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 113 두충 나무 사진 새로운 업데이트 58 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두충 나무 사진“?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1.castu.org 탐색에서: 새로운 상위 849 가지 팁 업데이트.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두충 나무 사진 두충나무효능, 두충나무열매, 두충나무가격, 두충차 끓이는 법, 두충나무 묘목, 두충나무잎 효능, 두충 나무 차, 두충 무엇인가

나무껍질부터 뿌리까지 약이 되는, 두충나무

중국에서는 두충나무를 3000년 전부터 귀한 한방약재로 여겨왔습니다. 특히 두충나무의 어린잎을 우려낸 차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을 돕는 약으로 여겨 인삼보다 더 귀한 대접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중국 약물학 서적인 《신농본초경》은 두충나무를 인삼, 감초, 지황 등과 함께 상(上)급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고서로 전해 내려오는 기록은 또 있습니다. 《의학입문》은 ‘성이 두(杜)이고, 이름이 중(仲)인 사람이 허리가 아파 이것을 먹고 나아서 붙여진 이름이 두충이다.’라고 소개하고, 《본초강목》에는 ‘허리와 무릎 통증 치료, 정력제로 쓴다.’고 적혀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소변에 문제가 생긴 경우 두충나무를 쓴다.’라고 했습니다.

두충나무가 과거에만 유용하게 쓰인 것이 아닙니다. 지금도 하체의 무력감, 생식기능 감퇴, 그리고 소변을 자주 보거나 어지러운 증상을 개선하는 데 쓰이는 약용자원입니다. 주로 나무껍질을 사용하지만, 뿌리의 껍질, 잎, 열매 또한 약재로 쓰는 ‘버릴 것 없는’ 나무입니다. 수꽃을 따서 꽃차로 즐기는 사람들도 많은데, 녹차보다 비타민C가 더 많다고 합니다.

‘불로장생’의 묘약으로 여기던 두충나무

  • Source: know.nifos.go.kr
  • Views: 88368
  • Publish date: 17 hours ago
  • Downloads: 94449
  • Likes: 3192
  • Dislikes: 7
  • Title Website: 나무껍질부터 뿌리까지 약이 되는, 두충나무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108238
  • Date: 9 hours ago
  • Download: 48822
  • Likes: 5448
  • Dislikes: 6

숲의 친구들

‘불로장생’의 묘약으로 여기던 두충나무

중국에서는 두충나무를 3000년 전부터 귀한 한방약재로 여겨왔습니다. 특히 두충나무의 어린잎을 우려낸 차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을 돕는 약으로 여겨 인삼보다 더 귀한 대접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중국 약물학 서적인 《신농본초경》은 두충나무를 인삼, 감초, 지황 등과 함께 상(上)급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고서로 전해 내려오는 기록은 또 있습니다. 《의학입문》은 ‘성이 두(杜)이고, 이름이 중(仲)인 사람이 허리가 아파 이것을 먹고 나아서 붙여진 이름이 두충이다.’라고 소개하고, 《본초강목》에는 ‘허리와 무릎 통증 치료, 정력제로 쓴다.’고 적혀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소변에 문제가 생긴 경우 두충나무를 쓴다.’라고 했습니다.

두충나무가 과거에만 유용하게 쓰인 것이 아닙니다. 지금도 하체의 무력감, 생식기능 감퇴, 그리고 소변을 자주 보거나 어지러운 증상을 개선하는 데 쓰이는 약용자원입니다. 주로 나무껍질을 사용하지만, 뿌리의 껍질, 잎, 열매 또한 약재로 쓰는 ‘버릴 것 없는’ 나무입니다. 수꽃을 따서 꽃차로 즐기는 사람들도 많은데, 녹차보다 비타민C가 더 많다고 합니다.

≪ 두충나무 무엇인가?

<중약대사전>: ” 1, 혈압 강하 작용: 수피의 추출물 및 달임제제는 동물에 대항 지속적인 혈압 강하 작용이 있다. 그 엑스(extract) 5ml(생약 1~2g)를 마취한 개에게 정맥 주사하면 현저한 혈압 강하 작용이 나타나며 2~3시간 지속되는데 ‘신속한 내약성’현상이 나타난다. 3마리의 신성(腎性) 고혈압 개에게 달임제제를 매일 5~8g/kg씩 4주일 동안 위에 주입하면 수축압이 최대로 8~22mmHg(4~10%)까지 낮아졌다. 이 때문에 치료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 두중의 포제( 炮製 )와 제형(劑型)은 혈압 강하 작용에 대하여 상당한 영향이 있는 바 달임제제는 팅크제보다 강하고 볶은 두중은 신선한 두중보다 강하다. 두중은 고양이에게도 혈압 강하 작용이 있은 지속시간이 짧고 ‘신속한 내약성’현상은 명확하지 않다. cholesterol 동맥경화 rabbit에 대한 혈압 강하 작용은 정상적인 rabbit에 대한 작용보다 현저하나 ‘신속한 내약성’이 나타난다. 아직 유효 성분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혈압 강하 작용의 원리도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급성 혈압 강하는 미주신경과 그다지 관련이 없고 아트로핀(atropine)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것이 이미 증명되었다. rabit의 적출 심장에 대하여 소량의 두중은 먼저 흥분시키고 후에 억제시킨다. 심장에 대한 억제 작용은 pH와 관계가 있으며(pH 4~5), pH를 조정하면 rat와 rabbit의 적출 심장에 대하여 모두 흥분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두중은 정상적인 rabbit의 귀혈관을 직접 확장시키지만 같은 농도에서 실험성 콜레스테롤 동맥경화 rabbit의 귀혈관에 대하여 오히려 신장 혈관에 대하여 낮은 농도에서는 확장 작용이 나타나고 높은 농도에서는 반대로 된다. 동맥경화 rabbit의 심장 혈관에 대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수축 작용을 나타낸다. 혈압 강하 작용이 심장 및 혈관과 직접적 관련성이 크지 않는 것을 보아 혈압 강하 작용은 중추성이라고 보여진다.

6, <본초구진(本草求眞)>: “두중(杜仲)은 간(肝)에 들어가서 신(腎)을 보하는데 자(子)가 모(母)를 실하게 하는 것이다. 성(性)이 신온(辛溫)하여 음양(陰 癢 ), 낭습(囊濕)을 제거할 수 있어 위비탄연( 痿痺癱軟 )의 필수품이고 각기동통(脚氣疼痛), 태활몽유(胎滑夢遺)에 꼭 필요한 것이다. 유정이 있으면서 통증이 있을 때 이 약을 복용하였는데도 정탈(精脫)이 멎지 않는 것은 이 약의 기미가 신온(辛溫)하여 간신(肝腎)을 도와서 기를 왕성하게 하기 때문이다. 태(胎)의 기(氣)가 허하여 혈(血)이 견고하지 않을 때 이 약을 썼는데도 혈탈(血脫)의 기(氣)가 허하여 혈(血)이 견고하지 않을 때 이 약을 썼는데도 혈탈(血脫)이 멎지 않는 것은 이에 의하여 기가 상승하지 않고 오히려 하강하기 때문이다. 두중의 효능은 우슬(牛膝), 지황(地黃), 속단(續斷)과 상좌(相佐)하여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주중은 간신(肝腎)을 보하고 하부의 근골기혈에 직접 달(達)하니 우슬(牛膝)이 아래에 달하여 경락(經絡) 혈분(血分)속으로 간다는 것과는 다르고 숙지(熟地)가 자보간신(滋補肝腎)하고 나중에 근골(筋骨) 정수(精髓)안으로 들어가는 것과 다르며 속단(續斷)이 근골을 조보(調補)하고 곡절(曲節) 기혈(氣血)의 사이에 있는 것과도 다른 것이다. 괴이한 것은 지금 사람들이 기(氣)의 허실을 가리지 않고 두중(杜仲), 우슬(牛膝), 속단(續斷) 등을 안태약(安胎藥)을 써서 혈을 아래로 이끌어 가게 하는 점이다. 신경(腎經)이 허한 사람은 이 약을 써서 온보(溫補)하여 태원(胎元)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기가 아래로 빠져 올라가지 못하고 혈(血)이 기(氣)를 따라 탈(脫)하여 태(胎)가 견고하지 않을 때 이 약을 쓰면 기가 더욱 더 상승하지 못하고 혈탈(血脫)이 멎지 않게 되는 것이다.”

▶ 아픔멎이작용, 항노화작용, 혈압강하작용, 항암작용, 혈청콜레스테롤치를 강하시키는 작용,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 항염증작용, 부신피질 호르몬을 증강시키는 작용, 이뇨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항균 작용, 면역력 조절 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자궁수축작용, 고혈압, 저혈압, 신장혈관계통질병, 임신부 유산, 중풍, 생리불순, 위궤양, 원발성좌골신경통, 염증을 막는데, 망상내피계통의 탐식기능을 높이는데, 요통, 허리가 갑자기 참기 어려울 정도로 몹시 아픈 증세, 중풍으로 근맥 경련이 나고 허리와 무릎에 맥이 없는 경우, 소변여력, 음하습양, 임신부의 포태 불안, 습관성 유산 혹은 3~4개월에 유산하는 경우, 고혈압병 (임상보고), 소아마비 후유증 (임상보고), 기미, 죽은깨, 검버섯, 발에서 머리까지 허물 다 벗어진데,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데, 허리아픔, 골다공증, 간경화, 간장염, 기관지천식, 신장염, 전신마비, 척수디스크, 신경성골수염, 결핵성골수염, 담석증, 신석증, 간질, 변비, 독극물중독, 두통, 성장촉진, 요통, 당뇨병, 간장질환, 신장병, 신경통, 위장병, 성장촉진, 디스크, 관절염, 간신허약, 보신강장, 노화방지, 견근골, 피부청결(기미, 주근깨, 검버섯), 부부생활이 과도해서 허리가 아픈데, 중병을 앓고 난뒤 몸이 허약해서 식은땀만 줄줄 흘리는데, 늑막염, 안태, 비만증, 혈청콜레스테롤치 강하, 관상동맥 혈류량증가, 항암(간암, 위암, 골육류, 간신부족의 암), 하지근육경련을 다스리는 두충나무

  • Source: jdm0777.com
  • Views: 21348
  • Publish date: 29 minute ago
  • Downloads: 97996
  • Likes: 8483
  • Dislikes: 3
  • Title Website: ≪ 두충나무 무엇인가?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두충나무 찾기와 효능

  • Source: Youtube
  • Views: 101620
  • Date: 33 minute ago
  • Download: 19029
  • Likes: 7449
  • Dislikes: 10

≪ 두충나무 무엇인가?

