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가상 화폐 종류“?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382+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가상 화폐 종류 가상화폐 순위, 가상화폐 종류와 특징, 미국코인 종류, 가상화폐 종류 전망, 에너지 코인 종류, 코인 종류 사이트, 토큰 종류, 채굴 코인 종류
- 비트코인 이전
- 비트코인 계열
- 이더리움 계열
- 리플 계열
- 익명성을 보장하는 다크코인
- 플랫폼 코인
- 유틸리티 토큰
- 결제 코인
Table of Contents
암호화폐 종류 – 해시넷 위키
- Source: wiki.hash.kr
- Views: 1089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53739
- Likes: 367
- Dislikes: 3
- Title Website: 암호화폐 종류 – 해시넷 위키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51385
- Date: 60 minute ago
- Download: 94748
- Likes: 1509
- Dislikes: 10
[가상화폐] 가상화폐 종류 한 눈에 정리하기!
스테이블 코인은 이러한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1코인 (1 coin) = 1달러 (1 dollar)이 가치를 갖도록 설계했습니다.
한 때 USDT의 발행량이 US Dollar보다 많아 1:1 비율에 의심하는 사람이 많아 발행량을 공개하기도 했으며,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다크 코인’들이 이에 해당하며, 현재 세금 탈세나 불법 증여 등의 타겟이 되고 있습니다.
19 thg 6, 2021 — 1. 지불형 코인 (Payment Coin) 또는 결제형 코인 · 2. 플랫폼형 코인 (Platfrom Coin) · 3. 스테이블 코인 (Stable Coin) · 4. 유틸리티 코인 (Utility Coin).
- Source: lulluryu.tistory.com
- Views: 64205
- Publish date: 17 minute ago
- Downloads: 26359
- Likes: 2376
- Dislikes: 3
- Title Website: [가상화폐] 가상화폐 종류 한 눈에 정리하기!
- Description Website: 19 thg 6, 2021 — 1. 지불형 코인 (Payment Coin) 또는 결제형 코인 · 2. 플랫폼형 코인 (Platfrom Coin) · 3. 스테이블 코인 (Stable Coin) · 4. 유틸리티 코인 (Utility Coin).
코인의 모든 종류 개념잡기! / 코인의 큰 맥락을 알아보자!
- Source: Youtube
- Views: 45530
- Date: 8 hours ago
- Download: 55689
- Likes: 4320
- Dislikes: 10
[가상화폐] 가상화폐 종류 한 눈에 정리하기!
안녕하세요! 🙂
오늘은 가상화폐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국내 거래소에 등록된 가상화폐 수만해도 약 200여개가 있다고 하는데요,
전 세계적으로 수를 세기에는 이미 너무 많아져 버린 것 같습니다.
스브스에서 실험한 결과 일반인도 10분이면 자신만의 가상화폐를 만들 수 있다고 하네요..
도대체 가상화폐의 종류는 어떻게 나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가상화폐의 종류와 각 종류별 대표코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지불형 코인 (Payment Coin) 또는 결제형 코인
지불형 코인이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품을 사는데 지불하거나 결제가 가능한 코인입니다.
따라서, 코인이 만들어진 목적 자체가 지불형 또는 결제형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화폐의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가 아는 것 중 대표적인 지불형 코인은 무엇일까요?
바로 시가 총액 1위!!! 비트코인입니다.
물론 비트코인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지불형 코인의 종류는 아래처럼 여러개가 있습니다.
비트 코인 (Bitcoin, BTC) : 현 시가 총액 1위
라이트 코인 (Litecoin, LTC) : 현 시가 총액 12위
비트코인 캐시 (Bitcoin Cash, BCH) : 현 시가 총액 11위
도지 코인 (Dogecoin, Doge) : 현 시가 총액 6위
모네로 (Monero, XMR) : 현 시가총액 43위
페이 코인(Paycoin, PCI) : 업비트 상장폐지
그 밖의 대부분의 코인이 지불형의 코인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여기까지만 알아두셔도 될 듯 합니다.
2. 플랫폼형 코인 (Platfrom Coin)
플랫폼이란 흔히 시스템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틀을 의미합니다.
즉, 플렛폼 코인이란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초 틀에 사용되는 코인입니다.
예를 들어 게임이라는 플랫폼에서 통용되는 코인이 있다면 그게 바로 플랫폼형 코인의 종류가 될 수 있습니다.
플랫폼형 코인의 대표적인 코인은 시총 2위의 이더리움입니다.
이러한 플랫폼형 코인의 장점은 바로 ‘스마트 계약 (Smart Contract)’ 입니다.
스마트 계약에 대한 개념은 앞서 포스팅한 글을 참고해주세요.
가상화폐] 세계속의 비트코인 및 가상화폐 – 최신 뉴스와 전망(3)
플랫폼 코인의 대표적인 코인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더리움 (Ethereum, ETH) : 현 시가 총액 2위
카르다도 (Cardano, ADA) : 현 시가 총액 5위
체인링크 (Chainlink, LINK) : 현 시가 총액 14위
스텔라 (Stellar, XLM) : 현 시가 총액 18위
비체인 (VeChain, VET) : 현 시가 총액 21위
이더리움 클래식 (Ethereum Classic, ETC) : 현 시가 총액 22위
이오스 (EOS, EOS) : 현 시가 총액 27위
3. 스테이블 코인 (Stable Coin)
스테이블 코인이란 이름에서 오듯 안정성을 가지 코인을 의미합니다.
코인 (가상화폐)이란 본래 변동성이 매우 큰 특징을 갖고 있는데, 어떻게 안정성을 가지고 있을까요?
스테이블 코인은 이러한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1코인 (1 coin) = 1달러 (1 dollar)이 가치를 갖도록 설계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장점으로는 더 적은 수수료로 더 빠른 거래를 할 수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코인으로는 시가 총액 3위의 테더 (USDT)가 있습니다.
한 때 USDT의 발행량이 US Dollar보다 많아 1:1 비율에 의심하는 사람이 많아 발행량을 공개하기도 했으며,
그 이후 여러가지 스테이블 코인이 추가 발행되기도 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테더 (Tether, USDT) : 현 시가 총액 3위
USD Coin (USD Coin, USDC) : 현 시가 총액 8위
바이낸스 USD (Binance USD, BUSD) : 현 시가 총액 16위
다이 (DAI, DAI) : 현 시가 총액 24위
4. 유틸리티 코인 (Utility Coin)
유틸리티 코인이랑 블록체인 기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특정 플랫폼에서 발행한 코인입니다.
따라서 해당 플랫폼에서 진행중인 탈중앙화앱 디앱(Dapp)에서 화폐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유틸리티 코인부터는 플랫폼 코인이거나 증권형 코인등이 해당됩니다.
유틸리티 코인의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바이낸스 코인(Binance Coin, BNB) : 현 시가 총액 4위
스팀 (Steem, Steem) : 183위
링크 (LINK, LN)
체인링크 (Chain Link) : 현 시가 총액 14위
등. (사실 지불 코인을 제외한 대부분이 속할 수 있습니다.)
5. 프라이버시 코인
프라이버시 코인은 개인 정보를 중요하시하는 익명성 기반의 코인입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다크 코인’들이 이에 해당하며, 현재 세금 탈세나 불법 증여 등의 타겟이 되고 있습니다.
프라이버시 코인의 종류도 생각보다 높은 위치에 랭크가 되어 있습니다.
모네로 (Monero, XMR) : 현 시가 총액 26위
제트캐쉬 (Zcash, ZEC) : 현 시가 총액 55위
대쉬 (Dash, DASH) : 현 시가 총액 56위
언제든 정부의 규제 대상 1순위가 될 수 있으니 프라이버시 코인에 대한 투자는 신중히 생각해주세요!
6. 디파이용 코인
디파이 (De-Fi)란 Decentralized Fianace 즉 탈중앙화 금융입니다.
코인이 디파이용으로 만들어졌다기 보다는 탈중앙화 은행에 코인을 거치할 수 있으면 디파이용으로 불릴 수 있습니다.
아마 한국에서는 카카오 코인 중하나인 클레이스왑 (Klayswap)이 해당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rytocurrency 기준 디파이가 가능한 코인을 알아보겠습니다.
