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 800 수도권 전철 노선 새로운 업데이트 29 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수도권 전철 노선“?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1.castu.org 탐색에서: 새로운 상위 849 가지 팁 업데이트.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수도권 전철 노선 서울전철노선도, 수도권 전철 노선도 PDF, 지하철노선도 크게보기, 전철노선도 검색, 수도권 지하철 노선도 2021, 지역별 지하철 노선도, 서울 지하철, 지하철 노선도 보는법

서울지하철노선도 보기

서울지하철노선도 보기. 닫기. 서울지하철노선도.

  • Source: www.sisul.or.kr
  • Views: 9455
  • Publish date: 58 minute ago
  • Downloads: 7817
  • Likes: 2423
  • Dislikes: 6
  • Title Website: 서울지하철노선도 보기
  • Description Website: 서울지하철노선도 보기. 닫기. 서울지하철노선도.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85437
  • Date: 39 minute ago
  • Download: 86990
  • Likes: 4026
  • Dislikes: 2

지하철 노선도 – 서울교통공사

위 운임(요금 및 정기권)은 참고용도이며, 실제운임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운임은 승차권자동발매기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소년 원(카드) | 원(현금)

어린이 원(카드) | 원(현금)

  • Source: www.seoulmetro.co.kr
  • Views: 97400
  • Publish date: 4 hours ago
  • Downloads: 25244
  • Likes: 6262
  • Dislikes: 5
  • Title Website: 지하철 노선도 – 서울교통공사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지도로 보는 수도권 전철(지하철) 노선도 변화 (1974-2019)

  • Source: Youtube
  • Views: 1013
  • Date: 23 hours ago
  • Download: 10161
  • Likes: 8436
  • Dislikes: 5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정차역 | 환승

전체 km | 약 소요

요금 원(카드) | 원(현금)

청소년 원(카드) | 원(현금)

어린이 원(카드) | 원(현금)

정기권

※ 유의사항 ※

위 운임(요금 및 정기권)은 참고용도이며, 실제운임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운임은 승차권자동발매기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수도권 전철 – 리브레 위키

운임 정산의 경우, 버스↔철도간 환승이 있는 경우 우선 버스 몫을 제한다. 그 다음 운임을 분배하는 데, 별도의 고정된 기준이 없고 불규칙적인 주기로 외부기관에 용역을 맡겨 정산하기 때문에 그때그때 다를 수 있다. 기본운임을 최초 태그한 교통기관에 10%, 최초 탑승한 교통기관에 90%를 배분한다. 예를 들어 신도림역의 경우 2호선 게이트만 있기 때문에 1호선 탑승객의 기본운임 10%는 무조건 서울교통공사 몫이다. 그 다음 거리비례 계산을 하는 데, 기준 자체는 전산상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하나 별도 환승게이트가 없어서 여객이 어느 경로를 사용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해당 기간 내에 부과된 모든 초과운임을 모아서 운송기관별 기여도에 따라 분배한다. 단, 환승게이트가 있어 정확한 이용객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노선의 경우 해당 구간 내에서 부과된 초과운임은 해당 노선의 귀속으로 한다.[7]

수도권 전철에서는 “노선”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운행 계통”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1, 3, 4호선과 국철은 서로 직결운행을 하고 있음에도 별도로 표기 되었으며 색상 사용 역시 불규칙했으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안내 체계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이 때부터 통합된 안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번호를 붙이는 방식은 일본 등에서는 그다지 익숙한 체계가 아니나, 독일 등에서 도입되던 근교 통근 전철 체계의 부번 방식과 유사하다. 다양한 노선들을 지나면서도 사실상 고정된 노선의 형태로 다니는 게통 하나에 번호를 하나씩 부번하는 방식은 비교적 직관적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수도권 전철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일대에서 운행되는 도시 통근용 도시철도 및 근교 통근용 광역철도의 집합체이자, 체계를 이르는 용어이다. 이는 정식으로 정의된 체계는 아니며, 이전부터 편의적으로 부르던 이름이 그대로 굳어버린 것이다. 영어 표기도 다양하지만 Seoul Metropolitan Subway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간혹 통계 등에서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Suburban Railway System(SMESRS)[1] 등의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다.