[두충나무의 잎, 잎의 실모양, 꽃, 열매, 겨울눈, 껍질 실모양, 줄기, 종자와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아픔멎이작용, 항노화작용, 혈압강하작용, 항암작용, 혈청콜레스테롤치를 강하시키는 작용,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 항염증작용, 부신피질 호르몬을 증강시키는 작용, 이뇨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항균 작용, 면역력 조절 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자궁수축작용, 고혈압, 저혈압, 신장혈관계통질병, 임신부 유산, 중풍, 생리불순, 위궤양, 원발성좌골신경통, 염증을 막는데, 망상내피계통의 탐식기능을 높이는데, 요통, 허리가 갑자기 참기 어려울 정도로 몹시 아픈 증세, 중풍으로 근맥 경련이 나고 허리와 무릎에 맥이 없는 경우, 소변여력, 음하습양, 임신부의 포태 불안, 습관성 유산 혹은 3~4개월에 유산하는 경우, 고혈압병 (임상보고), 소아마비 후유증 (임상보고), 기미, 죽은깨, 검버섯, 발에서 머리까지 허물 다 벗어진데,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데, 허리아픔, 골다공증, 간경화, 간장염, 기관지천식, 신장염, 전신마비, 척수디스크, 신경성골수염, 결핵성골수염, 담석증, 신석증, 간질, 변비, 독극물중독, 두통, 성장촉진, 요통, 당뇨병, 간장질환, 신장병, 신경통, 위장병, 성장촉진, 디스크, 관절염, 간신허약, 보신강장, 노화방지, 견근골, 피부청결(기미, 주근깨, 검버섯), 부부생활이 과도해서 허리가 아픈데, 중병을 앓고 난뒤 몸이 허약해서 식은땀만 줄줄 흘리는데, 늑막염, 안태, 비만증, 혈청콜레스테롤치 강하, 관상동맥 혈류량증가, 항암(간암, 위암, 골육류, 간신부족의 암), 하지근육경련을 다스리는 두충나무

두충은 두충과의 갈잎큰키나무이다.

두충의 학명은 이다. 높이는 20미터까지 자라고 잎은 길이가 5~16cm이고 어긋나며 타원형으로 끝이 뽀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을 찢으면 많은 가는 실을 볼 수 있다. 어린잎은 앞면에 보드라운 털이 성글게 나 있고 잎의 뒷면에 털이 조금 빽빽하게 있으나 오래된 잎은 앞면이 반들반들하고 뒷면은 잎맥 부위에 털이 성글게 나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흑회색이며 작은가지는 반들반들하고 황갈색이거나 조금 연한 황갈색이며 조각 모양이 고겡이가 있다. 오래되지 않은 나무의 껍질은 매끈하면서 회색 무늬가 얼룩지기도 하나 오래묵으면 흑갈색으로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껍질, 가지, 잎에 모두 콜로이드가 들어 있다. 두충나무는 숫나무는 꽃이 피고 암나무는 씨가 달리는데 암, 수나무가 함께 있어야 결실을 맺는다고 한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화피는 없으며, 수꽃은 꽃자루에 수술 4~10개가 있고, 암꽃은 햇가지 밑에서 짧은 꽃자루에 달리고 암술머리는 2갈래이고, 열매는 납작한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고, 자르면 고무 같은 점액질의 실이 나온다. 열매는 시과로서 난형의 긴 타원형이고 평평하며 끝이 오목하고 그 안에 씨 한 개가 들어 있다. 개화기는 4~5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두충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중국 산지(양자강 중류 및 남부 각 성 분포)의 숲 속 또는 물이 흐르는 큰 계곡에 야생으로 자라고 있다. 중국에서도 야생이 수요에 못미쳐 재배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대부분 야산이나 빈터 및 묵밭에 전국적으로 재배를 하고 있다. 중국약학대사전에 의하면 두충나무의 종류가 20여종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두충나무 이름의 유래는 옛날에 성이 두(杜)씨이고 이름이 중(仲)이라는 사람이 이 나무의 껍질과 잎을 차로 달여 먹고 도(道)를 통했다고 해서 그 사람의 성과 이름을 따서 나무의 이름을 두중(杜仲)이라고 붙였다고 전해진다.

두충의 다른 이름은 두중 [杜仲= dù zhòng= 두 ↘ 종 ↘ : 사선 :思仙: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 )], 목면 [木綿, 사중 :思仲: 명의별록( 名醫別錄 )], 면 [ 檰 : 본초도경( 本草圖經 )], 석사선 [石思仙: 본초연의보유( 本草衍義補遺 )], 사연피 [絲連皮, 사란수피 :絲欄樹皮: 중약지( 中藥誌 )], 차사피 [ 扯 絲皮: 호남약물지( 湖南藥物誌 )], 사면피 [絲棉皮: 소의, 중초약수책( 蘇醫, 中草藥手冊 )], 면화 [棉花, 면 : 檰 , 옥사피 :玉絲皮, 난은사 :亂銀絲, 귀선목 :鬼仙木: 화한약고( 和漢藥考 )], 토츄우 [ トチュウ=杜仲: 일본명(日本名)], 두충나무 , 두충 , 들중나무 , 면수피 등으로 부른다.

두충의 어린잎을 면아 [ 檰芽 : 본초도경( 本草圖經 )]라고 한다.

[채취]

<중약대사전>: “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국부의 껍질을 벗기는 방법을 쓴다. 4월 상순부터 6월 중순 사이에 수령이 15~20년 되는 나무를 골라서 약재의 규격에 따라 껍질을 벗기어 거친 껍질을 깍아내고 햇볕에 말린다. 통풍이 잘 되는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약재]

<중약대사전>: “말린 나무 껍질은 평평한 판자 모양이거나 둘둘 만 판자 모양으로 크기와 두께가 일정하지 않는데 대략 두께가 3~10mm, 길이가 40~100cm이다. 겉표면은 회갈색이고 거칠며, 세로로 틈이간 불규칙한 홈 및 사방형(사방형)의 옆으로 갈라진 껍질눈이 있고 이따금 연한 회색의 이끼 같은 얼룩 무늬가 보인다. 그러나 상품은 대부분 거친 껍질 부분이 깍여져 있으므로 겉표면이 연한 갈색이고 비교적 매끈매끈하다. 속표면은 반들반들하고 어두운 자줏빛이다. 질이 바삭바삭하여 쉽게 끊어지고 잘라 낸 면에 하얀 실 같은 것이 서로 얽혀 있는데 매우 촘촘하게 있고 약간 신축성이 있다. 냄새는 약하고 맛이 조금 쓴데 씹으면 끈끈한 물질 같은 것이 남는다. 껍질이 두껍고 크며, 거친 껍질이 깨끗이 깍여 없고 겉면이 황갈색이며, 속표면은 흑갈색인데 광택이 있고 끊을 때 흰 실이 많은 것이 좋다. 껍질이 얇고 잘라 낸 면의 실이 적거나 혹은 두껍고 거친 껍질이 있는 것은 질이 조금 못하다.

중국의 주산지는 사천(四川), 섬서(陝西), 호북(湖北), 하남(河南), 귀주(貴州), 운남(雲南) 등지이다. 이외에 강서(江西), 감숙(甘肅), 호남(湖南), 광서(廣西) 등지에서도 난다.”

[성분]

<나무껍질>

<중약대사전>: “나무껍질에는 gutta percha 6~10%가 들어 있고 뿌리껍질에는 10~12%가 들어 있다. gutta percha는 ethylalcohol에 쉽게 녹고 물에는 녹기 어려운 경성(硬性)의 식물 gum이다. 이밖에, 또 glycoside 0.142mg%, alkaloid 0.066mg%, pectin 6.5mg%, fat 2.9mg%, resin 1.76mg%, 유기산 0.25mg%, ketose(가수분해 전 2.15mg%, 가수분해 후 3.5mg%), 비타민 C 20.7mg%, aldose, chlorogenic acid가 들어 있다. 종자에 들어 있는 지방유를 구성하는 fatty acid는 linolenic acid 67.385, linoleic acid 9.97%, oleic acid 15.81%, stearic acid 2.15%, palmitic acid 4.68%로 조성되어 있다. 열매 속의 guttapercha 함량은 27%에 달하고 에틸 알콜와 acetone 등의 유기 용제(溶劑)에 쉽게 녹는다.”

<갓 돋아난 어린잎>

<중약대사전>: “잎에는 gutta percha 약 3%, 알칼로이드 0.028%, glycoside 0.072%, pectin 7.3%, 지방 2.2%, resin 1,48%, 유기산 1,49%, ketose 3.6%(가수 분해 전), 5.2%(가수 분해 후), aldose 0.95, 비타민 C 48mg% 및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탄닌이 들어 있다.

glycoside 중에는 aucubin이 들어 있고, resin 중에는 phytosterol이 들어 있으며, 유기산 중에는 mal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등이 들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혈압 강하 작용: 수피의 추출물 및 달임제제는 동물에 대항 지속적인 혈압 강하 작용이 있다. 그 엑스(extract) 5ml(생약 1~2g)를 마취한 개에게 정맥 주사하면 현저한 혈압 강하 작용이 나타나며 2~3시간 지속되는데 ‘신속한 내약성’현상이 나타난다. 3마리의 신성(腎性) 고혈압 개에게 달임제제를 매일 5~8g/kg씩 4주일 동안 위에 주입하면 수축압이 최대로 8~22mmHg(4~10%)까지 낮아졌다. 이 때문에 치료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 두중의 포제( 炮製 )와 제형(劑型)은 혈압 강하 작용에 대하여 상당한 영향이 있는 바 달임제제는 팅크제보다 강하고 볶은 두중은 신선한 두중보다 강하다. 두중은 고양이에게도 혈압 강하 작용이 있은 지속시간이 짧고 ‘신속한 내약성’현상은 명확하지 않다. cholesterol 동맥경화 rabbit에 대한 혈압 강하 작용은 정상적인 rabbit에 대한 작용보다 현저하나 ‘신속한 내약성’이 나타난다. 아직 유효 성분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혈압 강하 작용의 원리도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급성 혈압 강하는 미주신경과 그다지 관련이 없고 아트로핀(atropine)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것이 이미 증명되었다. rabit의 적출 심장에 대하여 소량의 두중은 먼저 흥분시키고 후에 억제시킨다. 심장에 대한 억제 작용은 pH와 관계가 있으며(pH 4~5), pH를 조정하면 rat와 rabbit의 적출 심장에 대하여 모두 흥분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두중은 정상적인 rabbit의 귀혈관을 직접 확장시키지만 같은 농도에서 실험성 콜레스테롤 동맥경화 rabbit의 귀혈관에 대하여 오히려 신장 혈관에 대하여 낮은 농도에서는 확장 작용이 나타나고 높은 농도에서는 반대로 된다. 동맥경화 rabbit의 심장 혈관에 대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수축 작용을 나타낸다. 혈압 강하 작용이 심장 및 혈관과 직접적 관련성이 크지 않는 것을 보아 혈압 강하 작용은 중추성이라고 보여진다.

2, 이뇨 작용: 두중의 여러 가지 제제는 마취한 개에 대하여 이뇨 작용이 있고, 신속한 내약성도 나타나지 않는다. 정상적인 rat와 mouse에 대해서도 이뇨 작용이 있다. 두중에는 칼륨이 0.4% 들어 있으므로 이뇨 작용이 칼륨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3, 기타 작용: 임상에서 쓰고 있는 두중 침제(浸劑)는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낮추고 현운(眩暈), 불면 등의 증상을 개선시킨다. 대량(20~25g/kg/일)의 두중 달임제제를 개의 위에 주입하면 안정되고 잠만 자고 싶어하며 외부의 자극을 잘 받지 않는다. mouse에게 대량으로 투약하면 중추신경계통이 억제 된다. 두중은 rat와 rabbit의 적출 자궁에 대하여 피튜이트린(pituitrin)이 일으키는 흥분 작용을 억제시키며 자궁을 이완시킨다. 그러나 고양이의 적출 자궁에 대해서는 오히려 흥분 작용을 나타낸다. 두중의 달임제제는 in vitro에서 결핵균에 대하여 일정한 억제 작용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두중의 알코올 추출물은 rat의 장도(腸道) 속의 콜레스테롤 흡수를 감소시킨다.