유니스왑 (Uniswap, UNI) : 현 시가 총액 10위
체인링크 (Chainlink, LINK) : 현 시가 총액 14위
랩 비트코인 (Wrapped Bitcoin, WBTC) : 현 시가 총액 19위
다이 (Dai, DAI) : 현 시가 총액 25위
테라 (Terra, LUNA) : 현 시가 총액 44위
클레이스왑 (Klayswap, KSP) : 현 시가 총액 241위
7. 증권형 코인
증권형 코인이란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실물 자산을 블록 체인 기반의 코인에 고정한 것입니다.
증권형 코인의 대표적인 것은 현 시가 총액 7위인 리플입니다.
리플의 분류가 애매하기는 하지만 가상화폐 세계에서 이슈가 되었던 SEC 소송 건이
리플을 증권형 코인으로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가상 화폐 – 나무위키
1 thg 9, 2022 — 가상 화폐라는 개념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폐란 개념을 구현만 한 것들을 포함한다. 게임상 사이버머니나 사이버뱅크 거래 역시 가상 화폐로 취급된다.
- Source: namu.wiki
- Views: 51753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104644
- Likes: 7443
- Dislikes: 7
- Title Website: 가상 화폐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1 thg 9, 2022 — 가상 화폐라는 개념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폐란 개념을 구현만 한 것들을 포함한다. 게임상 사이버머니나 사이버뱅크 거래 역시 가상 화폐로 취급된다.
가상화폐 코인 99%는 다 사라질 겁니다, 살아 남는 코인은… (안유화 교수)
- Source: Youtube
- Views: 108764
- Date: 7 hours ago
- Download: 606
- Likes: 4609
- Dislikes: 1
가상화폐(암호화폐) 종류와 특징 – 일일공부 – 티스토리
이렇게 보면 증권형 토큰을 구별하기가 쉬워보이지만 ‘코인 유형’을 분류하는 데 있어서 여러 의견 충돌이 발생하기도 한다. 시가총액 7위 암호화폐인 ‘리플(XRP)’의 경우 증권형이냐 유틸리티형이냐를 두고 논쟁을 벌여왔다. 리플은 전 세계의 화폐를 빠르고 저렴하게 송금할 수 있도록 실시간 통화 거래를 위해 개발한 암호화폐다. 이렇게만 보면 ‘유틸리티 코인’으로 보이지만 SEC는 리플을 미등록 증권으로 보고 소송을 제기했다. SEC가 리플을 증권으로 판단한 근거는 다양하지만, 핵심은 리플이 유틸리티 토큰으로서의 사용성보다 투자 대상으로서의 목적성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리플은 투자 계약 증권에 해당한다는 판단이다.
그런데 ‘유틸리티형’이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스위스 금융당국인 핀마(FINMA)는 암호화폐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서 지불형, 유틸리티형, 증권형으로 정의했다. 블록체인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해 활용되는 암호화폐를 모두 유틸리티형으로 규정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게임, 콘텐츠, 분산 클라우드 등 수많은 영역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모두 유틸리티형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한다면 이더리움이나 에이다 등 플랫폼 코인도 유틸리티형 암호화폐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럴 땐 ‘토큰’이라고 부르지 않고 ‘코인’ 또는 ‘암호화폐’라고 불러야 한다.
대체로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해 토큰들이 발행되고 있으며, 그래서 거래 또한 이더리움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NFT는 거의 모든 것을 토큰화 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예술 분야를 포함해 게임이나 가상공간에서의 거래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자산들의 ‘희소성’을 확보하게 해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데, 사실상 쉽게 복제와 유포가 가능한 디지털 예술품들이 NFT를 통해 수천억 원에 거래되는 등 투기적 성향이 짙어지고 있다는 지적 또한 나오고 있다.
30 thg 11, 2021 — 가상화폐(암호화폐) 종류와 특징 · 지불형(Payment) 코인 · 플랫폼(Platform) 코인 · 스테이블(Stable) 코인 · 유틸리티(Utility) 토큰 · 증권형(Security) …
- Source: daystudy.tistory.com
- Views: 90968
- Publish date: 2 minute ago
- Downloads: 73915
- Likes: 6713
- Dislikes: 4
- Title Website: 가상화폐(암호화폐) 종류와 특징 – 일일공부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30 thg 11, 2021 — 가상화폐(암호화폐) 종류와 특징 · 지불형(Payment) 코인 · 플랫폼(Platform) 코인 · 스테이블(Stable) 코인 · 유틸리티(Utility) 토큰 · 증권형(Security) …
💰NFT, 이더리움, 가상화폐 오늘이 기회! 웹3.0 뜻 개념정리도 제대로 준비- 김미경의 레벨업 ‘정지훈 교수’
- Source: Youtube
- Views: 20469
- Date: 32 minute ago
- Download: 2707
- Likes: 8796
- Dislikes: 8
가상화폐(암호화폐) 종류와 특징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암호화폐 분류부터 이해하면 특정 코인이나 시장을 이해하는 일이 한결 편해질 수 있다. 암호화폐 업계나 투자자들이 코인 특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범주를 나눠 왔기 때문이다.
지불형(Payment) 코인
비트코인처럼 실생활에서 화폐처럼 지불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지불형 코인’이다. 시가총액 상위 암호화폐 중에서는 비트코인에서 파생된 비트코인 캐시(12위)나 라이트코인(13위)도 마찬가지로 지불형 코인에 해당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지지와 엄청난 가격 상승세로 화제를 모았던 시가총액 6위 ‘도지코인’ 또한 지불형 코인으로 분류된다. 애초에 특정 목적 달성을 위해 개발된 암호화폐가 아니다보니 개인 간에 주고받을 수 있는 정도의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도지코인의 가장 인기 있는 용도는 인터넷 커뮤니티 내 사례금(tipping)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커뮤니티 사용자끼리 마음에 드는 콘텐츠를 후원하는 등 용도에 사용한다는 건데 일종의 지불(또는 기부) 행위로 볼 수 있다.
플랫폼(Platform) 코인
비트코인을 뒤쫓고 있는 암호화폐 시가총액 2위는 이더리움이다. 이더리움은 대표적인 ‘플랫폼 코인’이다. 플랫폼 코인이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 이 서비스들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암호화폐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스마트 콘트랙트’ 기능을 활용해 대출이나 예금·보험 등 복잡한 금융 계약을 포함한 대부분의 계약에 활용될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은 물론이고, ‘게임’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같은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들어내고 운영할 수도 있다.
마치 인터넷망에 특정 웹사이트나 앱을 올리듯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사실상 컴퓨터에서 구동할 수 있는 모든 프로그램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구현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결국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플랫폼’의 이름이면서 해당 플랫폼을 굴러가게 하는 ‘자체 통화’의 이름인 셈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활용되는 앱들은 디앱(dApp·탈중앙화 앱)이라고 부르는데 이더리움이 이러한 디앱들을 개발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코인’의 원조격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시가총액 5위인 에이다(카르다노)나 26위인 이오스 등 다양한 플랫폼 코인이 개발됐다.
스테이블(Stable) 코인
시가총액 3위는 ‘테더(USDT)’다. 테더는 다른 암호화폐와는 달리 가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스테이블 코인’ 이다.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성이 크고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스테이블 코인이다.
테더는 일정량 달러화를 담보로 발행한 화폐다. 달러와 1대1로 정확히 일치하는 가치를 유지한다. 1달러가 우리돈으로 1100원이라면, 같은 시간 테더도 1100원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테더는 발행 주체가 실제로 암호화폐 발행량만큼의 달러를 담보로 갖고 있지 않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런 논란 때문에 테더는 2014년 출시 이후 처음으로 올해 보유 준비자산 내역을 공개했습니다. 발행사가 공개한 내역에 따르면 올해 3월 31일 기준으로 테더는 USDT 발행량의 76%에 해당하는 현금과 현금성 자산(기업 어음, 단기예금 등) 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현금 비율은 3.87%에 불과했지만 꽤 높은 자산 담보 비율을 보유하고 있다. 이런 담보 덕분에 1개의 테더는 1달러의 가치를 유지한다.
