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금 모으기 운동“?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1.castu.org 탐색에서: 새로운 상위 849 가지 팁 업데이트.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금 모으기 운동 금모으기운동 뒤통수, 금 모으기 운동 대기업, 금모으기 운동 호구, 금모으기운동 해외반응, 금모으기 운동 현실, 금모으기 운동 이유, 금모으기 운동 가격, 금모으기 운동 비리
Table of Contents
금모으기 – 나무위키
26 thg 12, 2022 — 금모으기 운동은 절대 공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금을 헌납하면 헌납한 사람에게 정부에서 실제 금값에 해당되는 돈보다 약간 더 얹어서 통장에 …
- Source: namu.wiki
- Views: 26703
- Publish date: 18 minute ago
- Downloads: 17347
- Likes: 6611
- Dislikes: 6
- Title Website: 금모으기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26 thg 12, 2022 — 금모으기 운동은 절대 공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금을 헌납하면 헌납한 사람에게 정부에서 실제 금값에 해당되는 돈보다 약간 더 얹어서 통장에 …
- Source: Youtube
- Views: 22821
- Date: 3 hours ago
- Download: 1071
- Likes: 405
- Dislikes: 2
금모으기 운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모으기 운동은 1998년 2월 말 주택은행·국민은행 등 5개 금융기관이 금모으기 업무를 중지한 데 이어 4월 말 농협중앙회를 마지막으로 모두 끝났다.[5] 운동이 시작된 지난 1월 5일부터 걷힌 금은 약 227t이다. 1월에 가장 많은 165.65t이 걷혔고, 이후 줄어들어 2월에는 53.96t, 3월 5.38t, 4월 800kg이 모였다.[5] 이로써 약 18억 2천만 달러의 외화를 거두었다.[6] 전국적으로 3백51만여 명이 여기에 참여했다. 4가구당 1가구꼴로 평균 65g을 내놓은 것이다.[5] 이중 2만1천 명은 금 187kg을 헌납했으며 1천7백35명은 1백31kg을 국채를 사는 형식으로 위탁했다. 수집기관별로는 주택은행(KBS-대우)이 136.4t으로 가장 많았고 농협(MBC-삼성)이 48.24t, 국민은행과 새마을금고(SBS-LG)가 33.68t, 외환은행이 4.25t, 기업은행이 1.98t씩을 모았다. ‘제2의 국채보상운동’이라고 부를 만한 수준이다.[5] 이를 통해 예정보다 3년이나 앞당겨진 2001년 8월 IMF로부터 지원받은 195억 달러의 차입금을 모두 상환했다.[7]
1997년 7월 2일 태국의 고정환율제도가 변동환율제도로 바뀜에 따라 태국 바트화의 시세가 폭락한 것이 동아시아 금융 위기의 직접적인 계기였다. 외채 상환이 불가능한 일부 금융 기관과 달러 부족, 원화 환율 폭등 등의 문제가 커지면서 대한민국은 단독으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었다. 결국 외화 차입이 봉쇄됨에 따라 장기 외채 상환이 어려워졌고, 1998년 1월 6일 KBS에 의해 금모으기 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2]
KBS의 ‘금 모으기 캠페인’ 방송으로 1998년 1월 5일 금모으기 운동이 시작되었다. 금모으기 운동에 참여하는 일반인들은 금(순금 24K)을 내놓으면, 전문 감정가가 직접 금을 감정한 확인서를 받게 되며, 수출 후 달러를 당시 환율과 국제금시세로 평가해 나중에 원화로 돌려받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3] 공식적으로 3월 14일 종료된 금모으기 운동은 농협에 의해 계속 진행되었다.[4]
금모으기 운동은 1997년 IMF 구제금융 요청 당시 대한민국의 부채를 갚기 위해 국민들이 자신이 소유하던 금을 나라(대한민국)에 자발적인 희생정신으로 내어놓은 운동 …
- Source: ko.wikipedia.org
- Views: 53285
- Publish date: 59 minute ago
- Downloads: 26913
- Likes: 3433
- Dislikes: 3
- Title Website: 금모으기 운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금모으기 운동은 1997년 IMF 구제금융 요청 당시 대한민국의 부채를 갚기 위해 국민들이 자신이 소유하던 금을 나라(대한민국)에 자발적인 희생정신으로 내어놓은 운동 …
⭐세상에 이런 시도는 없었다⭐ 나라를 구한 위대한 국민들, IMF 극복한 금모으기운동 희귀영상 대방출|크랩
- Source: Youtube
- Views: 77886
- Date: 36 minute ago
- Download: 91850
- Likes: 4838
- Dislikes: 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98년 1월 6일 금 모으기 운동 현장
금모으기 운동은 1997년 IMF 구제금융 요청 당시 대한민국의 부채를 갚기 위해 국민들이 자신이 소유하던 금을 나라(대한민국)에 자발적인 희생정신으로 내어놓은 운동이다. 당시 대한민국은 외환 부채가 약 304억 달러에 이르렀다. 전국 누계 약 351만 명이 참여한 이 운동으로 18억 달러 어치의 약 227톤의 금이 모였다.[1]
발단 [ 편집 ]
1997년 7월 2일 태국의 고정환율제도가 변동환율제도로 바뀜에 따라 태국 바트화의 시세가 폭락한 것이 동아시아 금융 위기의 직접적인 계기였다. 외채 상환이 불가능한 일부 금융 기관과 달러 부족, 원화 환율 폭등 등의 문제가 커지면서 대한민국은 단독으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었다. 결국 외화 차입이 봉쇄됨에 따라 장기 외채 상환이 어려워졌고, 1998년 1월 6일 KBS에 의해 금모으기 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2]
전개 [ 편집 ]
KBS의 ‘금 모으기 캠페인’ 방송으로 1998년 1월 5일 금모으기 운동이 시작되었다. 금모으기 운동에 참여하는 일반인들은 금(순금 24K)을 내놓으면, 전문 감정가가 직접 금을 감정한 확인서를 받게 되며, 수출 후 달러를 당시 환율과 국제금시세로 평가해 나중에 원화로 돌려받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3] 공식적으로 3월 14일 종료된 금모으기 운동은 농협에 의해 계속 진행되었다.[4]