[독성]

두충은 독성이 아주 낮다. 달인 제제 15~25g/kg을 토끼의 위에 주입하면 가벼운 억제 작용이 있을 뿐 중독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쥐에게 15~25g/kg을 연속 5일간 먹여도 죽지 않았다. guinea-pig는 10~15g/kg을 복강 주사한 후 3~5일내에 반수가 죽었다. 아급성 시험에서 두중 달인 제제는 rat, guinea-pig, rabbit 및 개의 신장 조직에 대하여 경한 수종 변성을 일으키고 심장, 간장, 비장조직에 대해서는 병변을 일으키지 않았다.”

[포제( 炮製 )]

1, <중약대사전>: ” 두중: 거친 껍질을 깍아내고 깨끗이 씻어 물기가 스며들어 눅룩하였을 때 네모나게 자르거나 실처럼 길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먼저 소금 적당량을 끓인 물에 넣어 녹인다. 그런다음 소금을 녹인 물에 네모나게 썰은 두충이나 실처럼 길게 썰은 두충을 넣고 소금물과 함께 충분히 휘저어 스며들게 한 다음 솥에 넣고 약한 불에 약간 얼룩얼룩하게 눌을 정도로 볶아 꺼내어 그늘진 곳에서 말린다(두충 50kg에 식염 1.5kg을 쓴다). 두충은 볶으면 Gutta-pereha가 파괴되므로 유효 성분이 잘 나오게 된다.”

2, <뇌공포자론( 雷公炮炙論 )>: “두충을 쓸 때에는 반드시 거친 껍질을 없애고 수( 酥: 크림), 꿀을 발라 구워 쓴다. 500그램을 포제할 경우 수( 酥: 크림) 1킬로그램, 꿀 1.5킬로그램을 섞어서 쓴다.”

※ 참조: <수( 酥 )>: “<한국고전용어사전>에서는 ‘소나 양의 젖으로 만든 것’이라고 하며, 젖에서 얻은 연유나 치즈, 버터, 크림 (cream: 우유에서 분리된 연한 황색을 띤 유지방) 등을 의미한다. ”

3, <본초술구원( 本草述鉤元 )>: “두충은 술로 볶고 실처럼 길게 썰어 쓴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3, <명의별록>: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4, <약성론>: “맛이 쓰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간(肝),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2, <왕호고(王好古)>: “간경(肝經)의 기분(氣分)에 들어간다.”

3, <뇌공포제약성해( 雷公 炮 製藥性解 )>: “수태음(手太陰),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나무껍질>

1, <중약대사전>: “간신(肝腎)을 보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태아를 안정시킨다. 허리와 등이 시큰시큰 쑤리고 아픈 병증, 발과 무릎이 약한 것, 소변여력(小便餘瀝), 음하습양(陰下濕 癢 ), 태루욕타(胎漏欲墮), 고혈압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허리와 등의 통증을 다스리고 보중익정기(補中益精氣)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강지(强志)하게 한다. 음하습양(陰下濕 癢 ), 소변여력(小便餘瀝)을 치료한다.”

3, <명의별록>: “발바닥이 시큰시큰 쑤리고 아파 땅을 디디지 못하는 것을 다스린다.”

4, <약성론>: “신냉(腎冷)으로 인한 요통을 다스리고 요병(腰病)으로 허약하고 몸이 강직되는 것은 풍(風) 때문이다. 허리가 좋지 않은 경우에 쓴다.”

5, <일화자제가본초>: “신노(腎勞), 요척련(腰脊 攣 )을 치료한다. 불에 구워 약용으로 쓴다.”

6, <왕호고>: “윤간조(潤肝燥), 보간경풍허(補肝經風虛) 한다.”

7, <본초정>: “소수몽유(小水夢遺)를 멎게 하고 자궁을 따뜻하게 하며 태기(胎氣)를 안정시킨다.”

8, <옥추약해>: “익간신(益肝腎, 양근골(養筋骨)하고 관절의 습음(濕淫)을 제거한다. 허리와 무릎이 시큰시큰 쑤리고 아픈 병증, 다니라 발에 경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9, <본초재신>: “근력을 좋게 하고 양도(陽道)를 강하게 한다.”

<갓 돋아난 어린잎>

<본초도경>: “이것을 먹으면 풍독각기(風毒脚氣)와 구적풍냉(久積風冷), 장치하혈(腸痔下血)을 치료한다. 말려 가루내어 탕제로 만들어 복용하여도 좋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1~19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술에 담궈 먹거나 환을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배합과 금기 (주의사항) ]

1, <중약대사전>: “음(陰)이 허하고 화(火)가 왕성한 자는 신중하게 써야 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사피(蛇皮), 원삼(元參)과 상오(相惡)한다.”

3, <본초경소(本草經疏)>: “신(腎)이 허하고 화(火)가 왕성한 자는 쓰지 말아야 한다. 쓸 때에는 황백(黃柏), 지모(知母)와 같이 쓴다.”

4, <득배본초(得配本草)>: “내열(內熱), 정혈조(精血燥)한 자는 쓰지 말아야 한다.”

두충나무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 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 두충(杜沖)

두충과의 갈일큰키나무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의 나무껍질이다. 두중(杜仲)이라고도 한다.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强筋骨), 안태(安胎)

해설: ① 간장과 신장의 기능 부족으로 나타나는 요통과 무릎이 시리고 연약해지는 증상 등에 근육의 탄력을 강화시키면서 골질(骨質)형성을 촉진시킨다. ② 간신의 기능을 강화시켜 몸이 차서 나타나는 양위(陽萎), 하복부냉감,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 등에 사용하고 방광의 수축력을 높인다. ③ 간신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임신 중의 태동불안, 자궁 출혈 또는 유산을 방지하는 데 유효하다.

성분: gutta-percha 6~10%, 탄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소량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약물 달인 물은 혈관 평활근에 직접적인 확장 작용을 일으켜 혈압을 내리며, ② 항노화 작용이 있고, ③ 혈청콜레스테롤치를 강하시키는데, 두충의 잎은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킨다. ④ 동물의 부신피질 호르몬을 증강시키며 항염증 작용을 보이고, ⑤ 진정, 진통 작용, ⑥ 신체 면역 기능을 조절하여 세포 면역의 억제와 증강 작용을 보인다. ⑦ 출혈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뇨 작용도 나타낸다. ⑧ 항알레르기 작용, ⑨ 자궁 수축 작용이 있고, ⑩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이질균, 대장균, 녹농균, 폐렴균, 디프테리아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임상보고: ① 혈압 강하 작용이 있어서 고혈압에 유효하다. ② 원발성좌골신경통에 치유 반응을 보였고, ③풍습성 관절염, ④ 골다공증에 효력을 나타냈으며, ⑤ 성장촉진에 탁월한 반응을 보였다.

기타: 잎에도 두충과 유사한 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요통, 디스크, 관절염, 하지근육경련 등에 유효하다. ]

두충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 두충나무과(Eucommiaceae)

이과의 식물은 잎지는 큰키나무이고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암수딴그루이며 꽃갓은 없고 수꽃에 10개의 수꽃술이 있다. 열매에는 한 개의 씨가 있다. 씨에 눈젖이 많다. 잎이나 나무껍질에 구타페르카가 많아 꺽으면 실처럼 늘어난다.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er)

두충나무 껍질은 고혈압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에 치료 효과가 좋은 약재일 뿐만 아니라 나무는 벌레도 먹지 않아 질이 좋으므로 가구재로 중요하게 쓰인다.

다른이름: 들중나무, 두중, 사중, 사선목, 목면, 면수피, 사면피

식물: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식물 전체에 고무질이 있어 껍질과 잎을 끊으면 명주실 같은 줄이 생긴다. 잎은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암꽃과 수꽃이 봄철에 따로 핀다.

약으로 쓰기 위하여 심고 있다. 의약품 원료로는 겨울에 온실에서 꺾꽂이하여 모를 키운 후 봄에 밭에 옮겨 심어 가을까지 자라면 잎과 가지를 전부 베어 쓰는 것이 생산성이 높다. 그러나 중부와 남부에서는 밖에서 겨울을 난다.

두충나무가 나지 않는 나라에서는 화살나무과에 속하는 화살나무(Euonymus alatus Siebold: 민간에서 햇잎, 횟잎이라 하여 어린잎을 물에 데쳐 나물로 먹는다)를 동약 두충으로 쓴다. 화살나무의 뿌리 껍질에도 고무질이 들어 있으므로 꺽으면 흰 실이 많이 생긴다. 이 식물의 뿌리와 잎, 줄기 특히 열매에서는 디기톡시게닌을 게닌으로 하는 강심 배당체를 분리하였다.

화살나무의 뿌리껍질을 두충나무 대용으로 쓸 수 있는지는 앞으로 검토되어야 한다고 본다.

나무껍질(두충): 봄부터 여름 사이에 코르크층을 깍아버리고 나무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성분: 잎에는 클로로겐산 C16 H18 O9(2~3%, 녹는점 205℃), 카페산, 아루쿠빈(리난틴 또는 아우쿠보시드) C15 H22 09(녹는점 182~183℃[α] D 15 -162°, 알코올과 물에 풀리고 에테르, 아세톤, 벤젠이 풀리지 않는다), 고무질이 있다. 배당체로는 로가닌 C17 H26 O10(녹는점 222~223℃, 물, 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에 풀린다)이 있다.

또한 헤르파기드아세타트 C26 H32 O12, 에우콤미올 C9 H16 O4, 아유고시드, 레프토시드,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유기산, 수지, 비타민 C등이 있다.

나무껍질, 가지, 잎, 뿌리에는 고무질이 있다. 이 고무질은 탄력고무(카우추크)가 아니고 구타페르카(C5 H8)n 인데 분자량은 1.4~1.8×105이다. 고무질의 함량은 두꺼운 껍질에 15~20%, 얇은 껍질에 11%, 묵은 가지에 18%, 어린가지(4월 초에 채취)에 5%이다. 이밖에 껍질에는 유기산, 클로로겐산과 비타민 C, 적은 양의 알칼로이드, 7%의 수지가 있다. 또한 2%의 쓴맛물질이 있다. 고무질은 어린잎(4월 초에 채취)에 4~6%, 신선한 잎에 2%, 열매에 12% 있다.

작용: 나무껍질과 잎의 달임약, 알코올 추출액을 집토끼에게 먹이면 뚜렷한 혈압내림작용이 있다. 아트로핀을 주사한 다음에는 약을 먹여도 혈압에는 변화가 없다. 중추신경 계통에 대해서는 적은 양에서 흥분시키고 많은 양에서 억제한다. 이 약은 연수의 핏줄운동 중추신경과 미주신경을 억제시켜 혈압을 내리게 한다.

집토끼의 떼낸 장의 긴장도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높이지만 농도를 높이면 장관이 차츰 이완되며 진폭이 작아지고 운동하지 않는다. 여기에 염화비닐바륨을 넣으면 운동이 시작된다.

이 약의 장관에 대한 작용도 아트로핀과 엇선다. 떼낸 자궁은 운동을 강화시키고 진폭을 늘리며 다음 일과성인 강직성 정지를 일으킨다. 이러한 작용도 아트로핀의 전처리에 의하여 엇서게 된다. 또한 심장 수축을 세게 한다.

