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독서 삼품 과“?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1.castu.org 탐색에서: 새로운 상위 849 가지 팁 업데이트.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독서 삼품 과 국학, 독서삼품과 과거제 차이, 김헌창의 난, 빈공과, 신문왕 국학, 국학 설립, 주자감, 고려 과거제
Table of Contents
독서삼품과 – 나무위키:대문
16 thg 11, 2022 —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는 통일신라 원성왕 때부터 국학에서 시행한 공무원 시험이다. 다만 이건 선발 시험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자격 시험에 더 …
- Source: namu.wiki
- Views: 36238
- Publish date: 22 hours ago
- Downloads: 43408
- Likes: 8967
- Dislikes: 9
- Title Website: 독서삼품과 – 나무위키:대문
- Description Website: 16 thg 11, 2022 —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는 통일신라 원성왕 때부터 국학에서 시행한 공무원 시험이다. 다만 이건 선발 시험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자격 시험에 더 …
- Source: Youtube
- Views: 72126
- Date: 4 minute ago
- Download: 75639
- Likes: 7312
- Dislikes: 10
독서삼품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서삼품과는 관리의 임명을 기존의 골품에 토대를 둔 귀족세력의 상하관계에서 결정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윤리와 정치사상으로서의 유학을 공부한 학문적 능력에 기준을 두었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크다. 비록 신라 하대에 이르러 신분적 폐쇄성이 증가하고 도당유학생의 적극적인 대두로 인해 독서삼품과가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지만 고려시대에 본격적으로 시행된 과거제도의 선구적 제도로서의 역사적 위치와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3]
열조 원성대왕 4년(788년) 종래의 골품제를 기초로 한 벌족(閥族) 본위의 인재 등용을 지양하여 학벌 본위의 관리 채용을 지향하기 위해 독서삼품과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응시자는 독서의 성적에 따라 상·중·하의 삼품(三品)과 특품(特品)으로 나누어 채용되었다.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는 통일신라에서 시행된 한반도 최초의 관리 선발제도 즉, 준과거(準科擧)로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라고도 한다. 신라의 국학(國學) 졸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치러졌으며 선발 요건은 학문 능력이었고, 특히 《효경[1]》을 가장 우선하였다.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는 통일신라에서 시행된 한반도 최초의 관리 선발제도 즉, 준과거(準科擧)로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라고도 한다.
- Source: ko.wikipedia.org
- Views: 11276
- Publish date: 43 minute ago
- Downloads: 41661
- Likes: 9017
- Dislikes: 3
- Title Website: 독서삼품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는 통일신라에서 시행된 한반도 최초의 관리 선발제도 즉, 준과거(準科擧)로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라고도 한다.
매일 아침 떠먹는 한국사 용어_ 독서삼품과 | 사회탐구 용어사전-한국사 | EBSi 고교강의
- Source: Youtube
- Views: 28666
- Date: 34 minute ago
- Download: 91612
- Likes: 5834
- Dislikes: 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는 통일신라에서 시행된 한반도 최초의 관리 선발제도 즉, 준과거(準科擧)로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라고도 한다. 신라의 국학(國學) 졸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치러졌으며 선발 요건은 학문 능력이었고, 특히 《효경[1]》을 가장 우선하였다.
열조 원성대왕 4년(788년) 종래의 골품제를 기초로 한 벌족(閥族) 본위의 인재 등용을 지양하여 학벌 본위의 관리 채용을 지향하기 위해 독서삼품과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응시자는 독서의 성적에 따라 상·중·하의 삼품(三品)과 특품(特品)으로 나누어 채용되었다.
골품제의 제약과 진골 귀족의 견제에 의해 큰 실효는 거두지 못하였다. 하지만 독서삼품과로 인해 전투 중심의 신라 사회를 문치주의로 바꾸는 계기가 되어 훗날 고려가 유교를 확립하고 과거 제도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시험과목 [ 편집 ]
상품(上品) : 《춘추좌씨전》, 《예기》 또는 《문선》을 읽어서 능히 그 뜻을 통하고 《논어》, 《효경》에 밝은 자.