1998년 1월 165t, 2월 53t, 3월 5t, 4월 0.8t 등 약 225톤이 모금되었고, 참여한 사람은 전국적으로 349만 명에 달했다. 당시 시세로 21억 7천만 달러에 해당하는 금액이 모였다.[4]
언론에서는 사회 각계의 금모으기 운동 참여 소식을 전했고, 국민에게 금모으기 운동에 동참할 당위성을 부여했다. 3월 이후의 보도는 금모으기 운동을 통해 외환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4]
언론은 보도를 통해 삼성그룹과 대우그룹 등 기업들의 참여, 혹은 이종범 선수 등 스포츠인,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 이건희 회장 부부 등의 금 기탁 소식을 전했고, 금 5천여만원어치를 기탁한 일반인 전성환 씨의 소식도 전하면서 금모으기 운동의 도덕적 의미를 강화했다.[4]
캠페인이 일단락된 1998년 3월 이후부터는 주로 성과 위주로 보도가 이루어진다. 보도의 내용은 주로 금모으기 운동으로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내용을 보도한다.[4] 금모으기 운동은 자발적 참여와 애국심을 강조하며 참여의 간편함 등의 이유로 온 국민에게 참여를 독려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결과 [ 편집 ]
금모으기 운동은 1998년 2월 말 주택은행·국민은행 등 5개 금융기관이 금모으기 업무를 중지한 데 이어 4월 말 농협중앙회를 마지막으로 모두 끝났다.[5] 운동이 시작된 지난 1월 5일부터 걷힌 금은 약 227t이다. 1월에 가장 많은 165.65t이 걷혔고, 이후 줄어들어 2월에는 53.96t, 3월 5.38t, 4월 800kg이 모였다.[5] 이로써 약 18억 2천만 달러의 외화를 거두었다.[6] 전국적으로 3백51만여 명이 여기에 참여했다. 4가구당 1가구꼴로 평균 65g을 내놓은 것이다.[5] 이중 2만1천 명은 금 187kg을 헌납했으며 1천7백35명은 1백31kg을 국채를 사는 형식으로 위탁했다. 수집기관별로는 주택은행(KBS-대우)이 136.4t으로 가장 많았고 농협(MBC-삼성)이 48.24t, 국민은행과 새마을금고(SBS-LG)가 33.68t, 외환은행이 4.25t, 기업은행이 1.98t씩을 모았다. ‘제2의 국채보상운동’이라고 부를 만한 수준이다.[5] 이를 통해 예정보다 3년이나 앞당겨진 2001년 8월 IMF로부터 지원받은 195억 달러의 차입금을 모두 상환했다.[7]
평가 [ 편집 ]
한국개발연구원(KDI)이 IMF 외환위기 발생 20년을 맞아 ‘국민의 인식과 삶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대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IMF 외환위기’ 하면 가장 먼저 ‘국민의 금모으기 운동(42.4%)’을 연상했다.[8] 외환위기를 조기졸업한 원동력으로 금모으기 운동 등 국민의 단합(54.4%)을 가장 많이 뽑았다.[8]
같이 보기 [ 편집 ]
금모으기 운동 배경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1998년 5월 18일. IMF외환위기 여파로 급속도로 늘어나는 어려운 이웃을 지원하기 위해 대구시청 민원실에 “이웃사랑창구”를 전국 최초로 개설하였음 이웃사랑창구는 갑작스러운 실직 등으로 생계가 어려운 가정에 대해 서류증명 없이 사회복지사나 이웃주민의 확인만으로 소정의 생계비와 무료치료, 쌀 무상공급, 취업알선 등의 서비스를 지원(독지가, 병원, 종교단체 등)하는 창구로서 2018년말까지 총 3,464명에게 9억9,800만원의 생계비와 쌀 439포, 무료치료 등을 지원하였음. 당시에 설치한 이웃사랑창구는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으며, 대구적십자사 직원이 시청에 상주하면서 어려운 이웃을 접수받아 지원하였음
특히 대구시와 대구상공회의소, 지역대학교에서는 국채보상운동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기념사업준비위원회 구성(대구시), 국채보상운동사 발간(대구상공회의소), 국채보상운동 기념비 건립(대구상공회의소), 기념식 및 국제심포지엄을 개최(대구시, 대학교 등) 하였음. 또한 대구사랑운동시민회의에서는 사회 저명인사를 매달 초빙, 시민아카데미를 통해 제2국채보상운동 정신을 전파하였고, 각급기관·단체와 금융기관에서는 “나라사랑 금 및 고철 모으기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대구은행과 대구상공회의소에서는 신 국채보상운동의 일환으로 “국채보상운동 통장”을 발매하는 등 다양한 제2국채보상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음
1997년 6월 국채보상운동사 발간(2천부), 학교 및 도서관 등 배부 1997년 7월 대구시에서 국채보상운동 90주년 기념식 최초 개최 1997년 10월 대구상공회의소에서 국채보상운동 기념비 건립 1997년 10월 16일 대구시, 시의회, 대구상공회의소 주관으로 각계인사 60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채보상운동 백주년 기념사업회 창립 1997년 10월 17일 국채보상운동 국제심포지엄 개최 1999년 중구청과 지방경찰청, 공무원교육원이 있던 자리의 건물과 담장을 허물고 국채보상기념공원 조성 2001년 2월 사단법인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창립
외환위기 징조를 일반국민들이 잘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행정안전부(당시 내무부)에서 1997년 4월부터 10월까지 국민운동단체 등을 통해 경제살리기 저축운동을 전개 …
- Source: www.gukchae.com
- Views: 37293
- Publish date: 44 minute ago
- Downloads: 59857
- Likes: 6205
- Dislikes: 9
- Title Website: 금모으기 운동 배경 – 국채보상운동기념관
- Description Website: 외환위기 징조를 일반국민들이 잘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행정안전부(당시 내무부)에서 1997년 4월부터 10월까지 국민운동단체 등을 통해 경제살리기 저축운동을 전개 …
IMF 금모으기 운동의 추악한 진실 (국가부도의날 호구 잡기 운동?!)