시가총액 8위인 유에스디코인(USDcoin)도 마찬가지로 ‘서클’이 미국 달러와 연계해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이다. 이외에도 암호화폐를 담보로 하는 등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가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려는 스테이블 코인들이 고안되고 있지만, 아직은 법정화폐나 현금성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달러와 가치가 완전히 같은데 코인을 발행하는 이유는 기술적으로 유용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하면 금융사 등을 거치지 않아 더 적은 수수료, 더 빠른 송금 등 기술적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유틸리티(Utility) 토큰
시가총액 4위는 ‘바이낸스(Binance) 코인’이다. 바이낸스 코인은 홍콩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에서 자체 통화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토큰이다.
코인은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갖고 있으면서 이를 바탕으로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앞서 살펴본 ‘플랫폼 코인’들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에 더해 플랫폼 코인이 아니라도 비트코인처럼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은 독립적인 화폐 또한 코인이라고 부른다.
반면 ‘토큰’은 독자적 플랫폼은 없고, 다른 플랫폼 코인 위에서 특정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암호화폐다. 자체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아니라 다른 플랫폼 위에서 작동한다. 바이낸스 코인은 이더리움 플랫폼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결국 ‘유틸리티 토큰’이란 자체 플랫폼이 아니라 특정 플랫폼 블록체인상의 스마트 콘트랙트 기능을 활용해 생성·관리되는 암호화폐로, 일반적으로 플랫폼 코인 위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앱 방식으로 개발된다.
비유하자면 플랫폼이 ‘운영체제(OS)’ 내지는 ‘인터넷 망’이고, 유틸리티 토큰은 그 위에서 실행되는 개별 프로그램 또는 앱인 셈이다. 현재까지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해 발행된 토큰이 가장 많고, 그 종류도 수천 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유틸리티형’이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스위스 금융당국인 핀마(FINMA)는 암호화폐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서 지불형, 유틸리티형, 증권형으로 정의했다. 블록체인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해 활용되는 암호화폐를 모두 유틸리티형으로 규정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게임, 콘텐츠, 분산 클라우드 등 수많은 영역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모두 유틸리티형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한다면 이더리움이나 에이다 등 플랫폼 코인도 유틸리티형 암호화폐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럴 땐 ‘토큰’이라고 부르지 않고 ‘코인’ 또는 ‘암호화폐’라고 불러야 한다.
증권형(Security) 토큰
증권형 토큰이란 전통시장의 주식, 채권, 부동산, 미술품 등 다양한 자산의 가치를 토큰과 연계한 암호화폐다. 예를 들어 주식이나 채권과 연계된 증권형 토큰을 사면 실제 소유권이 생기는 것이고, 부동산을 쪼개서 연계한 증권형 토큰을 사면 해당 건물에 대한 지분을 인정받게 되는 방식이다.
증권형 토큰은 실물자산을 효율적으로 분할해 소액 투자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년 전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주식이나 채권의 경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배당이나 이자 지급 등이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는 기대도 존재한다.
다만 증권화 토큰의 경우 실물 자산과 연계되기 때문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등 금융당국의 규제를 받는다. 사실상 전통적 유가증권 등의 디지털 형태이다보니 당장 규제하기에도 수월하다.
이렇게 보면 증권형 토큰을 구별하기가 쉬워보이지만 ‘코인 유형’을 분류하는 데 있어서 여러 의견 충돌이 발생하기도 한다. 시가총액 7위 암호화폐인 ‘리플(XRP)’의 경우 증권형이냐 유틸리티형이냐를 두고 논쟁을 벌여왔다. 리플은 전 세계의 화폐를 빠르고 저렴하게 송금할 수 있도록 실시간 통화 거래를 위해 개발한 암호화폐다. 이렇게만 보면 ‘유틸리티 코인’으로 보이지만 SEC는 리플을 미등록 증권으로 보고 소송을 제기했다. SEC가 리플을 증권으로 판단한 근거는 다양하지만, 핵심은 리플이 유틸리티 토큰으로서의 사용성보다 투자 대상으로서의 목적성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리플은 투자 계약 증권에 해당한다는 판단이다.
이처럼 특정 코인은 한 범주에만 속하는 경우도 있지만 동시에 2~3가지 성격을 갖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 가깝게 개발된 것일수록 다양한 기능과 특성을 겸하도록 만든 경우가 많다. 암호화폐의 형태나 목적 등 다양한 기준으로 시장이 나눈 기준인 만큼, 딱 잘라 한 범주에만 속하는 건 아니다.
프라이버시(Privacy) 코인
프라이버시 코인이란 ‘익명성’이 핵심이 되는 암호화폐를 일컫는다. 범죄 등에 이용될 여지가 크다는 점 때문에 ‘다크 코인’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가장 대표적인 코인은 시가총액 27위인 모네로다. 이외에 대시, 지캐시 등 다양한 프라이버시 코인이 존재한다.
자금세탁을 포함한 각종 범죄와 관련이 있다는 의혹 때문에 자금세탁방지국제기구(FATF)와 여러 국가들이 프라이버시 코인을 암호화폐 거래소 등에서 퇴출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여러 거래소에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대체 불가능 토큰(NFT·Non-fungible token)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의미로, 위·변조가 어려운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을 활용해 그림이나 영상, 게임, 음악, 예술 등 다양한 디지털 파일과 자산에 ‘꼬리표’를 붙이는 데 사용되는 암호화폐다. 기존에 디지털 예술품 등은 복사와 유통이 자유롭다보니 가치를 인정받기가 쉽지 않았는데, NFT로 꼬리표를 붙이면 작품의 소유자와 거래 이력을 모두 알 수 있어 ‘진품’과 ‘복제품’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게 NFT가 등장한 배경이다.
대체로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해 토큰들이 발행되고 있으며, 그래서 거래 또한 이더리움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NFT는 거의 모든 것을 토큰화 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예술 분야를 포함해 게임이나 가상공간에서의 거래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자산들의 ‘희소성’을 확보하게 해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데, 사실상 쉽게 복제와 유포가 가능한 디지털 예술품들이 NFT를 통해 수천억 원에 거래되는 등 투기적 성향이 짙어지고 있다는 지적 또한 나오고 있다.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CBDC란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법정 디지털 화폐다. 화폐 경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국들이 연구에 나서고 있다. 현재 논의 수준은 중국이 가장 앞서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본격 도입한 국가는 없다.
국제결제은행(BIS) 산하 지급결제·시장인프라위원회(CPMI)는 CBDC를 “전통적인 지급준비금이나 결제계좌상 예치금과는 다른 전자적 형태의 중앙은행 화폐”로 정의했다.