중품(中品) : 《곡례(曲禮)》, 《논어》, 《효경》을 읽은 자.
하품(下品) : 《곡례》, 《효경》을 읽은 자.
특품(特品) : 《오경(五經)》, 《삼사(三史)》[2], 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에 통한 자가 있으면 우선 기용한다.
의의 [ 편집 ]
독서삼품과는 관리의 임명을 기존의 골품에 토대를 둔 귀족세력의 상하관계에서 결정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윤리와 정치사상으로서의 유학을 공부한 학문적 능력에 기준을 두었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크다. 비록 신라 하대에 이르러 신분적 폐쇄성이 증가하고 도당유학생의 적극적인 대두로 인해 독서삼품과가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지만 고려시대에 본격적으로 시행된 과거제도의 선구적 제도로서의 역사적 위치와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3]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시험과목을 보면 하품(下品)은 『곡례(曲禮)』·『효경(孝經)』을 읽은 자, 중품(中品)은 『논어(論語)』·『곡례』·『효경』을 읽은 자, 상품(上品)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예기(禮記)』·『문선(文選)』을 읽어 그 뜻을 잘 통하고 아울러 『논어』·『효경』에도 밝은 자, 특품(特品)은 오경[五經: 주역(周易)·시경(詩經)·서경(書經)·예기(禮記)·춘추(春秋)]·삼사[三史: 사기(史記)·한서(漢書)·후한서(後漢書)]와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서(書)를 능히 통달한 자로서 순서를 가리지 않고 등용하였다.
그리고 중품에서는 『논어』가 첨가되고, 상품에서야 비로소 충의 대의(大義)를 강조하는 『춘추』와 문학서인 『문선』이 더해지고 있다. 특품에서는 더욱 광범위한 지식을 그 자격으로 요하고 있다. 따라서 신라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정과 국가가 요구하는 윤리도덕을 기본 지식으로 중시하였고, 그 위에 문학(文學)을 첨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하품에서 특품으로 이르는 순서가 기본적인 것에서 광범한 지식으로 확대되도록 하고 있다. 즉, 『곡례』와 『효경』을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삼아 유교에서 실천도덕의 근본인 효와 일상생활에서의 도덕적인 예의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독서삼품과는 신라의 새로운 관리등용 방법임과 동시에 국학의 졸업생을 상대로 국학에서 배운 학과에 대해 시험을 보는 제도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국학의 졸업시험제도와 같은 성격의 것이었다.
독서삼품과가 관리의 임명을 골품에 토대를 둔 족벌적(族閥的) 세력의 크고 작음에서 결정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윤리와 정치사상으로서의 유학을 공부한 학문적 능력 …
- Source: encykorea.aks.ac.kr
- Views: 9886
- Publish date: 30 minute ago
- Downloads: 89793
- Likes: 5512
- Dislikes: 10
- Title Website: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독서삼품과가 관리의 임명을 골품에 토대를 둔 족벌적(族閥的) 세력의 크고 작음에서 결정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윤리와 정치사상으로서의 유학을 공부한 학문적 능력 …
- Source: Youtube
- Views: 91912
- Date: 15 hours ago
- Download: 13511
- Likes: 6155
- Dislikes: 10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
독서삼품과는 신라의 새로운 관리등용 방법임과 동시에 국학의 졸업생을 상대로 국학에서 배운 학과에 대해 시험을 보는 제도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국학의 졸업시험제도와 같은 성격의 것이었다.
