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 921 황룡사 9층 목탑 왕 업데이트 60 일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황룡사 9층 목탑 왕“?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777+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황룡사 9층 목탑 왕 황룡사 9층 목탑 몽골, 황룡사 선덕여왕, 황룡사 9층 목탑 영어로, 황룡사 9층 목탑 나라, 황룡사 9층 목탑 의미, 황룡사9층목탑 복원, 황룡사 9층 목탑 소실 이유, 황룡사 9층 목탑 국보

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황룡사구층목탑의 창건과 중수 등에 관해서는 『삼국유사』탑상편 제4 「황룡사구층탑」조에, 자장(慈藏)이 당나라에 유학하여 태화(太和) 못가를 지날 때 신인(神人)과 나타나 나눈 대화에서 “우리 나라 신라는 북으로 말갈에 연하고 남으로 왜인에 접하여 있으며 고구려·백제의 침범이 잦아 걱정이다.”고 하자, 신인이 “황룡사 호법룡(護法龍)은 곧 나의 장자로서 그 절을 보호하고 있으니 돌아가 그 절에 구층탑을 세우면 근심이 없고 태평할 것이다”라고 한 데서 보인다.

경문왕 12년에는 탑을 헐고 다시 세웠는데, 이 내용은 경문왕 때 만들어 넣은 사리외함의 찰주본기에 “신라 문성대왕 때 이르러 이 대탑이 동북으로 기울어지므로 염려하여 재목을 모은 지 30여년이 지나도 고치지 못하였는데, 경문왕 11년에 이르러 옛 것을 헐고 새롭게 만들도록 하였다. 철반 위에 무구정경(無垢淨經)에 따라 소석탑 99기를 안치하였으며, 그 소탑마다 사리 1과와 다라니 4종을 넣고 다시 경전과 사리 1구를 함께 봉안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경애왕 4년(927) 탑이 북쪽으로 기울어졌고, 고려 광종 5년(954)에 재앙을 입어 현종 3년(1012)에 경주의 조유궁(朝遊宮)을 헐어 그 재료로 탑을 수리하였으며, 현종 13년에 네 번째로 중수하였고, 정종 2년(1036)에 낙뢰로 파손된 것을 문종 18년(1064)에 다섯번째로 중수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황룡사구층목탑은 선덕여왕 12년(643)에 착수하여 645년에 완성되었고, 그 높이는 상륜부 42척(약 15m), 탑신부 183척(약 65m), 전체 225척(약 80m)의 …

  • Source: encykorea.aks.ac.kr
  • Views: 82132
  • Publish date: 4 hours ago
  • Downloads: 66789
  • Likes: 820
  • Dislikes: 4
  • Title Website: 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황룡사구층목탑은 선덕여왕 12년(643)에 착수하여 645년에 완성되었고, 그 높이는 상륜부 42척(약 15m), 탑신부 183척(약 65m), 전체 225척(약 80m)의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73530
  • Date: 29 minute ago
  • Download: 55769
  • Likes: 363
  • Dislikes: 4

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

황룡사 가람 배치 때 중심 불탑(佛塔)으로 건립되었으나 현재는 옛터만이 남아 있다.

[역사적 변천],

황룡사구층목탑의 창건과 중수 등에 관해서는 『삼국유사』탑상편 제4 「황룡사구층탑」조에, 자장(慈藏)이 당나라에 유학하여 태화(太和) 못가를 지날 때 신인(神人)과 나타나 나눈 대화에서 “우리 나라 신라는 북으로 말갈에 연하고 남으로 왜인에 접하여 있으며 고구려·백제의 침범이 잦아 걱정이다.”고 하자, 신인이 “황룡사 호법룡(護法龍)은 곧 나의 장자로서 그 절을 보호하고 있으니 돌아가 그 절에 구층탑을 세우면 근심이 없고 태평할 것이다”라고 한 데서 보인다.

이 내용은 구층탑을 세우게 된 사상적 배경이 불력(佛力)으로 나라를 지킨다는 데 있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자장은 당나라 태종(太宗)이 준 경전과 불상·가사 등을 가지고 귀국하여 구층탑 건립의 필요성을 선덕여왕에게 건의하였다.

선덕여왕은 군신의 의견을 물어 백제의 장인(匠人) 아비지(阿非知)를 초청하여 기술지도를 받고, 이간(伊干) 용춘(龍春)으로 하여금 공사감독관이 되어 소장(小匠) 200인을 거느리고 완성하게 하였다.

처음 찰주(刹柱)를 세우던 날 공장(工匠)이 꿈에 본국인 백제가 망하는 형상을 보고 의심하여 일손을 놓자, 갑자기 땅이 진동하고 어둡더니 한 노승과 장사가 금전문(金殿門)에서 나와 그 기둥을 세운 뒤 어디로 사라져 보이지 않았다. 공장이 후회하고 탑을 완성하였다는 것이다.

찰주기(刹柱記)에 기록된 규모를 보면, 철반(鐵盤) 이상의 높이는 42척, 이하는 183척이라 하였고, 자장이 5대(五臺)에서 받은 사리(舍利) 100립(粒)을 이 탑의 기둥 속과 통도사 계단, 태화사탑에 나누어 봉안하였다는 것이다.

탑을 9층으로 한 것은 이웃나라의 시달림을 막기 위함으로 제1층은 일본, 제2층은 중화, 제3층은 오월(吳越), 제4층은 탁라(托羅), 제5층은 응유(鷹遊), 제6층은 말갈(靺鞨), 제7층은 단국(丹國), 제8층은 여적(女狄), 제9층은 예맥(濊貊)을 제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황룡사구층목탑은 선덕여왕 12년(643)에 착수하여 645년에 완성되었고, 그 높이는 상륜부 42척(약 15m), 탑신부 183척(약 65m), 전체 225척(약 80m)의 대탑이었다.

창건 후 탑의 중수내용을 살펴보면, 성덕왕 17년(718)에 낙뢰가 있어 720년에 중수하였으며, 경문왕 8년(868)에 탑이 진동하여 수리하였다.

경문왕 12년에는 탑을 헐고 다시 세웠는데, 이 내용은 경문왕 때 만들어 넣은 사리외함의 찰주본기에 “신라 문성대왕 때 이르러 이 대탑이 동북으로 기울어지므로 염려하여 재목을 모은 지 30여년이 지나도 고치지 못하였는데, 경문왕 11년에 이르러 옛 것을 헐고 새롭게 만들도록 하였다. 철반 위에 무구정경(無垢淨經)에 따라 소석탑 99기를 안치하였으며, 그 소탑마다 사리 1과와 다라니 4종을 넣고 다시 경전과 사리 1구를 함께 봉안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경애왕 4년(927) 탑이 북쪽으로 기울어졌고, 고려 광종 5년(954)에 재앙을 입어 현종 3년(1012)에 경주의 조유궁(朝遊宮)을 헐어 그 재료로 탑을 수리하였으며, 현종 13년에 네 번째로 중수하였고, 정종 2년(1036)에 낙뢰로 파손된 것을 문종 18년(1064)에 다섯번째로 중수하였다.