- Source: Youtube
- Views: 86963
- Date: 16 hours ago
- Download: 99234
- Likes: 2505
- Dislikes: 9
아래의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으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금모으기 운동 배경
대구 금모으기운동 태동배경
1997년 11월 21일 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고, 이어서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대량실직사태 발생 등으로 인해 생계가 막연한 가정에서 가족이 집단 자살하는 사건이 대구에서 빈발하는 등 사회적 혼란이 가중됨
이에 따라 민관협력의 시민운동 네트워크인 대구사랑운동시민회(우리나라 최초로 설립한 민·관 협력의 시민운동 협의체)를 중심으로 “제2국채보상운동”의 필요성이 제기됨
특히 당시 문화예술과에서 담당하던 국채보상운동과 2.28민주운동 업무가 대구사랑운동을 추진하던 자치행정과로 이관됨에 따라 국채보상운동과 2.28민주운동에 대한 재조명 사업과 함께 금모으기운동을 범시민운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여건과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었음
이를 바탕으로 대구시와 대구사랑운동시민회의에서는 제2국채보상운동 차원에서 금모으기운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키로 하고, 1997년 12월 하순경에 “1998년 1월 8일 기관·단체장 간담회 개최”를 통보한 상황에서, 대구 남구에 소재한“한울정신문화원”에서 1997년 12월 28일 금모으기운동을 추진하여 당일 금 8㎏(약 1억5천만원 상당)을 모으기도 하였음
금모으기운동 추진경과
1997년 11월 25일 대구시청 대강당에서 대구사랑운동시민회의 주관으로 130여개 회원단체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기관·단체장 결의대회”를 개최하였음
1997년 12월 23일 대구사랑운동 평가보고회 겸 총회를 통해 “금모으기운동”을 추진하기로 결의하고, 각급기관·단체에 간담회 참석을 협조요청 함
그리고, 1998년 1월 6일부터 대구시청 민원실에 금모으기운동 접수창구를 개설한데 이어, 1998년 1월 8일 대구시청 대강당에서 대구사랑운동시민회의 주관으로 160여명의 기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장롱속 금모으기 운동 기관·단체장 결의대회”를 개최하였으며, 결의대회 당일 보석업체의 협조를 받아 기관·단체장이 준비해온 금반지 등을 감정 받아 위탁하는 등 금모으기운동을 시작함
이후 대구은행 등 각급 금융기관에서 금모으기 접수창구를 개설하는 등 본격적인 국민운동으로 확산하는 계기가 됨
외환위기 극복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
외환위기 징조를 일반국민들이 잘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행정안전부(당시 내무부)에서 1997년 4월부터 10월까지 국민운동단체 등을 통해 경제살리기 저축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대구시가 전국1위(상사업비 20억원 수상)를 달성하였음
1998년 5월 18일. IMF외환위기 여파로 급속도로 늘어나는 어려운 이웃을 지원하기 위해 대구시청 민원실에 “이웃사랑창구”를 전국 최초로 개설하였음 이웃사랑창구는 갑작스러운 실직 등으로 생계가 어려운 가정에 대해 서류증명 없이 사회복지사나 이웃주민의 확인만으로 소정의 생계비와 무료치료, 쌀 무상공급, 취업알선 등의 서비스를 지원(독지가, 병원, 종교단체 등)하는 창구로서 2018년말까지 총 3,464명에게 9억9,800만원의 생계비와 쌀 439포, 무료치료 등을 지원하였음. 당시에 설치한 이웃사랑창구는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으며, 대구적십자사 직원이 시청에 상주하면서 어려운 이웃을 접수받아 지원하였음
1998년 5월 30일. 동구 공산동 일대 유휴농지(3,300㎡)를 무상으로 임대받아 실직자 70명에게 IMF 텃밭을 무상으로 분양하였으며, 대구 제일교회에서 비료와 씨앗 구입비 등을 지원하였음
1998년 7월 18일 두류공원 문화예술회관 앞 차단도로(2,310㎡)에 민·관협력 방식의 토요알뜰장터를 전국 최초로 개설하여 매주 운영(매주 2~3만명 정도 이용)하였으며, 여기에는 대구 YWCA, 새마을부녀회, 적십자사대구지사, 대구사회복지협의회, 한국자원환경개발협회 등 5개단체가 주관하고, 월남참전군인회, 영남대, 대경대, 경북과학대 등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전개하였음
토요알뜰장터는 IMF 외환위기로 인해 파산한 업체의 재고물품이나 각 가정이나 직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물품(양복, 헌옷, 장난감, 가전제품, 가구, 학용품, 도서 등)을 물물교환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였으며, 가전3사에서 가전제품 무상수리, 종합복지회관 직업훈련생의 옷 무료수선 봉사, 지방 예술단체의 공연 등 다양한 재활용 축제의 장으로 발전하였음
그 외에도 대구시와 새마을운동 대구지부, 지역 언론사 공동주관으로 고철모으기 운동을 전개하였고, 총 20만5천 여명이 참여하여 13,311톤의 고철을 모았으며, 대구상공회의소와 매일신문사는 경제살리기운동의 일환으로 국채보상운동 통장개설과 함께 금모으기운동과 함께 경제살리기 실천요강 공모와 서명운동을 전개하였음
대구사랑운동시민회의에서는 1998년도 대구사랑운동 추진방향으로 “신 국채보상운동으로 재 점화”를 정하고, 선도과제로 “금 및 고철 모으기운동”을 범시민운동으로 추진하였음
특히 대구시와 대구상공회의소, 지역대학교에서는 국채보상운동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기념사업준비위원회 구성(대구시), 국채보상운동사 발간(대구상공회의소), 국채보상운동 기념비 건립(대구상공회의소), 기념식 및 국제심포지엄을 개최(대구시, 대학교 등) 하였음. 또한 대구사랑운동시민회의에서는 사회 저명인사를 매달 초빙, 시민아카데미를 통해 제2국채보상운동 정신을 전파하였고, 각급기관·단체와 금융기관에서는 “나라사랑 금 및 고철 모으기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대구은행과 대구상공회의소에서는 신 국채보상운동의 일환으로 “국채보상운동 통장”을 발매하는 등 다양한 제2국채보상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음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창립
1997년 6월 국채보상운동사 발간(2천부), 학교 및 도서관 등 배부 1997년 7월 대구시에서 국채보상운동 90주년 기념식 최초 개최 1997년 10월 대구상공회의소에서 국채보상운동 기념비 건립 1997년 10월 16일 대구시, 시의회, 대구상공회의소 주관으로 각계인사 60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채보상운동 백주년 기념사업회 창립 1997년 10월 17일 국채보상운동 국제심포지엄 개최 1999년 중구청과 지방경찰청, 공무원교육원이 있던 자리의 건물과 담장을 허물고 국채보상기념공원 조성 2001년 2월 사단법인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창립