11 thg 9, 2022 — 2000년대까지는 광역철도의 확충보다는, 도시철도의 확충을 위주로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지하철 2기 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도 …

  • Source: librewiki.net
  • Views: 27394
  • Publish date: 53 minute ago
  • Downloads: 34961
  • Likes: 839
  • Dislikes: 9
  • Title Website: 수도권 전철 – 리브레 위키
  • Description Website: 11 thg 9, 2022 — 2000년대까지는 광역철도의 확충보다는, 도시철도의 확충을 위주로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지하철 2기 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도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어떤 노선일까요?

  • Source: Youtube
  • Views: 5109
  • Date: 22 hours ago
  • Download: 7360
  • Likes: 8685
  • Dislikes: 2

수도권 전철

리브레 시리즈에 관련 문서가 있습니다. 도시철도를 타는 방법 에 관련 문서가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

노선도 대중교통망 정보 나라 대한민국 지역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인천광역시 종류 광역전철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공항철도,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경기철도, 서울시메트로9호선, 용인경량전철, 의정부경량전철, 우진메트로,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새서울철도,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노선 23개

수도권 전철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일대에서 운행되는 도시 통근용 도시철도 및 근교 통근용 광역철도의 집합체이자, 체계를 이르는 용어이다. 이는 정식으로 정의된 체계는 아니며, 이전부터 편의적으로 부르던 이름이 그대로 굳어버린 것이다. 영어 표기도 다양하지만 Seoul Metropolitan Subway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간혹 통계 등에서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Suburban Railway System(SMESRS)[1] 등의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다.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수도권 전철의 범위는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채택한 노선들이거나 차내 노선도에 표기되는 노선들이다. 이 때문에 공항철도나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등의 노선을 수도권 전철로 보아야하는가에 대해서 말이 많았다.[2] 현재도 ITX-청춘,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등은 수도권 전철로 간주되지 않는 편이다.

1 역사 [ 편집 ]

1974년부터 2016년까지의 노선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과, 그에 연결된 국철망(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에 직결 열차를 운행함으로서 출범한 체계로, 시작한지는 40여년에 불과한 편이다. 다만 지하철 자체로는 출발이 늦었지만, 이러한 형태의 근교 열차 운행으로 보자면 세계적으로 그렇게 늦은 편은 아니다. 현재는 근교 열차가 발달한 유럽 쪽에서도 70, 8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러한 근교 열차 운행의 확충이 이루어졌단 걸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2000년대까지는 광역철도의 확충보다는, 도시철도의 확충을 위주로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지하철 2기 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도 형태가 어느 정도 자리잡기 시작했다. 서울 교외의 통근 수요를 철도로 전환하여 주먹구구식 도시 개발에 따른 도로 과밀도 덜고 저렴한 정액권·정기권으로 통근 비용도 줄이기 위해 기존 간선철도망의 광역철도화가 검토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철도의 개통보다는 광역철도 위주의 개통이 활발해지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

2 계통 [ 편집 ]

수도권 전철에서는 “노선”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운행 계통”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1, 3, 4호선과 국철은 서로 직결운행을 하고 있음에도 별도로 표기 되었으며 색상 사용 역시 불규칙했으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안내 체계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이 때부터 통합된 안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번호를 붙이는 방식은 일본 등에서는 그다지 익숙한 체계가 아니나, 독일 등에서 도입되던 근교 통근 전철 체계의 부번 방식과 유사하다. 다양한 노선들을 지나면서도 사실상 고정된 노선의 형태로 다니는 게통 하나에 번호를 하나씩 부번하는 방식은 비교적 직관적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다만 한계점으로는 수도권 전철에서는 계통명으로 숫자를 쓰는 건 도시철도에 한정된 경우가 많고, 광역철도에 대해서는 이에 대해 고민된 바가 없어 명칭이 그대로 쓰인다는 점이 있다.

