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공유 폴더 연결“?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1.castu.org 탐색에서: c1.castu.org/blog.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공유 폴더 연결 공유폴더 접속안됨, 공유폴더 설정, 공유폴더 만들기, 윈도우10 공유폴더 접속안됨, 다른 네트워크 공유폴더 접근, 공유폴더 ip 접근, 네트워크 공유폴더 연결 안됨, 공유폴더 비밀번호
- 공유 폴더를 길게 누르거나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합니다.
- 속성을 선택한 다음 공유 탭에서 고급 공유를 선택합니다.
- 권한을 선택하고 모든 사람의 모든 권한에 대해 허용을 선택한 다음 Enter 키를 누릅니다.
- 고급 공유 대화 상자에서 확인을 선택합니다.
Table of Contents
파일 탐색기에서 공유 폴더에 액세스할 수 없음 – Windows Client
제어판>네트워크 및 인터넷>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이동하여 왼쪽 창에서 어댑터 설정 변경을 선택한 다음 이더넷을 두 번 클릭합니다.
오른쪽 창에서 TCP/IP NetBIOS Helper를 두 번 클릭하고 시작 유형 속성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고급을 선택하고 WINS 탭에서 NetBIOS over TCP/IP 사용을 선택한 다음 Enter 키를 누릅니다.
- Source: learn.microsoft.com
- Views: 97477
- Publish date: 43 minute ago
- Downloads: 20477
- Likes: 1206
- Dislikes: 3
- Title Website: 파일 탐색기에서 공유 폴더에 액세스할 수 없음 – Windows Client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49271
- Date: 13 hours ago
- Download: 42606
- Likes: 229
- Dislikes: 5
파일 탐색기에서 공유 폴더에 액세스할 수 없음 – Windows Client
TCP/IP NetBIOS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작으로 이동합니다.
검색으로 이동하여 서비스라는 단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오른쪽 창에서 TCP/IP NetBIOS Helper를 두 번 클릭하고 시작 유형 속성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제어판>네트워크 및 인터넷>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이동하여 왼쪽 창에서 어댑터 설정 변경을 선택한 다음 이더넷을 두 번 클릭합니다.
속성을 선택하고 네트워킹 탭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두 번 클릭합니다.
고급을 선택하고 WINS 탭에서 NetBIOS over TCP/IP 사용을 선택한 다음 Enter 키를 누릅니다.
사내 컴퓨터 공유폴더 만들기 및 접속하는 방법 – Windows 10
사내에서 파일을 주고받거나 여러 명에게 공유를 해야 할 때 공유폴더, USB, 메신저, 클라우드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 공유폴더는 폴더에 파일을 넣어두기만 하면 끝이기 때문에 파일을 배포하기가 매우 편리합니다.
또한 팀원끼리 하나의 문서를 공유하며 작성해야 할 경우 매번 파일을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지만, 공유폴더를 이용하면 파일 이동 없이 하나의 문서를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원하시는 공유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M)…”을 선택합니다.
30 thg 6, 2022 — 1. 공유폴더로 설정할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속성(R)”을 선택합니다. · 2. [공유] 탭에서 “고급 공유(D)…” 버튼을 클릭합니다. · 3. [ …
- Source: pcdoit.com
- Views: 5527
- Publish date: 51 minute ago
- Downloads: 44316
- Likes: 7720
- Dislikes: 4
- Title Website: 사내 컴퓨터 공유폴더 만들기 및 접속하는 방법 – Windows 10
- Description Website: 30 thg 6, 2022 — 1. 공유폴더로 설정할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속성(R)”을 선택합니다. · 2. [공유] 탭에서 “고급 공유(D)…” 버튼을 클릭합니다. · 3. [ …
윈도우10 네트워크 공유폴더 연결 설정하는 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50764
- Date: 7 hours ago
- Download: 102672
- Likes: 5165
- Dislikes: 5
사내 컴퓨터 공유폴더 만들기 및 접속하는 방법
OS환경 : Windows 10
회사에서 컴퓨터로 업무를 보게 되면 필수로 사용하게 되는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공유폴더 입니다.
사내에서 파일을 주고받거나 여러 명에게 공유를 해야 할 때 공유폴더, USB, 메신저, 클라우드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 공유폴더는 폴더에 파일을 넣어두기만 하면 끝이기 때문에 파일을 배포하기가 매우 편리합니다.
또한 팀원끼리 하나의 문서를 공유하며 작성해야 할 경우 매번 파일을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지만, 공유폴더를 이용하면 파일 이동 없이 하나의 문서를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래 4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옵션 설정 공유폴더 만들기 공유폴더 접속하기 공유폴더 바로가기 및 네트워크 드라이브 만들기
※ 알려드립니다
공유폴더는 같은 사내망 또는 같은 공유기망 끼리만 사용 가능합니다.
사내 보안정책에 따라 공유폴더 사용이 막혀있을 수도 있습니다.
공유폴더 사용 시 메인 컴퓨터(공유폴더를 만든 컴퓨터)는 켜져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너무 많은 인원이 접속 시 속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로 인하여 공유폴더 설정이 초기화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공유폴더 네트워크 옵션 설정
공유폴더를 사용하기 앞서 네트워크 옵션을 설정해야 합니다.
1. 탐색기를 열어줍니다. (단축키 : 윈도우키+E)
2. 네트워크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2-1. 만약 해당 경고창이 발생했다면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설정에 따라 경고창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이번에는 네트워크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속성(R)”을 선택합니다.
4.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에서 [고급 공유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5. 고급 공유 설정에서 첫 번째로 [게스트 또는 공용(현재 프로필)] 탭 옵션을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6. 두 번째로 [개인] 탭 옵션을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7. 마지막으로 [모든 네트워크] 탭 옵션을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공유폴더 만들기
이제 공유폴더를 만들어볼 차례입니다.
1. 공유폴더로 설정할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속성(R)”을 선택합니다.
2. [공유] 탭에서 “고급 공유(D)…”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선택한 폴더 공유(S)] 체크박스를 체크한 뒤 “권한(P)” 버튼을 클릭합니다.
4. “Everyone”을 선택하고 “모든 권한”에 허용을 체크한 뒤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이번에는 “공유(S)…” 버튼을 클릭합니다.
6. “V” 버튼을 클릭하여 “Everyone”을 선택하고 “추가(A)” 버튼을 클릭합니다.
7. 추가된 Everyone의 권한을 [읽기/쓰기]로 변경하고 “공유(H)”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완료(D)” 버튼을 클릭하여 마무리합니다.
※ 공유폴더 아래에 보이는 [ \\Desktop-bscipc5\공유폴더 ]가 공유폴더 접속 경로입니다.
공유폴더 접속하기
공유폴더를 접속하기 위해 접속하실 컴퓨터에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공유폴더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공유폴더 접속 경로가 필요합니다.
공유폴더의 접속경로는 공유폴더를 만들면서 나오게 되는 컴퓨터 이름 접속경로
그리고 공유폴더를 만들어놓은 컴퓨터의 IP를 이용한 접속경로 2가지가 있습니다.