출처
“1만개? 뭔 코인이 이렇게 많아?”…한 눈에 쉽게 이해하는 코인 분류 방법 있다고? [코인 노트]
코인 종류만 1만 개 넘는다고?…쉽게 보는 코인 분류법 [코인노트]
‘코인노트’는 가상화폐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초보 투자자들을 위해 다양한 상식을 전달하고, 코인시장에서 벌어지는 사기 수법 등 유의해야 할 점도 살펴보는 연재물입니다. 돈이 넘쳐흐를 때, 시장은 혼탁해지게 마련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기사 모음 · 구독 페이지 ]
사진 확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인노트-5]13 thg 6, 2021 — 시가총액 상위 암호화폐 중에서는 비트코인에서 파생된 비트코인 캐시(12위)나 라이트코인(13위)도 마찬가지로 지불형 코인에 해당합니다. 일론 머스크 …
- Source: www.mk.co.kr
- Views: 78903
- Publish date: 4 hours ago
- Downloads: 23424
- Likes: 7319
- Dislikes: 7
- Title Website: 코인 종류만 1만 개 넘는다고?…쉽게 보는 코인 분류법 [코인노트]
- Description Website: 13 thg 6, 2021 — 시가총액 상위 암호화폐 중에서는 비트코인에서 파생된 비트코인 캐시(12위)나 라이트코인(13위)도 마찬가지로 지불형 코인에 해당합니다. 일론 머스크 …
리플 ,이더리움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알고있어야 할 정말 가장 기본적인 개념 (feat. 신세한탄)
- Source: Youtube
- Views: 90710
- Date: 9 minute ago
- Download: 69167
- Likes: 8064
- Dislikes: 8
코인 종류만 1만 개 넘는다고?…쉽게 보는 코인 분류법 [코인노트]
[코인노트-5]‘코인노트’는 가상화폐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초보 투자자들을 위해 다양한 상식을 전달하고, 코인시장에서 벌어지는 사기 수법 등 유의해야 할 점도 살펴보는 연재물입니다. 돈이 넘쳐흐를 때, 시장은 혼탁해지게 마련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기사 모음 · 구독 페이지 ]
사진 확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가상화폐 종류와 한국 및 미국 시장의 전망과 특징 총정리
비트코인 가장 유명한 암호화폐이며 신원 불분명의 프로그래머 ‘나카모토 사토시’의 백서로 부터 탄생했다고 전해집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2009년에 배포가 되었습니다. 일반 화폐와 달리 발행 주체가 없고 암호를 풀어내는 방식으로 누구나 채굴을 할 수 있습니다. 알트코인 비트코인 이외의 모든 코인을 알트코인이라고 합니다. 비트코인을 대체를 할 수 있다는 의미로 불려지기 시작을 했습니다. 대표적인 알트코인은 이더리움, 리플, 대시 그리고 요즘 유명세를 타고 있는 도지코인이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기반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 사이트에 접속해보시면 회원가입이나 거래를 하지 않아도 다양한 종류의 화폐들의 현재 시세와 종류들을 볼 수 있으니 직접 사이트에 접속해서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8899개가 넘는 종류가 있는데 가상화폐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 종류는 비트코인이고 나머지 한 종류는 알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전부를 알트코인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19 thg 1, 2022 — 가상화폐의 종류와 특징 … 코인의 특성에 따라서 여러 유형으로 범주를 나눠보면 종류가 더 세분화 됩니다. 지불형 코인, 플랫폼 코인, 스테이블 코인, …
- Source: excalriver.com
- Views: 100775
- Publish date: 38 minute ago
- Downloads: 50317
- Likes: 9536
- Dislikes: 4
- Title Website: 가상화폐 종류와 한국 및 미국 시장의 전망과 특징 총정리
- Description Website: 19 thg 1, 2022 — 가상화폐의 종류와 특징 … 코인의 특성에 따라서 여러 유형으로 범주를 나눠보면 종류가 더 세분화 됩니다. 지불형 코인, 플랫폼 코인, 스테이블 코인, …
비트코인 투자 시작하는 방법 : \”암호화폐 종류와 분산 투자\” || 비트코인 투자 초보를 위한 필수 상식 2탄
- Source: Youtube
- Views: 29357
- Date: 55 minute ago
- Download: 63168
- Likes: 8812
- Dislikes: 6
가상화폐 종류와 한국 및 미국 시장의 전망과 특징 총정리 – My Blog
요즘 비트코인을 비롯하여 코인 투자를 많이 하고 있으시죠? 하지만 가상화폐의 탄생하게된 개념과 운영방식에 대해서 모르고 주식처럼 거래를 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오늘 포스팅을 보시면 가상화폐란 무엇이며 종류가 어떤게 있는지 알고 코인 투자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을 얻으 실 수 있습니다.
국내 가상화폐 시장과 미국 시장의 특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가상화폐는 전자 상태로만 존재를 해서 형태를 알수 없는 화폐를 얘기합니다. 실물은 없으며 가상환경에서만 통용된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중앙기관의 금융시스템을 대체하고자 만들어졌습니다.
실체가 없는데 어떻게 믿고 투자를 할까요? 비트코인이 실체가 없다면 우리가 흔히 쓰는 만 원짜리는 실체가 있을까요?
만원이라는 화폐의 가치는 우리나라 사회가 합의를 했고 그 합의된 약속을 보증해주는 것이 정부이기 때문에 만원이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만약에 우리나라가 망해서 만원을 보증을 해줄 수 없다면 만원 짜리 지폐는 한 종이 조각에 불과하게 가치가 없어지는 것입니다.
그럼 비트코인은 누가 보증해줘서 가치가 있는 걸까요?
비트코인은 정부기관이나 실체가 있는 주체가 보증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코드의 보안”에 신뢰의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코드는 가상자산 네트워크가 운영되는 시스템입니다. 코드는 공개가 되어 있으며 아무도 변경을 할 수 없습니다.
이 이러한 코드의 투명성과 보안성으로 인해서 가치를 믿는 사람들이 증가를 하다보니 가격이 상승을 하였습니다.
주로 비트코인을 가상화폐로 알고계신분도 있으신데 더 넓은 의미이며 종류가 아주 다양합니다.
지금 화폐 종류만 해도 8899개가 넘는다는 기사를 최근에 본적도 있습니다. 그만큼 종류가 너무 많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 사이트에 접속해보시면 회원가입이나 거래를 하지 않아도 다양한 종류의 화폐들의 현재 시세와 종류들을 볼 수 있으니 직접 사이트에 접속해서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가상화폐의 종류
8899개가 넘는 종류가 있는데 가상화폐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 종류는 비트코인이고 나머지 한 종류는 알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전부를 알트코인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장 유명한 암호화폐이며 신원 불분명의 프로그래머 ‘나카모토 사토시’의 백서로 부터 탄생했다고 전해집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2009년에 배포가 되었습니다. 일반 화폐와 달리 발행 주체가 없고 암호를 풀어내는 방식으로 누구나 채굴을 할 수 있습니다. 알트코인 비트코인 이외의 모든 코인을 알트코인이라고 합니다. 비트코인을 대체를 할 수 있다는 의미로 불려지기 시작을 했습니다. 대표적인 알트코인은 이더리움, 리플, 대시 그리고 요즘 유명세를 타고 있는 도지코인이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기반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도지코인은 다른 코인 보다 채굴이 쉽다는 특징이 있는데요. 앞서 도지코인 저사양 PC에서도 채굴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한 적이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은 한번 보시면 도움 되실겁니다.
가상암호화폐란? 초보자를 위한 가상암호화폐 코인종류,시세 …
가상암호화폐란? 초보자를 위한 가상암호화폐 코인종류,시세차트확인법,블록체인원리,거래소플랫폼추천. 작성자. 웬디. |갱신시간 2022-4-25 01:59. 3500.
- Source: kr.mitrade.com
- Views: 86692
- Publish date: 18 minute ago
- Downloads: 6730
- Likes: 981
- Dislikes: 8
- Title Website: 가상암호화폐란? 초보자를 위한 가상암호화폐 코인종류,시세 …
- Description Website: 가상암호화폐란? 초보자를 위한 가상암호화폐 코인종류,시세차트확인법,블록체인원리,거래소플랫폼추천. 작성자. 웬디. |갱신시간 2022-4-25 01:59. 3500.
지갑 특집 1탄 – 암호화폐 지갑의 개념과 용어 심플한 정리! | NFT, 메타마스크
- Source: Youtube
- Views: 47511
- Date: 57 minute ago
- Download: 6194
- Likes: 5066
- Dislikes: 4
가상화폐 종류와 시가총액 순위 TOP10!! – 경제정보박스
가상화폐 종류가 너무 많아 어디에 투자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잘 모를 때는 어설픈 코인에 투자하는 건 불구덩이 속으로 들어가는 거밖에 안됩니다. 주식도 잘 모를 때 우량주에 투자하는 말이 있듯이 가상화폐도 시가총액이 높은 화폐에 투자하는 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가상화폐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시가총액 순위 TOP10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끝까지 내용을 확인하시고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에는 도지 코인의 거래대금이 15조 원에 육박하면서 급상승하였습니다. 비트코인보다 19배, 코스피 시장 거래대금까지 추월하였습니다. 도지 코인은 2013년 소프트웨어 개발자 빌리 마커스와 잭슨 팔머가 만들 암호화폐입니다. 당시에 재미로 만들었다고 하여 이슈가 되었는데요.
한화로는 약 1조 5천450억 원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앞으로 약 800만 비트코인을 캐면 더 이상 캘 비트코인은 없다고 합니다. 개발자가 총 2100만 비트코인만 나오게 만들었기 때문이죠. 부분별 하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화폐로서 가치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합니다.
17 thg 4, 2021 — 가상화폐 종류와 시가총액 순위 TOP10!! 가상화폐 종류가 너무 많아 어디에 투자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잘 모를 때는 어설픈 코인에 투자하는 건 …
- Source: investrabbit.tistory.com
- Views: 72831
- Publish date: 2 hours ago
- Downloads: 33158
- Likes: 3283
- Dislikes: 3
- Title Website: 가상화폐 종류와 시가총액 순위 TOP10!! – 경제정보박스
- Description Website: 17 thg 4, 2021 — 가상화폐 종류와 시가총액 순위 TOP10!! 가상화폐 종류가 너무 많아 어디에 투자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잘 모를 때는 어설픈 코인에 투자하는 건 …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비트코인 원리
- Source: Youtube
- Views: 64300
- Date: 15 hours ago
- Download: 18630
- Likes: 8164
- Dislikes: 8
가상화폐 종류와 시가총액 순위 TOP10!!