2.1 계통 목록 [ 편집 ]

자세한 사항은 각 문서에 쓰여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정리한다.

3 운임 체계 [ 편집 ]

이와 관련한 내용은 이와 관련한 내용은 수도권 통합 요금제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속하기 때문에, 버스와 환승할 경우 통합거리비례제로 운임이 책정된다.

수도권 전철만 이용할 경우, 실제로 이동한 거리에 상관없이 최단거리로 운임이 책정된다.

교통카드 1회용 교통카드 (보증금 별도) 어른 기본운임

(10 km 이내) 추가운임 교통카드 운임에 100원 추가 10 km 초과 ~ 50 km 이내 50 km 초과 1,250원 5 km 마다 100원 8 km 마다 100원 수도권 내·외를 연속하여 이용시 수도권 내의 운임을 먼저 적용한 후,

수도 권외[5] 구간은 4km 마다 100원씩 추가 청소년 어른 운임에서 350원을 빼고 20% 할인 1회용 교통카드 어른 운임 적용 어린이 어른 운임에서 350원을 빼고 50% 할인 교통카드 운임과 동일 무임 노인(만 65세 이상), 장애인(장애 1~3급은 동반1인 포함), 유공자(상이 및 장해등급 1급 동반 포함) 등 법령이 정하는 경우

유아: 만 6세 미만 무임(보호자 1명을 동반하여 최대 3명), 4명부터 추가 1명당 어린이 요금 수수 조조할인제 : 영업시작 ~ 당일 06:30까지 교통카드 사용 승차시 기본 운임의 20% 할인

단, 다른 교통수단과 환승하는 경우 해당 교통수단 운임과의 차액을 징수함[6]

다른 운임 계산 규칙이 적용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경춘선 망우선 구간(상봉 ~ 망우)을 이용한 경우 회기역에서 환승한 거리로 운임을 산정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 ~ 인천공항2터미널 구간은 수도권 전철에 연계된 추가 운임이 적용된다. 직통열차(서울 ~ 인천공항1·2터미널)는 별개의 운임이 적용된다.

다음 노선들은 해당 노선에서 승·하차할 때 추가 운임을 받는다. 신분당선 : 별도운임 1,000~1,300원 용인에버라인 : 별도운임 200원 의정부경전철 : 별도운임 300원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아직까지는 운임이 없으며, 수도권 전철 운임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기권은 수도권 전철 정기권 문서 참조.

운임 정산의 경우, 버스↔철도간 환승이 있는 경우 우선 버스 몫을 제한다. 그 다음 운임을 분배하는 데, 별도의 고정된 기준이 없고 불규칙적인 주기로 외부기관에 용역을 맡겨 정산하기 때문에 그때그때 다를 수 있다. 기본운임을 최초 태그한 교통기관에 10%, 최초 탑승한 교통기관에 90%를 배분한다. 예를 들어 신도림역의 경우 2호선 게이트만 있기 때문에 1호선 탑승객의 기본운임 10%는 무조건 서울교통공사 몫이다. 그 다음 거리비례 계산을 하는 데, 기준 자체는 전산상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하나 별도 환승게이트가 없어서 여객이 어느 경로를 사용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해당 기간 내에 부과된 모든 초과운임을 모아서 운송기관별 기여도에 따라 분배한다. 단, 환승게이트가 있어 정확한 이용객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노선의 경우 해당 구간 내에서 부과된 초과운임은 해당 노선의 귀속으로 한다.[7]

4 미래 [ 편집 ]

4.1 건설중 [ 편집 ]

4.2 계획 [ 편집 ]

국토교통부 또는 지자체의 고시나 공고가 났고, 예비타당성평가를 통과한 노선들입니다.

신설역은 실시 계획이 나왔거나 관련 협약 체결 또는 설계용역이 들어간 역입니다.

나머지 계획 노선은 서울 도시철도, 인천 도시철도, 경기도 도시철도 문서를 참고.