해당 컴퓨터 이름 접속경로는 공유폴더를 만들면서 나타나게 되며
컴퓨터의 IP를 찾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
2022.06.07 – [컴퓨터/왕초보] – 간단하게 컴퓨터 IP주소 확인하는 방법 – Windows 10
이번 포스팅에서의 컴퓨터 이름 접속 경로는 [ \\Desktop-bscipc5 ]이며
공유폴더가 만들어져 있는 컴퓨터의 IP를 이용한 접속경로는 [ \\192.168.1.41 ]입니다.
1. 실행창(단축키 : 윈도우키 + R)에 공유폴더의 접속경로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나타난 탐색기에서 해당 공유폴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유폴더 바로가기 및 네트워크 드라이브 만들기
매번 실행창에 경로를 입력하여 공유폴더를 사용하기에는 번거로움이 많습니다.
번거로움을 줄이고 일반 폴더처럼 바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2가지가 있습니다.
공유폴더의 바로가기를 만드는 방법과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간단하니 천천히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A. 공유폴더 바로가기 만들기
1. 원하시는 공유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바로 가기 만들기(S)”을 선택합니다.
2. 아래와 같은 경고창이 나타나게 되면 “예(Y)”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바탕화면에 해당 공유폴더가 생성되었습니다.
B. 네트워크 드라이브 만들기
1. 원하시는 공유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M)…”을 선택합니다.
2. 원하는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 후 [로그인할 때 다시 연결(R)] 체크박스에 체크합니다.
※ 드라이브 문자는 아무거나 선택하셔도 무방합니다.
3. “마침(F)”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탐색기에 해당 공유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사내 컴퓨터 공유폴더 만들기 및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관련하여 추가할 내용이 있다면 본문에 추가해 놓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궁금하신 내용이나 막히는 부분이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네트워크 공유 폴더 연결하는 방법!! – 핫앤쿨
12) ‘추가’를 클릭하면 ‘선택할 개체 이름’을 적는 칸이 있는데, ‘Everyone’ 을 적고 확인을 클릭한다.
네트워크 공유 폴더는 같은 네트워크 작업 그룹에 속해 있다면 누구나 해당 폴더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다.
8) 이렇게 하면 아래와 같이 폴더가 공유되었고, 다음으로 쉽게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로 넘어간다.
22 thg 4, 2021 — 1) 네트워크 파일 우클릭 후 ‘속성’ 클릭한다. · 2) 좌측에 있는 ‘고급 공유 설정 변경’ 클릭한다. · 3) 아래와 같이 차례대로 설정한 후 ‘변경 내용 저장’ …
- Source: hot-and-cool.tistory.com
- Views: 47458
- Publish date: 13 hours ago
- Downloads: 28585
- Likes: 8323
- Dislikes: 7
- Title Website: 네트워크 공유 폴더 연결하는 방법!! – 핫앤쿨
- Description Website: 22 thg 4, 2021 — 1) 네트워크 파일 우클릭 후 ‘속성’ 클릭한다. · 2) 좌측에 있는 ‘고급 공유 설정 변경’ 클릭한다. · 3) 아래와 같이 차례대로 설정한 후 ‘변경 내용 저장’ …
윈도우 네트워크 파일공유 세팅과 연결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57984
- Date: 21 hours ago
- Download: 9007
- Likes: 7822
- Dislikes: 1
네트워크 공유 폴더 연결하는 방법!!
학교 단체나 회사에서 PC를 사용하다보면 파일을 공유해야할 경우가 종종 있다.
E-mail 또는 USB 로 파일을 옮길 수 있지만, 빈도가 잦을 경우에는 번거로운 일이다.
이렇게 번거로운 일은 네트워크 공유 폴더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공유 폴더는 같은 네트워크 작업 그룹에 속해 있다면 누구나 해당 폴더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다.
네트워크 공유 폴더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네트워크 파일 우클릭 후 ‘속성’ 클릭한다.
2) 좌측에 있는 ‘고급 공유 설정 변경’ 클릭한다.
3) 아래와 같이 차례대로 설정한 후 ‘변경 내용 저장’을 클릭한다.
* 개인 – 네트워크 검색 켜기 /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 게스트 또는 공용 – 네트워크 검색 켜기 /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 모든 네트워크 – 네트워크 공유 켜기 / 암호화 사용 / 암호 보호 공유 끄기
4) 네트워크에서 공유할 ‘폴더’를 생성한다.
5) 새로만든 폴더의 우클릭 후 ‘속성’에 들어가서 두번째 탭 ‘공유’에서 ‘공유’를 클릭한다.
6) 공유할 사람을 선택하는 단계로써 ‘Everyone’을 클릭하여 추가한다.
7) 추가된 Everyone의 사용 권한 수준을 ‘읽기/쓰기’ 선택하여 공유를 클릭한다.
8) 이렇게 하면 아래와 같이 폴더가 공유되었고, 다음으로 쉽게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로 넘어간다.
9) 공유 폴더의 속성에서 두번째 탭 ‘공유’에 있는 ‘고급 공유’를 클릭한다.
10) ‘선택한 폴더 공유’를 선택하고 ‘주석’에 간단히 입력 후 ‘권한’을 클릭한다.
11) Everyone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다 ‘허용’으로 하고 그 위에 있는 ‘추가’를 클릭한다.
12) ‘추가’를 클릭하면 ‘선택할 개체 이름’을 적는 칸이 있는데, ‘Everyone’ 을 적고 확인을 클릭한다.
13) 여기까지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네트워크 경로가 나오는데 복사를 해둔다.
14) ‘네트워크’ 우클릭 후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을 클릭한다.
15) 아까 복사해둔 ‘네트워크 경로’를 붙여 넣고 마침을 클릭한다.
16) 여기까지 했다면 네트워크 공유 폴더가 생성되었을 것이다.
여러 사람과 공동 작업을 해야한다거나 여러 컴퓨터에서 파일을 공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네트워크 공유 폴더가 반드시 필요하다.
단, 공공장소에서 이러한 공유 폴더를 설정할때는 반드시 암호화를 통하여 보안에 유의하길 바란다.
윈도우 10 공유폴더 만들기 및 접속하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 …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의 공유 기능을 이용해서 공유폴더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동일한 네트워크 상(같은 공유기로 연결되어있는 컴퓨터나 프린터 등)에 있는 컴퓨터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아도 각 공유폴더에 접속해서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을 보내는 것보다 편하고 공유폴더에 옮겨 놓기만 해도 공유가 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사람들에게 파일을 공유해 줄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공유 방법, 공유 폴더 설정, 공유폴더에 접속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공유폴더를 만들어 두면 특별히 이메일을 통해 공유하지 않아도 정보가 필요한 사람이 접속해서 필요한 파일을 복사해갈 수도 있고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도 공유기만 있다면 내부망을 만들 수도 있어서 매우 편리합니다.