가상화폐 종류와 시가총액 순위 TOP10!!
가상화폐 종류가 너무 많아 어디에 투자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잘 모를 때는 어설픈 코인에 투자하는 건 불구덩이 속으로 들어가는 거밖에 안됩니다. 주식도 잘 모를 때 우량주에 투자하는 말이 있듯이 가상화폐도 시가총액이 높은 화폐에 투자하는 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가상화폐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시가총액 순위 TOP10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끝까지 내용을 확인하시고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알트코인 전망, 유망 알트코인 추천 TOP3
가상화폐 종류와 기사총액 순위 TOP10
가상화폐란?
가상화폐란 전자 상태로만 존재하는 전자화폐입니다. 실물이 없고 가상 환경에서만 통용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주로 비트코인 등의 암호화폐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암호화폐보다 폭넓은 개념입니다.
가상화폐 종류
암호화폐부터 게임머니까지 가상화폐 종류는 계속 늘어가고 있습니다. 다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가상화폐는 크게 두 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으로 말이죠.
✅ 비트코인
가장 유명한 암호화폐로 비트코인이라고 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2009년에 익명의 개발자가 배포 했습니다.
일반 화폐와 달리 발행 주체가 없고 암호를 풀어내는 방식으로 누구나 비트코인을 채굴할 수 있다.
✅ 알트코인
비트코인 이외의 암호화폐를 알트코인이라고 합니다.
비트코인을 대체 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코인입니다.
대표 알트코인으로는 이더리움, 리플, 대시, 라이트코인 등이 유명합니다.
비트코인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가상화폐 시가총액
가상화폐 시가총액 순위
세계 가상화폐들의 시가총액이 사상 첫 2조 달려(약 2257조원)을 돌파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만 올해 2배 이상 뛰었고, 이더리움 또한 190% 상승하였습니다. 시가총액 TOP10 위에 있는 가상화폐 목록입니다.
비트코인와 이더리움의 시총은 크게 바뀌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래에 있는 비트코인의 순위는 변동 되 수 있으니 이점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위 비트코인
2위 이더리움
3위 바이낸스코인
4위 리플
5위 테더
6위 도지코인
7위 에이다
8위 Polkadot
9위 라이트코인
10위 비트코인 캐시
가상화폐 목록 및 시가총액
최근에는 도지 코인의 거래대금이 15조 원에 육박하면서 급상승하였습니다. 비트코인보다 19배, 코스피 시장 거래대금까지 추월하였습니다. 도지 코인은 2013년 소프트웨어 개발자 빌리 마커스와 잭슨 팔머가 만들 암호화폐입니다. 당시에 재미로 만들었다고 하여 이슈가 되었는데요.
유명해진 이유는 일론 머스크가 좋아한다고 해서입니다. 코인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사업은 딱히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투기 외에는 설명한 방법이 없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1. 비트코인
비트코인 가상화폐
비트코인은 실체가 없는 가상화폐입니다. 컴퓨터로 암호를 풀면 그 대가 비트코인을 대가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화폐와 다르게 관리하는 기구가 없는 것 또한 특징입니다. 모두가 채굴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나 주신이 될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코인을 채굴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PC 1대로 5년이 걸려야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3년 8월 현재까지 약 1200만 비트코인이 채굴되었습니다.
한화로는 약 1조 5천450억 원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앞으로 약 800만 비트코인을 캐면 더 이상 캘 비트코인은 없다고 합니다. 개발자가 총 2100만 비트코인만 나오게 만들었기 때문이죠. 부분별 하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화폐로서 가치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합니다.
2. 이더리움
이더리움 가상화폐
탈중앙화 된 채굴 방식과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을 하나로 융합하여 만든 가상 화폐입니다. 러시아 천재 비탈릭 부테린이 만들었다고 하죠. 이더리움 플랫폼 상에서 돌아가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지불할 수 있습니다.
3. 리플
리플 가상화폐
리플은 초창기에 아주 많은 벤처자본의 투자를 받은 코인이자 구글의 알트코인 스타트업 지원하에 시작되어서 총 9000만 달러를 모금한 코인입니다. 리플은 달러에서 항공 마일리지까지 어떤 가치 단위로도 거래할 수 있게 해 준다는 독특한 특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상화폐 전망
가상화폐 종류와 시가총액 순위 TOP10을 알아보았습니다. 어떤 코인에 투자해야 할지 감이 오셨나요? 가상화폐 실체가 없고 가상화폐 거래가 투기판이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보는 시야도 많습니다.
미국의 규제 각 국가별로 과세를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리스크가 많은 것 또한 사실입니다. 미래의 가상세계에서 가상화폐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세계가 온다면 가상화폐는 어떻게 될까요? 상상만 해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에는 시기가 있습니다. 단기간에 많은 돈을 벌려고 한다면 분명 탈이 날 것입니다. 가상화폐 투자 지금이 기회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비트코인이 가장 안전한 코인이고 시총 1위에 있지만 언제 다른 코인으로 대체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개인적으로 요즘 비트코인 시세가 붕괴라고 할 정도로 하락 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뿐만아니라 주식, 부동산 모두 하락의 조짐이 보이는데요. 심지어 주식시장은 코스피 2600이 곧 뚫릴 것 같습니다.
총알을 잘 모아 두었다가 하락장이 끝나갈때 부터 조금씩 모아가야 겠습니다. 꼭 그게 아니라도 비트코인은 없는 돈이라고 생각하고 조금씩 매수 해보시길 바랍니다. 미래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름니다.
잘 모아둔 비트코인이 경제적 자유를 만들어 줄수도 있고, 휴지 조각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가상화폐 관련글
2021 전망 높은 알트코인 TOP10
아르고 코인 전망 및 시세 총정리
세럼 코인 거래소 전망 총정리 – 앞으로 대세는 세럼이다.