이후 낙뢰로 파손된 것을 여섯 번째로 중수하였으나, 고종 25년(1238) 몽고병의 침입으로 황룡사 가람 전체가 불타 버렸을 때 함께 소실되었다.

황룡사 – 나무위키

  • Source: namu.wiki
  • Views: 99023
  • Publish date: 17 hours ago
  • Downloads: 2084
  • Likes: 2189
  • Dislikes: 10
  • Title Website: 황룡사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역사기행 그곳 – 21세기, 다시 만나는 황룡사 9층 목탑.20170603

  • Source: Youtube
  • Views: 7172
  • Date: 3 hours ago
  • Download: 88367
  • Likes: 5286
  • Dislikes: 9

사적 경주 황룡사지 (慶州 皇龍寺址) | 문화재 종목별 검색

皇龍寺は新羅真興王14年(553)に慶州月城の東側に宮を建てていた途中、そこから黄龍が現われたという話を聞いて寺として改めて作り直し、17年ぶりに完成された。574年にはインドのアソカ王が鉄57,000斤、金3万分で釈迦三尊仏像を作ろうとしたが実現出来ず、金と鉄そして三尊仏像の模型を船に乗せて送ったのが新羅の地に至ると、それを材料にして三尊仏像を作り、5mを越えるこの仏像を安置するために真平王6年(584)に金堂を建てた。善徳女王12年(643)には唐での留学を終えて帰って来た慈蔵法師の勧めで、外賊の侵入を防ぐために九重木塔を建てることになるが、各重ごとに敵国を象徴するようにし、百済の職人阿非知によって645年に完成された。このように皇龍寺は93年間にわたる国家事業として建立された大きな寺で、新羅の3種の宝物のうち、天賜玉帯を除いた二種の宝物が皇龍寺九重木塔と丈六尊像であることからも、皇龍寺がどれだけ重要な位置を占めていたかが窺える。また、「新羅の地はまさに仏が住む地」という新羅人の仏教観がよく現われている場所でもある。しかし、皇龍寺は高麗時代高宗25年(1238)にモンゴルの侵略によって全部焼失し、現在はその跡だけが残っている。沼地を埋めてその上に建てた皇龍寺は、中門・木塔・金堂・講堂が南北に長く配置された一塔式配置であった。しかし、丈六尊像と木塔などが建てられた後、金堂左右に小さな金堂が配置される一塔三金堂式に変わり、塔の左右に鐘楼と経楼が対称をなして配置された。また、四方は廊下のような回廊で囲まれ、独特な伽藍配置をなしている。『三国遺事』によると、鐘楼には大きな鐘があったが、モンゴルの侵略によってなくなったと考えられる。1976年から始まった発掘調査で、金銅仏立像・風鐸・金銅耳飾り・各種ガラスなどの4万余点の遺物が出土され、高さ182㎝に及ぶ大型鴟尾から建物の雄大な規模を推測することができる。金堂には率居が描いた壁画があったと伝えられ、木塔の跡で発見された唐の白磁の甕は当時の文物交流についてよく分かる資料である。

黄龙寺的由来非常有趣,相传新罗真兴王14年(553)在庆州月城东侧修建宫殿的过程中听说此地出现过黄龙,随即改建寺院,历时17年终得竣工。其后574年,印度阿育王计划用57,000斤铁·3万分金子制作释迦三尊佛像,但未能如愿遂把金子、铁、三尊佛像的模型装船送至新罗,最后在新罗完成了三尊佛像。为了供奉5米多高的佛像,真平王6年(584)开始建金堂,善德女王12年(643)在从唐朝留学而归的慈藏建议下修建了旨在防止外敌入侵的9层木塔,各层象征敌国,由百济匠人阿非知于645年最终完工。黄龙寺修建工期长达93年,是由国家主持修建的大型寺院,新罗的三大宝物包括天赐玉带、黄龙寺九层木塔与丈六尊像,由此可知黄龙寺在当时占有举足轻重的地位。从黄龙寺还可以了解到“新罗乃释迦摩尼之地”等新罗人的佛教观。但黄龙寺在高丽高宗25年(1238)蒙古入侵时化作灰烬,如今只剩下昔日的痕迹。此后填埋沼泽重新修建了黄龙寺,从南至北依次为中门·木塔·金堂·讲堂,采用了长条排列的一塔式布局,后期建成丈六尊像与木塔等之后变为在金堂左右各设小金堂的一塔三金堂式,在塔的左右对称置有钟楼与经楼。四周环绕着走廊等回廊,其伽蓝布置极为独特,据《三国遗事》记载,钟楼内原有一座巨大的钟,但后来蒙古入侵时不见了踪影。在始于1976年的挖掘调查中共出土了鎏金铜佛立像·风铎·鎏金铜耳饰·各种琉璃等四万多件遗物,通过高达182cm的大型鸱尾可以估量出建筑物的雄壮。据传金堂内曾有率居绘制的壁画,通过从木塔遗址内出土的唐朝白瓷罐可以了解到当时的文物交流情况。

  • Source: www.heritage.go.kr
  • Views: 25245
  • Publish date: 18 hours ago
  • Downloads: 52871
  • Likes: 8608
  • Dislikes: 9
  • Title Website: 사적 경주 황룡사지 (慶州 皇龍寺址) | 문화재 종목별 검색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신라인들의 꿈을 품은 황룡사 9층 목탑!|다시만나는경주

  • Source: Youtube
  • Views: 7921
  • Date: 22 hours ago
  • Download: 3714
  • Likes: 7561
  • Dislikes: 9

사적 경주 황룡사지 (慶州 皇龍寺址)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황룡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경주 월성의 동쪽에 궁궐을 짓다가, 그곳에서 황룡(黃龍)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절로 고쳐 짓기 시작하여 17년 만에 완성되었다. 그 후 574년, 인도의 아소카왕이 철 57,000근·금 3만분으로 석가삼존불상을 만들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금과 철, 그리고 삼존불상의 모형을 배에 실어 보낸 것이 신라 땅에 닿게 되자, 이것을 재료로 삼존불상을 만들게 되었는데, 5m가 넘는 이 불상을 모시기 위해 진평왕 6년(584)에 금당을 짓게 되었다. 선덕여왕 12년(643)에는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자장의 권유로 외적의 침입을 막기위한 바램의 9층 목탑을 짓게 되는데, 각 층마다 적국을 상징하도록 하였으며, 백제의 장인 아비지에 의해 645년에 완공되었다.