시험과목을 보면 하품(下品)은 『곡례(曲禮)』·『효경(孝經)』을 읽은 자, 중품(中品)은 『논어(論語)』·『곡례』·『효경』을 읽은 자, 상품(上品)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예기(禮記)』·『문선(文選)』을 읽어 그 뜻을 잘 통하고 아울러 『논어』·『효경』에도 밝은 자, 특품(特品)은 오경[五經: 주역(周易)·시경(詩經)·서경(書經)·예기(禮記)·춘추(春秋)]·삼사[三史: 사기(史記)·한서(漢書)·후한서(後漢書)]와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서(書)를 능히 통달한 자로서 순서를 가리지 않고 등용하였다.
이처럼 하품에서 특품으로 이르는 순서가 기본적인 것에서 광범한 지식으로 확대되도록 하고 있다. 즉, 『곡례』와 『효경』을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삼아 유교에서 실천도덕의 근본인 효와 일상생활에서의 도덕적인 예의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중품에서는 『논어』가 첨가되고, 상품에서야 비로소 충의 대의(大義)를 강조하는 『춘추』와 문학서인 『문선』이 더해지고 있다. 특품에서는 더욱 광범위한 지식을 그 자격으로 요하고 있다. 따라서 신라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정과 국가가 요구하는 윤리도덕을 기본 지식으로 중시하였고, 그 위에 문학(文學)을 첨가했음을 알 수 있다.
독서삼품과란 – 네이버 블로그
통일신라인 788년(원성왕 4)에 실시한 관리 등용 제도. 독서출신과라고도 한다. 독서의 성적에 따라 3등급을 나누어, <좌전>, <예기>, <문선>을 읽어 그 뜻에 능통할 뿐 아니라 <논어>, <효경>에도 밝은 자는 상품, <곡례>, <논어>, <효경>을 읽은 자는 중품, <곡례>, <효경>만을 읽은 자는 하품으로 선발했다. 5경, 3사(사기, 한서, 후한서), 제자백가의 책에 널리 능통한 자는 특채했다. 대상 서적이 국학의 수업 과목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제도는 신문왕 때 국학을 설치하는 등 국립교육기관을 정비하고 유교정치 이념을 확대했기 때문에 실시할 수 있었다. 유교 경전과 문학에 대한 소양과 능력에 따라 관리를 선발함으로써 새로 운 관리들이 등장했는데, 이들은 주로 6두품이었다. 그러나 고위직 관리의 등용이나 승진에서는 여전히 골품이 중요했고 신라 하대에 들어 국학이 쇠퇴하고 당에 유학하는 사람이 많아지자 독서삼품과는 유명무실해졌다. 독서삼품과는 고려 광종때 과거제 실시의 기반이 되었다.
16 thg 2, 2017 — 독서출신과라고도 한다. 독서의 성적에 따라 3등급을 나누어, <좌전>, <예기>, <문선>을 읽어 그 뜻에 능통할 뿐 아니라 …
- Source: m.blog.naver.com
- Views: 80102
- Publish date: 13 hours ago
- Downloads: 46159
- Likes: 6037
- Dislikes: 8
- Title Website: 독서삼품과란 – 네이버 블로그
- Description Website: 16 thg 2, 2017 — 독서출신과라고도 한다. 독서의 성적에 따라 3등급을 나누어, <좌전>, <예기>, <문선>을 읽어 그 뜻에 능통할 뿐 아니라 …
2018 11 3 신라독서삼품과 재현
- Source: Youtube
- Views: 88679
- Date: 22 hours ago
- Download: 85850
- Likes: 6476
- Dislikes: 8
독서삼품과란 : 네이버 블로그
통일신라인 788년(원성왕 4)에 실시한 관리 등용 제도. 독서출신과라고도 한다. 독서의 성적에 따라 3등급을 나누어, <좌전>, <예기>, <문선>을 읽어 그 뜻에 능통할 뿐 아니라 <논어>, <효경>에도 밝은 자는 상품, <곡례>, <논어>, <효경>을 읽은 자는 중품, <곡례>, <효경>만을 읽은 자는 하품으로 선발했다. 5경, 3사(사기, 한서, 후한서), 제자백가의 책에 널리 능통한 자는 특채했다. 대상 서적이 국학의 수업 과목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제도는 신문왕 때 국학을 설치하는 등 국립교육기관을 정비하고 유교정치 이념을 확대했기 때문에 실시할 수 있었다. 유교 경전과 문학에 대한 소양과 능력에 따라 관리를 선발함으로써 새로 운 관리들이 등장했는데, 이들은 주로 6두품이었다. 그러나 고위직 관리의 등용이나 승진에서는 여전히 골품이 중요했고 신라 하대에 들어 국학이 쇠퇴하고 당에 유학하는 사람이 많아지자 독서삼품과는 유명무실해졌다. 독서삼품과는 고려 광종때 과거제 실시의 기반이 되었다.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 류민영의 교육 콘텐츠