성공요인
국채보상운동 등 나라가 어려움에 처할 때 마다 국난극복에 앞장섰던 올곧은 대구정신을 계승(국채보상운동, 228민주의거 등)
1996년 전국 최초로 민관협력의 시민운동인 대구사랑운동시민회의를 창립(135개 기관단체 참여)함으로써 주요 이슈발생시 신속한 의사결정과 범시민적 추진체제 및 탄탄한 시민운동 노하우를 갖추고 있었음 ※ 대구사랑운동시민회의는 나중에 부산사랑, 대전사랑, 구미사랑 등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김대중 정부의“제2건국운동”의 모델이 되었음
135개 기관단체가 실무자회의(연1회), 실무위원회(매월), 상임위원회(분기별), 총회(연1회)와 평가보고회 및 다양한 실천과제를 공동으로 수립하고, 상호 역할분담을 통한 민·관 협치를 실현하였음
국채보상운동과 금모으기운동의 연관성
유사점
외국에 진 빚을 갚기 위해 전국최초로 범국민운동을 펼쳤다는 점
대구에서 처음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는 점
관의 주도가 아닌 민간의 자발적인 기획과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
언론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가 있었다는 점
금 외에도 다양한 물자절약운동(모으기 운동) 전개하였다는 점
※ 국채보상운동 : 금연, 절미, 패물, 장신구, 은반지 등 금모으기운동 : 금, 은, 고철, 저축운동 등
※ 국채보상운동 : 금연, 절미, 패물, 장신구, 은반지 등 금모으기운동 : 금, 은, 고철, 저축운동 등 국난극복을 위한 범국민적 역량결집과 애국심 고취의 계기가 됨
실제 외채를 갚을 정도의 모금성과는 달성하지 못하였다는 점
부정적인 여론보다는 긍정적인 여론이 대세를 이루었다는 점 등
차이점
국채보상운동 – 민간 중심 운동
– 일본에 진 빚 갚기
– 국권 회복운동(자주자강)
– 기부 성격
– 대구에 민의소 설치, 전국적으로 70여개의 보상소 설치 – 고위층 및 정부관료 참여 미흡
– 일제 통제시대
– 미디어 미 발달(전파속도 느림)
– 여성의 주도적 참여(선도)
금모으기운동 – 민·관 협력 운동
– IMF 구제금융 갚기
– 국가 명예회복 운동 * 기업 분식회계 경종 등 부패척결 계기
– 대가 지불
– 금융기관을 통해 접수
– 모든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
– 미디어 발달(전파속도 빠름)
– 성별과 연령 구별 없이 참여
국민운동의 정량적 성과
국채보상운동을 통해 230만원 정도를 모금함으로써 목표액(1,300만원)의 17.6%를 달성함
금모으기운동을 통해 약 349만 명(전체인구의 13.3%)이 참여하였으며, 약 225톤(21억7천만달러)의 금을 모음으로써 목표액(250억 달러)의 8.7%를 달성함
대구지역의 금모으기운동 성과는 약 10만3천명이 참여한 가운데 12톤 452㎏의 금을 모았음
특히 대구 서문교회(담임목사 이상민)에서는 교인들이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되살릴 것을 결의하고, 140돈의 금(반지, 목걸이, 귀고리, 팔찌, 작은 두꺼비, 메달 등)을 모아 대구사랑운동지원기금으로 헌납하였음
IMF 외환위기와 금 모으기 운동의 ‘숨겨진 진실’ – 한국일보
기업은 어땠을까요? 금 모으기가 진행되는 동안 굴지의 대기업들이 금을 수출입 하는 과정에서 탈세를 저질러 부를 축적했다는 사실이 2008년에서야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납니다. 당시 무역 상사를 운영하던 대기업들이 금 도매업체들과 짜고 면제 제도를 악용해 세금을 포탈한 것입니다. 이 기업들은 국민들이 모은 금으로 수출 실적을 올려 IMF 구조조정 칼날을 피해 간 것은 물론 뒷돈까지 챙긴 것이죠. 그러나 탈세에 관여한 대기업과 은행 관계자들은 공소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로 아무런 처벌을 받지 않았습니다. 국민들의 금을 팔면서 제 값을 받았는지도 많은 뒷말을 남겼습니다. 결국 책임이 있던 자리에 있는 그 누구도 제대로 된 책임을 지지 않았습니다. 그 책임은 직장에서 잘리고 아이의 돌반지를 내놔야 했던 국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갔죠.
정부가 보인 이상행보의 원인 중 하나는 ‘선진국 병’ 때문이었습니다. 국민 1인당 소득이 1만 달러를 넘어섰다고 경축하면서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게 시작이었죠. 그런데 수출 실적이 나빠지고, 경제 상황 악화로 원화 가치가 떨어지자 국민 소득 ‘1만 달러’가 위협받게 됩니다. 결국 OECD 가입국의 체면을 지키려 달러를 방출, 억지로 원화 가치를 떨어트리지 않으려던 게 외환위기의 한 빌미를 제공한 것입니다. 은행이라도 달러를 넉넉히 보유하고 있었으면 위기가 쉽게 오진 않았을 텐데, 기업들에 마구잡이로 퍼 주고 보니 정작 급할 때 쓸 달러는 없었습니다.
이미 1996년에는 수출 사정이 크게 나빠지면서 외채 역시 1,570억 달러에서 1,740억 달러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외환위기 이전에 심각한 경고 등이 켜졌던 겁니다. 그런데 정부는 갖고 있던 달러를 시장에 대방출하면서 달러의 가치를 낮추고 원화의 가치를 높게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쓰는, 기이한 정책을 펼칩니다. 값싼 원화로 생산해 수출하고, 비싼 달러로 물건 값을 받아 이윤을 창출했던 기업들에겐 악재였죠. 1996년 330억 달러 수준이었던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1997년 200억 달러로 급격히 줄어들면서 위기는 점점 가속도가 붙습니다.
27 thg 11, 2018 — 국민들에게 금을 모으는 것이 생각보다 외화 벌이에 효과가 크다는 걸 알아챈 정부는 1998년 1월 전국적인 ‘금 모으기 운동’을 주도합니다. 정부와 기업, …
- Source: www.hankookilbo.com
- Views: 15576
- Publish date: 41 minute ago
- Downloads: 56903
- Likes: 661
- Dislikes: 4
- Title Website: IMF 외환위기와 금 모으기 운동의 ‘숨겨진 진실’ – 한국일보
- Description Website: 27 thg 11, 2018 — 국민들에게 금을 모으는 것이 생각보다 외화 벌이에 효과가 크다는 걸 알아챈 정부는 1998년 1월 전국적인 ‘금 모으기 운동’을 주도합니다. 정부와 기업, …
1월 5일|1998년 오늘, \”IMF 극복 「금 모으기운동」 시작\” | 오늘의 의정사
- Source: Youtube
- Views: 65789
- Date: 2 hours ago
- Download: 23436
- Likes: 3725
- Dislikes: 9
IMF 외환위기와 금 모으기 운동의 ‘숨겨진 진실’
21년 전 변변한 금광 하나 없는 대한민국에서 기적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무려 225톤, 21억7,000만 달러에 달하는 금이 쏟아진 것이죠. 연말이라 훈훈한 내용을 기대하셨다면, 그 건 아닙니다.