이와 같이 황룡사는 93년간에 걸친 국가사업으로 조성된 큰 절이었으며, 신라의 3가지 보물 중 천사옥대(天賜玉帶)를 제외한 2가지 보물이 황룡사 9층목탑과 장육존상이었다는 것에서도 황룡사가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신라의 땅이 곧 부처가 사는 땅’이라는 신라인들의 불교관이 잘 나타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황룡사는 고려 고종 25년(1238)에 몽고의 침입으로 모두 불타 없어져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있다. 늪지를 메워서 그 위에 지은 황룡사는 중문·목탑·금당·강당이 남북으로 길게 배치된 1탑식 배치였다. 그러나 장육존상과 목탑 등이 조성된 후 금당 좌우에 작은 금당이 배치되는 1탑 3금당식으로 바뀌고, 탑의 좌우에 종루와 경루(經樓)가 대칭을 이루어 배치되었다. 또 사방은 복도와 같은 회랑으로 둘러싸여, 독특한 가람배치를 보이고 있다.『삼국유사』에 의하면 종루에는 거대한 종이 있었는데, 몽고가 침입했을 때에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1976년부터 시작한 발굴조사에서 금동불입상·풍탁·금동귀걸이·각종 유리 등 4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높이 182㎝에 이르는 대형치미는 건물의 웅장한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금당에는 솔거가 그린 벽화가 있었다고 전하며, 목탑지에서 발견된 당나라 백자항아리는 당시의 문물교류를 잘 알 수 있게 한다.

※(황룡사지 → 경주 황룡사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The construction of Hwangnyongsa Temple, located east of Wolseong in Gyeongju, was begun in 553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540-576) of the Silla Dynasty to honor a yellow dragon that is said to have appeared at the building site. At the time of its completion in 574, Silla received models of Sakyamuni Buddha and his two acolytes, along with a vast amount of iron and gold, from India which, as the story goes, the great Indian king Asoka intended to use to make the statues of a Shakyamuni triad but failed. Silla was able to build a 5-meter-tall Shakyamuni triad with the precious metals, and in 584 erected a golden shrine hall in which to enshrine them. Later, a nine-story wooden pagoda was started in 643 on the advice of Jajang, a great priest of Silla, and was completed in 645 by a famous Baekje builder named Abiji. Silla’s rulers hoped that the pagoda would bring Buddha’s aid for the protection of their kingdom against the nine foreign enemies symbolized by the nine stories of the pagoda. Hwangnyongsa Temple, which took 93 years to complete and eventually its Nine-story Wooden Pagoda became one of the three national treasures of Silla along with a sixteen-feet-high statue, which also was in the temple, and a jade belt bestowed by heaven. This great temple was, however, burnt down during the Mongol invasion of Korea (then Goryeo) in 1238. The remaining features of the temple show that it originally consisted of a middle gate, a wooden pagoda, a main prayer hall and a lecture hall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o which two more prayer halls, a bell tower and a scripture hall were added at a later date to form a wonderful symmetry. The temple was then enclosed by the huge structures of the gallery. According to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the temple also had a large temple bell, which is now missing. An excavation of the temple site started in 1976 produced a large collection of about 40,000 artifacts including gilt-bronze Buddhist statuettes, bells, ear ornaments, glass vessels and a huge 182-centimeter-long ornamental ridge-end tile. It is said that the temple also had a mural painted by Solgeo, who was admired as the greatest artist of his time, in its central prayer hall. The shards of a white porcelain jar from Tang China discovered at the wooden pagoda site constitute valuable tangible evidence of active exchanges between Silla and Tang.

黄龙寺的由来非常有趣,相传新罗真兴王14年(553)在庆州月城东侧修建宫殿的过程中听说此地出现过黄龙,随即改建寺院,历时17年终得竣工。其后574年,印度阿育王计划用57,000斤铁·3万分金子制作释迦三尊佛像,但未能如愿遂把金子、铁、三尊佛像的模型装船送至新罗,最后在新罗完成了三尊佛像。为了供奉5米多高的佛像,真平王6年(584)开始建金堂,善德女王12年(643)在从唐朝留学而归的慈藏建议下修建了旨在防止外敌入侵的9层木塔,各层象征敌国,由百济匠人阿非知于645年最终完工。黄龙寺修建工期长达93年,是由国家主持修建的大型寺院,新罗的三大宝物包括天赐玉带、黄龙寺九层木塔与丈六尊像,由此可知黄龙寺在当时占有举足轻重的地位。从黄龙寺还可以了解到“新罗乃释迦摩尼之地”等新罗人的佛教观。但黄龙寺在高丽高宗25年(1238)蒙古入侵时化作灰烬,如今只剩下昔日的痕迹。此后填埋沼泽重新修建了黄龙寺,从南至北依次为中门·木塔·金堂·讲堂,采用了长条排列的一塔式布局,后期建成丈六尊像与木塔等之后变为在金堂左右各设小金堂的一塔三金堂式,在塔的左右对称置有钟楼与经楼。四周环绕着走廊等回廊,其伽蓝布置极为独特,据《三国遗事》记载,钟楼内原有一座巨大的钟,但后来蒙古入侵时不见了踪影。在始于1976年的挖掘调查中共出土了鎏金铜佛立像·风铎·鎏金铜耳饰·各种琉璃等四万多件遗物,通过高达182cm的大型鸱尾可以估量出建筑物的雄壮。据传金堂内曾有率居绘制的壁画,通过从木塔遗址内出土的唐朝白瓷罐可以了解到当时的文物交流情况。

皇龍寺は新羅真興王14年(553)に慶州月城の東側に宮を建てていた途中、そこから黄龍が現われたという話を聞いて寺として改めて作り直し、17年ぶりに完成された。574年にはインドのアソカ王が鉄57,000斤、金3万分で釈迦三尊仏像を作ろうとしたが実現出来ず、金と鉄そして三尊仏像の模型を船に乗せて送ったのが新羅の地に至ると、それを材料にして三尊仏像を作り、5mを越えるこの仏像を安置するために真平王6年(584)に金堂を建てた。善徳女王12年(643)には唐での留学を終えて帰って来た慈蔵法師の勧めで、外賊の侵入を防ぐために九重木塔を建てることになるが、各重ごとに敵国を象徴するようにし、百済の職人阿非知によって645年に完成された。このように皇龍寺は93年間にわたる国家事業として建立された大きな寺で、新羅の3種の宝物のうち、天賜玉帯を除いた二種の宝物が皇龍寺九重木塔と丈六尊像であることからも、皇龍寺がどれだけ重要な位置を占めていたかが窺える。また、「新羅の地はまさに仏が住む地」という新羅人の仏教観がよく現われている場所でもある。しかし、皇龍寺は高麗時代高宗25年(1238)にモンゴルの侵略によって全部焼失し、現在はその跡だけが残っている。沼地を埋めてその上に建てた皇龍寺は、中門・木塔・金堂・講堂が南北に長く配置された一塔式配置であった。しかし、丈六尊像と木塔などが建てられた後、金堂左右に小さな金堂が配置される一塔三金堂式に変わり、塔の左右に鐘楼と経楼が対称をなして配置された。また、四方は廊下のような回廊で囲まれ、独特な伽藍配置をなしている。『三国遺事』によると、鐘楼には大きな鐘があったが、モンゴルの侵略によってなくなったと考えられる。1976年から始まった発掘調査で、金銅仏立像・風鐸・金銅耳飾り・各種ガラスなどの4万余点の遺物が出土され、高さ182㎝に及ぶ大型鴟尾から建物の雄大な規模を推測することができる。金堂には率居が描いた壁画があったと伝えられ、木塔の跡で発見された唐の白磁の甕は当時の文物交流についてよく分かる資料である。

