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대구 국제 공항“?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1.castu.org 탐색에서: 382+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대구 국제 공항 대구국제공항 예매, 대구국제공항 국제선, 대구국제공항 이전, 대구공항 홈페이지, 대구국제공항 일본, 대구공항 국제선 재개, 대구공항 위치, 대구-김포 비행기 시간표
Table of Contents
메인 | 대구국제공항(국문) – 한국공항공사
KAC 한국공항공사 – KOREA AIRPORTS CORPORATION · 선택 · 대한항공 · 아시아나 · 에어부산 · 에어서울 · 제주항공 · 진에어 · 티웨이
- Source: www.airport.co.kr
- Views: 33692
- Publish date: 9 minute ago
- Downloads: 65740
- Likes: 3031
- Dislikes: 1
- Title Website: 메인 | 대구국제공항(국문) – 한국공항공사
- Description Website: KAC 한국공항공사 – KOREA AIRPORTS CORPORATION · 선택 · 대한항공 · 아시아나 · 에어부산 · 에어서울 · 제주항공 · 진에어 · 티웨이
- Source: Youtube
- Views: 9173
- Date: 1 minute ago
- Download: 94197
- Likes: 1067
- Dislikes: 7
대구국제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 청사 : 구청사의 노후화로 2001년 5월 준공되었다. 면적 11,985 m²의 신청사가 신축되면서 국제선 여객처리 능력이 375만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신청사와 함께 예비활주로 1본(2,755m)이 추가 건설되어 연간항공기 처리능력도 향상되었다. 신청사는 국적항공사(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의 카운터만 사용하였는데, 2016년 11월 여객 수에 맞춰 항공사간 체크인 카운터를 탄력적으로 배정할 수 있는 공용 체크인카운터를 도입하였다. 신청사 리모델링 계획에 따라 신청사에는 모든항공사의 체크인 카운터가 생성되었다.
2014년 저비용항공사의 등장으로 수용인원이 포화되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17년까지 총 23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주기장 및 검색대 증설 ▲주차타워 신설 ▲구청사와신청사 사이 공간 확장 ▲공항내 음식정 신설 및 확충 등 대구공항을 재단장할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주기장을 기존 7개에서 9개로 증설되며 여행객을 위한 대기공간 확보를 위해 구청사와신청사 사이 공간 확장된다. 또, 출발여객과 도착여객의 편안한 여행을 위해 공항내 편의시설 중축 및 신설
현 청사가 포화되어 이를 확장하기 위해 2022년까지 현 호텔에어포트 자리에 리모델링 후 여객 수용을 할 예정이다.[5] 예정된 공사비는 342억 원 규모다. 설계 공모 지침서에 나온 시설물 배치 계획안에는 기존 국내·국제 통합청사에서 현재 호텔에어포트 건물은 국내선 터미널로 기존 여객터미널은 국제선 터미널로 변경된다. 여객 연간수용능력은 국내선 257만 명 수준을 유지하고 국제선은 118만 명에서 228만 명으로 늘린다.
- Source: ko.wikipedia.org
- Views: 36928
- Publish date: 14 minute ago
- Downloads: 91657
- Likes: 8136
- Dislikes: 8
- Title Website: 대구국제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대구공항 이용 🍯 꿀팁 꼭! 꼭! 보고 가세요(feat. 세부행 티웨이 국제선)
- Source: Youtube
- Views: 31311
- Date: 14 hours ago
- Download: 18091
- Likes: 5645
- Dislikes: 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구국제공항(大邱國際空港, 영어: Daegu International Airport, IATA: TAE, ICAO: RKTN)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지저동, 동촌동 일대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활주로는 K-2 공군기지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국내선은 제주 노선을, 국제선은 인천 내항기, 중국, 일본, 괌, 대만, 베트남, 필리핀, 태국, 라오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2]
계기착륙장치(ILS)는 활주로 31L에만 설치되어 있고, 로컬라이져(LOC/DME)는 활주로 31R에 설치되어 있다.
개요 [ 편집 ]
1961년에 개항하였으며, 1996년 일본 오사카와 연결되는 국제선이 취항하면서 국제공항으로 승격했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이용객이 200~220만 명대를 기록하였으나, 2004년 경부고속철도의 개통으로 김포행 노선 이용률이 급감하면서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연 이용객이 100~110만 명 대에서 정체되었다.
2014년 대구국제공항은 공항 활성화를 위해 2018년 7월까지 한시적으로 공항 운영시간을 ’06시 – 22시’에서 ’05시 – 24시’로 3시간 연장하였고,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이 대구를 오가는 국제선을 취항하면서 이용객이 2004년 수준인 150만 명대로 증가하였다.