정부와 은행, 대기업이 친 사고였지만 국민들이 살벌한 뒷감당을 해야 했던 기묘한 기적. 오늘날까지 유구하게 이어지고 있는 헬조선 연대기의 시작. 그 중심에는 바로 이 황금빛 기적, 금 모으기 운동이 있었습니다.
1990년대 우리 기업들은 기술력도 자본도 턱 없이 부족했습니다. 외국에서 빌려온 달러로 원자재와 설비를 사고 어깨 너머로 배운 기술로 값이 싼 제품을 생산, 수출해 돈을 버는 방식이었죠. 한동안은 경기 호황으로 비싼 달러 빚을 얻어 만든 싼 제품만 잔뜩 팔아도 남는 장사였습니다. 은행은 기업의 빚이 얼마가 됐건 돈을 빌려주는 데 거리낌이 없었죠. 자기 자본보다 부채가 10배나 많은 기업도 정부의 지원을 굳게 믿던 터라 별 걱정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세계 경기가 주춤하고 싸구려 제품에 대한 수요도 줄면서 곧바로 우리 기업들이 타격을 입습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돈을 벌었던 태국이나 인도네시아도 마찬가지였죠. 동아시아 국가의 기업들이 잇따라 이상 징후를 보이자 외국인 투자자들이 황급히 투자금을 회수하기 시작합니다.
이미 1996년에는 수출 사정이 크게 나빠지면서 외채 역시 1,570억 달러에서 1,740억 달러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외환위기 이전에 심각한 경고 등이 켜졌던 겁니다. 그런데 정부는 갖고 있던 달러를 시장에 대방출하면서 달러의 가치를 낮추고 원화의 가치를 높게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쓰는, 기이한 정책을 펼칩니다. 값싼 원화로 생산해 수출하고, 비싼 달러로 물건 값을 받아 이윤을 창출했던 기업들에겐 악재였죠. 1996년 330억 달러 수준이었던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1997년 200억 달러로 급격히 줄어들면서 위기는 점점 가속도가 붙습니다.
정부가 보인 이상행보의 원인 중 하나는 ‘선진국 병’ 때문이었습니다. 국민 1인당 소득이 1만 달러를 넘어섰다고 경축하면서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게 시작이었죠. 그런데 수출 실적이 나빠지고, 경제 상황 악화로 원화 가치가 떨어지자 국민 소득 ‘1만 달러’가 위협받게 됩니다. 결국 OECD 가입국의 체면을 지키려 달러를 방출, 억지로 원화 가치를 떨어트리지 않으려던 게 외환위기의 한 빌미를 제공한 것입니다. 은행이라도 달러를 넉넉히 보유하고 있었으면 위기가 쉽게 오진 않았을 텐데, 기업들에 마구잡이로 퍼 주고 보니 정작 급할 때 쓸 달러는 없었습니다.
결국 기술력도 자본도 없었던 기업들이 무리하게 빚을 내는데도 은행은 말리지 않았고 정부는 OECD 라는 외모에 치장하느라 국가 경제의 파산을 부채질한 셈입니다.
그렇게 생긴 빚을 갚기 위해 국민들이 가지고 있던 금을 모았던 것이 금 모으기 운동이었습니다. 1997년 말, 새마을부녀회라는 단체의 ‘가락지 모으기 운동’이 그 시초가 됩니다. 국민들에게 금을 모으는 것이 생각보다 외화 벌이에 효과가 크다는 걸 알아챈 정부는 1998년 1월 전국적인 ‘금 모으기 운동’을 주도합니다. 정부와 기업, 언론이 앞장서고 국민들은 호응했습니다.
‘국가의 위기는 모두의 책임이며 힘을 모아 극복해야 한다.’
모두가 위기의 책임자라고 인식하게 만든 이 ‘가혹한 주문’ 앞에 349만 명에 달하는 국민들이 금을 내놨습니다. 외화가 유출되니 해외여행 같은 ‘사치’ ‘과소비’는 당연히 지탄받을 일로 여겨졌고 수입품 사용도 줄여야 한다는 말을 당연하게 여길 정도였습니다. 심지어 당시 개봉했던 할리우드 영화 ‘타이타닉’을 관람 거부해야 한다는 말도 심심찮게 나왔습니다.
이런 국민들의 희생 덕분이었을까요. 2001년 8월, 대한민국은 국제통화기금(IMF)에서 빌린 돈을 약속한 날짜보다 빨리 갚게 됩니다. 온 국민이 힘을 모아 IMF 체제를 조기 졸업할 수 있었다고 자축했습니다. 지금도 교과서나 당시를 회상하는 뉴스에는 그 때의 희생을 대한민국 국민의 민족성과 애국심이 빚은 ‘전설 같은 업적’으로 칭송합니다.
하지만, 황금빛 이벤트 뒤에 숨어있던 존재들이 있었습니다. 다가오는 외환 위기를 전혀 관리하지 못했던 ‘정부’, 겉모습만 키우고 속은 부실했던 ‘기업’, 이자 수익만 생각하고 대책 없이 돈만 빌려준 ‘은행’. 외환위기의 진짜 책임자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은 과연 어떤 책임을 졌을까요.
외환위기 당시 국가 최고 권력자였던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은 언론 인터뷰에서 경제 위기의 책임을 관료들에게 돌렸습니다. 그리고 관료들, 경제 사령탑이었던 강경식 전 경제부총리와 김인호 청와대 경제수석은 ‘외환위기 환란을 초래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지만 무죄를 선고 받았습니다. “일상적인 정책 판단을 처벌하면 우리나라 경제정책 전부가 문제 된다”는 게 무죄 선고의 이유였습니다.
기업은 어땠을까요? 금 모으기가 진행되는 동안 굴지의 대기업들이 금을 수출입 하는 과정에서 탈세를 저질러 부를 축적했다는 사실이 2008년에서야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납니다. 당시 무역 상사를 운영하던 대기업들이 금 도매업체들과 짜고 면제 제도를 악용해 세금을 포탈한 것입니다. 이 기업들은 국민들이 모은 금으로 수출 실적을 올려 IMF 구조조정 칼날을 피해 간 것은 물론 뒷돈까지 챙긴 것이죠. 그러나 탈세에 관여한 대기업과 은행 관계자들은 공소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로 아무런 처벌을 받지 않았습니다. 국민들의 금을 팔면서 제 값을 받았는지도 많은 뒷말을 남겼습니다. 결국 책임이 있던 자리에 있는 그 누구도 제대로 된 책임을 지지 않았습니다. 그 책임은 직장에서 잘리고 아이의 돌반지를 내놔야 했던 국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갔죠.