경주 황룡사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룡사 9층 목탑(皇龍寺九層木塔)은 신라를 중심으로 삼국을 통일하고자 하는 그 시대의 간절한 소원이 표현으로 된 것이다.신라 선덕여왕 때인 643년, 자장 율사가 당에서 귀국하여 황룡사에 탑을 세울 뜻을 선덕여왕에게 아뢰니 선덕여왕이 군신에게 의논하였는데, 신하들이 “백제에서 공장(工匠)을 청한 연후에야 바야흐로 가능할 것입니다”라고 하여 이에 보물과 비단을 가지고서 백제에게 청하였다. 공장 아비지가 명을 받고 와서 목재와 석재를 경영하였고 이간(伊干) 김용춘이 주관하여 소장(小匠) 200명을 이끌었다. 공장은 이에 마음을 고쳐먹고 그 탑을 완성하였다.[6] 그런 만큼 이러한 소원과 포부가 이 탑에 반영되었다.[6] 규모가 장대무비하였는데 9층까지 높이는 탑지(塔誌) 기록 당시의 당척(唐尺)으로 따진다 하더라도 약 53.45m, 상륜부(上輪部)까지 합하면 약 66.70m나 되는 거대한 것이고, 조영(造營) 당시의 척수인 동위척(東魏尺)으로 따진다면 80m 이상으로 그보다 더 높은 초대형 건축물이었다.[6] 또한 황룡사 9층탑을 만들어낸 의지와 역량을, 삼국 가운데 가장 약소국이었던 신라가 한반도를 통일한 원동력 가운데 하나로 보는 시각도 있다.[6]

그 후, 황룡사 9층 목탑은 고려 때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고 현재는 탑의 초석(礎石)만이 남아 있다.[6] 중앙의 심초석(心礎石)에서 1964년 12월에 도난당하였던 금동사리함(金銅舍利函)이 1972년 10월 28일 국립박물관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적이 있다.[6] 이 사리함의 3면에 걸쳐 탑의 조성 기록이 새겨져 있는데 신라 경문왕(景文王) 11년(871)에 탑을 중수하면서 탑의 조성과 중수 사연을 적은 것이다.[6] 그 내용은 대체로 삼국유사의 기록과 유사하지만 당시의 확실한 명문(銘文)에 의하여 황룡사의 위관(偉觀)을 재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6] 이 목탑의 모습을 음각으로 디자인한 경주타워가 2007년에 완공되었고, 이 목탑의 모습을 본따서 만든 중도타워가 2016년에 완공되었다.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1]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삼존불상(丈六三尊佛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다.[1][2] 신라의 사찰로 553년(진흥왕 14년) 기공이 시작[3] 되어 569년에 담장까지 완공되었다고 여겨지나, 566년(진흥왕 27년) 일단 준공되었다가 645년(선덕여왕 14년)에 완성되었다는 설도 있다.[1] 고려 고종 25년(1238년)[4]에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1] 현재 그 터인 황룡사지(皇龍寺址)[5] 가 사적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삼존불상(丈六三尊佛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다. 신라의 사찰로 553년(진흥왕 14년) 기공이 시작 되어 …

  • Source: ko.wikipedia.org
  • Views: 60093
  • Publish date: 10 hours ago
  • Downloads: 41355
  • Likes: 7855
  • Dislikes: 2
  • Title Website: 경주 황룡사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삼존불상(丈六三尊佛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다. 신라의 사찰로 553년(진흥왕 14년) 기공이 시작 되어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영상복원 신라최고의 사찰 황룡사 9층목탑 [역사실험] KBS 1996.05.26 방송

  • Source: Youtube
  • Views: 14568
  • Date: 15 hours ago
  • Download: 108859
  • Likes: 6669
  • Dislikes: 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룡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황룡사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1]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삼존불상(丈六三尊佛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다.[1][2] 신라의 사찰로 553년(진흥왕 14년) 기공이 시작[3] 되어 569년에 담장까지 완공되었다고 여겨지나, 566년(진흥왕 27년) 일단 준공되었다가 645년(선덕여왕 14년)에 완성되었다는 설도 있다.[1] 고려 고종 25년(1238년)[4]에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1] 현재 그 터인 황룡사지(皇龍寺址)[5] 가 사적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황룡사 [ 편집 ]

황룡사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에서 어느 사찰보다도 월등히 많이 볼 수 있다.[2] 우선 기록에 나타난바 각종 건축의 연혁을 보면 다음과 같다.[2] 이에 따르면 진흥왕 창건 이래 선덕여왕대의 9층탑의 완성까지는 90년의 장시일이 경과되고 있다.[2]

진흥왕 14년(553) 창건 진흥왕 27년(566) 일차 공사완성 진흥왕 30년(569) 주위장우(周圍墻宇) 완성 진흥왕 35년(574) 장륙삼존불상(丈六三尊佛像, 높이가 일장 육척이 되는 삼존불상) 조성 진평왕 6년(584) 금당 조성 선덕여왕 14년(645) 9층탑 조성 경덕왕 13년(754) 종 조성(造成)

황룡사는 국가적 대찰로서 진평왕의 천사옥대(天賜玉帶)와 더불어 황룡사의 9층 목탑과 장륙삼존불상(丈六三尊佛像)은 신라의 3보로 숭앙을 받아왔다.[2] 국가적인 행사나 우환이 있을 때는 황룡사에서 고승을 청하여 백고좌(百高座)를 설치하였고 왕이 친행예불한 장소로는 황룡사 이외의 곳에서 예불을 했다는 기록이 없다.[2]

왕조가 바뀌어 고려조에 이르러서도 광종 5년(954)때에 벼락으로 목탑이 소멸하자 60여년이 지난 1012년 다시 재건을 시작하여 9년만에 완공했고 정종 2년(1035), 현종 1년(1095)에 보수공사 3년(1012)에 조유궁(朝遊宮)을 헐어서 9층탑을 수리하는 등 보호에 힘썼으나 고종 25년(1238) 몽고의 난으로 말미암아 회진되고 말았다.[2]

남겨진 절터에 의하여 황룡사의 규모를 추정할 때, 경내는 약 2만평으로 추정되며 남에서부터 중문(中門), 탑, 금당, 강당(講堂)이 남북선상에 서고, 구당과 중문을 연결하여 동서로 회랑을 돌려 내정에 금당과 구당을 두는 일탑식(一塔式) 가람제도(伽藍制度)로서 황룡사지(皇龍寺址)는 그 절터 흔적이 가장 뚜렷하게 남아 있는 절터이다.[2]

회랑으로 형성되는 내정(內庭)에는 금당 좌우와 중문 좌우에 각각 건물자리가 있고 탑의 기단 4면에는 계단을 설치하였으며, 1976년 이래 계속되고 있는 발굴 조사의 결과 전면 10간, 측면 4간의 큰 강당자리가 비로소 밝혀졌다.[2]