토끼와 개에게서 법제한 것, 추출용매에 따르는 혈압 내림 효과를 비교 검토하면 초한 것은 초하지 않은 것보다, 물로 달인 것은 알코올로 우린 것보다 혈압내림작용이 세다.

응용: 동의치료에서는 껍질을 강장, 강정, 진정, 아픔멎이약으로 신허, 허리아픔, 유정 등에 쇠무릎뿌리, 겨우살이와 같이 쓰며, 임신부의 허리아픔과 태동불안에 속단뿌리, 대추와 같이 쓴다.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정기를 보한다고 한다.

고혈압(1~3기)에도 쓴다. 꿀풀, 속서근풀뿌리(황금)와 같이 쓰면 좋다.

민간에서도 두충나무껍질을 약한 불로 가루내어 산후 혈압이 높을 때 한번에 5그램씩 하루 2~3번 더운물에 타서 먹는다.

두충나무껍질 달임약(10~20:200):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고혈압(1~3기), 동맥경화증, 신경아픔, 근염, 허리아픔에 쓴다.

두충팅크: 두충나무껍질 45g(70% 알코올 냉침), 두충나무잎 133그램, 알코올 적당량, 전량 1,000그램, 고혈압에 한번에 3~6ml씩 하루 3번 먹는다.

구타페르카를 갈라내어 전기절연재, 이 썩은 데 봉입제로 쓰기도 하지만 합성수지가 생산되면서 적게 쓴다. 껍질을 클로로포름으로 우려내어 정제하면 구타페으카가 얻어진다. 클로로포름에 풀리는 부분은 껍질에 약 6% 들어 있다.

참고: 두충나무잎도 혈압내림작용이 있으므로 쓰는 양만 정확히 정한다면 껍질에 못지 않은 약재가 될 수 있다.

두충나무껍질과 익모초 각각 24kg, 속서근풀뿌리와 꿀풀 각각 14,4kg, 구등 4.5g을 물로 우려서 졸인 것에 녹말을 넣고 싸락(15kg)으로 하여 알약(0.3g) 5만 개를 만든다. 한번에 5알씩 하루 3번 고혈압 치료약으로 먹는다. ]

두충이 고혈압에 잘 듣는다는 점과 관련하여 북측에서 펴낸 <생활과 건강장수> 제 1권 25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고혈압의 특효약-두충

두충은 중년기와 노년기에 볼 수 있는 고혈압병을 비롯한 심장혈관계통 질병에 뚜렷한 치료 효과 를 나타내는 좋은 고려약이다. 두충나무의 껍질과 잎은 혈압을 내리우고 심장기능에 좋은 영향을 주며 핏속 콜레스테롤양을 줄이고 아픔멎이작용 을 나타낸다. 두충은 염증을 막고 망상내피계통의 탐식기능을 높이며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임상치료에서 고혈압병에 널리 쓰고 있다. 1알에 50mg의 두충성분이 든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g씩 하루 3번 끼니 사이에 먹이는 방법으로 고혈압병환자 수백명을 치료한 결과 치료 효율이 80% 이상이었다.

또한 관절염과 허리아픔 에는 두충주사약(0.3gml)을 한번에 2-4ml씩 하루 한번 근육주사하여 80% 이상의 뚜렷한 치료 효과를 보았다.

이밖에 무릎이 아프면서 맥이 없거나 음위증과 유정이 있을 때에도 쓸 수 있으며 임신부 유산 에도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

두충의 항암작용에 대해서 <한국항암본초> 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두충( 杜沖, 두중: 杜仲: Cortex Eucommiae)

[기원] 두충의 수피

[과명] 두충과 Eucommiaceae

[식물명] 두충

[학명] Eucommia ulmoides Oiv

[중명] 두충(杜仲: du zhong)

[영명] Eucommia

[일명] 도치유우(トチユウ)

높이 20미터에 이르는 낙엽 교목으로서 가지는 황갈색이며 편상(片狀)의 수(髓)가 있다. 수피 잎의 단면에서 탄력이 있는 고무실을 볼 수 있다.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7~15cm, 폭 3.5~6.5cm 이며 가장 자리에 거치가 있다. 자웅이주이며 4~5월에 개화한다. 화피는 없으며 숫꽃에 6~10개의 암술이 있고, 암꽃에 1개의 암술이 있다. 시과는 장타원형으로서 편평하며 1개의 종자가 있다.

생육지와 분포

중국 양자강 중유 및 남붕서 생장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재배하고 있다.

채집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15~20년생의 나무에서 국부 박피법을 실시하여 수피의 재생을 도모한다. 수피는 코르크 층을 벗겨 버리고 말린다.

번식

일반적으로 종자 번식을 실시한다. 10~20년생의 모수에서 채종하는 것이 좋다. 춘파 또는 추파로 하며 우선 종자를 20도 씨의 온수에 3일을 침종하되 물을 날마다 새것으로 바꾸며 종자 팽창하기를 기다려 파종한다.

이외에도 삽목 또는 가지 휘여묻기로서도 묘목을 번식할 수 있다.

성분

줄기 수피에 Gutta-percha가 6~10%있으며 뿌리껍질에는 10~12%가 들어 있다. 이는 에탄올에는 잘 용해되나 물에는 용해되지 않는 경질 고무이다. 이외에 lupeol, Gulcoside, Alkalid, Pectin, 지유, 수지, 유기산, Ketose, Vitamin C, Altose, Chlorogen산이 들어 있다.

일반약리

1, 수피의 추출물은 동물에 대하여 지구적인 강압작용이 있었다.

2, 두충의 각종 제제는 마취한 개에 이뇨작용이 있었다.

3, 두충 달임액은 시험관내에 배양한 결핵균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었다.

4,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흡수를 억제하며 대제의 두충 달임액은 정상적인 개에 대하여 진정, 최면 작용이 있었다.

항암약리

두충 고무 성분의 하나인 lupeol은 walier 암육류(癌肉瘤)-256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었다.

성미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작용

간, 신에 작용한다.

약효

간과 신장을 보호(보간신:補肝腎)하고 뼈와 근골을 강하게(강근골:强筋骨) 하며 태아를 편하게(안태:安胎) 한다.

적응증

요척산통(腰脊 疝痛 ), 족슬위약(足膝 痿弱 ), 소변여력(小便餘 癧 ), 음하습양(陰下濕 痒 ), 태동불안(胎動不安), 고혈압

주의

음기가 약하여 화가 생기는 사람(음허화동:陰虛火動)은 신중히 복용해야 한다. 현삼(玄蔘), 사퇴(蛇退)를 피한다. 음허화동(陰虛火動)한 자에게 쓸 경우에는 황백(黃柏), 지모(知母)와 더불어 쓴다.

용법과 용량

10~25g을 물로 달이거나 술에 담궈 먹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항암임상응용

1, 골육류(骨肉瘤), 미저부(尾 骶 部)의 척색류(脊索瘤)에는 음양곽(淫羊藿), 산약(山藥), 우슬(牛膝), 산수유(山茱萸) 등을 배합한다.

2, 간신부족(肝腎不足)의 암에는 파고지(破枯紙), 상기생(桑寄生)등을 배합한다. ]

두충의 나무껍질 효능에 대하여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61면 95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두충(杜仲)

기원: 두충과(杜仲科: Eucommiaceae)식물인 두중(杜仲=두충: Eucommia ulmoides Oliv.)의 수피(樹皮)이다.

형태: 낙엽교목(落葉喬木)이다. 수피(樹皮)는 회색(灰色)이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橢圓形) 혹은 타원상(橢圓狀) 난형(卵形)이다. 꽃은 단성(單性)으로 자웅이주(雌雄異株)이며 꽃잎이 없고 수꽃의 포(苞)는 숟가락 모양의 도란형(倒卵形)이고, 꽃은 짧은 꽃자루를 가지고 있고, 자방(子房)은 좁고 길다. 열매는 시과(翅果)로 얇고 편평하며 장타원형(長橢圓形)이다.

[두충 열매의 새싹, 열매, 단풍잎, 열매와 잎과 줄기의 실모양,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비교적 따뜻한 지역에 자라고 주로 재배하며 야생하는 것도 드물게 보인다. 중국의 섬서(陝西), 감숙(甘肅), 호북(湖北), 호남(湖南) 및 서남(西南)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봄에 껍질을 제거한 후에 내면이 서로 마주보게 평평이 접어서 볏짚으로 팽팽하게 싼 후 내피(內皮)가 흑갈색(黑褐色)이 될 때까지 햇볕에 말린다.

성분: 신격남대(新格南甙), (+)환감람수지소(環橄欖樹脂素), (-)감람수지소(橄欖樹脂素).

기미: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强筋骨).

주치: 고혈압(高血壓), 요슬산통(腰膝酸痛), 근골위연(筋骨痿軟), 신허요빈(腎虛尿頻), 임신태루(姙娠胎漏), 태동불안(胎動不安).

용량: 10∼15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414면. ]

◆ 두충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요통1

① “두충 500그램, 오미자 반되, 두 가지 약을 잘게 썰어서 14제(劑)로 나누어 밤마다 한 제(劑)를 물 1되에 담가서 아침 5시까지 두었다가 3분의 1쯤 졸아들게 달여서 걸러낸 즙에 양의 콩팥 3~4개를 썰어 넣고 다시 너더댓 번 펄펄 끓여 죽처럼 만들어서 빈속에 먹는다. 소금, 크림 (cream: 우유에서 분리된 연한 황색을 띤 유지방) 을 넣어도 좋다.” [협중방( 篋中方) ]

2, 요통2

② “천목향(川木香) 3.7그램, 팔각회향(八角茴香) 11.1그램, 두충(杜仲: 볶아 실 같은 것을 제거한 것) 11.1그램을 물 1잔과 술 반잔으로 달여서 먹는다. 찌꺼기는 다시 달여서 복용한다.” [활인심통(活人心統), 사선산(思仙散)]

3, 허리가 갑자기 참기 어려울 정도로 몹시 아픈 증세

두충 74그램(거친 껍질을 벗겨내고 노르스름하게 구워 썰은 것), 단삼(丹參) 74그램, 궁궁이 55.5그램, 계심(桂心) 37그램, 세신(細辛) 1.11그램, 상술한 약을 거칠게 찧어 체로 쳐서 가루를 낸다. 매 복용시 14.8그램에 물 1잔(보통 잔)을 붓고 5분으로 졸아들게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 술 0.74그램을 넣고 3~4번 펄펄 끓여서 매 식전에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두중산(杜仲散)]

4, 중풍으로 근맥(筋脈)이 경련이 나고 허리와 무릎에 맥이 없는 경우

두충(거친 껍질을 없애고 불에 구워 썰은 것) 55.5그램, 궁궁이 37그램, 부자(附子: 터질 정도로 구워 껍질과 밑씨를 제거한 것) 18.5그램, 상술한 3가지 약을 마두(麻豆)만하게 썰어서, 매 복용시 18.5그램에 물 2잔과 대추만한 크기의 생강 한 개를 으깨어 넣고 한잔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빈속에 따뜻할 때 먹는다. 반시간 지나서 다시 한번 먹고 땀을 낸다. 바람을 맞지 말아야 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두중음(杜仲飮)]

5, 소변여력(小便餘瀝), 음하습양(陰下濕 癢 )