현실은 ‘잔혹 동화’였습니다. 우리나라에 돈을 빌려준 대가로 IMF가 요구한 구조조정은 많은 것을 뒤바꿔 놓습니다. 국고 지원을 해서라도 살려야 할 기업들은 경쟁력이 없다는 이유로 헐값에 해외 매각 되는 일도 빈번하게 일어났습니다. 수출길이 막힌 대기업은 물론 납품하던 중소기업들도 연쇄부도가 나면서 대한민국은 본격적인 ‘지옥행 열차’를 타게 됩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997년 3분기 47만명 수준이었던 실업자 수가 1999년 1분기 약 175만명으로 증가합니다.
1998년 1개월여 동안 도산한 기업 숫자만 3,300개에 이르렀습니다. 당시 파견법이 도입되는 등 얼어붙기 시작한 노동 환경은 오늘날의 심각한 비정규직 문제의 모태가 됐습니다.
경제난으로 기름값을 댈 수 없어 몰던 차를 팔아 치우는 건 비극 축에도 끼지 못했습니다. 자식을 키울 수 없어 보육원에 맡겼다는 이야기들이 매일 뉴스에 나옵니다. 일가족이 연탄불을 피우고 생을 마감했다는 소식도 하루가 멀다 하고 나왔죠.
‘자살 공화국’의 오명도 이 때 시작됩니다. 경찰청이 당시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1997년 한해 전체 자살자의 숫자는 9,000여명 수준이었지만 1년 후에는 1만2,000명을 넘어섭니다. 빈곤과 사업실패로 인한 자살 급증이 결정적이었습니다.
2018년, 각종 경제지표는 나아졌다고 하지만 실질적인 체감 경기는 여전히 IMF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는 말들이 아직도 나오고 있습니다.
‘헬조선 연대기’가 여전히 진행 중인 지금, 정치권에서는 ‘제2의 IMF 위기설’이 흘러나옵니다. 21년 전에는 감지하지 못했던 경고음이 이제는 들리는 걸까요. 아니면 그저 국민들에게 남아 있는 21년 전의 트라우마를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에 따라 이용하고 싶은 걸까요.
어느 쪽이 됐든 잔인했던 과거의 경험은 오늘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이를 테면, 외환위기의 상처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신음하고 있는데도, ‘누가 책임을 져야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의 답은 잊혀지고 있다는 생각들이죠.
이상 [오리지너]였습니다.
조원일 기자ㆍ김창선 PDㆍ박기백 인턴PD
0 0 공유 카카오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URL 기사저장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
[오늘의 키워드] 금 모으기 운동 – 어린이조선일보
1997년 외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나라 국민들이 금을 모았던 것을 말해요. 당시 우리나라는 외국에서 빌린 돈은 많은데 보유하고 있는 외화는 적은 상태였죠. 외화 부족으로 경제 위기가 심각해지자 많은 기업이 줄줄이 도산했고, 대규모 실직도 일어났어요. 국민 생활고는 커졌고, 강도와 같은 범죄율은 증가했죠.
국민들 금 모아 나랏빚 갚아
IMF 사태 1년 만에 탈출
1 thg 12, 2022 — 금을 모읍시다’ ‘금모아 외채상환 뜻모아 경제회복’ 등 금 모으기 운동이 전국 각지에서 펼쳐졌어요〈사진〉. 기업인, 공무원, 종교인 등 많은 사람이 …
- Source: kid.chosun.com
- Views: 13670
- Publish date: 17 minute ago
- Downloads: 9472
- Likes: 7224
- Dislikes: 4
- Title Website: [오늘의 키워드] 금 모으기 운동 – 어린이조선일보
- Description Website: 1 thg 12, 2022 — 금을 모읍시다’ ‘금모아 외채상환 뜻모아 경제회복’ 등 금 모으기 운동이 전국 각지에서 펼쳐졌어요〈사진〉. 기업인, 공무원, 종교인 등 많은 사람이 …
세계를 깜작 놀래킨 한국인들의 미친 단결의 역사 l 평소엔 무뚝뚝하지만 위기 때는 단결력 십만배 상승하는 민족 l 한국인들은 외계인이다
- Source: Youtube
- Views: 30725
- Date: 22 minute ago
- Download: 57534
- Likes: 8158
- Dislikes: 4
[오늘의 키워드] 금 모으기 운동
국민들 금 모아 나랏빚 갚아
IMF 사태 1년 만에 탈출
1997년 외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나라 국민들이 금을 모았던 것을 말해요. 당시 우리나라는 외국에서 빌린 돈은 많은데 보유하고 있는 외화는 적은 상태였죠. 외화 부족으로 경제 위기가 심각해지자 많은 기업이 줄줄이 도산했고, 대규모 실직도 일어났어요. 국민 생활고는 커졌고, 강도와 같은 범죄율은 증가했죠.