우선 공유하려는 컴퓨터의 아이피를 고정시켜야 합니다. 공유기를 쓰면서 특별히 설정하지 않았다면 IP가 계속 바뀌는 설정으로 되어있는데요. 어느 컴퓨터에서든 내 컴퓨터로 바로 접속하려면 IP(주소)가 고정되어 있어야 외우고 있다가 접속하기 쉽습니다. 계속 바뀌면 찾을 수 없겠죠
9 thg 2, 2021 — 1) 공유폴더로 설정하고 싶은 폴더에 오른쪽을 클릭하여 속성을 눌러 줍니다. · 2) 공유 탭에서 공유를 클릭합니다. · 3) 공유할 사람에 Everyone , guest를 …
- Source: mirunamuman.tistory.com
- Views: 67713
- Publish date: 7 minute ago
- Downloads: 9408
- Likes: 4168
- Dislikes: 5
- Title Website: 윈도우 10 공유폴더 만들기 및 접속하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 …
- Description Website: 9 thg 2, 2021 — 1) 공유폴더로 설정하고 싶은 폴더에 오른쪽을 클릭하여 속성을 눌러 줍니다. · 2) 공유 탭에서 공유를 클릭합니다. · 3) 공유할 사람에 Everyone , guest를 …
네트워크공유폴더연결, 윈도우10네트워크공유, 윈도우10공유폴더, 윈도우10네트워크연결, 네트워크폴더공유, 네트워크공유폴더, 윈도우10공유, 공유폴더연결, 네트워크컴퓨터
- Source: Youtube
- Views: 95599
- Date: 14 hours ago
- Download: 72341
- Likes: 8111
- Dislikes: 6
윈도우 10 공유폴더 만들기 및 접속하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 입력 해결)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의 공유 기능을 이용해서 공유폴더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동일한 네트워크 상(같은 공유기로 연결되어있는 컴퓨터나 프린터 등)에 있는 컴퓨터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아도 각 공유폴더에 접속해서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을 보내는 것보다 편하고 공유폴더에 옮겨 놓기만 해도 공유가 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사람들에게 파일을 공유해 줄 수 있습니다.
요즘은 NAS서버 등도 많이 사용하시는지만 Window 공유 기능도 꽤 쓸만합니다. 또한 꼭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내부망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굉장히 유용합니다.
1 내 컴퓨터의 아이피 고정시키기
우선 공유하려는 컴퓨터의 아이피를 고정시켜야 합니다. 공유기를 쓰면서 특별히 설정하지 않았다면 IP가 계속 바뀌는 설정으로 되어있는데요. 어느 컴퓨터에서든 내 컴퓨터로 바로 접속하려면 IP(주소)가 고정되어 있어야 외우고 있다가 접속하기 쉽습니다. 계속 바뀌면 찾을 수 없겠죠
1) 윈도우 하단의 네트워크를 클릭
2) 어댑터 옵션 변경 클릭
3) 이더넷에 오른쪽 클릭하여 상태를 선택합니다.
4) 이더넷 상태에서 자세히를 클릭합니다.
5) 본인의 현재 IP 주소가 나와있습니다. 수동으로 설정할 때는 해당 내용들을 직접 입력해줘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전체를 찍어 둡니다.
6) 그런 다음 다시 이더넷에서 속성을 클릭합니다.
7)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클릭하고 속성을 눌러줍니다.
8) 자동으로 IP주소 받기 -> 다음 IP 주소 사용으로 바꿔줍니다.
아까 찍어두었던 사진을 참조하여 아래 내용을 완성해야 하는데요
IP 주소 : 본인이 쓰고 싶은 주소를 기입합니다. 아이피타임 기준 192.168.0. 까지는 바꾸지 마시고 마지막 자리를 2~253 사이의 숫자를 넣어줍니다. 저는 192.168.0.102로 지정하였습니다!
설정한 IP는 꼭 외워두세요!
그 후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기본 설정 DNS 서버”, “보조 DNS 서버”는 찍어둔 사진 그대로 입력합니다.
이렇게 하여 컴퓨터의 IP 고정이 완료되었습니다.
2 공유 설정
1) 고급 네트워크 설정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를 클릭합니다.
2) 고급 공유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3) 다른 네트워크 프로필에 대한 공유 옵션 변경에서 “개인”, “게스트 또는 공용”, “모든 네트워크”의 화살표를 눌러 빨간색 표시한 것처럼 설정해줍니다.
네트워크 검색 켜기,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네트워크 검색 켜기,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네트워크 액세스 권한이 있는 모든 사용자가 공용 폴더의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도록 공유 켜기, 암호 보호 공유 끄기를 선택하시고 변경내용 저장을 눌러줍니다.
이러면 공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3 공유폴더 만들기
1) 공유폴더로 설정하고 싶은 폴더에 오른쪽을 클릭하여 속성을 눌러 줍니다.
2) 공유 탭에서 공유를 클릭합니다.
3) 공유할 사람에 Everyone , guest를 입력하고 추가를 눌러주면 아래로 추가됩니다.
공유할 사람마다 권한 수준을 선택해 줄 수 있으나 읽기로 설정해서 마음대로 삭제할 수 없고 보기만 하도록 설정하겠습니다.
읽기 : 파일 복사, 읽기만 가능
쓰기 : 파일을 수정하거나 삭제가능
4) 폴더 공유가 설정되었습니다. 완료를 눌러주고 추가 설정을 합시다.
5) 고급 공유를 클릭합니다.
6) 고급 공유에서 선택한 폴더 공유 체크!
그리고 권한을 클릭합니다.
7) 공유 사용 권한의 추가를 눌러줍니다.
8) 아까와 마찬가지로 guest , everyone을 각각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 혹시 이미 있으면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9) 마찬가지로 권한은 읽기만 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이러면 공유 폴더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4 다른 컴퓨터에서 공유폴더에 접속하기
내 컴퓨터에 공유폴더를 만들었으니 이제 다른 사람 컴퓨터에서 공유폴더에 접속해봅시다
1) 아무 폴더에 들어가서 주소창에 \\192.168.0.102 라고 입력합니다.
\\주소 형태로 입력합니다.
아까 아이피 고정했을 때 설정했던 주소입니다.
2) 그럼 내 컴퓨터에서 공유되고 있는 폴더 목록이 뜹니다.
이 중에서 아까 설정했던 폴더에 오른쪽을 클릭하고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클릭합니다.
3) 특별히 설정할 것은 없습니다. 바로 마침을 눌러줍니다.
4) 내 컴퓨터에 네트워크 위치라는 항목이 생성되고 공유폴더 바로가기가 만들어졌습니다.
이제 이곳을 클릭하면 주소 입력 없이 아까 전의 공유폴더로 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유폴더 접속까지 완료되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혹시 네트워크 자격 증명 입력란이 떴다면? guest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는 입력 없이 확인을 눌러주면 무리 없이 접속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공유 방법, 공유 폴더 설정, 공유폴더에 접속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공유폴더를 만들어 두면 특별히 이메일을 통해 공유하지 않아도 정보가 필요한 사람이 접속해서 필요한 파일을 복사해갈 수도 있고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도 공유기만 있다면 내부망을 만들 수도 있어서 매우 편리합니다.