5 각주

지하철 이용정보 – 신분당선

수도권 지하철 노선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색상별 및 노선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신분당선은 전체 노선도가 조명안내사인으로

  • Source: www.shinbundang.co.kr
  • Views: 76493
  • Publish date: 8 hours ago
  • Downloads: 79303
  • Likes: 333
  • Dislikes: 4
  • Title Website: 지하철 이용정보 – 신분당선
  • Description Website: 수도권 지하철 노선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색상별 및 노선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신분당선은 전체 노선도가 조명안내사인으로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대한민국 전철(지하철, 도시철도) 노선 역사 1974~2019 (착공,개통,변경 연혁). [ 수도권,부산,대구,광주,대전 by javascript,html,css]

  • Source: Youtube
  • Views: 27896
  • Date: 14 hours ago
  • Download: 16586
  • Likes: 850
  • Dislikes: 8

지하철 노선도 서울 (최신) – 공무원닷컴

(본선) 방화 – 개화산 – 김포공항 – 송정 – 마곡 – 발산 – 우장산 – 화곡 – 까치산 – 신정 – 목동 – 오목교 – 양평 – 영등포구청 – 영등포시장 – 신길 – 여의도 – 여의나루 – 마포 – 공덕 – 애오개 – 충정로 – 서대문 – 광화문 – 종로3가 – 을지로4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청구 – 신금호 – 행당 – 왕십리 – 마장 – 답십리 – 장한평 – 군자 – 아차산 – 광나루 – 천호 – 강동 – 길동 – 굽은다리 – 명일 – 고덕 – 상일동 – 강일 – 미사 – 하남풍산 – 하남시청 – 하남검단산 (마천지선) 강동 – 둔촌동 – 올림픽공원 – 방이 – 오금 – 개롱 – 거여 – 마천

인천 – 동인천 – 도원 – 제물포 – 도화 – 주안 – 간석 – 동암 – 백운 – 부평 – 부개 – 송내 – 중동 – 부천 – 소사 – 역곡 – 온수 – 오류동 – 개봉 – 구일 – 구로 – 신도림 – 영등포 – 신길 – 대방 – 노량진 – 용산 – 남영 – 서울역 – 시청 – 종각 – 종로3가 – 종로5가 – 동대문 – 동묘앞 – 신설동 – 제기동 – 청량리 – 회기 – 외대앞 – 신이문 – 석계 – 광운대 – 월계 – 녹천 – 창동 – 방학 – 도봉 – 도봉산 – 망월사 – 회룡 – 의정부 – 가능 – 녹양 – 양주 – 덕계 – 덕정 – 지행 – 동두천중앙 – 보산 – 동두천 – 소요산

장암 – 도봉산 – 수락산 – 마들 – 노원 – 중계 – 하계 – 공릉 – 태릉입구 – 먹골 – 중화 – 상봉 – 면목 – 사가정 – 용마산 – 중곡 – 군자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 – 뚝섬유원지 – 청담 – 강남구청 – 학동 – 논현 – 반포 – 고속터미널 – 내방 – 이수 – 남성 – 숭실대입구 – 상도 – 장승배기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 – 신풍 – 대림 – 남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철산 – 광명사거리 – 천왕 – 온수 – 까치울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 – 신중동 – 부천시청 – 상동 – 삼산체육관 – 굴포천 – 부평구청 – 산곡 – 석남

  • Source: 0muwon.com
  • Views: 34080
  • Publish date: 19 hours ago
  • Downloads: 74642
  • Likes: 5165
  • Dislikes: 9
  • Title Website: 지하철 노선도 서울 (최신) – 공무원닷컴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수도권 지하철 대순환 여행기(1편~2편)

  • Source: Youtube
  • Views: 1824
  • Date: 51 minute ago
  • Download: 7586
  • Likes: 69
  • Dislikes: 1

지하철 노선도 서울 (최신)

수도권 지하철은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시내를 거미줄처럼 관통하고 있습니다.

노선이 많아서 복잡할 수 있습니다.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1호선, 인천2호선, 신분당,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 공항, 신림선, 의정부, 에버라인, 경강선, 우이신설, 서해선, 김포골드 등이 운행중에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서울 지하철 노선도, 1호선부터 9호선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가 됩니다. 해당 페이지를 즐겨찾기 해놓으시면 편합니다.