KTX 개통 이후 김포 – 대구 노선은 이용객이 급감한 끝에 2007년 10월 1일에 대한항공이, 10월 28일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차례로 단항했다.[3] 따라서 김포행은 국제선 환승을 위하여 2002년 말부터 이미 운항 중이었던 인천행으로 사실상 대체되었으며, 대한항공에서 1일 2회 단독 운항 중인 인천 – 대구 노선은 환승내항기 노선이 아닌 일반적인 국내선이었다가 2018년에 환승내항기로 전환되었다.
2015년 공항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대구국제공항은 만성 적자공항에서 2016년 개항 이래 첫 흑자를 달성했다. 특히, 올해는 공항 관계 기관·항공사와 합심해 국제선 정기노선 3개 노선(오키나와, 다낭, 방콕)을 신설했으며, 주기장 확장(7면→9면)과 에어부산의 램프버스 도입(3대)으로 국제선 확충 기반이 마련됐다.
역사 [ 편집 ]
1960년대 [ 편집 ]
1961년 4월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 개항 대한국민항공사, 국내선 대구공항 취항.
1969년 3월 : 대한항공, 국내선 대구공항 취항
1980년대 [ 편집 ]
1989년 10월 : 아시아나항공, 국내선 대구공항 취항
1990년대 [ 편집 ]
2000년대 [ 편집 ]
2000년 : 예비 활주로 준공
2001년 : 대구국제공항 신 여객터미널 개관
2002년 : 공항호텔 에어포트호텔 개관
2003년 2월 : 대한항공, 대구 – 서울(인천) 신규 취항
2004년 6월: 대한항공, 대구 – 베이징(서우두) 신규 취항
2007년 : 아시아나항공, 대구 – 서울(김포) 단항
2008년 : 영남에어 철수
2010년대 [ 편집 ]
2020년대 [ 편집 ]
터미널 운용 [ 편집 ]
현재 청사 운용 [ 편집 ]
구청사 : 1961년 4월 준공되었다. 구청사의 노후화로 인해 2001년 폐쇄 후 대한민국 최초 공항호텔을 준공하였다.
현 청사 : 구청사의 노후화로 2001년 5월 준공되었다. 면적 11,985 m²의 신청사가 신축되면서 국제선 여객처리 능력이 375만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신청사와 함께 예비활주로 1본(2,755m)이 추가 건설되어 연간항공기 처리능력도 향상되었다. 신청사는 국적항공사(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의 카운터만 사용하였는데, 2016년 11월 여객 수에 맞춰 항공사간 체크인 카운터를 탄력적으로 배정할 수 있는 공용 체크인카운터를 도입하였다. 신청사 리모델링 계획에 따라 신청사에는 모든항공사의 체크인 카운터가 생성되었다.
2014년 저비용항공사의 등장으로 수용인원이 포화되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17년까지 총 23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주기장 및 검색대 증설 ▲주차타워 신설 ▲구청사와신청사 사이 공간 확장 ▲공항내 음식정 신설 및 확충 등 대구공항을 재단장할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주기장을 기존 7개에서 9개로 증설되며 여행객을 위한 대기공간 확보를 위해 구청사와신청사 사이 공간 확장된다. 또, 출발여객과 도착여객의 편안한 여행을 위해 공항내 편의시설 중축 및 신설
한편, 대구공항 국제선 이용객은 2017년 연간 350만명 대에 진입해 현 여객터미널의 여객처리 능력(375만명)에 근접하였다. 이에 따라 공항공사는 임대계약이 만료되는 호텔시설을 철수시키고 그 자리에 터미널 시설을 확충하여 공항 여객처리 능력을 키울 계획이다.[4]
현 청사가 포화되어 이를 확장하기 위해 2022년까지 현 호텔에어포트 자리에 리모델링 후 여객 수용을 할 예정이다.[5] 예정된 공사비는 342억 원 규모다. 설계 공모 지침서에 나온 시설물 배치 계획안에는 기존 국내·국제 통합청사에서 현재 호텔에어포트 건물은 국내선 터미널로 기존 여객터미널은 국제선 터미널로 변경된다. 여객 연간수용능력은 국내선 257만 명 수준을 유지하고 국제선은 118만 명에서 228만 명으로 늘린다.
대구국제공항의 군공항 기능과 민항 기능을 군위군과 의성군으로 이전하여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을 건설하기로 합의하면서 계획이 표류되었으나, 매몰비용을 감수하고 사업을 축소해 리모델링을 하기로 했다.
통합신공항으로의 이전 [ 편집 ]
2020년 대구국제공항의 군공항 기능과 민항 기능을 경상북도 군위군과 의성군으로 이전하여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을 건설하고, 군위군을 대구광역시로 편입하기로 합의하였다.