5. 한계 : 여기에는 중국의 국자감 및 과거제의 영향이 일정하게 작용하였겠지만, 신라의 독특한 상황 때문에 그대로 시행되지는 못하였고, 아직 골품제의 제한은 강하게 남아 있었다. 그리고 보다 완전한 의미에서 유교적인 소양을 기준으로 관리를 임용하는 제도는 고려 광종 9(958)년에 과거제를 실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⑴ 관리선발방법은 삼국통일 이전에 활 쏘는 능력에 따라 선발하는 궁전법(弓箭法)이나 인물평가에 의한 미인법(美人法)과 달리 서적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가지고 능력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관리 선발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⑶ 이러한 변화는 삼국 통일기에 무(武)에 대한 능력이 중요한 선발기준이었던 데에 반하여, 삼국통일 이후에는 경학과 실제적 행정능력을 갖춘 새로운 모습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류민영 2010. 12. 21. 16:30. 1. 우리 나라 최초의 유교지식에 의한 관리선발제도. 원성왕 4(788)년에 처음 실시되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
- Source: baukuri.tistory.com
- Views: 67807
- Publish date: 52 minute ago
- Downloads: 33096
- Likes: 1656
- Dislikes: 1
- Title Website: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 류민영의 교육 콘텐츠
- Description Website: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류민영 2010. 12. 21. 16:30. 1. 우리 나라 최초의 유교지식에 의한 관리선발제도. 원성왕 4(788)년에 처음 실시되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
- Source: Youtube
- Views: 12065
- Date: 3 hours ago
- Download: 97339
- Likes: 9123
- Dislikes: 5
류민영의 교육 콘텐츠 ::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1. 우리 나라 최초의 유교지식에 의한 관리선발제도. 원성왕 4(788)년에 처음 실시되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이후 어느 정도나 실시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2. 관리선발기준은 인재를 기르는 국학의 교육과정과 연결되어 있었다.
3. 구분 등급
⑴ 상(上) : 춘추좌전․예기․문선을 읽어 능히 그 뜻을 통하고 겸하여 논어․효경에 밝은 자
⑵ 중(中) : 곡례(曲禮)․논어․효경에 밝은 자
⑶ 하(下) : 곡례․효경을 읽은 자
⑷ 특별선발 : 오경(五經)․삼사(三史)․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를 겸하여 그 뜻을 통한 자
⑸ 벼슬 : 나마, 대나마 수여
4. 의의
⑴ 관리선발방법은 삼국통일 이전에 활 쏘는 능력에 따라 선발하는 궁전법(弓箭法)이나 인물평가에 의한 미인법(美人法)과 달리 서적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가지고 능력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관리 선발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⑵ 독서삼품과는 전통적인 화랑제나 이에 따른 추천방식의 관리 선발에서 유교적 교육기관인 국학과 연결된 새로운 관리선발 방식이었다.