천두충(川杜仲: 식염, 술에 담궈 볶은 것) 148그램, 소회향(小茴香: 식염, 술에 담궈 볶은 것) 74그램, 차전자(車前子: 볶은 것) 55.5그램, 산수유육(山茱萸肉: 볶은 것) 111그램을 가루내어, 정제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 열매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아침마다 18.5그램을 끓인 맹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6, 임신부의 포태(胞胎) 불안

두충을 양의 많고 적음을 막론하고 잘게 썰어서 기와 위에 놓고 약한 불에 말려 곱게 가루낸다. 삶은 대추살에 반죽하여 탄알 만한 크기의 호환(糊丸: 풀에 반죽하여 환을 만드는 것)으로 만든다. 한 번에 한알씩 흐물흐물하게 씹어 찹쌀죽으로 넘긴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두중환(杜仲丸)]

7, 습관성 유산 혹은 3~4개월에 유산하는 경우

두달 전에 찹쌀을 달인 물에 담갔다가 볶아 실 같은 것을 제거한 두충 296그램, 속단(續斷) 74그램(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에 쬐어 말려 가루낸 것), 산약(山藥) 185~222그램을 가루내어 벽오동 열매만한 크기의 호환(糊丸: 풀에 반죽하여 환을 만드는 것)을 만든다. 한 번에 50알을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 [간편단방(簡便單方)]

8, 고혈압1

① “두충, 꿀풀 각 18.5그램, 홍우슬(紅牛膝: Cyathula capitata의 뿌리 ) 11,1그램, 수근채(水芹菜: 미나리) 111그램, 어추관(魚 鰍 串: 국화과 식물인 마란(馬蘭: Kalimeris indica Sch. Bip)의 전초) 37그램을 물로 약한 불에 천천히 달여서 하루에 세 번 먹는다.” [귀주초약(貴州草藥)]

9, 고혈압2

② “두충, 황금(黃芩), 하고초(夏枯草: 꿀풀) 각 18.5그램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10, 고혈압병 (임상보고)

10%의 두충 팅크를 한번에 30방울씩 1일 3회 복용한다. 119례를 치료하고 1~23개월간 관찰한 결과 치료 효과가 만족할 만한 것이 51례(42,8%)였다. 평균적으로 9.1개월간 치료하여 증상이 조금 나아진 것이 15례(12,6%), 효과가 없는 것이 53례(44.6%)였다. 나쁜 반응은 없었다. 또 5% 두충 팅크를 1회 5ml씩 1일 3회 복용하게 하여 124례를 치료한 결과 조기 고혈압병에 대한 치료 효과가 비교적 좋았고 치료한지 한달 보름내에 4례가 혈압이 정상으로 되었다. 중증 고혈압에 대해서는 그의 진전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두충은 자각 증상을 개선시키는 면에서 다른 약보다 낫다고 보고되고 있다.

일찍이 두충, reserpine, reserpine과 hydrazine의 합제를 사용한 3군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면 두충 군 유효율이 90%, 95% 이었다. 그러나 자각 증상이 경감된 것은 두충이 제일 좋았는데 두충 군은 82,5%, 다른 두 군은 각기 65.1%와 61.3% 이었다. 실험에서 볶은 두충의 혈압 강하 작용이 신선한 두충보다 강하고 알코올 침액이 물로 달인 액보다 혈압 강하 작용이 적다는 것이 밝혀졌다. [중약대사전]

11, 소아마비 후유증 (임상보고)

두충 55.5그램, 저각( 豬 脚: 돼지다리) 1개에 물 적당량을 넣고 약한 불에 4시간 가량 달여서 취한 약즙을 1일 2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약 찌꺼기는 이튿날에 다시 돼지다리 1개를 넣고 마찬가지로 달여서 먹는다. 하루 건너 한 제씩 모두 10제를 먹는다. 병력이 2년 가량 되는 어린이를 치료하였는데 일찍이 각종 한의, 양의 및 신의료법을 써 보았으나 효과가 없어서 위의 약을 복용함과 동시에 근육 안마 및 기능 훈련을 하여 일주일만에 근력이 나아지기 시작하고 혼자서 30미터쯤 걸을 수 있었다. 2주일 후에는 혼자서 200미터를 걷고 보행이 비교적 안정되어졌고 3주일이 되니 혼자서 600미터를 걸을 수 있엇고 걸음걸이가 안전하였다. [중약대사전]

12, 기미, 죽은깨, 검버섯

두충은 피부를 깨끗하게 해준다. 동물실험 결과, 히아론산이 혈중 콜레스테롤과 유리지방산을 현저히 감소시키는데, 이 성분 중 저분자량은 화장품의 재료로 쓰여 오던 신비의 물질이다. 따라서 피부가 한결 깨끗해지고 기미나 주근깨가 없어지며, 노인들의 검버섯도 벗겨진다. [생활한방 3권 128면]

13, 발에서 머리까지 허물 다 벗어

“그러니까 자기 처제가 류머치스 라든가, 여하튼 무슨 병인데 이 당두중 잎 4근(2,400그램)을 사다 먹고 완치 직전에 있는데, 내일 모래면 또 사러 온댔어요. 그 말을 듣고 즉시 우리집더러 그거나 한번 사다 달여 먹자고 해서 사왔어요. 사러 갔더니 마른 것이 없어서 풋것을 4근 사다가 에라! 눈 딱감고 한번 먹어나 보자 하고 먹었더니 낫더라 이말입니다. 정말 이상하잖아요. 90%는 나은 것 같으니 말입니다. 어디까지나 나 자신의 판단입니다만, 점점 몸이 부드러워져요. 지금까지 먹은 양은 1달에 마른 것으로 환산 2근씩(1,200그램), 3달에 6~7근 정도 먹었어요. 3일 전에는 다시 2근을 더 사다 놓고 달여 먹는 중입니다.

이렇게 해서 술을 먹기 시작한지도 벌써 보름이 넘었어요. 추석전부터 술을 먹기 했으니까요. 처음에는 술을 어떻게 먹었느냐하면 종전에 그렇게 먹던 술이라 술이 하도 먹고 싶곤 해서 인삼주 담그듯 소주에다 그 당두중 잎을 담가뒀다가 먹어도 괜찮치 않을까 하고 궁리해 봤어요. 결국 그렇게 술을 담구어 먹어봤더니 소주에서 잡맛도 싹 가시고 술맛도 일품이 됐어요. 색깔도 깜푸르고…, 뭐같다고 할까. 꼭 ‘조니워커’ 흡사해요. 그길로 지금까지 계속 폭음을 하다시피하고 있어요. 처음에 약간 먹어와도 이상 없으니까, 야! 이것봐라. 하면서 친구들하고 어울려서 그 다음날엔 더 먹게 되고, 또 그다음날엔 또 더 먹게되곤 해서 이젠 거의 매일 저녁 폭음을 하고 있어요.

부작용이란 말씀을 들으니 생각나는데, 자, 이것 보세요. 머리 끝에서부터 발끝까지 허물이 다 벗었어요. 보세요. 무좀도 아닌데 이렇게 허물이 다 벗어졌잖아요. 당두중이 저의 체질에는 아주 기가 막히게 잘 맞는 모양이에요. 처음에는 귀 뒤에서 우연히 허물이 벗겨지길래 ‘이상하다.’ 했는데, 나중에 보니까 온 머리가 전부 허물을 홀랑 벗잖아요. 그 뒤에는 또 발도 그렇게 허물을 벗고…” [신비의 약나무 당두중, 83-84면, 체험담 중에서]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본초강목(本草綱目)>: “두중(杜仲)을 고방(古方)에서는 오직 자신(滋腎)한다는 것만 알고 있었으나 왕호고(王好古)는 간경(肝經), 기분약(氣分藥)으로 간조(肝燥)를 윤(潤)하고 간허(肝虛)를 보한다고 하였으니 이전에 모르던 것을 밝힌 것이다. 간(肝)은 근(筋)을, 신(腎)은 골(骨)을 다스리고 신(腎)이 충실해지면 뼈가 튼튼해지고 간(肝)이 충실해지면 근육이 튼튼해지니 민첩한 굴신 활동은 모두 근육에 있는 것이다. 두중은 자색이고 윤(潤)하며 맛은 달고 조금 매우며 그 기(氣)는 온평(溫平)하다. 감온(甘溫)은 보할 수 있고 조금 매운 것은 촉촉하게 하므로 간(肝)에 들어가고 신(腎)을 보하는 것이다. 즉 자(子)는 모(母)를 실하게 할 수 있다. 방원영( 龐 元英)이 <담수(談藪)>에서 말하기를 한 소년이 각연병(脚軟病)에 걸려 몹시 아파하였는데 의사는 각기(脚氣)로 치료하여 효험이 없었다. 노검(路 鈐 )의 손림(孫琳)이 이를 보고 두중 한 가지약을 한촌식 썰어서 매 37.5g에 술과 물 각 절반씩 큰 잔으로 한 잔을 넣고 달여 먹였더니 사흘만에 걸을 수 있게 되고 다시 사흘만에 다 나았다. 손림(孫琳)이 말하기를 이는 신허(腎虛)이지 각기(脚氣)가 아니다. 두중은 요슬통(腰膝痛)을 치료할 수 있는데 술로 이를 가게하면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다 하였다.”

2, <이중재(李中梓)>: “두중(杜仲)은 따뜻하지만 화(火)를 돕지 않는다.”

3,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두중(杜仲)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의하면 요척통(腰脊痛)을 다스리고 정기(精氣)를 늘리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발바닥이 시큰시큰 쑤리고 아파 땅을 디디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하였다. 대개 허리는 신(腎)의 부(腑)이기에 경(經)에서 이르기를, 흔들지 못하면 신(腎)이 곧 지치게 된다. 또 신(腎)은 정(精)을 저장하고 골(骨)을 주재하며, 간(肝)은 혈(血)을 저장하고 근(筋)을 주재한다. 2경(經)이 허하면 허리와 등이 아프고 정기(精氣)가 부족하게 된다. <오장약욕보사(五臟若欲補瀉)>에서 말하기를 신(腎)이 고조(苦燥)하면 속히 매운 것을 먹어 이것을 촉촉하게 하여야 하고 간이 고급(苦急)하면 속히 단 것을 먹어 완화시켜야 한다. 두중(杜仲)은 신감(辛甘)이 모두 충족하여 바로 간신(肝腎)의 고(苦)를 풀 수 있으며 그 부족한 것을 보할 수 있다. 두중이 뜻을 굳게 한다는 것은 신(腎)이 지(志)를 저장하고 있고 두중이 익신(益腎)하기 때문이다. 음하양습(陰下 痒濕 ), 소변여력(小便餘瀝)을 낫게 함은 신(腎)의 습열(濕熱)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익신보간(益腎補肝)하면 정혈(精血)이 저절로 충족해진다. 보중(補中)을 주관한다는 것은 간신(肝腎)이 모두 아래에 있어 장(臟)중의 음(陰)이니 음이 충족하면 중(中)도 보하여 지는 것이다.”