주둔부대 [ 편집 ]
주요 시설 [ 편집 ]
여객터미널 : 26,716 m², 연간 이용객 처리능력 370만 명(국내선 256만 명, 국제선 114만 명)
보딩브릿지 : 4기
활주로 : 2,755m×45m / 2,743m×45m 연간 항공기 처리능력은 16만 회(시간당 30회)이며, 이 중 민항기에 배정되는 슬롯은 시간당 7회로, 활주로의 연간 민항기 처리능력은 3만7천 회이다.
유도로 : 623m×23m
계류장 : 41,582 m² (보잉 B737-800 9기 동시주기 가능)
항행안전시설 : 계기착륙장치(ILS), 무선표지(TVOR/DME), 항공등화
공항등급 : CAT-I
운항 노선 [ 편집 ]
여객터미널 [ 편집 ]
여객터미널 보딩브릿지는 주로 국내선 운항 항공사들이 사용한다. [출처 필요]
국제선 [ 편집 ]
2020년을 기준으로, 8개 항공사를 통해서 8개 국가, 18개 도시와 연결되고 있다.
지난 2019년부터 발생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모든 국제선 노선이 운항을 일시 중단하고 있다.
국내선 [ 편집 ]
관련 통계 [ 편집 ]
이용객 추이 [ 편집 ]
소스 Wikidata 쿼리 및 소스 참조.
전체 [ 편집 ]
연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운항(편수) 15,180 여객 (명) 2,173,183 연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운항(편수) 여객 (명)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운항(편수) 여객 (명)
야간운행통제 시간(커퓨 타임)의 단축 [1] 과 국내 저비용 항공사의 국제선 취항 등의 영향으로 2014년부터 이용객 수가 해마다 크게 늘어 2015년에 이용객 수가 200만 명을 회복하였고, 2018년에는 400만명을 돌파하였다.
과 국내 저비용 항공사의 국제선 취항 등의 영향으로 2014년부터 이용객 수가 해마다 크게 늘어 2015년에 이용객 수가 200만 명을 회복하였고, 2018년에는 400만명을 돌파하였다. 같은 기간 국제선 여객의 수와 비중도 크게 증가하여 2014년에 22만 명, 2015년에 33만 명, 2016년에 68만 명, 2017년에 150만 명, 2018년에 200만 명, 2019년에 257만 명에 이르렀다.
국내선 [ 편집 ]
연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운항(편수) 17,562 여객 (명) 2,234,227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운항(편수) 여객 (명) 2020년 운항(편수) 여객 (명)
국제선 [ 편집 ]
연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운항(편수) 113 여객 (명) 7,083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운항(편수) 여객 (명) 2020년 운항(편수) 여객 (명)
노선별 순위 [ 편집 ]
국내선 [ 편집 ]
국내선 노선 순위 (2019년) 순위 공항 여객(명) 운항(편수) 항공사 1 제주국제공항 1,968,480 11,811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2 인천국제공항 80,557 951 대한항공 3 김포국제공항 44,404 439 에어부산
국제선 [ 편집 ]
교통 시설 [ 편집 ]
대구공항 시외터미널 [ 편집 ]
2017년 7월 말부터 동대구터미널 ~ 대구국제공항 ~ 경북도청신도시 ~ 예천을 경유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됨에 따라 중간 정류소가 세워졌다.
공항내 발권카운터가 배치되어있고 공항청사 GATE2 전면에 시내버스 정류소와 함께 탑승장을 사용하며 동대구행도 운행중이다.[7]
현재 운영노선 동대구터미널 ~ 예천 구미 ~ 경산 [8]
아양교역 [ 편집 ]
아양교역은 대구국제공항에서 1.34km 떨어져 있기 때문에 101(-1)번, 401번, 팔공1번, 팔공2번(주말휴일노선) 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걸어가기에는 다소 거리가 있으나, 역에서 시내버스 환승을 통한 공항 접근성은 나쁘지 않다. 다만 아양교역이 금호강 하저터널을 건너가는 곳에 있어서 다소 깊기 때문에, 동구청역에서 하차한 후 시내버스로 환승해도 된다.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대구국제공항 출발 항공권 예매・항공권 가격 비교 – 익스피디아
대구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실시간 항공편 가격비교. 예약과 동시에 대기없이 확정. 저가 항공, LCC 항공권까지 다양한 할인 항공권 익스피디아에서 예약하세요.
- Source: www.expedia.co.kr
- Views: 97568
- Publish date: 8 hours ago
- Downloads: 55092
- Likes: 5657
- Dislikes: 6
- Title Website: 대구국제공항 출발 항공권 예매・항공권 가격 비교 – 익스피디아
- Description Website: 대구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실시간 항공편 가격비교. 예약과 동시에 대기없이 확정. 저가 항공, LCC 항공권까지 다양한 할인 항공권 익스피디아에서 예약하세요.