[‘금(金)모으기’ 범국민적 호응]IMF 파고 함께 극복한다
건강
일부 언론사와 금융기관이 시작한 ‘나라사랑 금모으기 운동’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장롱 속에 묻어두었던 금을 모아 수출함으로써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금융위기를 …
- Source: www.korea.kr
- Views: 8340
- Publish date: 13 minute ago
- Downloads: 46748
- Likes: 6864
- Dislikes: 2
- Title Website: [‘금(金)모으기’ 범국민적 호응]IMF 파고 함께 극복한다
- Description Website: 일부 언론사와 금융기관이 시작한 ‘나라사랑 금모으기 운동’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장롱 속에 묻어두었던 금을 모아 수출함으로써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금융위기를 …
- Source: Youtube
- Views: 26295
- Date: 5 minute ago
- Download: 37200
- Likes: 7756
- Dislikes: 2
[‘금(金)모으기’ 범국민적 호응]IMF 파고 함께 극복한다
건강
생활 속 주요 질병 살펴보기 ⑨ ‘녹내장’ 녹내장은 눈에서 받아들인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신경에 병증이 생겨서 특징적인 형태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시야 결손의 기능적 변화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회복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실명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예전에는 녹내장이라 하면 주로 안압이 상승된 경우를 포함했지만, 최근에는 안압이 정상인 녹내장이 흔하게 발견되면서 녹내장의 정의가 변하고 있습니다. 녹내장 발생 원인 녹내장은 시신경 손상이 진행되어 시야 결손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녹내장을 일으키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를 대략적인 빈도 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원발성 개방각 녹내장가장 흔한 녹내장유형으로, 방수 배출구가 열려 있다고 하여 개방각 녹내장이라고 불립니다. 방수 배출 부위의 저항이 증가하여 안압이 상승하면서 녹내장성 손상이 진행되는 경우(고안압 녹내장)와, 안압은 정상 범위로 알려진 21㎜Hg 이하이지만 녹내장성손상이 발견되는 경우(정상안압 녹내장)로 나눌 수 있습니다.시야 손상이 중기 이후로 진행될 때까지 시력이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안과 검진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차적으로는 약물 치료를 시행하며, 안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급성 폐쇄각 녹내장 방수의 배출구가 갑자기 막히면서 안압이 급격히 증가하고, 심한 안구통, 충혈, 시력 저하, 두통 및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대개 증상이 뚜렷하므로 응급실로 내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구의 해부학적인 구조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인이 갑작스러운 안통과 편두통을 호소하면 반드시 이를 의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레이저 시술 및 약물 치료를 통해 안압을 조절합니다.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만성으로 진행되면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는 질환입니다. ▲만성 폐쇄각 녹내장 방수의 배출구가 막혀서 안압이 올라간다는 점에서는 급성 폐쇄각 녹내장과 같지만, 이러한 변화가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만성 개방각 녹내장처럼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또한 급성 폐쇄각 녹내장이 생긴 후 해부학적인 변화로 인해 만성적인 상태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단 약물 치료 및 레이저 치료를 시도하지만, 역시 안압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약물 치료와 관련한 녹내장 스테로이드 제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압이 상승하여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약물 사용을 중단하면 안압이 떨어지는 경우도 많지만, 만성적인 안압 상승으로 인하여 수술적 처치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가끔 발생합니다.일시적인 충혈 및 피곤감을 제거하기 위해 의사의 처방 없이 자의로 오랫동안 약물 치료를 한 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백내장, 망막 질환, 포도막염 등과 관련한이차성 녹내장 백내장, 포도막염, 당뇨성 망막증 등과 같이 눈에 다른 질환이 있는 경우, 이와 관련하여 녹내장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유아 녹내장(선천 녹내장) 대개 생후 6개월 이내의 아이들이 빛에 매우 민감하거나, 눈물을 흘리거나, 검은자가 다른 아이들에 비하여 크다는 이유로 안과를 방문했다가 녹내장을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안구 내 구조가 정상아에 비해 다르며, 이러한 구조적 이상으로 인하여 안압이 상승합니다. 심한 경우 안구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검은자가 뿌옇게 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약물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지만 대개 효과가 좋지 않으며, 많은 경우 수술적 처치가 필요합니다.▲고안압증 안압이 정상 범위인 21㎜Hg보다 높은 경우로,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이나 시야 검사상 시야 장애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합니다.하지만 이러한 고안압증 환자의 경우 장기적인 경과 관찰 시 녹내장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기적인 안과 경과 관찰이 필요합니다. 또한 안압이 너무 높거나 가족력이 있는 등 위험 요인이 있는 환자는 예방적으로 약물 치료를 시작하기도 합니다.녹내장 증상 녹내장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원발 개방각 녹내장과 정상 안압 녹내장은 시신경이 서서히 손상되는 만성 질환입니다. 이에 따라 주변 시야가 먼저 손상되고 중심 시력은 말기까지 보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래서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환자 자신이 느끼는 병의 증상)이 없다가 말기에 가서 자각 증상을 호소합니다. 따라서 원발 개방각 녹내장은 조기에 증상을 통해서 발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또한 원발 개방각 녹내장은 양쪽 눈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양쪽 눈의 시신경 손상 정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건강한 눈의 시 기능으로 인해 손상이 심한 눈의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한쪽 눈으로 작업을 하거나 예민한 사람이라면 드물게 암점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또한 이른 아침이나 밤늦게 한쪽 눈 또는 양쪽 눈의 안압이 상승하여 일시적으로 시력이 저하되고 두통이나 안통(눈 통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시신경 손상이 진행되면 시야가 매우 좁아져서 주변 사물과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떨어집니다. 또한 계단을 헛디뎌 넘어지거나 낮은 문턱 또는 간판에 머리를 부딪치기도 합니다.또 운전 중 표지판이나 신호등이 잘 보이지 않는 증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우연히 녹내장이 발견된 환자의 경우에는 진단된 순간부터 증상을 느끼기도 합니다. 녹내장 치료법 녹내장은 종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릅니다. 크게 약물 치료, 레이저 치료, 수술 치료 등 3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어느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지는 녹내장의 원인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담당 의사가 판단합니다.▲약물 치료 하루에 1회에서 수 회까지 안구에 직접 약물을 점안하여 안압을 하강시키거나 안혈류를 증가시키는 방법입니다. 한 가지 점안약으로 효과가 없을 때는 두 가지 이상의 점안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약물의 효과 및 부작용, 시야 손상의 진행 등에 따라 점안약 교체나 경구용 약제의 투여, 레이저 치료나 수술 등과 같은 다른 방법을 시도하기도 합니다.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등 많은 경우에서 우선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됩니다.▲레이저 치료 레이저를 안구 내 구조물에 조사하여 안구 내 구조를 바꿈으로써 안압을 하강시키는 방법입니다. 폐쇄각 녹내장이나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개방각 녹내장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시술 후 약간의 통증이나 이물감, 안압 상승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시술 후 안압 하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약물 치료를 추가적으로 시행하거나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수술 치료 점안약에 반응하지 않거나 추가적인 안압 하강이 요구되는 경우, 환자의 순응도가 좋지 않은 경우, 약물 치료가 어려운 경우 등에 수술을 시도합니다.일부 녹내장에서는 우선적인 치료 방법으로 선택되기도 합니다. 안구 내 방수가 안구 외벽을 타고 적절한 정도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주는 원리이며, 흔히 시행되는 방법으로는 섬유주 절제술 및 방수 유출 장치 삽입술 등이 있습니다.최근에는 최소 침습 녹내장수술(MIGS)이 발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부작용이 적도록 수술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녹내장은 다른 만성병과 같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치료 및 예후에 좋습니다. 지금까지는 녹내장에 대한 편견이나 홍보 부족 등으로 조기 발견과 초기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질병이 진행한 채로 발견되어 예후가 좋지 않았던 것이 사실입니다.초기 녹내장은 물론이고, 진행된 녹내장이라고 하더라도 안압 하강 점안제의 꾸준한 사용 및 정기적인 경과 관찰을 통해 삶의 질을 희생하지 않고 좋은 경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레이저 및 수술 치료의 발전, 특히 최소 침습 녹내장수술의 발전으로 질병 악화를 더 잘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블로그
1990년대 – 새마을운동 기록물
1990년대 새마을운동은 1989년 ‘새마을운동 중앙협의회’로 명칭 변경 이후 순수한 민간단체운동으로 전환하였다. 이와 동시에 1990년 새마을지도자 윤리강령 제정, 1996년 지부·지회의 법인화, 새마을운동 관계자들의 정치적 중립 명문화 등을 통하여 사회적 비판과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997년부터 국제화·지방화시대에 부응하는 지역 활성화 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였으며, 나아가 1998년에는 ‘제2의 새마을운동’을 선언하였다. 이와 동시에 저개발국가 및 사회주의국가를 중심으로 새마을운동의 국제 보급을 전개하여 새로운 운동 방향을 설정·실행하였다.
