점[11]을 이용하여 홈브루를 구동시키면 커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Source: namu.wiki
- Views: 109607
- Publish date: 12 hours ago
- Downloads: 72869
- Likes: 7377
- Dislikes: 1
- Title Website: 커스텀 펌웨어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31 thg 12, 2022 — 닌텐도 3DS의 경우 기기에 사용되는 SD 카드를 사용해 게임, 브라우저 등의 취약점[11]을 이용하여 홈브루를 구동시키면 커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신형 닌텐도 스위치용 SX Clone칩 – HWFly 모드칩 설치
- Source: Youtube
- Views: 83065
- Date: 10 hours ago
- Download: 11040
- Likes: 4056
- Dislikes: 8
닌텐도 스위치 커펌 도와드립니다. 15.0.0 신형, 라이트, OLED도 …
닌텐도 스위치 커펌 대행 사용된 부품과 결과물, 사후지원 꼼꼼히 꼭 따져보시고 결정하세요.” 궁금하고 재밌어서 취미삼아 공부하다보니 겸사겸사 하게된 일입니다.
- Source: kky111111.tistory.com
- Views: 74238
- Publish date: 13 hours ago
- Downloads: 4804
- Likes: 4689
- Dislikes: 8
- Title Website: 닌텐도 스위치 커펌 도와드립니다. 15.0.0 신형, 라이트, OLED도 …
- Description Website: 닌텐도 스위치 커펌 대행 사용된 부품과 결과물, 사후지원 꼼꼼히 꼭 따져보시고 결정하세요.” 궁금하고 재밌어서 취미삼아 공부하다보니 겸사겸사 하게된 일입니다.
닌텐도스위치 커펌[해킹]어디까지 알고있니? feat. 하지는마라
- Source: Youtube
- Views: 106984
- Date: 15 hours ago
- Download: 59153
- Likes: 6766
- Dislikes: 6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닌텐도 스위치 커펌
Bing에서 닌텐도 스위치 커펌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닌텐도 스위치 커펌.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닌텐도 스위치 커펌 닌텐도 스위치 커펌 방법, 닌텐도 스위치 신형 커펌, 닌텐도 스위치 커펌이란, 닌텐도 스위치 커펌 단점, 닌텐도 스위치 커펌 대행 비용, 닌텐도 스위치 커펌 게임, 닌텐도 스위치 커펌 가능 기기, 닌텐도 스위치 커펌 게임 넣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