4, <본초휘언(本草彙言)>: “방씨(方氏)의 <직지(直指)>에 이르기를 무릇 하초의 허는 두중이 아니면 보할 수 없고 하초의 습(濕)은 두중이 아니면 이(利)할 수 없으며, 발과 정강이가 시큰거리는 것은 두중이 아니면 없앨 수 없고 허리와 무릎이 아픈 것도 두중이 아니면 없앨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빛깔은 자색이고 조(燥)하며 질은 부드러우면서 질기고 기는 따뜻하여 보한다. 실로 보간익신(補肝益腎)하는 중요한 약이다. 만약 간신(肝腎)의 양(陽)이 허하고 풍습병(風濕病)이 있을 때에는 식염을 녹인 술에 담가 불에 구워 쓰면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만약 간신의 음(陰)이 허하고 풍습병이 없는데 정수(精髓)가 부족하고 혈액(血液)이 건조하여 위비( 痿痺 )가 되고 구루( 傴僂 )가 되어서 굴신을 못할 때에는 쓰지 못한다.”

5, <약품화의(藥品化義)>: “두중(杜仲)은 침하( 沉 下)하여 신(腎)에 들어간다. 신(腎)을 견고하게 하자면 고(苦)에 의하여야 한다. 이 약을 써서 신기(腎氣)가 견고해지고 근골이 튼튼하게 되면 허리와 무릎이 시큰시큰 쑤시고 아픈 증세, 발과 무릎이 걸을 때면 아른 증상, 음하습양(陰下 濕癢 ), 소변여력(小便餘瀝)이 치료된다. 이동원(李東 垣 )은 효과는 아주 좋다고 하였다. 우슬(牛膝)은 하부(下部)의 혈분(血分)을 다스리고 두중(杜仲)은 하부(下部)의 기분(氣分)을 다스리므로 이 두가지를 상수(相須)로 쓴다.”

6, <본초구진(本草求眞)>: “두중(杜仲)은 간(肝)에 들어가서 신(腎)을 보하는데 자(子)가 모(母)를 실하게 하는 것이다. 성(性)이 신온(辛溫)하여 음양(陰 癢 ), 낭습(囊濕)을 제거할 수 있어 위비탄연( 痿痺癱軟 )의 필수품이고 각기동통(脚氣疼痛), 태활몽유(胎滑夢遺)에 꼭 필요한 것이다. 유정이 있으면서 통증이 있을 때 이 약을 복용하였는데도 정탈(精脫)이 멎지 않는 것은 이 약의 기미가 신온(辛溫)하여 간신(肝腎)을 도와서 기를 왕성하게 하기 때문이다. 태(胎)의 기(氣)가 허하여 혈(血)이 견고하지 않을 때 이 약을 썼는데도 혈탈(血脫)의 기(氣)가 허하여 혈(血)이 견고하지 않을 때 이 약을 썼는데도 혈탈(血脫)이 멎지 않는 것은 이에 의하여 기가 상승하지 않고 오히려 하강하기 때문이다. 두중의 효능은 우슬(牛膝), 지황(地黃), 속단(續斷)과 상좌(相佐)하여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주중은 간신(肝腎)을 보하고 하부의 근골기혈에 직접 달(達)하니 우슬(牛膝)이 아래에 달하여 경락(經絡) 혈분(血分)속으로 간다는 것과는 다르고 숙지(熟地)가 자보간신(滋補肝腎)하고 나중에 근골(筋骨) 정수(精髓)안으로 들어가는 것과 다르며 속단(續斷)이 근골을 조보(調補)하고 곡절(曲節) 기혈(氣血)의 사이에 있는 것과도 다른 것이다. 괴이한 것은 지금 사람들이 기(氣)의 허실을 가리지 않고 두중(杜仲), 우슬(牛膝), 속단(續斷) 등을 안태약(安胎藥)을 써서 혈을 아래로 이끌어 가게 하는 점이다. 신경(腎經)이 허한 사람은 이 약을 써서 온보(溫補)하여 태원(胎元)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기가 아래로 빠져 올라가지 못하고 혈(血)이 기(氣)를 따라 탈(脫)하여 태(胎)가 견고하지 않을 때 이 약을 쓰면 기가 더욱 더 상승하지 못하고 혈탈(血脫)이 멎지 않게 되는 것이다.”

[비고(備考)]

<본초도경>: “두중을 중국의 강남(江南)에서는 면( 檰 )이라 부르며 여린 잎은 식용으로 하는데 이를 면아( 檰 芽)라 한다. 꽃과 열매는 씁쓸하고 떫으며 이 또한 약용으로 쓴다. 나무로는 나막신을 만들어 신는데 발에 이롭다.”

두충의 종류 및 재배법에 대해 김홍덕의 <신비의 약나무 당두중> 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중국에서 들여온 두충나무 중에 원두충과 당두중이 있는데, 당두충의 씨앗은 거의 3각형을 이루면서 원두충 씨앗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당히 큰데 비해, 원두충의 씨앗은 대부분 타원형을 이루면서 당두중의 씨앗에 비해 상당히 작았고, 꽃피는 시기는 당두중보다 원두충이 며칠 빨리 피었다가 빨리 진다고 한다. 그리고 당두중의 잎이 더 크고, 원두충 잎은 빨리 지는데, 당두중 잎은 늦게 진다. 당두중은 껍질이 더 두껍고 중국의 남쪽산이며, 원두충은 껍질이 얇고 중국의 북쪽산이다.

[당두중 재배법]

토질: 사질 양토가 가장 이상적이나 모래와 진흙이 어느쪽이든 30대 70의 비율 정도로만 섞여도 무난하다.

파종: 수원의 경우 3월 25일 경에 파종 하는데 발아촉진을 위해 노천매장을 해야 한다. 상토는 고등소채의 ‘포트’재배에 준하면 무난하다.

재배관리: ① 특히 상토는 잘썩은 퇴비를 사용하되 금비의 사용은 금물이며 추비는 7월 15일 이후에 복합 비료를 전면 살포한다.

② 정식한 뒤에도 완전 착근이된 7월 15일 이후에 복합 비료를 묘목 30cm 둘레에 약간 뿌려주는 식으로 가볍게 시비하고 그 이듬 해부터 정상적으로 시비한다. 비료는 역시 퇴비에 치중한다.

병충해관리: ① 당두중은 비교적 병충해가 없는 편이나 묘상초기부터 토양 해충에 각별히 관심을 쏟아야 한다. 굼벵이와 거세미의 피해가 크므로 토양 살충제의 사용을 잊어서는 안된다.

② 묘상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정식한 후에도 배수가 좋지 못하면 뿌리가 썩는 현상이 일어나 생육에 지장이 있다. 따라서 배수관리에 철저하면 토양해충 이외의 병충해는 거의 없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수확: 당두중은 잎도 수확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종 첫해부터 잎을 수확, 수익을 올린다.

① 묘상에서의 이파리 수확은 10월 15일께부터 묘상생육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완숙엽부터 차례로 수확, 건조실에서 건조시킨다.

② 정식본포에서도 완숙엽 순서대로 수확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나, 자연 낙엽 단계에 이르면 약효가 거의 없다는 점에 착안 나무생장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조절하면서 완숙엽 채취에 신경을 써야 한다. 미숙엽의 경우도 효과가 덜하니까?

건조: ① 그늘에서 말릴 경우 자칫하면 썩히기 쉬우므로 주로 햇볕에서 말린다.

② 건조실은 비닐로 비바람과 저녁의 이슬만 피할 수 있도록 간이 건조실로 훌륭하다.

③ 건조한 뒤의 보관은 습기만 차지 않게 주의하고 건조할 때의 주의사항은 비바람과 이슬을 맞히지 말 것이며 특히 습기에 주의해야 한다. 비가 오는 날이면 건조실 안에 한여름이라도 연탄을 몇장 피워두면 습기는 무난하게 해결할 수 있다. ]

두충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상약(上藥) 즉 상품(上品) 으로 등록되어 있다.

두충나무의 어린잎은 차를 끓여 먹거나 나물로 해먹어도 당뇨병, 풍독, 각기병, 중병을 앓고 난뒤 몸이 허약해서 식은땀을 줄줄 흘리는 데, 늑막염, 간경화, 간장염, 기관지천식, 신장염, 전신마비, 척수디스크, 신경성 골수염, 결핵성 골수염, 담석증, 신석증, 간질, 변비, 독극물 중독, 두통, 고혈압, 저혈압, 빈혈, 중풍, 생리불순, 위궤양, 부부생활이 과도해서 허리가 아픈데, 오랜 체증과 위장병, 풍, 냉증, 대하증, 치질로 하혈하는 데에 좋으며, 물로 달여 먹어도 동일한 효험이 있다.

이 외에도 항암작용에 대해서 민간에서 두충나무잎만을 달여 먹고 간암, 위암이 완치된 사례가 있다.

두충나무가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대단함을 알 수 있다. 두충나무를 전국에 들과 산에 많이 가꾸어 모든 국민들이 건강하고 무병장수하기를 바란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 두충나무 사진 감상: 1 , 2 , 3 , 4 , 5 , 6 , 7 , 8 , 9 ,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 2 , 3 , 4 , 5 ,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 페이스북 주소 :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두충나무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캘리그라피 – 크라우드픽

저작권 걱정 없는 상업용 이미지 서비스 크라우드픽의 두충나무 이미지를 무료로 사용해보세요.

  • Source: www.crowdpic.net
  • Views: 84997
  • Publish date: 11 hours ago
  • Downloads: 88332
  • Likes: 8227
  • Dislikes: 1
  • Title Website: 두충나무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캘리그라피 – 크라우드픽
  • Description Website: 저작권 걱정 없는 상업용 이미지 서비스 크라우드픽의 두충나무 이미지를 무료로 사용해보세요.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관절에 좋은 ‘두충나무 껍질’ 효능과 고르는 법

  • Source: Youtube
  • Views: 102108
  • Date: 49 minute ago
  • Download: 46106
  • Likes: 2447
  • Dislikes: 10

두충효능 두충나무 껍질 두충차 두충잎 끓이는 먹는법 부작용

그 안을 채우는 많은 가구들, 그리고 행복한 가족사진, 연필, 노트까지..

아래 보이는 #두충나무사진 처럼 두충나무 통째를 약재로 쓰는 것이 아니고요

신장과 간 건강 등에 두루 좋다고 알려 있는 두충 효능 모두 담겨 있습니다

  • Source: m.blog.naver.com
  • Views: 16996
  • Publish date: 24 minute ago
  • Downloads: 11149
  • Likes: 8751
  • Dislikes: 5
  • Title Website: 두충효능 두충나무 껍질 두충차 두충잎 끓이는 먹는법 부작용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두충나무껍질 복용방법, 부작용, 두충나무껍질 효능, 섭취시 주의사항 | Share자연치유법

  • Source: Youtube
  • Views: 92140
  • Date: 17 hours ago
  • Download: 534
  • Likes: 9045
  • Dislikes: 4

두충효능 두충나무 껍질 두충차 두충잎 끓이는 먹는법 부작용

여러분! 나무의 소중함은 모두 아실 거예요

쾌청한 숲의 나무는 환경 오염을 막아주고

산행을 할 때 희망을 찾으며

가장 작은 것이 살아야 사람이 사는데 나무는 1차 생명체부터가 되어 주어

씨앗을 내주어 새나 돼지, 같은 동물을 살게 하여 마지막 생명체

사람을 살도록 하죠

특히 우리 가족이 행복하게 사는 집을 튼튼히 만드는 목재부터

그 안을 채우는 많은 가구들, 그리고 행복한 가족사진, 연필, 노트까지..