따라 하시면 쉽게 공유폴더를 설정하실 수 있겠네요 ㅎㅎ
궁금하신 내용 또는 후기는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그럼!
윈도우10 공유 폴더 설정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
추가 버튼 옆에 Everyone을 입력하거나 리스트를 내리면 나오는 Everyone을 추가합니다.
계정이 필요하면 제어판의 컴퓨터 그룹으로 들어가서 로컬 사용자 및 그룹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상태로 되어 있는데 안된 상태면 위와 같이 설정합니다.
윈도우10 공유 폴더 설정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 · 1) 폴더의 속성(R) 보기 실행 · 2) 공유 탭의 공유(S) 실행 · 3) Everyone 계정 추가 · 4) Everyone 권한 변경 · 5) …
- Source: psychoria.tistory.com
- Views: 63129
- Publish date: 19 hours ago
- Downloads: 71493
- Likes: 1223
- Dislikes: 2
- Title Website: 윈도우10 공유 폴더 설정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
- Description Website: 윈도우10 공유 폴더 설정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 · 1) 폴더의 속성(R) 보기 실행 · 2) 공유 탭의 공유(S) 실행 · 3) Everyone 계정 추가 · 4) Everyone 권한 변경 · 5) …
- Source: Youtube
- Views: 14601
- Date: 14 hours ago
- Download: 26565
- Likes: 5537
- Dislikes: 2
윈도우10 공유 폴더 설정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
집이나 회사에서 각 PC가 폴더를 공유하기 위한 설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공유 폴더 설정을 통해 쉽게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에서 쉽게 파일 공유를 설정하는 방법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유 폴더 생성하고 권한 부여하기
계정이 없이 공유하는 방법은 위험성이 있지만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계정을 별도로 생성하지 않고 공유 폴더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계정이 필요하면 제어판의 컴퓨터 그룹으로 들어가서 로컬 사용자 및 그룹 설정을 해주면 됩니다.
1) 폴더의 속성(R) 보기 실행
폴더에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고 속성(R)을 실행합니다.
2) 공유 탭의 공유(S) 실행
공유 탭으로 이동하면 공유(S) 버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유(S) 버튼을 클릭합니다.
3) Everyone 계정 추가
추가 버튼 옆에 Everyone을 입력하거나 리스트를 내리면 나오는 Everyone을 추가합니다.
4) Everyone 권한 변경
Everyone이 추가되면 사용 권한 수준을 읽기/쓰기로 변경합니다.
읽기만 필요한 경우 읽기 권한만 제공해도 됩니다.
5) 폴더 공유 완료
공유 버튼을 누르면 공유가 완료됩니다.
2. 고급 공유 설정
고급 설정을 통해서 각 계정의 상세 설정 등이 가능합니다.
1) 고급 공유 설정
고급 공유 버튼을 눌러서 상세하게 공유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2) 동시 사용자 수 제한
동시 사용자의 수를 제한해서 부하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3) 권한 상세 설정
고급 공유에 있는 권한(P) 버튼을 통해서 각 계정에 상세하게 권한을 줄 수 있습니다.
Everyone에 모든 권한을 허용하면 계정 입력없이 네트워크 폴더 연결이 가능해집니다.
공유 설정이 완료되면 속성 창을 닫으면 됩니다.
3. 암호없이 폴더 공유하기
별도의 암호 설정없이 네트워크 폴더로 사용하려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1) 제어판의 네트워크 공유 설정
제어판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실행합니다.
2) 고급 공유 설정 변경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의 좌측에 있는 고급 공유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3)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개인(현재 프로필) 부분을 확장하면 상세 설정이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상태로 되어 있는데 안된 상태면 위와 같이 설정합니다.
4) 암호 공유 끄기
하단에 있는 모든 네트워크 부분을 확장합니다.
암호 보호 공유 끄기를 설정해야 계정 입력없이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4.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방법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1) 공유하는 쪽의 IP 확인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ipconfig를 실행합니다.
먼저 확인된 IP를 기록해 놓으면 됩니다.
2) 실행에서 공유 폴더 확인
실행에서 위에서 확인한 IP를 위와 같은 형태로 입력합니다.
\\IP\ 형태로 입력하면 됩니다.
3)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원하는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버튼을 눌러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생성합니다.
4) 연결 완료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Z부터 역으로 드라이브 문자가 정해집니다.
이미 다른 폴더를 Z: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Y: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마침을 누르면 설정한 드라이브가 정상적으로 탐색기에서 표시됩니다.
공유폴더 만들기, 네트워크 연결 방법 – 제니의 일상여행
저희 집은 같은 공유기 네트워크로 총 3 대의 컴퓨터를 이용 하고 있는데 사진이나 영화를 옮길 때 도움을 받기 위해서 공유 폴더를 만들었습니다. 운영체제와 상관 없이 이용을 할 수 있어서 윈7, 윈10 컴퓨터들도 문제 없이 연결이 되는 것이 장점 입니다. 공유 폴더 만들기 방법부터 다른 컴퓨터에서 폴더를 네트워크 연결 하는 방법까지 확인해보세요.
집이나 회사와 같이 동일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공간에서 다른 컴퓨터와 문서를 주고 받고 싶다면 공유 폴더를 이용 하시면 됩니다. 공유 폴더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 이용자도 접근, 읽기, 쓰기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파일을 올려서 다른 컴퓨터에서 읽거나 함께 수정을 해야하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기본 설정으로 읽기만 선택 되어 있습니다. 읽기는 공유 폴더안의 파일만 열 수 있고 폴더안의 파일을 수정, 삭제, 업로드가 불가능합니다. 모든 사용자가 폴더를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읽기/쓰기로 설정 하셔야 합니다.
27 thg 2, 2020 — 1. 컴퓨터에 공유를 원하는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합니다. · 2.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 3. 공유 탭을 선택 한 뒤 공유(S)를 클릭합니다. · 4. 공유할 사람의 …
- Source: lifetrevel.tistory.com
- Views: 80220
- Publish date: 20 hours ago
- Downloads: 3811
- Likes: 5358
- Dislikes: 3
- Title Website: 공유폴더 만들기, 네트워크 연결 방법 – 제니의 일상여행
- Description Website: 27 thg 2, 2020 — 1. 컴퓨터에 공유를 원하는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합니다. · 2.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 3. 공유 탭을 선택 한 뒤 공유(S)를 클릭합니다. · 4. 공유할 사람의 …
- Source: Youtube
- Views: 15662
- Date: 23 minute ago
- Download: 86822
- Likes: 6781
- Dislikes: 8
공유폴더 만들기, 네트워크 연결 방법
집이나 회사와 같이 동일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공간에서 다른 컴퓨터와 문서를 주고 받고 싶다면 공유 폴더를 이용 하시면 됩니다. 공유 폴더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 이용자도 접근, 읽기, 쓰기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파일을 올려서 다른 컴퓨터에서 읽거나 함께 수정을 해야하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공유 폴더 이용 장점
① USB와 클라우드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파일을 관리하기 용이합니다.