주위에는 많은 부속건물이 있었으리라고 추측되며 발굴에 따라 속속 밝혀지고 있는데, 국가적 대찰에 부끄럽지 않는 대황룡사의 모습이 차차 드러나고 있다.[2]

“철반이상(鐵盤已上)”이라는 표현을 보면 상륜(相輪)은 금속제이었을 것이다.[2] 탑지 북쪽에는 금당지가 있어 정면 9간, 측면 4간의 대건물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중앙에는 거대한 석조 불대좌(佛臺座) 3기가 있어 장륙삼존불상(丈六三尊佛像)이 이곳에 안치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2] 또 솔거(率居)의 노송도도 이곳에 있었을 것이라 여겨진다.[2]

그 북방에는 정면 10간, 측면 4간의 대구당이 있었으니 지금도 2 · 3개를 제외하고는 초석이 원형대로 남아 있고, 바닥에는 부전(敷塼)이 중앙에서 동으로 치우쳐서 석조가 남아 있다.[2] 또한 동서 양측에는 회랑지(廻廊址)가 있어 고신라기의 대찰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2]

황룡사 9층 목탑 [ 편집 ]

황룡사 9층 목탑 모형

황룡사 9층 목탑(皇龍寺九層木塔)은 신라를 중심으로 삼국을 통일하고자 하는 그 시대의 간절한 소원이 표현으로 된 것이다.신라 선덕여왕 때인 643년, 자장 율사가 당에서 귀국하여 황룡사에 탑을 세울 뜻을 선덕여왕에게 아뢰니 선덕여왕이 군신에게 의논하였는데, 신하들이 “백제에서 공장(工匠)을 청한 연후에야 바야흐로 가능할 것입니다”라고 하여 이에 보물과 비단을 가지고서 백제에게 청하였다. 공장 아비지가 명을 받고 와서 목재와 석재를 경영하였고 이간(伊干) 김용춘이 주관하여 소장(小匠) 200명을 이끌었다. 공장은 이에 마음을 고쳐먹고 그 탑을 완성하였다.[6] 그런 만큼 이러한 소원과 포부가 이 탑에 반영되었다.[6] 규모가 장대무비하였는데 9층까지 높이는 탑지(塔誌) 기록 당시의 당척(唐尺)으로 따진다 하더라도 약 53.45m, 상륜부(上輪部)까지 합하면 약 66.70m나 되는 거대한 것이고, 조영(造營) 당시의 척수인 동위척(東魏尺)으로 따진다면 80m 이상으로 그보다 더 높은 초대형 건축물이었다.[6] 또한 황룡사 9층탑을 만들어낸 의지와 역량을, 삼국 가운데 가장 약소국이었던 신라가 한반도를 통일한 원동력 가운데 하나로 보는 시각도 있다.[6]

그 후, 황룡사 9층 목탑은 고려 때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고 현재는 탑의 초석(礎石)만이 남아 있다.[6] 중앙의 심초석(心礎石)에서 1964년 12월에 도난당하였던 금동사리함(金銅舍利函)이 1972년 10월 28일 국립박물관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적이 있다.[6] 이 사리함의 3면에 걸쳐 탑의 조성 기록이 새겨져 있는데 신라 경문왕(景文王) 11년(871)에 탑을 중수하면서 탑의 조성과 중수 사연을 적은 것이다.[6] 그 내용은 대체로 삼국유사의 기록과 유사하지만 당시의 확실한 명문(銘文)에 의하여 황룡사의 위관(偉觀)을 재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6] 이 목탑의 모습을 음각으로 디자인한 경주타워가 2007년에 완공되었고, 이 목탑의 모습을 본따서 만든 중도타워가 2016년에 완공되었다.

황룡사터 [ 편집 ]

황룡사 9층목탑을 위시한 황룡사 터 개략도 황룡사 복원 전경 황룡사 9층목탑 복원도

사진 [ 편집 ]

당간지주

경주국립박물관 소재 망새(치미)

망새에 새겨진 얼굴 무늬

황룡사 장륙삼존불상의 불대좌

관련 작품 [ 편집 ]

《비원의 탑》(2012, 학산문화사) – 전혜진 글, 최미애 그림으로 황룡사 9층 목탑의 건립을 소재로 하는 만화이다. 전3권.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참고 문헌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황룡사 9층 목탑 – 네이버 블로그

자장이 중국에 있는 절 근처 연못을 거닐고 있는데, 어떤 신령스런 사람이 나타나서 자장에게 ‘무슨 걱정이 있냐’고 물었고 자장은 ‘고국인 신라에 주변 나라가 자주 침략해와서 백성들이 힘들고 걱정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러자 그 신령스런 존재가 본인은 원래 황룡사를 지키는 용의 아버지인데, 본국으로 돌아가면 9층의 목탑을 세워라. 그러면 한층의 하나씩 9개의 나라가 조공을 바치고 정복될 것이다 라고 하였다고 한다.

열심히 주춧돌을 닦고 기반을 만들면서 구층 목탑을 세우기 위해서 준비하고 있던 어느날, 아비지는 백제가 멸망하는 무서운 꿈을 꾸었다고 한다. ‘이 황룡사 구층 목탑을 지으면 정말 백제가 멸망하겠구나’라고 생각한 아비지는 더 이상 목탑을 짓지 않기로 하고 나오려고 하는데, 주변이 깜깜해지더니 진동이 울리기 시작하면서 노승이 다가오더니 그 가운데 기둥을 세울 큰 돌을 올려놓고 사라지더라는 것이다.

울산항에서 이 배를 발견한 관리가 진흥왕에게 알렸고, 신라는 한 번에 이 불상을 완성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아소카왕은 기원전 200년 전 왕이고, 진흥왕은 기원후 500년 대의 왕으로 두 왕 사이에는 700년이란 시간차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불상이 있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15 thg 1, 2017 — 이 유물은 황룡사 9층 목탑이다. 주춧돌 정도밖에 남아있지 않은 황룡사에 있었던 9층 목탑이라 하여 ‘황룡사 구층 목탑’이라 불린다. 복원하면 이런 모양 …

  • Source: m.blog.naver.com
  • Views: 288
  • Publish date: 6 hours ago
  • Downloads: 4798
  • Likes: 7164
  • Dislikes: 4
  • Title Website: 황룡사 9층 목탑 – 네이버 블로그
  • Description Website: 15 thg 1, 2017 — 이 유물은 황룡사 9층 목탑이다. 주춧돌 정도밖에 남아있지 않은 황룡사에 있었던 9층 목탑이라 하여 ‘황룡사 구층 목탑’이라 불린다. 복원하면 이런 모양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황룡사 9층 목탑을 재연해 보았습니다_마에스트로 명장

  • Source: Youtube
  • Views: 96101
  • Date: 3 hours ago
  • Download: 11699
  • Likes: 1449
  • Dislikes: 8

황룡사 9층 목탑

​​​

이 유물은 황룡사 9층 목탑이다.