대구 공항 국제선 하늘길 다시 열려 (2022.05.30/뉴스투데이/포항MBC)
- Source: Youtube
- Views: 93913
- Date: 5 hours ago
- Download: 15045
- Likes: 3300
- Dislikes: 7
대구국제공항(大邱國際空港)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제선은 1994년 8월에 대한항공이 일본 후쿠오카 노선 전세기를 처음 운항한 뒤, 1995년 1월부터 아시아나항공도 같은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하였다. 1996년 2월에는 부산을 경유하는 일본 오사카 정기노선이 개설되었고 이후 중국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국제노선 확충이 이루어졌다. 2000년 6월에는 예비활주로가 준공되었고 이듬해인 2001년 5월에는 여객청사를 새롭게 개관하였다.
1961년 4월부산비행장 대구사무소로 출발하여 1962년 7월에 대구비행장으로 개항하였다. 1990년 6월부터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에서 공항을 관리 운영하고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국내선은 1961년 4월대한국민항공사가 김포(서울) 노선을 처음으로 개설한 이래, 1969년 3월에 대한항공이 그리고 1989년 10월에 아시아나항공이 각각 취항하였다.
2002년 5월에는 화물청사 준공과 더불어 우리나라 공항 최초로 숙박 및 회의장 시설을 갖춘 공항호텔(호텔에어포트)을 개관하였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지속된 공항 확장공사로 예비활주로 착륙대가 확장되고 항공유 급유시설이 설치되었으며 또한 주활주로 및 지하차도가 정비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부지면적은 6,617,283㎡이고 2,755m×45m와 2,743m×45m 크기 활주로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간 140,000회의 항공기 운항을 처리할 수 있다. 여객터미널은 총 26,993㎡ …
- Source: encykorea.aks.ac.kr
- Views: 9462
- Publish date: 9 hours ago
- Downloads: 41162
- Likes: 6838
- Dislikes: 7
- Title Website: 대구국제공항(大邱國際空港)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부지면적은 6,617,283㎡이고 2,755m×45m와 2,743m×45m 크기 활주로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간 140,000회의 항공기 운항을 처리할 수 있다. 여객터미널은 총 26,993㎡ …
대구에서 제주까지 진에어 비행기는 어떤 항로로 날아갈까?
- Source: Youtube
- Views: 15007
- Date: 57 minute ago
- Download: 41787
- Likes: 5808
- Dislikes: 6
대구국제공항(大邱國際空港)
1961년 4월부산비행장 대구사무소로 출발하여 1962년 7월에 대구비행장으로 개항하였다. 1990년 6월부터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에서 공항을 관리 운영하고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국내선은 1961년 4월대한국민항공사가 김포(서울) 노선을 처음으로 개설한 이래, 1969년 3월에 대한항공이 그리고 1989년 10월에 아시아나항공이 각각 취항하였다.
국제선은 1994년 8월에 대한항공이 일본 후쿠오카 노선 전세기를 처음 운항한 뒤, 1995년 1월부터 아시아나항공도 같은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하였다. 1996년 2월에는 부산을 경유하는 일본 오사카 정기노선이 개설되었고 이후 중국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국제노선 확충이 이루어졌다. 2000년 6월에는 예비활주로가 준공되었고 이듬해인 2001년 5월에는 여객청사를 새롭게 개관하였다.
2002년 5월에는 화물청사 준공과 더불어 우리나라 공항 최초로 숙박 및 회의장 시설을 갖춘 공항호텔(호텔에어포트)을 개관하였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지속된 공항 확장공사로 예비활주로 착륙대가 확장되고 항공유 급유시설이 설치되었으며 또한 주활주로 및 지하차도가 정비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공항/역/터미널 – 대구관광안내
- Source: tour.daegu.go.kr
- Views: 26007
- Publish date: 36 minute ago
- Downloads: 64680
- Likes: 5393
- Dislikes: 5
- Title Website: 공항/역/터미널 – 대구관광안내
- Description Website:
대구에서 비행기로 미국·유럽까지? \”통합 신공항 2030년 완공\” | 뉴스플러스
- Source: Youtube
- Views: 74573
- Date: 22 hours ago
- Download: 72892
- Likes: 372
- Dislikes: 2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대구 국제 공항
Bing에서 대구 국제 공항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대구 국제 공항.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대구 국제 공항 대구국제공항 예매, 대구국제공항 국제선, 대구국제공항 이전, 대구공항 홈페이지, 대구국제공항 일본, 대구공항 국제선 재개, 대구공항 위치, 대구-김포 비행기 시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