② 공유 폴더 만들기를 한 컴퓨터 외의 다른 컴퓨터에서 저장 공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③ 파일의 복사, 이동, 삭제가 빠른 속도로 지원됩니다.
저희 집은 같은 공유기 네트워크로 총 3 대의 컴퓨터를 이용 하고 있는데 사진이나 영화를 옮길 때 도움을 받기 위해서 공유 폴더를 만들었습니다. 운영체제와 상관 없이 이용을 할 수 있어서 윈7, 윈10 컴퓨터들도 문제 없이 연결이 되는 것이 장점 입니다. 공유 폴더 만들기 방법부터 다른 컴퓨터에서 폴더를 네트워크 연결 하는 방법까지 확인해보세요.
쉽게 파일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공유 폴더 만들기
1. 컴퓨터에 공유를 원하는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합니다.
2.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3. 공유 탭을 선택 한 뒤 공유(S)를 클릭합니다.
4. 공유할 사람의 이름에 Everyone을 입력한 뒤 추가를 누릅니다.
Everyone을 추가 하시면 동일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는 모든 이용자가 폴더 접근이 가능합니다.
5. Everyone 사용권한 수준을 누릅니다.
6. 읽기/쓰기를 선택합니다.
기본 설정으로 읽기만 선택 되어 있습니다. 읽기는 공유 폴더안의 파일만 열 수 있고 폴더안의 파일을 수정, 삭제, 업로드가 불가능합니다. 모든 사용자가 폴더를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읽기/쓰기로 설정 하셔야 합니다.
7. 폴더가 공유되었습니다.
이 컴퓨터의 모든 네트워크 공유를 표시합니다 링크를 클릭하면 공유된 폴더의 위치 경로와 표시되는 네트워크 창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TIP 공유 폴더의 고급 권한을 설정 하여야 다른 컴퓨터에서 원활한 이용이 가능하니 아래 설정도 권장 드립니다.
8. 폴더 공유 탭에서 고급 공유(D)를 누릅니다.
9. 선택한 폴더 공유를 체크합니다.
10. 권한(P)를 누릅니다.
11. 모든 권한 허용에 체크하신 뒤 적용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제 공유 폴더 만들기가 완료 되었습니다. 이제 동일 네트워크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컴퓨터로 이동 하셔서 만들어진 공유 폴더를 찾아서 이용 합니다.
네트워크 공유 폴더 위치 및 이용하는 방법
1. 다른 컴퓨터에서 내 컴퓨터로 들어갑니다.
2. 네트워크 탭을 찾아서 누릅니다.
3. 공유 폴더를 만든 컴퓨터 이름 탭을 클릭합니다.
4. 공유 폴더를 이용합니다.
TIP 만약 네트워크 탭에서 컴퓨터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공유된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를 직접 입력 시켜 공유 폴더 탭으로 이동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탭에서 컴퓨터가 보이지 않을 때 아이피 입력으로 공유 폴더 접속하는 방법
1. 네트워크 탭의 입력창을 모두 지웁니다.
2. 공유 폴더 만들기를 진행한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 위치 경로를 입력합니다.
입력방법: \\ + 아이피 주소
TIP \\는 역슬레시로 키보드 자판에서 찾아서 입력할 수 있고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를 모르신다면 아래 아이피 주소 검색 방법을 읽어보세요.
3. \\아이피 주소 입력시 공유 폴더로 바로 이동 됩니다.
네트워크 공유 설정으로 컴퓨터 표시가 되지 않을 때 공유 폴더를 가장 쉽게 이용하는 방법으로 찾으신 공유 폴더는 바로가기를 만드셔서 바탕화면에서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공유 폴더를 만든 컴퓨터의 아이피 주소 알아내는 방법
1. 컴퓨터 검색창에서 cmd를 찾아 실행합니다.
TIP cmd는 명령프롬프트이며 공유 폴더를 만든 컴퓨터에서 진행 하셔야 합니다.
2. ipconfig를 입력합니다.
3. 이더넷 어댑터 로컬 영역 연결에서 IPv4 주소가 컴퓨터의 아이피입니다.
기본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아이피의 주소로 공유 폴더에 접근 할 수 없으니 주의하세요.
4. 다른 컴퓨터 네트워크탭에서 입력창에 \\아이피를 입력하면 공유 폴더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네트워크 공유 PC/폴더 찾기, 네트워크 목록 보이지 …
– Master browser Auto, 마스터 브라우저는 네트워크 접속한 PC 목록을 가지고 접속하는 컴퓨터에게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1개의 컴퓨터가 소유하고 해당 컴퓨터가 꺼지면 다음 순위 컴퓨터가 마스터 브라우저 기능으로 목록을 전달하기 때문에 회사에서 자주 켜고 꺼지는 상황에서 잔상이 남거나 접속하지 않았음에도 목록에 뜨고 접속했음에도 네트워크에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해 서버에 지정하면 그나마 잘 목록이 나타납니다. 특히 교무실이나 특정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다면 Yes로 설정해주면 편합니다. MaintainServeList
게스트 계정은 활성화를 도스창(실행창)에서 할 수 있고 암호는 계정관리에서 삭제를 할 수 있다. 윈도우10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윈도우10 작업표시줄의 찾기나 실행창(윈도우키+R)을 한 후 입력칸에 lusrmgr.msc을 입력한 후 사용자에서 GUEST 암호설정하면 된다. Guest는 손님이라는 뜻이 아니라 윈도우 즉 MS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모든 윈도우에 미리 심어놓은 계정의 이름이다. 물론 다른 컴퓨터의 게스트 계정도 활성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폴더 권한에서 게스트에 권한을 설정해줘야 한다.
내 컴퓨터나 윈도우 탐색기, 파일 탐색기 메뉴 중 네트워크를 클릭해도 목록이 보이지 않을 경우는 주소창에 직접 컴퓨터 이름과 폴더명을 입력해 바로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자동으로 갱신되는 기능으로 목록 갱신이 일부 느려질 수 있다. 네트워크 목록을 가지고 있는 PC가 전원을 끄거나 하면 다른 컴퓨터가 목록을 가지고 공유를 하게 되는데 수시로 꺼지고 켜지는 내부 네트워크 망에서 갱신하는 데 시간이 걸려 네트워크가 모두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서버가 아닌 개별PC가 목록을 가지고 공유하기 때문이다.