주춧돌 정도밖에 남아있지 않은 황룡사에 있었던 9층 목탑이라 하여 ‘황룡사 구층 목탑’이라 불린다.

복원하면 이런 모양이 된다고 한다.

복원이 된다면 80m가 넘는 높이….

신라인들은 이 탑을 왜 만들었을까?

황룡사 구층 목탑이 건립된 시기는 643년으로 선덕여왕의 통치시기였다.

그 당시 신라의 주변정세는 당나라에는 중국에서도 손꼽히는 군주인 태종이, 고구려는 연개소문이 쿠데타를 일으켜 대막리지에 올라서 강경한 외교정책을 펼치고 있었고, 백제도 의자왕이 즉위한 상황이었다.

의자왕의 통치 말기에는 여러가지 타락하고 안좋은 모습도 있었지만, 즉위 초기에는 신라의 대야성 등 여러 성을 빼앗는 등 영토를 확장하여 신라를 압박하는 그런 존재였다. ‘의롭고 자비롭다’고 하여 의자왕이라 불릴 정도로 현명한 군주였던 것이다.

즉 643년 신라 선덕여왕은 의자왕에게 신라의 대야성 등 40여 개의 성을 빼앗겨 왕권이 크게 실추되고 있었던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중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던 자장스님이 신라로 돌아와 여왕을 찾아간다.

이것과 관련된 일화가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자장이 중국에 있는 절 근처 연못을 거닐고 있는데, 어떤 신령스런 사람이 나타나서 자장에게 ‘무슨 걱정이 있냐’고 물었고 자장은 ‘고국인 신라에 주변 나라가 자주 침략해와서 백성들이 힘들고 걱정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러자 그 신령스런 존재가 본인은 원래 황룡사를 지키는 용의 아버지인데, 본국으로 돌아가면 9층의 목탑을 세워라. 그러면 한층의 하나씩 9개의 나라가 조공을 바치고 정복될 것이다 라고 하였다고 한다.

자장은 신라로 돌아와 선덕여왕에게 이 이야기를 하고 황룡사에 구층 목탑을 세울 것을 건의했다.

목탑을 세우기로 결정했지만 신라에는 9층의 목탑을 지을만한 기술력이 없었다.

그래서 백제의 기술력을 빌리기 위해 의자왕에게 도움을 요청하기에 이른다.

백제에서는 ‘아비지’라는 기술자를 신라에 보낸다.

열심히 주춧돌을 닦고 기반을 만들면서 구층 목탑을 세우기 위해서 준비하고 있던 어느날, 아비지는 백제가 멸망하는 무서운 꿈을 꾸었다고 한다. ‘이 황룡사 구층 목탑을 지으면 정말 백제가 멸망하겠구나’라고 생각한 아비지는 더 이상 목탑을 짓지 않기로 하고 나오려고 하는데, 주변이 깜깜해지더니 진동이 울리기 시작하면서 노승이 다가오더니 그 가운데 기둥을 세울 큰 돌을 올려놓고 사라지더라는 것이다.

이것을 본 아비지는 황룡사 구층 목탑을 완성하는 것이 하늘이 뜻이라고 생각해 끝까지 황룡사 구층 목탑을 짓는데 참여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삼국유사>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불교에서는 불탑을 왜 만들까?

불탑 안에는 부처의 사리를 모시고 있어서 부처님의 무덤 역할을 한다.

황룡사 구층 목탑을 세우면 9개의 나라를 정복할 것이라고 하였는데, 1층은 일본, 2층은 중화 등 나라들이 정해져 있었다.

그렇게 정해진 나라가 실제 나라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신라가 생각했던 완전한 수가 9이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모든 나라를 정복하여 나라를 통일하고 싶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신라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그리고 보다 강력한 국가가 되기 위해 황룡사 구층 목탑을 건립했다. 황룡사 구층 목탑은 그 이후에도 잘 보존되어 오다가 몽골 침입으로 불에 타 소실되었다.

이후로 황룡사와 황룡사 구층 목탑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고 있었다.

1964년 12월, 도굴꾼들이 황룡사 구층 목탑에 있었던 자리의 주춧돌, 심초석을 발견하고 그것을 들어올리자 그곳에서 많은 유물들이 나오게 되는데, 이것은 황룡사 구층 목탑의 사리라고 한다.

이 사리함들 중에는 ‘찰주본기’라는 것이 나오는데, 이것은 황룡사 구층 목탑을 중수할 때 왕들이 넣었던 것이라 한다.

이 찰주본기에는 황룡사 구층 목탑을 만들게 된 경위와 어떤 방식으로 고쳤는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조금 더 놀라운 것은 찰주본기에 쓰여져 있는 내용과 삼국유사에 기록된 내용이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이다.

이 찰주본기 외에도 많은 사리함과 사리갖춤 도구들이 발굴되었다고 한다.

황룡사 구층 목탑이 있었던 황룡사는 진흥왕때 지어졌다.

신라의 전성기를 이끈 진흥왕이 즉위하고 19살이 되던 해에 궁궐을 크게 짓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적당한 자리를 찾아 궁궐을 지으려고 하는데, 막 지으려는 과정에서 황룡이 나왔다고 한다.

그래서 궁궐이 아닌 절을 지어야겠다고 생각하여 17년동안 황룡사를 지었다고 한다

황룡사에는 구층 목탑 외에도 거대한 유물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그 중에서 거대한 불상이 있었는데, 이 불상은 인도의 아소카왕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고 한다.

인도의 아소카왕이 많은 재료를 들여서 거대한 불상을 만들려고 했는데, 매번 실패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 아소카왕은 재료를 모아 배로 떠나보내면서 ‘인연이 닿는 곳에서 완성하기를 기원한다’ 고 했다고 한다. 이 배가 닿은 곳이 신라의 울산항…

울산항에서 이 배를 발견한 관리가 진흥왕에게 알렸고, 신라는 한 번에 이 불상을 완성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아소카왕은 기원전 200년 전 왕이고, 진흥왕은 기원후 500년 대의 왕으로 두 왕 사이에는 700년이란 시간차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불상이 있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불상의 높이는 5m에 달하고 동으로 제작했지만 겉을 다 금박으로 칠해서 굉장히 크고 화려한 불상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이 불상 또한 안타깝게도 몽골침입 시기에 불타 없어졌다.

황룡사에는 이외에도 거대한 종이 있었다. 성덕대왕 신종 또는 에밀레종이라고 불리는 종의 4배에 달하는 종이 황룡사에 있었다고 한다.