그래서 저는 집에서 나무도 키우고 있고

4월 5일 식목일!! 너무너무

공휴일이었으면 하는 사람 중 하나인데요

너무 웅장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나무 효능 대단한데요

한방에서 약재로 외적 내적으로 처방으로 두루 쓰이면서

우리에게 건강에 주는 부분도 빠질 수 없습니다

오늘은 그 많은 나무 약재 중 왕들의 뼈 건강 명약 으로 알려진

두충나무 두충차 효능 먹는법 볼 겁니다

아래 보이는 #두충나무사진 처럼 두충나무 통째를 약재로 쓰는 것이 아니고요

두충나무껍질을 약재로 쓰기 때문에 두충이라고 합니다

바로 이 두충나무껍질 #두충 속에 무릎, 허리 건강 및

신장과 간 건강 등에 두루 좋다고 알려 있는 두충 효능 모두 담겨 있습니다

왜,일까요,

두충 효능 두충나무껍질 두충차 두충잎 먹는법 부작용 보겠습니다

두충나무 숲길 | 풍경 사진, 여행, 숲 – Pinterest

When autocomplete results are available use up and down arrows to review and enter to select. Touch device users, explore by touch or with swipe gestures.

  • Source: www.pinterest.ca
  • Views: 57956
  • Publish date: 16 hours ago
  • Downloads: 106833
  • Likes: 1469
  • Dislikes: 5
  • Title Website: 두충나무 숲길 | 풍경 사진, 여행, 숲 – Pinterest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거피두충 / 두충껍질은 이렇게 벗겨요 / 옴니허브 두충의 특별함 / 두충수확의 모든것 / 옴니허브 CCS

  • Source: Youtube
  • Views: 50763
  • Date: 22 hours ago
  • Download: 89033
  • Likes: 5150
  • Dislikes: 6

풍경 사진, 여행, 숲

When autocomplete results are available use up and down arrows to review and enter to select. Touch device users, explore by touch or with swipe gestures.

두충 – 대림원예종묘 농업회사법인(주)

– 낙엽활엽교목으로 수고 15m에 달하며​ 내한성, 내음성, 내병성이 강함

– ​ 속성수이며 줄기와 잎을 자르면 흰줄이 나오는 껍질이 있는 것이 특징

– 오래전부터 잎, 뿌리, 수피, 종자 모두 한약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

  • Source: www.dailimseed.co.kr
  • Views: 37322
  • Publish date: 54 minute ago
  • Downloads: 23210
  • Likes: 8002
  • Dislikes: 6
  • Title Website: 두충 – 대림원예종묘 농업회사법인(주)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두충나무

  • Source: Youtube
  • Views: 15962
  • Date: 22 hours ago
  • Download: 24367
  • Likes: 1353
  • Dislikes: 6

대림원예종묘 농업회사법인(주)

– 낙엽활엽교목으로 수고 15m에 달하며​ 내한성, 내음성, 내병성이 강함

– ​ 속성수이며 줄기와 잎을 자르면 흰줄이 나오는 껍질이 있는 것이 특징

– 세계적으로 1과 1속 1종 밖에 없는 귀한 종임

– 오래전부터 잎, 뿌리, 수피, 종자 모두 한약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

– 강장제, 진통제, 간기능활성화, 고혈압치료제에 효능이 높음

– 잎은 두충차로 유망함

두충나무껍질효능 두충나무잎효능 두충차의효능 놀라운 비밀

두충차로 만들어 마시면 좋습니다. 두충차를 만들려면 우선 재료로 두충 20g(두충잎은 50g) 물 250ml이 필요합니다. 두충차 만드는 순서는 먼저 두충이나 두충잎을 깨끗이 씻어 달일 용기에 넣습니다. 그런 다음에 물 250ml 가량을 붓고, 그 물이 200ml 정도 될 때까지 달입니다. 체로 건더기를 건져내고 식힌 후 냉장고에 보관합니다. 하루 세번 정도 복용하면 됩니다. 건져낸 찌꺼기는 버리지 말고 목욕물에 넣어 사용해도 좋습니다. 취향에 따라 꿀어 섞어 복용해도 됩니다.

두충 감초차는 특히 요통이나 무릎의 통증에 효과가 있습니다. 2~3개월 가량 꾸준히 복용하면 효능을 볼 수 있습니다. 두충감초나 재료로는 두충 10g, 감초 10g, 물 1리터가 필요합니다. 만드는 순서는 먼저 두충르 잘게 찢어 물에 깨끗이 씻고, 감초도 씻은 뒤 물기를 뺍니다. 차관에 물과 두충, 감초를 함께 넣고 물이 절반으로 줄어들때까지 달입니다. 다 달인후, 체로 걸러서 물만 받아낸 뒤 꿀을 타 마시면 됩니다.

두충나무껍질은 부작용이 없는 편이지만 몸에 열이 많거나 맥박이 빠르게 뛰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소화력이 약한 사람도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한방에서는 사탈피, 사삼과 함께 사용하지 말고 열이 있어나 음기가 약해 몸이 뜨거운 사람은 피해야 한다고 합니다. 두충은 한 번 볶아서 써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만 약성분이 더욱 잘 나올뿐만 아니라 독성도 없애주기 때문입니다.

  • Source: d94x-photo.tistory.com
  • Views: 81901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101450
  • Likes: 3129
  • Dislikes: 3
  • Title Website: 두충나무껍질효능 두충나무잎효능 두충차의효능 놀라운 비밀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두충나무 껍질에 ○○○를? ‘두충나무 껍질 법제’ MBN 210625 방송

  • Source: Youtube
  • Views: 81204
  • Date: 15 hours ago
  • Download: 53014
  • Likes: 2529
  • Dislikes: 7

두충나무껍질효능 두충나무잎효능 두충차의효능 놀라운 비밀

사람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점차 몸의 기능들이 퇴화되어 갑니다. 이른바 노화현상을 겪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관절이 점차 퇴화되어 갑니다. 이런 관절에 좋은 효능을 지닌 것들이 있습니다.

관절에 대표적인 효능을 보이는 게 두충나무입니다. 두충나무는 동의보감에도 기재되어있을 만큼 약효가 있는 나무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다소 생소한 두충나무이지만 건강을 챙기는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두충나무의 효능에 주목해왔습니다. 두충나무의 효능을 잘 활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특히, 두충나무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몸이 차가운 사람에게 좋다고 합니다. 약초나 나무에도 독이 있는 것들도 있어 잘 살펴봐야 합니다. 두충나무는 동의보감에 기재되어있는 것과 같이 독은 없고 뼈나 근골에 좋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다양한 효능이 있는 두충나무껍질효능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두충나무껍질효능 두충나무잎 두충나무효능 두충의 효능 두충차효능 등에 관해 알아보려 합니다. 특히 이 두충나무껍질은 약효가 있어 한방약재로도 쓰일만큼 귀중한 나무입니다.

두충나무는 어떤 나무이길래

두충나무는 두충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입니다. 잎은 타원형으로 생겼으며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으로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오고, 껍질을 건조시킨 것은 한약재로 쓰입니다. 중국특산이고 약용식물로 들여와 약초농가에서 재식하며 관상용으로 심고 있는 일종의 귀화식물입니다.

두충나무는 원산지가 중국이지만 우리나라에 온지 아주 오래된 귀화식물입니다.

두충나무의 어린순을 쪄서 말리거나 볶은후에 차로 드시면 아주 좋습니다. 두충나무는 주로 껍질은 벗겨 약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관절에 좋은 효능이 알려지면서 우슬과 함께 달여서 관절염 예방과 치료에 사용하고 있는 관절에 좋은 대표적인 약재입니다.

두충나무에 얽힌 이야기

옛날 중국에 다리를 못쓰는 병에 걸린 한 아이가 있었지만 이 병을 치료하기 위해 중국 전역을 돌아다녔지만 치료를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마침 중국 손림이란 명의를 만나게 되고, 치료법으로 두충술을 달여 먹게 됩니다. 그런데 3일만에 아이가 다시 걷게 되었다고 합니다. 현대에 들어서도 관절염, 골다공증 등 두충에 대한 효능과 효과가 속속 밝혀지고 있습니다.

두충나무껍질이란

두충나무는 중국이 원산지로 옛날 중국에 두충이라는 사람이 이 나무를 먹고 득도를 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두충나무는 잎과 껍질에 가느다란 실 같은 섬유질이 많아서 목면이라고 불리우리기도 하며, 따뜻한 성질이 있고 맵고 쓴 맛을 갖고 있는 약재입니다. 과거에는 중국 수입에 의존했지만 요즘은 국내에서도 대량으로 재배가 이뤄지고 있어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입니다.

나무껍질에도 다양한 효능이 있어 약재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두충 나무껍질의 경우 몸에 좋은 효능이 참 많다고 합니다. 두충나무는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 지역에 자라며, 보통 15~20년은 되야 껍질을 채집해 약재로 사용할 수 있다고합니다. 이러한 두충나무는 중국에서는 인삼보다 귀하다고해서 환상의 약초라고도 불립니다.

껍질을 약재로 이용하는 두충나무

약초는 보통 가지나 뿌리, 잎 등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두충나무는 예외입니다. 두충나무는 다른 부위가 아닌 두충나무껍질을 사용합니다. 잎이나 줄기, 뿌리가 아닌 오로지 껍질 부분만을 차로 끓여서 마십니다.

두충은 예로부터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으로 꾸준히 이용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민간에서도 많이들 사용해 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두충나무와 비슷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는 우슬뿌리가 유명합니다. 같이 넣고 차로 달여 드시거나 엑기스로 만들어 드시면 좋습니다.

두충나무껍질 효능 알고보니

대표적인 두충나무껍질 효능인데 체내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혈관을 깨끗하게 해주고 고혈압, 동맥경화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해준다고 합니다. 두충차를 꾸준히 섭취하면 이뇨작용을 도와주어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해줍니다.

두충나무껍질에는 아디포넥틴 성분이 풍부해 체내의 지방을 분해하여 배출해주고 지방이 쌓이지 않도록 해주어 비만예방 및 다이어트에 좋습니다. 두충나무껍질은 천연자양강장제라고도 하는데요~남성분들의 양기를 복돋아 주어 정력향상에 효능이 좋다고 합니다.

두충차를 꾸준히 마시면 골격건강에도 도움이 되어 골다공증을 예방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두충나무껍질의 제일 잘알려진 효능으로 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류마티즘, 신경통, 진통작용, 요통, 무릎통증 등 관절에 정말 좋은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두충껍질 어떻게 활용할까

두충껍질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말린 것과 말린 후에 볶은 것, 그리고 소금물에 절인 후에 말려서 볶은 것으로 나뉩니다. 이 중에서 가장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게 바로 소금물에 절이는 과정을 거친 후에 말려서 볶은 두충나무껍질입니다. 이를 초두충이라고 부릅니다. 절임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앞에 ‘초’자를 붙입니다.

두충껍질은 안쪽이 단단한 코르크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온도로 끓여도 안쪽의 코르크층이 잘 파괴 되지가 않아 유효성분들을 뽑아내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하지만 염분에는 약하기 때문에 소금물에 절이게 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초두충을 사용해서 드시는 게 두충나무의 효능을 가장 잘 이용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충나무껍질 먹는법

두충나무껍질 먹는법은 그냥 차로 만들어 마시거나 아니면 엑기스로 만들어 드시면 됩니다. 만약 엑기스로 만들어 만들어 먹는 경우 우슬뿌리와 같이 넣어서 만들어 드시면 좋습니다. 우슬의 경우 두충나무껍질과 궁합이 잘 맞을 뿐 아니라 효과 면에서도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같이 넣어 만들어 드시면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두충나무껍질 차로 끓여 마시면 좋아요

두충나무껍질을 벗겨 건조한 후에 잘라보면 흰색의 섬유질이 늘아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두충나무껍질을 볶지 않으면 그 섬유질이 그대로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두충나무껍질을 볶은 후에 물로 끓여서 드시는 것이 아주 좋습니다. 두충나무는 약성이 온화하고 맛이 달고 맵기 때문에 두충나무껍질을 끓이 실때에 대추나 감초를 넣고 끓이시면 드시기가 한결 편합니다.