비트코인 ISMS 인증 거래소 추천 21곳-그중에 가장 안전한 곳은 1곳뿐
[가상화폐] 김치코인의 종류 (비트코인, 우리나라 가상화폐 종류)
4 thg 4, 2021 — IT 팁 56개의 글 · 1. 디카르고 (dKargo) · 2. 람다 (Lamda) · 3. 리퍼리움 (Refereum) · 4. 마로 (Maro) · 5. 메디블록 (MediBloc) · 6. 메타디움 (Metadium) …
- Source: blog.naver.com
- Views: 104190
- Publish date: 11 hours ago
- Downloads: 37767
- Likes: 1295
- Dislikes: 2
- Title Website: [가상화폐] 김치코인의 종류 (비트코인, 우리나라 가상화폐 종류)
- Description Website: 4 thg 4, 2021 — IT 팁 56개의 글 · 1. 디카르고 (dKargo) · 2. 람다 (Lamda) · 3. 리퍼리움 (Refereum) · 4. 마로 (Maro) · 5. 메디블록 (MediBloc) · 6. 메타디움 (Metadium) …
슈카의 THE MASTER ㅣ 암호화폐 제대로 이해하는 법 (고란 기자)
- Source: Youtube
- Views: 50716
- Date: 23 hours ago
- Download: 20341
- Likes: 938
- Dislikes: 6
[가상화폐] 김치코인의 종류 (비트코인, 우리나라 가상화폐 종류)
IT 팁 [가상화폐] 김치코인의 종류 (비트코인, 우리나라 가상화폐 종류) 스터디캐드캠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디카르고 #람다 #리퍼리움 #마로 #메디블록 #메타디움 #모스코인 #무비블록 #밀크 #보라 #센티넬프로토콜 #솔브케어 #시린토큰 #썸씽 #아르고 #아이콘 #아인스타이늄 #아하토큰 #알파쿼크 #엘비와이크레딧 #엠블 #옵져버 #왁스 #이그니스 #캐리프로토콜 #코박토큰 #퀴즈톡 #크레이튼 #톤 #트웰브식스 #페이코인 #플레이탭 #피르마체인 #픽셀 #헌트 #휴먼스케이프 김치코인의 종류 최근들어 가상화페중 대장격인 비트코인이 급등하면서 우리나라에서 만든 가상화폐 역시 급등하고 있다. 대부분의 김치코인들은 우니나라의 특정 거래소에서 상장되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김치코인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단기간에 엄청난 수익율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24시간만 보더라도 전일대비 100%이상 상승하는 코인들도 심심치 않게 볼수 있다. 실제로 김치코인들의 상승율을 살펴보면 2월와 3월대비 하여 상승하지 않은 김치코인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물런 김치코인은 하락율 역시 해외거래소에서도 유통중인 메이저급의 가상화폐 대비하여 크다. 단기간 많은 수익율을 얻을수 있다는 기대감에 많은 사람들이 가상화폐중에서도 김치코인들에 투자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김치코인들은 영세한 기업이 많고 기술력 역시 검증되지 않은 곳이 많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 최근 3월말에는 업비트에서 시린토큰이라는 가상화폐가 업비트에서 상장폐지 되기도 하였다. 여러 매체에서 비트코인의 가격이 최고가를 갱신한다고 연일 보도되고 주변에서 비트코인에 투자해 돈을 벌었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들린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화폐에 투자를 생각하고 있는 분들이나 코인 초보자인 코린이들에게 조금이나마 공부가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여 많은 가상화폐중 “김치코인”이라고 불리우는 우리나라에 만든 가상화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물런 가상화폐에 투자를 절대 권유하는 것은 아니니 스스로 잘 판단해보길 바란다. 참고로 각 코인들의 시가총액 및 발행한도, 상세내용은 업비트 코인 소개글을 인용하였음을 밝힌다. 먼저 표로 김치코인의 종류를 살펴보자. 코인명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리하였다. 상당히 많은 가상화폐가 김치코인에 속하는걸 알수 있다. 최근 NFT 코인이 급등 후 조정장이 시작되면서 관심받고 있는 코인들이 김치코인들이다. NO 코인명 코인약어 비고 1 디카르고 DKA 2 람다 LAMB 3 리퍼리움 RFR 4 마로 MARO 5 메디블록 MED 6 메타디움 META 7 모스코인 MOC 8 무비블록 MBL 9 밀크 MLK 10 보라 BORA 11 센티넬 프로토콜 UP 12 솔브케어 SOLVE 13 시린토큰 상장폐지 14 썸씽 SSX 15 아르고 AERGI 16 아이콘 ICX 17 아인스타이늄 EMC2 18 아하토큰 AHT 19 알파쿼크 AQT 20 엘비와이크레딧 LBC 21 엠블 MVL 22 옵져버 OBSR 23 왁스 WAXP 24 이그니스 IGNIS 25 캐리프로토콜 CRE 26 코박토큰 CBK 27 퀴즈톡 QTCON 28 크레이튼 KLAY 29 톤 TON 30 트웰브식스 12SHIPS 31 페이코인 PCI 32 플레이탭 PLA 33 피르마체인 FCT2 34 픽셀 PXL 35 헌트 HUNT 36 휴먼스케이프 HUM 1. 디카르고 (dKargo) 시가총액 3553.1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5,000,000,000 (총공급량) 디카르고는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의 개방형 물류 네트워크 프로젝트입니다. 기존에 단일 회사가 물류의 전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발생하는 배송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을 개선하여,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디카르고는 글로벌 이커머스에 최적화된 물류 플랫폼, deleo를 핵심 파트너로 두고 있습니다. deleo는 150여개 글로벌 브랜드 및 물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물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deleo는 디카르고와 함께 카카오페이 배송 파트너십을 통해 보다 경쟁력 있는 물류 생태계 구축을 위해 협업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 물류/이커머스 파트너사의 지속적인 생태계 참여를 추진 중입니다. 디카르고 토큰(DKA)은 플랫폼에 참여하게 될 물류 사업자의 서비스 수행을 위한 스테이킹 수단, 이커머스 화주사의 물류 데이터 제공에 대한 리워드 및 기타 플랫폼 참여자들 간 부가 거래수단을 포함한 디카르고 생태계의 기축 통화입니다. 2. 람다 (Lamda) 시가총액 2444.1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10,000,000,000 람다는 블록체인을 이용해서 빠르고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탈중앙화 데이터 스토리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람다 체인과 람다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여 DApp에 무한히 확장 가능한 데이터 스토리지를 제공하고 크로스 체인 데이터 관리, 개인 정보 보호, 멀티 체인 데이터 협조 스토리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람다 토큰은 네트워크 관리자, 채굴자,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참여 인센티브로 제공되어 건강한 탈중앙화 데이터 스토리지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3. 리퍼리움 (Refereum) 최초발행 2018년 2월 12일 시가총액 2409.3억원(21.04.04 기준) 합의 프로토콜 PoC (proof-of-concept) 총 공급량 4,999,650,000 리퍼리움은 게임 산업에 필요한 블록체인 기술입니다. 게임 개발사는 리퍼럴(추천) 마케팅을 통해 전반적인 마케팅 활동을 개선할 수 있으며, 유튜브와 트위치 등에서 활약하는 인플루언서들은 리퍼리움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게이머들에게도 토큰 이코노미에 참여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4. 마로 (Maro) 시가총액 3737.3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1,000,000,000 MARO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들을 위한 인센티브 기반 블록체인입니다. MARO는 개발자,사용자,대표,투표자,광고주 등 모든 참여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안정적이고 활성화된 에코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크로스체인으로 연결된 BFT-DPoS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누구나 손쉽게 MARO를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성, 모바일 적용성, 보안성이 최적화된 블록체인 구축을 위해 노력중입니다. 5. 메디블록 (MediBloc) 최초발행 2017년 11월 13일 시가총액 8158.2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8,388,959,432 메디블록(MediBloc)은 여러 기관에 흩어져있는 의료정보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포함한 여러 기기를 통해 생산되는 모든 의료정보를 안전하게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정보 오픈 플랫폼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 소비자는 본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완전한 소유 및 관리권한을 행사할 수 있고, 의료 공급자는 의료 소비자의 동의 하에 의료정보를 기록하거나 연구 등의 목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메디블록은 플랫폼에서 사용될 디지털 자산인 MED(Medi token)를 발행해 참여자는 그 기여도에 따라 MED를 활용해 보상을 받게 되는데, 의료 소비자 뿐만 아니라 의료정보의 생산에 기여한 의료 공급자도 기여 정도에따라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MED는 또한 메디블록과 연계된 여러 기관에서 의료비, 약제비, 보험료 등 여러가지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6. 메타디움 (Metadium) 시가총액 4982.1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2,000,000,000 메타디움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탈중앙화된 신원인증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현재의 중앙화된 신원인증 체계에서는 개인정보의 소유권이 온전히 개인에게 있다고 보기 힘듭니다. 메타디움은 메타 ID(Meta ID)를 통해 사용자가 개인정보의 생성, 관리, 제공, 삭제 등에 있어 모든 권한을 가지게 하여 개인정보의 자기 소유권을 보장하고자 합니다. 7. 모스코인 (Moss Coin) 시가총액 1270.5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500,000,000 모스코인은 Mossland 서비스 내에서 Property 나 Accessary 를 구매하거나, P2P 광고를 집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입니다. Mossland는 현실의 부동산을 소재로 하는 위치 기반 (Location Based),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모바일 게임 서비스로, 사용자는 주변의 현실 건물들을 게임 플레이를 통해 획득하고, 사거나 팔 수 있습니다. 8. 무비블록 (MovieBloc) 시가총액 2140.3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30,000,000,000 무비블록은 Pandora TV 및 KMPlayer 개발사가 추진하는 영상 콘텐츠 공유 생태계입니다. 창작자는 다양한 영화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간자인 큐레이터는 발굴한 콘텐츠를 유저에게 추천하고, 자막 제공 및 홍보에 기여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비블록(MovieBloc) 토큰은 7월 말 베타런칭할 MovieBloc 서비스 내에서 모든 경제 활동을 하는데 사용됩니다. 