​

뿐만 아니라 황룡사의 금당을 장식하는 건물의 치미의 길이와 넓이로 보았을 때 동아시아에서 이렇게 큰 치미가 없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어서 황룡사의 거대한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어마어마한 규모와 많은 일화를 갖고 있는 황룡사는 불에 타 주춧돌만 남아있지만 신라 호국불교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ebs

황룡사 9층 목탑 – 역사제국 – Tistory

또 『국사(國史)』와 절의 옛 기록을 살펴보면, 진흥왕 계유년(서기 553)에 절을 창건한 후에 선덕왕 때인 정관 19년 을사(서기 645)에 탑이 처음으로 완성되었다. 32대 효소왕(孝昭王)이 왕위에 오른 지 7년째인 성력(聖曆) 원년 무술(서기 698) 6월에 벼락을 맞았다.[절의 옛 기록에서는 성덕왕(聖德王) 시대라고 하였지만 잘못된 것이다. 성덕왕 때에는 무술년이 없다.] 제33대 성덕왕 대인 경신년(서기 720)에 다시 세워 완성하였다. 제48대 경문왕 무자년(서기 868) 6월에 두 번째 벼락을 맞았고 그 임금 때에 세 번째로 다시 지었다. 우리 고려 광종(光宗)이 왕위에 오른 지 5년째인 계축년(서기 953) 10월에 세 번째 벼락을 맞았고 현종 13년 신유(서기 1021)에 네 번째로 다시 지었다. 또 정종 2년 을해(서기 1035)에 네 번째 벼락을 맞았고 문종 갑진년(서기 1064)에 다섯 번째로 다시 지었다. 또 현종 말년 을해(서기 1095)에 다섯 번째 벼락을 맞았고 숙종 원년 병자(서기 1096)에 여섯 번째로 다시 지었다. 그런데 고종 25년 무술(서기 1238) 겨울에 몽고의 침략으로 탑과 장육존상과 절의 전각들이 모두 불에 탔다.

“황룡사의 호법용(護法龍)은 바로 나의 맏아들이오. 범왕(梵王)의 명을 받고 가서 그 절을 보호하고 있소이다. 고국에 돌아가거든 절 안에 9층탑을 세우시오. 그러면 이웃나라들이 항복할 것이고 구한(九韓)이 와서 조공할 것이며 왕업이 길이 편안할 것이오. 탑을 세운 후에는 팔관회를 열고 죄인을 용서하여 풀어주면, 외적이 해를 끼치지 못할 것이오. 그리고 나를 위해 서울 인근 남쪽 언덕에 절 하나를 지어 내 복을 빌어준다면, 나 또한 그 은덕을 보답할 것이오.”

황룡사 9층 목탑은 이름처럼 총 9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층은 신라의 주변 나라들을 의미하는데, 1층은 일본, 2층은 중화, 3층은 오월(남중국), 4층은 탁라(탐라), 5층은 응유(백제),6층은 말갈, 7층은 거란, 8층은 여적(여진), 9층은 예맥(고구려)를 의미합니다. 신라는 당시 수많은 국가들의 침입을 극복하고 우뚝 서려는 열망을 이 황룡사 9층 목탑에 표현했던 것입니다.

19 thg 1, 2021 — 황룡사 9층 목탑은 신라의 선덕여왕 시기에 지어진 거대한 탑입니다. 선덕여왕 시기의 신라는 상당한 위기를 겪고 있었습니다. 고구려와 백제의 지속적인 …

  • Source: historykorea676.tistory.com
  • Views: 89085
  • Publish date: 1 hours ago
  • Downloads: 91596
  • Likes: 1827
  • Dislikes: 5
  • Title Website: 황룡사 9층 목탑 – 역사제국 – Tistory
  • Description Website: 19 thg 1, 2021 — 황룡사 9층 목탑은 신라의 선덕여왕 시기에 지어진 거대한 탑입니다. 선덕여왕 시기의 신라는 상당한 위기를 겪고 있었습니다. 고구려와 백제의 지속적인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존재하지않지만 가장 유명한 절, 황룡사 9층 목탑

  • Source: Youtube
  • Views: 72822
  • Date: 13 hours ago
  • Download: 102067
  • Likes: 9907
  • Dislikes: 8

황룡사 9층 목탑

황룡사 9층 목탑 터

출처: 문화재청

황룡사 9층 목탑은 신라의 선덕여왕 시기에 지어진 거대한 탑입니다. 선덕여왕 시기의 신라는 상당한 위기를 겪고 있었습니다. 고구려와 백제의 지속적인 침공으로 신라는 상당히 많은 성을 빼았겼습니다. 특히 백제는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이 전사한 뒤 신라를 원수로 여겼습니다. 그리고 맹공을 퍼부었습니다.

선덕여왕의 시기에 신라는 최악의 위기를 맞이합니다. 백제가 신라 서쪽의 40여성을 빼앗았고, 신라의 중요 요충지인 대야성도 백제의 군대가 차지했습니다. 대야성은 신라의 주요 지역으로, 당시 신라의 충격은 매우 컸습니다.선덕여왕은 이러한 국가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불심을 결집시키려 했습니다. 외적의 침입을 막아 신라를 번성시키기 위해 황룡사 9층 목탑을 지었던 것입니다.

황룡사지 9충 목탑 터

출처: 문화재청

삼국유사에는 황룡사 9층 목탑이 선덕여왕 12년인 643년에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신라로 온 자장법사의 건의로 만들어졌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신라의 황룡사 9층 목탑은 645년에 완공되었는데, 이는 백제의 장인인 아비지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지 것이었습니다.

황룡사 9층 목탑은 이름처럼 총 9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층은 신라의 주변 나라들을 의미하는데, 1층은 일본, 2층은 중화, 3층은 오월(남중국), 4층은 탁라(탐라), 5층은 응유(백제),6층은 말갈, 7층은 거란, 8층은 여적(여진), 9층은 예맥(고구려)를 의미합니다. 신라는 당시 수많은 국가들의 침입을 극복하고 우뚝 서려는 열망을 이 황룡사 9층 목탑에 표현했던 것입니다.

황룡사의 발형대석

출처: 문화재청

황룡사 9층 목탑이 있게한 일등공신은 자장법사와 아비지입니다. 자장법사는 당에서 돌아와 황룡사에 9층 목탑을 세울 것을 건의했습니다.

제27대 선덕왕(善德王)이 왕위에 오른 지 5년째인 정관(貞觀) 10년 병신(서기 636)에 자장법사(慈藏法師)가 중국으로 유학 갔는데,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에게 불법을 전수받았다.[자세한 것은 본전(本傳)에 보인다.] 문수보살이 또 이렇게 말하였다.

“너희 나라 왕은 바로 인도의 크샤트리아 계급의 왕으로 이미 불기(佛記)를 받았다. 그러므로 특별한 인연이 있으므로 동이(東夷)의 공공(共工) 족과는 다르다. 그렇지만 산천이 험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성격이 거칠고 사나우며 많이들 미신을 믿어서 때때로 하늘의 신이 재앙을 내리기도 한다. 그렇지만 다문비구(多聞比丘)가 나라 안에 있기 때문에 임금과 신하들이 편안하고 백성이 평화로운 것이다.”

그리고는 말을 끝내자 곧 사라졌다. 자장은 이것이 보살의 화신임을 알고 감격하여 눈물을 흘리면서 물러갔다.

법사가 중국의 태화지(太和池) 옆을 지나가는데, 갑자기 신인이 나타나 물었다.

“어찌하여 여기까지 이르렀는가?”