직장이나 학교에서 네트워크 공유폴더를 이용해 읽기 혹은 쓰기 등으로 자료를 취합 … 이름으로 찾기, Ping/IP Scanner, 프로토콜 설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 Source: neweducation2.tistory.com
- Views: 29578
- Publish date: 9 hours ago
- Downloads: 92203
- Likes: 9257
- Dislikes: 10
- Title Website: 윈도우10 네트워크 공유 PC/폴더 찾기, 네트워크 목록 보이지 …
- Description Website: 직장이나 학교에서 네트워크 공유폴더를 이용해 읽기 혹은 쓰기 등으로 자료를 취합 … 이름으로 찾기, Ping/IP Scanner, 프로토콜 설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윈도우10 꿀팁 네트워크 연결이 안될때 네트워크 공유 진짜 쉽게하기 네트워크설정 프린터찾기 진짜 컴퓨터기사가 알려주는 네트워크 설정 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26577
- Date: 19 minute ago
- Download: 10757
- Likes: 4731
- Dislikes: 8
윈도우10 네트워크 공유 PC/폴더 찾기, 네트워크 목록 보이지 않을 때, 아이피(IP)/컴퓨터 이름으로 찾기, Ping/IP Scanner, 프로토콜 설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 더 자세한 내용은 글 하단의 다른 글 링크들을 클릭하면 나옵니다.
윈10에서 네트워크 폴더 공유는 2가지를 먼저 설정해야 한다. 1번째는 공유 설정 및 Everyone 권한 주기, 2번째는 ‘이더넷 네트워크 프로필’을 ‘개인’으로 설정(이 글 맨 하단 링크 참조)이다.
직장이나 학교에서 네트워크 공유폴더를 이용해 읽기 혹은 쓰기 등으로 자료를 취합하거나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공유 설정을 하고도 재시작 즉 재부팅을 하지 않고 혹은 네트워크에 다른 사람들의 컴퓨터, PC가 보이지 않을 경우는 컴퓨터 찾기 기능으로 찾을 수 있다.
네트워크 상 Master Browser, 목록 가진 서버 아닌 컴퓨터 수시로 교체
내 컴퓨터나 윈도우 탐색기, 파일 탐색기 메뉴 중 네트워크를 클릭해도 목록이 보이지 않을 경우는 주소창에 직접 컴퓨터 이름과 폴더명을 입력해 바로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자동으로 갱신되는 기능으로 목록 갱신이 일부 느려질 수 있다. 네트워크 목록을 가지고 있는 PC가 전원을 끄거나 하면 다른 컴퓨터가 목록을 가지고 공유를 하게 되는데 수시로 꺼지고 켜지는 내부 네트워크 망에서 갱신하는 데 시간이 걸려 네트워크가 모두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서버가 아닌 개별PC가 목록을 가지고 공유하기 때문이다.
같은 아이피를 사용하는 컴퓨터로 인해 IP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 핑을 통해 알아볼 수도 있지만 ‘nbtstat -A 아이피주소’를 통해 CMD로 상대방 컴퓨터의 작업 그룹이나 컴퓨터 이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컴퓨터를 보고도 누가 사용하는 PC인지 모른다면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문의하는 것을 추천한다.
———————————-
1. 상대방의 컴퓨터 이름을 알아본다.
컴퓨터 이름은 윈도우 설치할 때 입력한 이름으로 내컴퓨터 아이콘에 우클릭 후 속성을 누르면 컴퓨터 이름, PC 이름과 작업 그룹이 나온다. 동일한 작업그룹명을 가진 컴퓨터끼리 더 빨리 네트워크 인식을 하는데 윈10에서는 상관도가 낮아졌다. 컴퓨터 이름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해야 검색이 잘 되었는데 역시 윈도우10에서는 상관도가 낮아졌다.
———————————-
2. ‘내 컴퓨터’나 ‘파일 탐색기’를 실행한다.
탐색기 주소 입력란에 경로를 입력한다. \\는 컴퓨터 이름이고 \는 폴더 경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대방 컴퓨터 이름이 ‘대리’이고 폴더명이 ‘공유’라고 하면 주소 입력란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대리\공유
\\대리
\\192.168.10.58
\\아이피 주소
* 모바일에서는 ‘/’로 표시되는데 사실 한국돈 원 표시이다. 아래 그림 참고
윈도우 과거 버전에는 네트워크 우클릭하면 ‘컴퓨터 찾기’가 있었는데 윈도우10에는 사라진 듯 하다.
———————————-
3. 작업표시줄 찾기 기능으로 찾기
모니터 화면 하단의 찾기 버튼을 클릭한 후 위와 같이 컴퓨터 이름과 폴더명을 클릭하면 네트워크에서 다른 사람의 공유 폴더를 찾을 수 있다.
———————————-
4. 네트워크 검색
탐색기에서 좌측 메뉴 네트워크를 클릭한 후 나오는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네트워크 검색’란에 위와 같이 컴퓨터 이름을 \\ 뒤에 입력해 검색하면 나온다.
5. 아이피와 핑, 아이피 정보로 찾기
2번과 3번과 4번에서 컴퓨터 이름으로 찾을 수도 있고 IP로도 찾을 수 있다. 검색에 \\192.168.10.42 이런 식의 아이피 주소를 입력하면 네트워크에 공유된 컴퓨터를 찾을 수 있다. 윈도우10에서는 공유만 해서는 검색이 안된다. 이더넷 네트워크 프로필에서 공유 설정까지 해줘야 한다. 방법은 바로 맨아래 링크에 있다.
———————————-
6. Ping으로 상대방 컴퓨터가 켜져 있는지 알아본다.
실행창(윈도우키+R’에 ‘ping 아이피주소 -t’, ‘ping \\대리 -t’를 치면 컴퓨터가 켜져 있는지 알 수 있다. 상대방 컴퓨터가 꺼져있는데 왜 검색이 안되냐고 하면 난감하다. 과거 XP에서는 잔상이 남아 타인 컴퓨터가 꺼져있어도 네트워크에 목록에 남아있는 경우가 많았다.
6-1. IP Scanner 아이피 스캐너
SetIP등 삼성이나 HP, 신도리코 등 관리자가 아이피를 복합기 화면에서 입력하기도 하지만 프로그램으로 내부 인터넷망을 이용해서 아이피를 설정하기도 한다. 물론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원들이나 교사들은 복합기 아이피를 몰라 설정을 못할 경우 다른 사람의 공유된 복합기를 공유한 후 포트를 살펴보면 아이피가 나온다. 아이피 스캐너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린터의 IP 주소를 검색할 수도 있다. 사용법은 설치파일 설치 후 스캔 버튼 누르면 된다.
– Angry IP Scanner : https://angryip.org/
– advanced-ip-scanner : http://www.advanced-ip-scanner.com/kr
———————————-
7. 아이피 컴퓨터 이름과 그룹을 알 수 있다.
6번과 같은 실행창에 ‘nbtstat -a 아이피’, ‘nbtstat -A 아이피’, ‘nbtstat -a \\컴이름’ 등을 입력하면 컴퓨터 이름과 작업그룹,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 이름 등이 나온다. 주로 아이피 충돌을 일으킬 경우 대체 해당 IP를 쓰는 놈이 누군지 알아보기 위해 많이 사용한 도스 명령어이다.
———————————-
8.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공유폴더를 매번 찾기 불편하거나 나타났다 사라졌다 할 경우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하면 매우 편리하고 이미지 iso등을 굽기 할 때에도 편리하다.