역점 과제와 구체적인 사업을 통해서 볼 때, 1990년대 새마을운동은 1970~80년대 도시와 농촌을 비롯한 지역사업 중심에서 회원단체사업으로 그 중심이 변화되었으며, 봉사활동을 통하여 새마을운동의 사회적 기여와 공익성을 홍보하는데 주력하였다.
1997년 IMF 외환 위기로 인한 경제 위기 속에서 새마을운동은 ‘경제살리기 국민저축운동’, ‘경제살리기 1천만 명서명운동’, ‘금모으기운동’ 등 ‘경제살리기 새마을 …
- Source: theme.archives.go.kr
- Views: 86909
- Publish date: 60 minute ago
- Downloads: 65272
- Likes: 2605
- Dislikes: 4
- Title Website: 1990년대 – 새마을운동 기록물
- Description Website: 1997년 IMF 외환 위기로 인한 경제 위기 속에서 새마을운동은 ‘경제살리기 국민저축운동’, ‘경제살리기 1천만 명서명운동’, ‘금모으기운동’ 등 ‘경제살리기 새마을 …
금모으기 운동 한국의 애국심 IMF를 기억하다
- Source: Youtube
- Views: 797
- Date: 51 minute ago
- Download: 7426
- Likes: 8728
- Dislikes: 3
새마을운동 기록물
1990년대
전개과정
1990년대 새마을운동은 1989년 ‘새마을운동 중앙협의회’로 명칭 변경 이후 순수한 민간단체운동으로 전환하였다. 이와 동시에 1990년 새마을지도자 윤리강령 제정, 1996년 지부·지회의 법인화, 새마을운동 관계자들의 정치적 중립 명문화 등을 통하여 사회적 비판과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김대통령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격려>, 1997
원문보기 설명보기 하지만 1990년대 초중반까지 새마을운동은 여전히 침체의 늪에 빠져 있었으며, 그 변화의 조짐은 1990년대 중후반 시작되었다.
1997년 IMF 외환 위기로 인한 경제 위기 속에서 새마을운동은 ‘경제살리기 국민저축운동’, ‘경제살리기 1천만 명서명운동’, ‘금모으기운동’ 등 ‘경제살리기 새마을운동’을 추진하여 경제 위기 극복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이를 통하여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민인식을 제고하고 나아가 새마을운동의 사회적 재조명 및 재평가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1990년대 후반 새마을운동은 세계화·지방화라는 시대환경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변화 노력을 시도하였다.
1997년부터 국제화·지방화시대에 부응하는 지역 활성화 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였으며, 나아가 1998년에는 ‘제2의 새마을운동’을 선언하였다. 이와 동시에 저개발국가 및 사회주의국가를 중심으로 새마을운동의 국제 보급을 전개하여 새로운 운동 방향을 설정·실행하였다.
한편, 1990년대 새마을운동 관련 정부 행정기구를 살펴보면 1990년대 새마을운동의 위상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990년대 출범한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시기 새마을운동은 국민생활운동의 한 영역으로 간주되어 협소한 분야로 다루어졌다.
1994년 문민정부는 내무부 사회진흥과를 설치하여 사회진흥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으며, 새마을운동을 국민생활운동의 한 영역으로 편입시켰다.
1998년 국민의 정부 역시 행정자치부를 신설하여 민간협력과에서 새마을운동 업무를 담당토록 하였다.
따라서 1990년대부터 새마을운동은 정부의 행정체계로부터 완전히 탈피하여 순수한 민간단체 운동으로 새롭게 전개될 수밖에 없는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이로 인해 1990년대 새마을운동은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에 맞추어 일선 지역 단위 조직을 정비하고 조직의 자율성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1996년 2월 정관 개정과 함께 시도 및 시군구의 조직 법인화, 새마을교육연수원 등 조직체계 정비 등이 이루어졌다.
역점 과제
1990년대 새마을운동의 역점 과제는 건전한 사회풍토 조성, 경제적 안정, 생활환경가꾸기 등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건전한 사회풍토 조성을 위하여 국민의식개혁운동, 일하는 기풍 조성 사업, 도덕질서세우기 등과 같은 도덕성 회복운동, 이웃사랑나누기운동 등이 시행되었다.
둘째, 경제적 안정을 위한 사업으로는 지역활력화 사업, 근검절약운동, 과소비 추방운동, 숨은 자원 모으기, 국민저축운동,금 모으기운동 등이 실시되었으며, 특히 IMF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살리기 새마을운동’이 대대적으로 실시되었다.
셋째, 생활환경가꾸기는 자연보호 캠페인, 분리수거 및 쓰레기 줄이기, 내고장 환경가꾸기 등을 통하여 실천되었다.
역점 과제와 구체적인 사업을 통해서 볼 때, 1990년대 새마을운동은 1970~80년대 도시와 농촌을 비롯한 지역사업 중심에서 회원단체사업으로 그 중심이 변화되었으며, 봉사활동을 통하여 새마을운동의 사회적 기여와 공익성을 홍보하는데 주력하였다.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금 모으기 운동
Bing에서 금 모으기 운동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금 모으기 운동.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금 모으기 운동 금모으기운동 뒤통수, 금 모으기 운동 대기업, 금모으기 운동 호구, 금모으기운동 해외반응, 금모으기 운동 현실, 금모으기 운동 이유, 금모으기 운동 가격, 금모으기 운동 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