⑶ 이러한 변화는 삼국 통일기에 무(武)에 대한 능력이 중요한 선발기준이었던 데에 반하여, 삼국통일 이후에는 경학과 실제적 행정능력을 갖춘 새로운 모습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5. 한계 : 여기에는 중국의 국자감 및 과거제의 영향이 일정하게 작용하였겠지만, 신라의 독특한 상황 때문에 그대로 시행되지는 못하였고, 아직 골품제의 제한은 강하게 남아 있었다. 그리고 보다 완전한 의미에서 유교적인 소양을 기준으로 관리를 임용하는 제도는 고려 광종 9(958)년에 과거제를 실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독서삼품과 – 더위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1 08:42:34에 나무위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1 08:42:34에 나무위키 독서삼품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다만 독서삼품과가 국학 졸업생만 대상으로 하는 졸업시험이 아니라는 설도 존재한다. 국학에서 배우는 과목과 독서삼품과의 시험과목이 똑같지는 않기 때문이다.
삼국 시대의 신라는 빈번한 전쟁 때문에 무예를 중시하였으나, 삼국 통일 후 전쟁이 사라지고 왕권 강화를 위해 왕족(성골, 진골) 계통을 견제하고자 능력은 있었으나 신분 …
- Source: thewiki.kr
- Views: 38747
- Publish date: 36 minute ago
- Downloads: 56303
- Likes: 152
- Dislikes: 4
- Title Website: 독서삼품과 – 더위키
- Description Website: 삼국 시대의 신라는 빈번한 전쟁 때문에 무예를 중시하였으나, 삼국 통일 후 전쟁이 사라지고 왕권 강화를 위해 왕족(성골, 진골) 계통을 견제하고자 능력은 있었으나 신분 …
합격하면 끝인줄 알았는데… l 최치원 l 듀냐TV 핵심 in 한국사
- Source: Youtube
- Views: 81158
- Date: 11 hours ago
- Download: 99657
- Likes: 9946
- Dislikes: 2
다만 독서삼품과가 국학 졸업생만 대상으로 하는 졸업시험이 아니라는 설도 존재한다. 국학에서 배우는 과목과 독서삼품과의 시험과목이 똑같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1 08:42:34에 나무위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1 08:42:34에 나무위키 독서삼품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분류 통일신라
시험
관련 문서 제자백가
원성왕
통일신라
788년
독서삼품과( 讀 書 三 品 科 )는 통일신라 원성왕 때부터 국학 에서 시행한 공무원 시험 이다. 다만 이건 선발 시험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자격 시험에 더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 졸업자가 대나마, 혹은 나마 관등을 얻는 걸로 되어 있는데 4두품은 절대 결코 나마 관등을 얻을 수 없었기에, 5두품 이상 자제만 입학할 수 있었던 걸로 보인다.삼국 시대의 신라는 주변국들과의 계속되는 전쟁 탓에 무예를 우선시하였으나, 삼국통일 후 전쟁이 거의 사라져 평화로운 시대가 도래하면서 왕권 강화를 위해 왕족( 성골 진골 ) 계통을 견제하고자, 학문적 소양도 없는 자가 진골이란 이유만으로 높은 관직에 취임하는 걸 막기 위해 이 제도를 도입하였다.독서삼품과를 수료한 자는 나마, 우수자는 대나마 관등을 얻는 제도였는데, 일단 이 독서삼품과 수료자를 문적이 있는 자로 일컫는 관행이 정착되었다. 