– 공유된 해당폴더를 오른쪽 마우스, 우클릭 후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클릭한 후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확인을 누르면 된다. 윈도우 탐색기처럼 마치 내컴퓨터에 설치된 hdd인 듯 사용이 가능하다.
– 연결 끊기는 폴더 우클릭 후 ‘네트워크 연결 끊기’를 누르면 된다.
———————————-
9. 프로토콜 설치
컴퓨터도 자신들만의 언어를 통해 네트워크를 한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NetBios 설정을 해야 하기도 한다. 과거 스타크래프트에서 친구들끼리 피씨방에서 ipx udp 등 설정을 해서 게임을 하곤 했다. 하지만 하단 이미지처럼 ipx 등 프로토콜이 설치되지 않거나 체크가 되지 않은 경우 멀티플레이가 불가능했다. 그런 경우 하단의 설치를 누르면 윈도우 자체에 있는 프로토콜을 추가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프로토콜까지 만질 정도면 네트워크가 엉망이라는 것과 같다. 방화벽의 설정을 느슨하게 할 필요가 있다. 프로토콜 설정 변경이나 추가까지 하면서 네트워크를 잡아야 한다면 사내망의 방화벽을 수정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아무튼 네트워크가 안된다면 하단의 ‘설치’를 눌러 모든 프로토콜을 다 설치하고 체크하면 된다.
———————————-
10. Guest 계정 활성화
게스트 계정은 활성화를 도스창(실행창)에서 할 수 있고 암호는 계정관리에서 삭제를 할 수 있다. 윈도우10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윈도우10 작업표시줄의 찾기나 실행창(윈도우키+R)을 한 후 입력칸에 lusrmgr.msc을 입력한 후 사용자에서 GUEST 암호설정하면 된다. Guest는 손님이라는 뜻이 아니라 윈도우 즉 MS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모든 윈도우에 미리 심어놓은 계정의 이름이다. 물론 다른 컴퓨터의 게스트 계정도 활성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폴더 권한에서 게스트에 권한을 설정해줘야 한다.
cmd(실행창)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net user guest /active:yes 계정 활성화
net user guest 암호 /add : 암호 새로 지정
net user guest 암호 : 암호 새로 지정
net user guest “” : 암호 삭제할 경우
– 컴퓨터관리 : 윈도우 시작 버튼 – 마우스 우클릭 – 컴퓨터 관리
– 컴퓨터 관리(로컬)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 사용자 – 이름 탭에서 원하는 사용자 더블 클릭
– 일반 탭 : ‘계정 사용 안 함’ 체크 해제
10-1. MMC 스냅인,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 사용
– CMD 창에 ‘mmc’를 입력한다. 혹은 작업표시줄 좌측에 돋보기를 클릭 후 입력창에 mmc를 입력해도 된다.
– 최상단 메뉴 중 파일을 선택해 ‘스냅인 추가/제거’를 클릭한다.
– ‘그룹 정책 개체 편집기’을 클릭 후 가운데 있는 ‘추가’ 버튼을 클릭 후 하단의 마침을 클릭해 종료한다.
– 위 그림에서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 사용’을 클릭해 새로운 창이 뜨면 ‘사용’을 클릭해 마친다.
———————————-
11. 백신프로그램, 바이러스 방지 프로그램 방화벽
백신프로그램에서 파일과 폴더 공유를 허용하지 않은 경우도 있긴 한다.
———————————-
12. 서브넷마스크와 게이트웨이 일치 여부
———————————-
13. tcp/ip 속성, Netbios
해당 네트워크 이더넷에 마우스우클릭해 속성창을 나오게 한 후 2번의 네트워킹 중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등 아무튼 TCP/IP 관련 클릭하고 3번의 속성을 클릭한다. 4번의 고급을 클릭하면 다음 창이 나온다. 다음 창에서 5번 탭을 클릭하면 최종 6번 ‘Netbios ~~’를 선택하고 확인, 확인, 확인, 적용, 확인 등 하면서 빠져나온다. 그래도 안되면 컴퓨터 재시작하면 된다. 이 정도까지 해서 안되면 그냥 컴퓨터 전문가 불러야 한다.
네트워크 컴퓨터를 찾을 수 없을 때, 네트워크 컴퓨터 안보임, 네트워크 컴퓨터 찾기, 연결, 공유폴더
———————————-
14. 서비스 function discovery resource publicatrion 시작(자동)
이 컴퓨터와 이 컴퓨터에 연결된 리소스를 게시하여 네트워크에서 검색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서비스가 중지되면 네트워크 리소스가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에서 검색될 수 있도록 더 이상 게시되지 않습니다.
돋보기 아이콘이 안보이면 ‘작업표시줄 마우스 우클릭 – 검색 -검색 아이콘 표시’로 하면 나오고 ‘서비스’ 입력 후 엔터치면 됩니다.
해킹 위험이 있을 경우 네트워크 후 중지 시켜도 됩니다. 맨 하단의 시작 버튼을 누르고 시작 유형은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추가로 아래 항목들도 시작 유형을 자동 혹은 서비스 상태를 시작으로 설정한다.
– UPnp Device Host
– SSDP Discovery
———————————-
15. 방화벽 설정(Windows Defender 방화벽)
작업표시줄 ‘찾기’를 클릭 후 ‘방화벽’을 입력하면 방화벽 화면이 나온다. 왼쪽 상단에 있는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통해 앱 또는 기능 허용’을 클릭하면 새로운 화면이 나오는데 그 중 다음 2개를 체크하면 된다. ‘네트워크 검색’, ‘파일 및 프린터 공유’ 2개 모두 개인과 공용 항목 체크하기, 설정변경과 맨 하단 확인 버튼 클릭한다. 보통 네트워크 공유를 설정하면 여기까지 올 필요는 없다. 기타 ‘회사 또는 학교 계정’, ‘홈 그룹’ 등 네트워크와 관련된 것들이 있으면 체크한다.
———————————-
16. 방화벽 인바운드 규칙, SMB 1.0/CIFS 파일 공유 지원
– 글이 길어져 아래 링크 중 마지막 꺼(폴더 공유, 네트워크 파일 읽기/쓰기…’를 클릭하세요
– 내PC 혹은 윈도우 탐색기 경로표시줄에 그냥 제어판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옛날 제어판이 나온다.
– 그 중에서 ‘프로그램’ – ‘프로그램 제거’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 좌측 사이드바 메뉴 중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클릭하면 새창이 뜬다.
– ‘Windows 기능’ 새창에서 위 그림처럼 SMB 1.0/CIFS 파일 공유 지원을 체크하면 된다.