두충나무껍질 효능 비뇨기 건강에 좋아요

두충나무껍질 효능에는 방광의 수축력을 높여주고 신장 기능을 강화시켜줍니다. 따라서 빈뇨나 야뇨, 조루증, 정력감퇴 등 비뇨기 건강에도 도움을 줍니다.

두충나무껍질 효능 요통과 항염에 좋아요

두충나무껍질은 신장기능이 떨어져서 오는 요통에도 좋은 효능이 있습니다. 두충나무껍질은 항염효능이 있어 염증성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도 사용되고 있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어 각종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비만 예방에 좋아요

두충나무껍질은 비만을 예방해줍니다. 아디포넥틴이라는 성분이 함유된 두충나무껍질을 드시게 되면 호르몬이 원활히 분비되게 하여 지방을 분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신체 내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까지 예방해준다고 합니다.

두충나무껍질의 효능 고혈압에 좋아요

두충나무껍질은 고혈압에 좋다고 합니다. 예전에 고혈압은 나이드신분들에게 주로 나타는 질환이었는데 지금은 젊은 세대에도 나타납니다. 두충나무껍질의 효능에는

고혈압에 좋은 피노레지롤 성분과 다이클루코사이드 성분이 들어있어 고혈압을 예방하고 개선해줍니다.

두충나무껍질 효능 생리통에 좋아요

두충나무껍질은 생리통에 좋다고 합니다. 두충나무껍질은 여성건강에도 좋습니다. 평소 생리통이 심한 사람들이 드시면 생리통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임산부 건강에도 좋습니다. 유산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두충나무껍질 효능 고혈압, 혈액순환 개선에 좋아요

두충나무껍질은 토끼에 투여한 실험결과를 보면 혈압강하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콜레스테롤성 동맥경화증 완화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는 두충나무에 다량으로 함유된 다이글루코사이드, 피노레지롤 성분 때문입니다. 이 성분들은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춰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3개월 이상 꾸준히 복용하면 혈압강하 및 콜레스테롤 낮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고혈압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줘요

두충나무껍질에는 피노레지롤과 다이글루코사이즈 라는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들은 혈관을 넓혀서 혈압을 저하하는 효과가 있어 혈압이 높으신 분들이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두충나무껍질 콜레스테롤 제거에 좋아요

두충나무껍질은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두충나무껍질은 신체 내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어 다양한 혈관질환의 예방이 필요할 때 먹게 되면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두충나무껍질 효능 신경통에 좋아요

두충나무는 신경통에 좋습니다. 근육통이나 요통 등 신경통에도 두충나무껍질가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평소 신경통이 잦은 사람들은 두충나무껍질를 꾸준하게 복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뼈와 근육강화에 도움이 돼요

예로부터 진정 및 진통완화 작용에 효능을 지닌 대표적인 게 두충나무입니다. 이는 두충나무에 함유된 알칼로이드 성분 때문입니다. 특히 근육과 골격을 강화시켜 주는 효능이 있어서 간과 신장을 보호해주는 효능을 지니고 있어 간과 신장 기능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요통과 무릎통증에 탁월한 효능을 보여줍니다.

두충나무껍질은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두충나무에는 우유보다 7배가 많은 칼슘이 함유되어있다고 알려졌습니다. 동의보감에도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주어 골다공증에도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두충나무껍질을 지속해서 드시게 되면 근육과 뼈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허리통증으로 고생하고 있는 분들께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두충나무껍질의 효능 관절 건강에 좋아요

두충나무껍질은 관절 건강에 좋습니다. 두충나무껍질은 뼈에 좋은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주고 관절 건강을 지켜준다고 합니다. 관절염이 있는 사람들이나 뼈가 자라는 성장기 어린이들이 섭취하면 더욱 좋습니다.

다이어트에 좋아요

두충나무에는 아디포넥틴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성분은 체내에 있는 지방을 분해하고 배출하는 호르몬의 수치를 향상시켜 줍니다. 또한 대사촉진 성분과 이뇨효과, 타닌, 비타민C 등이 균형을 유지하게 해주고 체내에 지방이 쌓이지 않게 해 비만 예방에 좋습니다.

정력 강화에 좋아요

두충나무껍질은 정력을 강화하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두충나무의 껍질을 프라이팬에 넣고 볶아 가루로 만든 후 이 가루를 우려내서 차로 드시게 되면 남성의 정력을 강화하는데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두충나무껍질 복용방법

두충차로 만들어 마시면 좋습니다. 두충차를 만들려면 우선 재료로 두충 20g(두충잎은 50g) 물 250ml이 필요합니다. 두충차 만드는 순서는 먼저 두충이나 두충잎을 깨끗이 씻어 달일 용기에 넣습니다. 그런 다음에 물 250ml 가량을 붓고, 그 물이 200ml 정도 될 때까지 달입니다. 체로 건더기를 건져내고 식힌 후 냉장고에 보관합니다. 하루 세번 정도 복용하면 됩니다. 건져낸 찌꺼기는 버리지 말고 목욕물에 넣어 사용해도 좋습니다. 취향에 따라 꿀어 섞어 복용해도 됩니다.

두충차 어떻게 만들까

두충차만들기 어렵지 않은데요, 바로 차를 달이는데 사용해도 되며, 더 구수한 맛을 원하시는 분들은 사용할 만큼 후라이팬에 살짝 볶아서 사용해도 됩니다. 물 2리터 기준에 두충나무껍질 30g 비율로 물이 반정도로 줄을때까지 충분히 달이면 두충차만들기 완성이 됩니다. 30g의 양은 성인 손으로 한 줌 집었을 때 양이니 참고하면 됩니다.

두충나무껍질 두충차 먹는법

두충나무는 특히 껍질을 벗겨서 이것을 물로 끓여서 사용 할 수 있으며, 보통 가정에서는 건재 30g정도에 물 2L비율로 끓여주고 약불로 줄인후에 약 40분 가량 달인 물을 사용 하며, 소화가 약한 분들은 더부륵하거나 불편감을 느낄 수 있는데 이같은경우 한본 볶으면 이런 증세가 완화 됩니다.

프라인팬에 넣고 약한 불에서 끈적한 실을 열로 제거한 후에 차로 끓여 마셔야 합니다. 물 2리터에 두충나무껍질 20g을 넣고 30분 정도 끓이면 되고, 너무 많이 마시면 소화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100g 이하로 드시면 됩니다. 텁텁함 없이 깔끔한 맛이며 물 대신 부담없이 마실 수 있습니다.

두충감초차 만들기

두충 감초차는 특히 요통이나 무릎의 통증에 효과가 있습니다. 2~3개월 가량 꾸준히 복용하면 효능을 볼 수 있습니다. 두충감초나 재료로는 두충 10g, 감초 10g, 물 1리터가 필요합니다. 만드는 순서는 먼저 두충르 잘게 찢어 물에 깨끗이 씻고, 감초도 씻은 뒤 물기를 뺍니다. 차관에 물과 두충, 감초를 함께 넣고 물이 절반으로 줄어들때까지 달입니다. 다 달인후, 체로 걸러서 물만 받아낸 뒤 꿀을 타 마시면 됩니다.

두충주 만들어 마시면 건강에 좋아요

두충주는 요통, 관절염, 혈압, 콜레스테롤에 좋다고 합니다. 재료는 두충 100g과 소주 1리터가 필요합니다. 먼저 두충과 소주를 술병에 담아 마개를 잘 닫습니다. 2개월 이상 햇볕이 들지 않는 곳에서 숙성시켜 줍니다. 하루 용량은 소주 잔으로 1~2잔을 넘지 않게 마십니다.

두충나무껍질 부작용

두충나무껍질은 부작용이 없는 편이지만 몸에 열이 많거나 맥박이 빠르게 뛰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소화력이 약한 사람도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한방에서는 사탈피, 사삼과 함께 사용하지 말고 열이 있어나 음기가 약해 몸이 뜨거운 사람은 피해야 한다고 합니다. 두충은 한 번 볶아서 써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만 약성분이 더욱 잘 나올뿐만 아니라 독성도 없애주기 때문입니다.

딱히 부작용이 있는 음식은 아니지만 체질에 따라 주의해야 합니다. 평소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맥박이 빠르거나 소화력이 약하신분들도 주의해서 드시기 바랍니다.

충나무껍질이 유명한 만큼 두충차의 부작용도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두충나무꺼질에는 독이 없지만 드시고 난 후 명현반응이 있다고 합니다. 그 증상으로는 코피가 나거나 구토 혈변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은 몸이 회복되는 과정이라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두충나무껍질효능 두충나무효능 두충나무잎효능 두충차의효능 등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두충나무껍질은 몸에 좋기 때문에 이를 잘 음용해야 합니다. 두충나무껍질 먹는법은 두충나무껍질 25g에 물 2L를 넣어 끓여주시고 끓고나면 약불로 40분정도 달여서 두충차로 드시면 됩니다.

두충효능으로는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것이 바로 뼈와 근육에 좋다는점 입니다. 염증을 잡아 주기 때문에 관절염 등에 좋다고 하여 우슬뿌리와 가시오가피 등과 함께

많이 사용 되는 야생 약초 이기도 합니다.

두충나무효능으로 이밖에도 강장 효과가 있으며 고혈압, 노폐물 배출 등 여러가지 좋은 효능을 지니고 있다고 해서 한방에서 자주 사용 되는 약초 입니다. 두충나무껍질효능 두충나무효능 두충나무잎효능 두충차의효능 등에 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두충나무 – 한솔원예종묘

포장 예시 안내 묘목 종류에 따라 포장 방법이 다를수 있습니다.

1. 보습을 위한 비닐을 깔고 상품을 정렬하여 넣습니다.

2. 뿌리가 마르지 않게 톱밥으로 보습처리 합니다.

  • Source: www.hstree.co.kr
  • Views: 87762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64438
  • Likes: 7732
  • Dislikes: 7
  • Title Website: 두충나무 – 한솔원예종묘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두충나무 열매

  • Source: Youtube
  • Views: 16396
  • Date: 21 hours ago
  • Download: 36495
  • Likes: 2156
  • Dislikes: 7

원예종묘의 선두주자

배송기간안내

차량 운반비 안내

배송료 정책안내

포장 예시 안내 묘목 종류에 따라 포장 방법이 다를수 있습니다.

1. 보습을 위한 비닐을 깔고 상품을 정렬하여 넣습니다.

2. 뿌리가 마르지 않게 톱밥으로 보습처리 합니다.

3. 보습처리후 비닐로 밀봉

4. 완료된포장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두충 나무 사진

Bing에서 두충 나무 사진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두충 나무 사진.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두충 나무 사진 두충나무효능, 두충나무열매, 두충나무가격, 두충차 끓이는 법, 두충나무 묘목, 두충나무잎 효능, 두충 나무 차, 두충 무엇인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