컨텐츠 감상, 타 유저 도네이션, 작품 크라우드펀딩 등 폭넓게 사용될 예정입니다. 타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토큰이 실제로 생활에서 쓰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무비블록은 KMPlayer의 전세계 유저를 기반으로 초기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9. 밀크 (MiL.K) 시가총액 3121.4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1,300,000,000 밀크(MiL.k)는 여행, 여가, 라이프스타일 분야의 서비스들을 블록체인을 통하여 연결하는 글로벌 프로젝트이며, 블록체인 기술의 Real use case를 증명할 플랫폼입니다. 한국 최고의 종합 여행/여가 플랫폼이자 유니콘 기업인 야놀자를 필두로 항공, 면세, 모바일 쇼핑, 모빌리티 등 다양한 기업들이 서비스 파트너로 밀크와 함께 할 것이고, 여행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해외 기업들의 참여를 위한 협의도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밀크(MLK)은 플랫폼에 가입한 서비스 파트너 기업들의 리워드 포인트의 거래수단으로서 밀크 생태계의 기축 통화입니다. 10. 보라 (BORA) 시가총액 3994.5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1,205,750,000 BORA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BORA는 기존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가용성과 성능, 확장성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이중 네트워크 및 토큰을 구현하여 메인넷과 별도로 분리된 확장에 제한이 없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빠른 처리속도와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BORA는 투명성, 보안성 및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에서의 콘텐츠 유통과 서비스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들은 BORA 토큰을 이용하여 디지털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다양한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고, 또한 BORA 토큰은 플랫폼의 마일리지, 프로모션 등에도 이용 가능합니다. 11. 센티넬 프로토콜 (Sentinel Protocol) 시가총액 1660.5억원(21.04.04 기준) 합의 프로토콜 DPoS (Delegated Proof of Stake) 총 공급량 500,000,000 Sentinel Protocol은 세계 최초의 크라우드 소싱 위협평판 데이터베이스(TRDB) 플랫폼으로, 블록체인의 분권화 및 집단 지성을 활용한 보안기술을 통해 사이버세계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과 조직에게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제시함으로써 악의적인 위협과 공격 및 사기거래로부터 소중한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TRDB에 보안위협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 정부조직 및 개인사용자에게 UPP코인을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보상시스템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센티넬프로토콜이 만들어 가는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조성하고자 합니다. 12. 솔브케어 (Solve.Care) 시가총액 1929.4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1,000,000,000 솔브케어는 글로벌 의료서비스 플랫폼으로, 블록체인을 통해 수많은 의료 관계자와 거래에서 생기는 복잡성을 제거하고 의료 관리의 부담을 줄임으로써 시스템의 낭비를 최소화합니다. 솔브케어는 환자와 보험사, 의료서비스 제공자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증진하고 지불절차를 간소화하는 의료서비스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의료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세 가지 주요 비용인 진료, 관리 그리고 금융 비용을 모두 다루게 됩니다. 13. 시린토큰 (Sirin Labs) – 업비트 상장폐지 14. 썸씽 (SOMESING) 시가총액 362.6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5,000,000,000 소셜 뮤직 서비스 SOMESING은 블록 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제작자는 누구나 좋아하는 곡을 즐기고 창작 활동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고안된 플랫폼입니다. 노래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썸씽 앱을 통해 연중 무휴 24시간 전곡을 무료로 부를 수 있습니다. 새로 만든 노래 콘텐츠에 대한 커뮤니티를 통한 선물, 지원, 이벤트를 통해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짜여진 생태계입니다. 15. 아르고 (Aergo) 시가총액 1414.6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500,000,000 아르고는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각각의 장점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입니다. 아르고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퍼블릭 블록체인에 연결하길 원하는 기업들에게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빠른 성능, 안전성 그리고 쉬운 사용성을 두루 갖춘 퍼블릭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구축된 분산형 생태계를 지향하며, 개발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기업들로 하여금 퍼블릭 인프라에서 DApp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16. 아이콘 (Icon) 최초발행 2017년 10월 27일 시가총액 1.7조원(21.04.04 기준) 합의 프로토콜 LFT 총 공급량 800,460,000 2017년에 시작된 아이콘은 다양한 블록체인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글로벌 ‘인터체인’ 프로젝트로서, ICX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아이콘은 초연결사회(Hyperconnect the World)의 비전 아래, 고성능 블록체인 엔진 ‘루프체인’과 국내외 기업들과의 협약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및 서비스 기획, 다양한 디앱(DApp) 프로젝트 발굴과 엑셀러레이팅을 지원합니다. 프라이빗 체인은 물론 퍼블릭 체인까지 사업을 확장하는 등 블록체인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되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17. 아인스타이늄 (Einsteinium) 시가총액 1191.0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245,465,283 합의 프로토콜 POW 비 영리 단체가 교육을 위한 클라우드펀딩을 목적으로 만든 코인으로 과학, 학교, IT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아인스타이늄 채굴시 자동으로 한 블록의 2%가 설립펀드로 기부되며 모든 종류의 지구 과학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아인스타이늄의 채굴층은 일명 시대(Epoch)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시대는 36,000개의 코인이 있어 25일동안 채굴이 가능합니다. 지원하고 싶은 프로젝트의 시대를 채굴하면 채굴량에 따라 자동으로 아인스타이늄이 후원되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18. 아하토큰 (AhaToken) 아하는 궁금한점을 질문하면 각 분야 전문가로 부터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지식Q&A서비스 입니다. 사용자는 질문, 답변, 콘텐츠 큐레이션 활동을 통해서 디지털 자산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가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합니다.아하는 온라인상에 존재하는 광고, 홍보 등의 어뷰징 문제를 해결하고, 신뢰성과 전문성을 담보할 수 있는 지식콘텐츠를 만듭니다. 19. 알파쿼크 (Alpha Quark Token) 시가총액 832.8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30,000,000 알파쿼크(Alpha Quark)는 모바일 페이먼트 기능을 이용, 디지털화 된 지적재산권과 같은 무형의 상품을 구매할 때 활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구매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은 저작수익을 청구할 수 있는 상품으로서 영화 판권, 드라마 판권, 음원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웹툰 판권, 인쇄출판물 판권 등이 있으며, 알파쿼크 팀은 이와 같은 다양한 지적재산권을 통해 발생하는 저작권료의 현금흐름을 평가하고 미래 가치를 합리적으로 추정하여 현재의 가치로 유동화하여 유저들이 손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20. 엘비와이크레딧 (LBRY Credits) 최초발행 2016년 7월 6일 시가총액 2158.1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1,083,202,000 합의 프로토콜 PoW BRY는 비디오, 음악, 게임 등의 방대한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콘텐츠 프로토콜입니다. LBRY는 할리우드 영화부터 유투버 톱에 이르기까지 많은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LBRY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앱(https://lbry.com/get), 웹 사이트 https://lbry.tv)을 통해 데스크탑 컴퓨터나 휴대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LBRY Credits(LBC)는 LBRY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게시, 구입 및 지원하는 데 사용됩니다. LBC는 또한 오픈소스 탑/트렌딩 알고리즘을 통해 콘텐츠의 발견을 돕고 검색 결과의 관련성을 높이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21. 엠블 (MVL) 시가총액 7942.0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30,000,000,000 MVL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든 자동차 서비스 영역을 하나로 연결합니다. 차량의 오너, 운전사, 정비사, 중고차 딜러 등 양질의 데이터 생산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공정한 리워드를 받으며, 모든 참여자와 함께 투명하게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모빌리티 생태계를 추구합니다. 22. 옵저버 (Observer) 시가총액 1258.6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15,000,000,000 옵저버는 기상관측 및 기상 빅데이터 클라우드 소싱 플랫폼입니다. 옵저버에서 자체 개발한 “웨더스테이션”과 “관측앱”을 통해서 일반인 누구나 기상관측에 참여할 수 있고 참여자는 OBSR 토큰을 보상 받게 됩니다. 기존 국가의 정규관측망에서는 커버 못하는 지역의 관측 데이터를 수집합으로써 촘촘한 관측망을 구축하게 됩니다. 