* 하위 메뉴 SMB 1.0/Cifs 서버, SMB 1.0/Cifs 자동 제거, SMB 1.0/Cifs 클라이언트
———————————-
17. 마스터 브라우저 리지스트리 YES
– Master browser Auto, 마스터 브라우저는 네트워크 접속한 PC 목록을 가지고 접속하는 컴퓨터에게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1개의 컴퓨터가 소유하고 해당 컴퓨터가 꺼지면 다음 순위 컴퓨터가 마스터 브라우저 기능으로 목록을 전달하기 때문에 회사에서 자주 켜고 꺼지는 상황에서 잔상이 남거나 접속하지 않았음에도 목록에 뜨고 접속했음에도 네트워크에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해 서버에 지정하면 그나마 잘 목록이 나타납니다. 특히 교무실이나 특정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다면 Yes로 설정해주면 편합니다. MaintainServeList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Browser \Parameters
———————————-
18. 네트워크 초기화
– 이런 과정을 거치고도 네트워크가 안된다면 결국 재시작(리부팅)을 해줘야 한다. 물론 안된다면 말이다. 윈도우 바탕화면 시작 버튼을 클릭한 후 톱니바퀴 설정을 클릭해 ‘Windows 설정’으로 들어간다.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클릭한 후 좌축 사이드바에서 상태를 클릭하면(이미 선택이 되어 있음) 맨 아래 네트워크 초기화를 실시해 재부팅한다.
———————————-
19. 수정 중…
– 그래도 해결이 안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보세요.
———————————-
ㅇ윈도우10 폴더 공유(파일 공유) 사용자와 그룹 추가(Everyone) 방법, 읽기와 쓰기 권한 추가 방법,
ㅇ윈도우10 프린터 공유, 프린터 추가, 복합기 포트 추가, 네트워크 프린터 아이피 IP, 자동 설치
ㅇ윈도우10 홈그룹 설정 해제, 폴더 공유 읽기 쓰기, 사진 동영상, 음악
ㅇ윈도우10 네트워크 PC 찾기, 네트워크 컴퓨터 찾기, 폴더 공유,
ㅇ컴퓨터 이름, 작업 그룹 변경하기
ㅇ윈도우10, 이더넷 네트워크 프로필, PC 검색, 컴퓨터 검색, 파일 폴더 공유
ㅇ윈도우10 폴더 공유, 네트워크 파일 공유 읽기/쓰기 설정, 프린터 공유
네트워크에서 공유 폴더에 접근하는 방법 (이미지 포함) – wikiHow
{“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0\/0f\/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5-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5-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0\/0f\/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5-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5-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8\/80\/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9-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9-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8\/80\/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9-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9-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8\/8b\/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4-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4-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8\/8b\/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4-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4-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자신의 컴퓨터가 이더넷 케이블로 폴더를 공유하는 컴퓨터에 연결된 경우 이 단계를 건너뛴다.
- Source: ko.wikihow.com
- Views: 97987
- Publish date: 13 minute ago
- Downloads: 80844
- Likes: 9464
- Dislikes: 10
- Title Website: 네트워크에서 공유 폴더에 접근하는 방법 (이미지 포함) – wikiHow
- Description Website: 자신의 컴퓨터가 이더넷 케이블로 폴더를 공유하는 컴퓨터에 연결된 경우 이 단계를 건너뛴다.
1학년 수학(1월 10일) 3. 여러 가지 모양 4. 덧셈과 뺄셈(2)
- Source: Youtube
- Views: 83808
- Date: 10 hours ago
- Download: 62697
- Likes: 8994
- Dislikes: 1
네트워크에서 공유 폴더에 접근하는 방법 (이미지 포함)
{“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8\/8b\/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4-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4-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8\/8b\/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4-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4-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div>“} 1 올바른 네트워크에 있는지 확인한다. 다른 컴퓨터에서 공유 폴더를 열려면 파일을 공유하는 컴퓨터와 똑같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한다. 맥이 이더넷 케이블로 폴더를 공유하는 컴퓨터에 연결된 경우 이 단계를 건너뛴다. 다른 컴퓨터에서 공유 폴더를 열려면 파일을 공유하는 컴퓨터와 똑같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한다.{“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0\/0f\/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5-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5-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0\/0f\/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5-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5-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div>“} 2 애플 메뉴 {“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f\/ff\/Macapple1.pn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f\/ff\/Macapple1.png\/29px-Macapple1.png”,”smallWidth”:460,”smallHeight”:476,”bigWidth”:29,”bigHeight”:30,”licensing”:”<\/div>“} 화면 왼쪽 상단 코너의 애플 로고를 클릭한다. 드롭다운 메뉴가 뜬다. 화면 왼쪽 상단 코너의 애플 로고를 클릭한다. 드롭다운 메뉴가 뜬다.{“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f\/fe\/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6-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6-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f\/fe\/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6-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6-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div>“} 3 시스템 환경설정… 을 클릭한다. 드롭다운 메뉴에 있다. 시스템 환경설정 창이 열린다.{“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6\/69\/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7-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7-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6\/69\/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7-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7-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div>“} 4 공유 를 클릭한다. 시스템 설정 창에 있다. 클릭하면 공유 창이 열린다.{“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6\/6f\/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8-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8-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6\/6f\/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8-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8-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div>“} 5 “파일 공유” 박스를 체크한다. 공유 창 왼쪽에서 찾을 수 있다.{“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8\/80\/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9-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9-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8\/80\/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9-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19-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div>“} 6 {“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1\/1d\/Macfinder2.pn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1\/1d\/Macfinder2.png\/32px-Macfinder2.png”,”smallWidth”:460,”smallHeight”:431,”bigWidth”:32,”bigHeight”:30,”licensing”:”<\/div>“} 파인더를 연다. 독에서 파란색 얼굴 모양의 파인더 앱 아이콘을 클릭한다. 독에서 파란색 얼굴 모양의 파인더 앱 아이콘을 클릭한다.{“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1\/1b\/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20-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20-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1\/1b\/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20-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20-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div>“} 7 “공유된” 부분을 찾는다. 파인더 창 왼쪽에 “공유”라고 써있다. 거기에 접근하고 싶은 폴더를 공유하는 컴퓨터 이름이 보일 것이다.{“smallUrl”:”https:\/\/www.wikihow.com\/images_en\/thumb\/e\/e6\/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21-Version-2.jpg\/v4-460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21-Version-2.jpg”,”bigUrl”:”https:\/\/www.wikihow.com\/images\/thumb\/e\/e6\/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21-Version-2.jpg\/v4-728px-Access-Shared-Folders-on-a-Network-Step-21-Version-2.jpg”,”smallWidth”:460,”smallHeight”:345,”bigWidth”:728,”bigHeight”:546,”licensing”:”
<\/div>“} 8 컴퓨터를 선택한다. “공유” 밑에 열고자 하는 폴더를 공유하는 컴퓨터 이름을 클릭한다. 그러면 파인더 창 중간에 컴퓨터의 공유된 폴더 목록이 뜬다.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공유 폴더 연결
Bing에서 공유 폴더 연결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공유 폴더 연결.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공유 폴더 연결 공유폴더 접속안됨, 공유폴더 설정, 공유폴더 만들기, 윈도우10 공유폴더 접속안됨, 다른 네트워크 공유폴더 접근, 공유폴더 ip 접근, 네트워크 공유폴더 연결 안됨, 공유폴더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