즉 진골이라 하더라도 독서삼품과를 수료하지 못하는 자는 나마보다 높은 관등을 얻을 수가 없어, 오늘날 차관보에 해당하는 대사 직책 이상은 결코 얻을 수가 없었다는 뜻이다. 그래도 차관보 바로 아래 자리 정도면 꽤 높은 거 아니냐고 하겠지만 독서삼품과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진골 자제라는 이유만으로 높은 자리로 죽죽 올라가던 관행에 나름 큰 브레이크가 걸렸다는 뜻이었고, 이 제도 아래에서 열심히 분발한 건 다름아닌 6두품 5두품 자제들이었다.이 시험은 국학의 졸업생들이 치는 것이었다. [1] 시행 이전까지 신라는 골품제 에 따라 타고난 혈통이 있어야 관리가 될 수 있는 시스템이었고, 앞서 진흥왕 때부터 화랑 제도 정비를 통해 신분에 얽매이지 않는 공동생활을 거친 후 유능한 인재를 천거 하는 시스템을 일정 정도 갖추어 놓았지만 앞서 중국에서 구품관인법 (구품중정제)이 그랬듯 검증 과정이 완전히 객관적일 수는 없는 천거제도로서는 한계가 있었다.그러나 동시대 중국 당나라 부터 시험을 쳐서 관리를 뽑는 과거 제도 를 시행되어 왔고,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통일 신라에서 시행했던 제도였으나, 완강한 신라의 골품제라는 신분적 한계에 좌절하는 이들이 부지기수로 많았다. 고려 이후에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과거의 초보적 단계라고 부를 수 있으며 진골 귀족의 관료 독점을 대단히 완화하는 효과를 거두었다.이 독서삼품과는 결코 유명무실하지 않았다. 오히려 신라삼최 처럼 당나라 유학 가서 빈공과 에 응시해 벼슬 해온 이들에게, 독서삼품과 수료생들과 같은 대우 해주는 것에 대해 대단한 이의가 제기되었을 정도. 한편 유학파 이외에도 전통적 인재 등용 제도였던 화랑 제도 역시 통일 이전처럼 여전히 남아있었고 예전처럼 화랑도 공동생활을 통해 인재를 천거 하는 것도 계속되었으나, 이런 사람들은 ‘문적’ 있는 사람을 우선하는 풍조가 확실히 잡힌 원성왕 때 이후엔 대사 이상 직급에는 오를 수가 없게 되어 독서삼품과의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하지만 여기까지 읽어도 알 수 있듯 대사 바로 직책인 사지(舍知)도 대단히 높은 데 이건 현대 한국 기준으로 하면 중앙 관서 국장급이다. 조선 시대 때는 아무리 대가집 자제라하더라도 학문적 능력이 따라주지 않아 과거 시험 급제를 해내지 못하면 9품관도 정말 하기 힘들어 별볼일 없는 미관말직으로 빠지는 길 밖엔 없었으나, 신라 시대에 비슷한 환경에 처한 진골 자제들은 적어도 2급 공무원 직책까진 합법적으로 올라갈 수 있었다는 뜻이다.이 제도의 도입은 자체로 큰 효과를 거두었고 광종의 과거제 도입 이전에는 이름만 바꾸어 태봉과 고려가 여전히 답습했던 걸로 보이지만, 그 후에도 신라의 관리 등용 관행이 진골 위주였던 건 변하지 않았다. 경전 으로 시험을 쳐서 단순히 성적을 상품(上品), 중품(中品), 하품(下品)으로 나눠 관리 임용에 참고하는 방식이었다. 원성왕 의 의도는 수문제 과거 제도 를 했던 것처럼 성적순대로 관리 임용을 하고 성적순대로 직급을 배치하는 작업에 직접 도입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공부머리가 딸려서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되는 진골 자제들을 고위 직책에서 배제한 정도 효과에서 멈추고 말았다. 원성왕은 진골들이 기세등등한 현실에서 최대한 노력한 것이기에 이걸 갖고 그를 비판할 순 없지만, 후기 통일신라가 처한 진골 편향적인 현실이 정말이지 임금들 입장에서 극복하기 어려웠음은 부정할 수 없다.시험 과목: 2~3가지 경전을 읽기만 하면 중품까지되고, 5가지 경전에 능통하기만 하면 되는 게 아니고, 여기서 ‘읽은’의 경우 정확하게 암송을 하는 것이다. 당시 유학은 공자 왈, 맹자 왈 하는 훈고학 이었다. 