옵저버 플랫폼을 통하여 마이크로 스케일의 기상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예측/예보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기상 산업의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23. 왁스 (WAX) 최초발행 2017년 12월 29일 시가총액 4636.4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3,770,303,327 Opskins라는 회사에서 디지털 자산의 손쉬운 거래를 목표로 개발한 코인입니다. 여기서 디지털 자산은 게임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아이템’을 지칭합니다. Opskins 웹이라는 아이템 거래시장에서 사용되는 전자화폐이며 Opskins 플랫폼은 엄청난 결제건수와 많은 유저수를 보유하고 있어 경쟁 플랫폼 대비 높은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24. 이그니스 (Ignis) 최초발행 2018.1.1 시가총액 2657.3억원(21.04.04 기준) 블록 생성주기 약 1분 총 발행한도 999,449,694 합의 프로토콜 PoS 이그니스는 아더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토큰입니다. 여기서 아더는 NXT의 오픈소스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에서 불필요한 부분은 줄이고 용량 문제를 해결한 메인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메인 플랫폼은 비즈니스에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차일드체인으로 지원하며, 사용자는 원하는 차일드 체인을 사용하여 비즈니스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그니스는 그 첫번째 차일드 체인으로 차일드 체인 운영에 사용될 토큰입니다. 25. 캐리프로토콜 (Carry Protocol) 시가총액 3062.7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8,977,684,546 캐리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오프라인 커머스 시장에 흩어져 있는 결제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방대한 오프라인 거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캐리 생태계 안에서 소비자들은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고, 점주들은 매장별 개별 토큰(BT, 브랜디드 토큰)을 발행하여 고객과 소통하며, 광고주는 효율적인 마이크로 타겟팅 광고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26. 코박토큰 (Cobak Token) 시가총액 412.8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100,000,000 CBK는 코박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ERC20 기반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코박은 국내 최대 규모의 앱 기반 암호화폐 플랫폼으로 일일이용자 수 60,000, 누적 앱 다운로드 300,000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BK 토큰은 (1) 코박 내 상품 및 서비스 지불 수단 (2) 멤버십 혜택을 위한 수단 (3) 커뮤니티 활동 및 서비스 기여에 대한 보상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27. 퀴즈톡 (Quiztok) 시가총액 1035.1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12,000,000,000 퀴즈톡은 유저가 블록체인 기반 광고 콘텐츠의 크리에이터, 퀴즈의 플레이어, 소비자가 되는 탈중앙화 지식공유 플랫폼입니다. QTCON을 지불하여 퀴즈에 광고를 올릴 수 있는 분산형 광고 시스템도 제공합니다. 모든 참여자들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소비자, 광고 제작자와 소비자로서의 활동을 기반으로 보상을 공유합니다. 28. 크레이튼 (Klaytn) 29. 톤 () 시가총액 744.0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50,000,000 토카막 네트워크는 디앱들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생태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디앱 개발자들이 블록체인의 분산화 네트워크 위에서 본인들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ㆍ운영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속도인 TPS를 확장하고 네트워크 수수료인 가스비를 절감할 수 있게 플라즈마와 롤업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며, 궁극적으로는 누구나 손쉽게 TON 토큰으로 플라즈마와 롤업과 같은 Layer-2 체인을 운영하여, 이더리움 및 분산화된 블록체인 위에서 자유로운 유저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구현합니다. 30. 트웰브식스 (12SHIPS) 시가총액 2306.0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4,981,037,176 트웰브쉽스의 해시머신인 판옥선은 친환경 침전식 냉각방식의 채굴기를 메인 프로젝트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침전식 냉각방식의 판옥선II는 고성능, 고효율일 뿐만 아니라 소음과 먼지가 없어 다양한 장소에 소규모로 도입이 가능하고, 발생된 열 에너지를 재사용할 수 있어 열에너지를 이용한 다양한 산업에 도입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트웰브쉽스는 넥셀과의 파트너십으로 지속적으로 반도체 기술을 개발해가며 판옥선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트웰브쉽스의 토큰인 TSHP는 마이닝풀인 한산도의 거버넌스에 사용되며 이 토큰 거버넌스를 통해 마이닝풀인 한산도풀은 기존 마이닝풀들의 불투명한 거버넌스에서 탈피하고 투명하고 민주적인 운영을 지향합니다. 어떤 코인을 채굴할지 와 채굴된 코인에 대한 의사결정 등이 한산도 풀내 토큰 홀더들의 스마트보팅에 의해 민주적으로 결정됩니다. 31. 페이코인 (PayCoin) 시가총액 – 총 공급량 3,941,000,000 페이코인(PCI)은 한국의 통합결제 비즈니스 전문기업 다날이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온/오프라인 결제 가맹점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결제 플랫폼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페이코인은 다날의 20년 노하우가 담긴 결제 시스템을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하여, 높은 수수료율과 느린 정산주기 등 기존 결제 프로세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성과로 페이프로토콜은 가맹점 POS(Point of Sale) 시스템의 페이코인 결제를 위한 API와 SDK를 제공하여 CU, 골프존파크, 교보문고, 세븐일레븐, 달콤커피, 도미노피자, SSG PAY, KFC 등 많은 가맹점을 확보한 바 있습니다. 32. 플레이댑 (PlayDapp) 총 발행한도 700,000,000 PlayDapp은 개인간(C2C)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는 dApp 게임 포털입니다. 모든 PlayDapp 게임은 상호 운용이 가능하며 게이머들이 NFT(Non-Fungible Tokens)로 즐길 수 있는 게임 콘텐츠 포트폴리오를 제공합니다. 33. 피르마체인 (FirmaChain) 시가총액 757.4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600,000,000 피르마체인은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특성을 이용해 위변조 문제를 해결, 비용절감 및 전자계약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블록체인 기반 전자계약, 데이터 저장소 플랫폼입니다. 피르마체인의 전자 계약은 블록체인을 통해 협상과 거래 이력 등 모든 정보를 위변조 없이 투명하게 기록, 블록체인을 통해 인증된 라이센서와 라이센시가 직접 만날 필요 없이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계약 체결이 가능합니다. 또한, 피르마체인의 데이터 저장소에는 사용자와 채굴자 간의 파일 저장 계약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채굴자에게 저장할 파일을 전송,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 채굴자는 파일을 암호화한 후, 파일의 복제 및 암호화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는 파일 저장 증명을 블록체인에 전파합니다. 34. 픽셀 (PIXEL) 총 공급량 987,500,000 픽션 네트워크는 창작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이며, 누적 1800만 방문유저를 기록한 무료 웹툰 서비스인 배틀코믹스팀에 의해 기획되었습니다. PXL을 통해 창작자들은 중간자를 거치지 않고 온전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모든 내역이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저작권 분쟁으로부터 또한 자유로울 수 있게 됩니다. 2019년 10월 2일 플랫폼 출시 이후 던전앤파이터와 협업하여 팬아트 콘텐츠를 공급하는 등 등록된 작품 약 7,500개, 2020년 2월 기준 16만 MAU 이상을 기록하며 꾸준히 성장해 나가고 있는 콘텐츠 공유 플랫폼입니다. 2021년 3월 26일 기준 – 총 발행가능 물량: 987,500,000 PXL | 총 유통물량 (KCT + ERC) : 557,577,505 PXL (56.46%) 35. 헌트 (HUNT) 시가총액 829.8억원(21.04.04 기준) 총 발행한도 210,129,104 헌트는 전 세계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dApp 그룹입니다. 헌트는 게임화된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포스트 워크(post-work) 와 디지털 노마드 생활로 전환 중인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dApp 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6. 휴먼스케이프 (Humanscape) 시가총액 1644.6억원(21.04.04 기준) 총 공급량 1,084,734,273 Humanscape는 충분히 많은 수의 환자들로부터 정교하게 시스템화된 정보가 아직 정복되지 않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PGHD (환자로부터 추출된 건강 데이터)는 전체 건강 데이터 양의 약 60 %를 차지합니다. 그러나, PGHD를 수집하고 구성할 수 있는 견고한 플랫폼이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파편화 된 형태로만 존재합니다. Humanscape는 이와 같이 파편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소스로 통합하여 모든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자유롭게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제약회사 및 연구기관의 치료제 개발, 임상시험에 사용되며,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자신의 데이터가 원하지 않는 곳에 사용되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인쇄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가상 화폐 종류
Bing에서 가상 화폐 종류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가상 화폐 종류.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가상 화폐 종류 가상화폐 순위, 가상화폐 종류와 특징, 미국코인 종류, 가상화폐 종류 전망, 에너지 코인 종류, 코인 종류 사이트, 토큰 종류, 채굴 코인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