자장이 대답하였다.

“깨달음을 구하려고 왔습니다.”

신인이 예를 갖추어 절을 하고 다시 물었다.

“그대의 나라에 무슨 어려운 일이라도 있는가?”

자장이 말하였다.

“우리나라는 북쪽으로 말갈과 이어져 있고 남쪽으로는 왜국과 인접해 있습니다. 고구려와 백제 두 나라가 번갈아 국경을 침범하여 이웃나라의 도적들이 맘대로 돌아다닙니다. 이것이 백성들의 걱정입니다.”

“지금 그대 나라는 여자가 왕위에 있으니 덕은 있지만 위엄이 없구려. 그래서 이웃나라가 침략을 꾀하고 있는 것이오. 그대는 빨리 돌아가야만 하오.”

그래서 자장이 다시 물어보았다.

“고국에 돌아가서 어떤 이로운 일을 해야 합니까?”

“황룡사의 호법용(護法龍)은 바로 나의 맏아들이오. 범왕(梵王)의 명을 받고 가서 그 절을 보호하고 있소이다. 고국에 돌아가거든 절 안에 9층탑을 세우시오. 그러면 이웃나라들이 항복할 것이고 구한(九韓)이 와서 조공할 것이며 왕업이 길이 편안할 것이오. 탑을 세운 후에는 팔관회를 열고 죄인을 용서하여 풀어주면, 외적이 해를 끼치지 못할 것이오. 그리고 나를 위해 서울 인근 남쪽 언덕에 절 하나를 지어 내 복을 빌어준다면, 나 또한 그 은덕을 보답할 것이오.”

말을 마치자 드디어 옥을 받들어 바친 후에 홀연히 사라져 보이지 않았다.

[네이버 지식백과]황룡사 9층탑 [皇龍寺 九層塔]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2012. 8. 20., 일연, 신태영)

황룡사 목탑지

출처: 문화재청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에 9층 목탑을 세우게 되지만, 이런 거대한 탑을 짓기 위해서는 장인의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신라는 백제의 장인인 아비지의 도움을 받아 황룡사 9층 목탑을 짓게 됩니다. 백제 장인 아비지의 지원은 삼국간 문화교류의 좋은 예시가 됩니다.

정관 17년 계묘(서기 643) 16일에 자장법사는 당나라 황제가 준 불경과 불상, 승복과 폐백 등을 가지고 귀국해서 탑을 세울 일을 왕에게 아뢰었다. 선덕왕이 여러 신하들과 의논하였는데, 신하들이 말하였다.

“백제에게 장인들을 청한 이후에야 일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보물과 비단을 가지고 백제에 가서 장인을 부탁하였다. 아비지(阿非知)라는 공장이 명을 받고 와서는 나무와 돌을 다듬었고, 이간(伊干) 용춘(龍春)[용수(龍樹)라고도 한다.]이 이 공사를 주관하여 200여 명의 장인들을 통솔하였다.

처음에 절의 기둥을 세우는 날에 아비지가 꿈에 자기 나라 백제가 멸망하는 모습을 보고는, 마음 속으로 의구심이 생겨서 공사를 멈추었다. 그러자 갑자기 대지가 진동하면서 깜깜해졌는데, 그 어둠 속에서 어떤 노승 한 명과 장사 한 명이 금전문(金殿門)에서 나와 기둥을 세우더니, 승려와 장사가 모두 사라져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아비지는 뉘우치고 그 탑을 완성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룡사 9층탑 [皇龍寺 九層塔]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2012. 8. 20., 일연, 신태영)

황룡사지 전경 출처: 문화재청

삼국유사에는 각층이 상징하는 국가도 담겨 있습니다.

“신라 제27대는 여왕이 임금이 되었다. 비록 도는 있지만 위엄이 없어서 구한이 침략하였다. 만일 용궁 남쪽의 황룡사에 9층탑을 세운다면, 이웃나라가 침략하는 재앙을 진압할 수 있을 것이다. 1층은 일본(日本), 2층은 중화(中華), 3층은 오월(吳越), 4층은 탁라(托羅), 5층은 응유(鷹遊), 6층은 말갈(靺鞨), 7층은 거란(丹國), 8층은 여적(女狄), 9층은 예맥(穢貊)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룡사 9층탑 [皇龍寺 九層塔]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2012. 8. 20., 일연, 신태영)

황룡사 9층탑은 오랜 세월을 견뎌 왔습니다. 여러번 보수했고 중수했습니다. 그러나 고려 고종의 시기에 몽골의 침입이 들이닥치고 황룡사 9층 목탑은 사라지고 맙니다.

또 『국사(國史)』와 절의 옛 기록을 살펴보면, 진흥왕 계유년(서기 553)에 절을 창건한 후에 선덕왕 때인 정관 19년 을사(서기 645)에 탑이 처음으로 완성되었다. 32대 효소왕(孝昭王)이 왕위에 오른 지 7년째인 성력(聖曆) 원년 무술(서기 698) 6월에 벼락을 맞았다.[절의 옛 기록에서는 성덕왕(聖德王) 시대라고 하였지만 잘못된 것이다. 성덕왕 때에는 무술년이 없다.] 제33대 성덕왕 대인 경신년(서기 720)에 다시 세워 완성하였다. 제48대 경문왕 무자년(서기 868) 6월에 두 번째 벼락을 맞았고 그 임금 때에 세 번째로 다시 지었다. 우리 고려 광종(光宗)이 왕위에 오른 지 5년째인 계축년(서기 953) 10월에 세 번째 벼락을 맞았고 현종 13년 신유(서기 1021)에 네 번째로 다시 지었다. 또 정종 2년 을해(서기 1035)에 네 번째 벼락을 맞았고 문종 갑진년(서기 1064)에 다섯 번째로 다시 지었다. 또 현종 말년 을해(서기 1095)에 다섯 번째 벼락을 맞았고 숙종 원년 병자(서기 1096)에 여섯 번째로 다시 지었다. 그런데 고종 25년 무술(서기 1238) 겨울에 몽고의 침략으로 탑과 장육존상과 절의 전각들이 모두 불에 탔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룡사 9층탑 [皇龍寺 九層塔]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2012. 8. 20., 일연, 신태영)

황룡사 9층 목탑은 사라졌지만, 그 모습은 추측과 상상, 고증을 통해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습니다.

황룡사 복원도

출처: 문화재청

황룡사 9층 목탑은 위기에 빠진 신라를 구하려는 마음과 백제와의 문화교류를 통해 만들어진 고대 건축의 걸작입니다.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황룡사 9층 목탑 왕

Bing에서 황룡사 9층 목탑 왕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황룡사 9층 목탑 왕.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황룡사 9층 목탑 왕 황룡사 9층 목탑 몽골, 황룡사 선덕여왕, 황룡사 9층 목탑 영어로, 황룡사 9층 목탑 나라, 황룡사 9층 목탑 의미, 황룡사9층목탑 복원, 황룡사 9층 목탑 소실 이유, 황룡사 9층 목탑 국보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