따라서 사서삼경을 완전히 입으로 외워야 하는 것이다. 특품 정도면 신라 전체에 한 명 나올까 말까한 암송왕이다.특품: 오경(五經:《시경》·《서경》·《역경》·《춘추》·《예기》)·삼사(三史:《사기》·《한서》·《후한서》)·제자백가(諸子百家)의 서적에 모두 능통한 사람상품: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예기(禮記)》·《문선(文選)》을 읽어 그 뜻에 능통하고 아울러 《논어》·《효경》에도 밝은 사람중품: 《곡례》·《논어》·《효경(孝經)》을 읽은 사람하품: 《곡례(曲禮)》·《효경》을 읽은 사람
독서삼품과의 자세한 의미
🐬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 신라 때에, 귀족의 자제에 한하여 상ㆍ중ㆍ하의 삼품으로 나누어 성적을 심사하고 결정하여 관리로 등용하던 제도. 원성왕 4년(788)에 국학(國學)에 설치한 것인데, ≪좌전≫ㆍ≪예기≫ㆍ≪문선≫에 능통하고 아울러 ≪논어≫ㆍ≪효경≫에 밝은 자를 상품으로, ≪곡례≫ㆍ≪논어≫ㆍ≪효경≫에 통한 자를 중품으로, ≪곡례≫ㆍ≪효경≫에 통한 자를 하품으로 하였고, 오경(五經)ㆍ삼사(三史)ㆍ제자백가의 서(書)에 능통한 자가 있으면 특품(特品)으로 하여 순서를 뛰어넘어 등용하였다. 어휘 명사 한자어 역사
▹ 독서삼품과 의 자세한 의미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 · 신라 때에, 귀족의 자제에 한하여 상ㆍ중ㆍ하의 삼품으로 나누어 성적을 심사하고 결정하여 관리로 등용하던 제도. · ▹초성이 같은 단어들.
- Source: wordrow.kr
- Views: 25025
- Publish date: 3 hours ago
- Downloads: 43040
- Likes: 3846
- Dislikes: 3
- Title Website: 독서삼품과의 자세한 의미
- Description Website: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 · 신라 때에, 귀족의 자제에 한하여 상ㆍ중ㆍ하의 삼품으로 나누어 성적을 심사하고 결정하여 관리로 등용하던 제도. · ▹초성이 같은 단어들.
책 속에서 길을 찾는 세 가지 방법 (feat. 세종대왕의 독서사가제, 정약용의 삼박자 독서법, 신라 원성왕의 독서 삼품과)
- Source: Youtube
- Views: 97596
- Date: 32 minute ago
- Download: 58578
- Likes: 4393
- Dislikes: 9
독서삼품과 뜻: 신라 때에, 귀족의 자제에 한하여 상ㆍ중ㆍ하의 삼품으로 나누어 성적을 심사하고 결정하여 관
▹ 독서삼품과 의 자세한 의미
🐬 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 신라 때에, 귀족의 자제에 한하여 상ㆍ중ㆍ하의 삼품으로 나누어 성적을 심사하고 결정하여 관리로 등용하던 제도. 원성왕 4년(788)에 국학(國學)에 설치한 것인데, ≪좌전≫ㆍ≪예기≫ㆍ≪문선≫에 능통하고 아울러 ≪논어≫ㆍ≪효경≫에 밝은 자를 상품으로, ≪곡례≫ㆍ≪논어≫ㆍ≪효경≫에 통한 자를 중품으로, ≪곡례≫ㆍ≪효경≫에 통한 자를 하품으로 하였고, 오경(五經)ㆍ삼사(三史)ㆍ제자백가의 서(書)에 능통한 자가 있으면 특품(特品)으로 하여 순서를 뛰어넘어 등용하였다. 어휘 명사 한자어 역사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독서 삼품 과
Bing에서 독서 삼품 과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독서 삼품 과.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독서 삼품 과 국학, 독서삼품과 과거제 차이, 김헌창의 난, 빈공과, 신문왕 국학, 국학 설립, 주자감, 고려 과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