지하철 노선도 서울

지하철 노선도 전체

서울, 인천 등 수도권 지하철 노선도 입니다.

1호선

인천 – 동인천 – 도원 – 제물포 – 도화 – 주안 – 간석 – 동암 – 백운 – 부평 – 부개 – 송내 – 중동 – 부천 – 소사 – 역곡 – 온수 – 오류동 – 개봉 – 구일 – 구로 – 신도림 – 영등포 – 신길 – 대방 – 노량진 – 용산 – 남영 – 서울역 – 시청 – 종각 – 종로3가 – 종로5가 – 동대문 – 동묘앞 – 신설동 – 제기동 – 청량리 – 회기 – 외대앞 – 신이문 – 석계 – 광운대 – 월계 – 녹천 – 창동 – 방학 – 도봉 – 도봉산 – 망월사 – 회룡 – 의정부 – 가능 – 녹양 – 양주 – 덕계 – 덕정 – 지행 – 동두천중앙 – 보산 – 동두천 – 소요산

(장항선)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봉명 – 쌍용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신창 (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광명

2호선

(을지로 순환선) 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신당 – 상왕십리 – 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잠실나루 – 잠실 – 잠실새내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홍대입구 – 신촌 – 이대 – 아현 – 충정로 – 시청

(성수지선) 성수 – 용답 – 신답 – 용두 – 신설동 (신정지선) 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까치산

3호선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 구파발 – 연신내 – 불광 – 녹번 – 홍제 – 무악재 – 독립문 – 경복궁 – 안국 – 종로3가 – 을지로3가 – 충무로 – 동대입구 – 약수 – 금호 – 옥수 – 압구정 – 신사 – 잠원 – 고속터미널 – 교대 – 남부터미널 – 양재 – 매봉 – 도곡 – 대치 – 학여울 – 대청 – 일원 – 수서 – 가락시장 – 경찰병원 – 오금

4호선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 – 사당 –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5호선

(본선) 방화 – 개화산 – 김포공항 – 송정 – 마곡 – 발산 – 우장산 – 화곡 – 까치산 – 신정 – 목동 – 오목교 – 양평 – 영등포구청 – 영등포시장 – 신길 – 여의도 – 여의나루 – 마포 – 공덕 – 애오개 – 충정로 – 서대문 – 광화문 – 종로3가 – 을지로4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청구 – 신금호 – 행당 – 왕십리 – 마장 – 답십리 – 장한평 – 군자 – 아차산 – 광나루 – 천호 – 강동 – 길동 – 굽은다리 – 명일 – 고덕 – 상일동 – 강일 – 미사 – 하남풍산 – 하남시청 – 하남검단산 (마천지선) 강동 – 둔촌동 – 올림픽공원 – 방이 – 오금 – 개롱 – 거여 – 마천

6호선

응암 → 역촌 → 불광 → 독바위 → 연신내 → 구산 → 응암 – 새절 – 증산 – 디지털미디어시티 – 월드컵경기장 – 마포구청 – 망원 – 합정 – 상수 – 광흥창 – 대흥 – 공덕 – 효창공원앞 – 삼각지 – 녹사평 – 이태원 – 한강진 – 버티고개 – 약수 – 청구 – 신당 – 동묘앞 – 창신 – 보문 – 안암 – 고려대 – 월곡 – 상월곡 – 돌곶이 – 석계 – 태릉입구 – 화랑대 – 봉화산 – 신내

7호선

장암 – 도봉산 – 수락산 – 마들 – 노원 – 중계 – 하계 – 공릉 – 태릉입구 – 먹골 – 중화 – 상봉 – 면목 – 사가정 – 용마산 – 중곡 – 군자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 – 뚝섬유원지 – 청담 – 강남구청 – 학동 – 논현 – 반포 – 고속터미널 – 내방 – 이수 – 남성 – 숭실대입구 – 상도 – 장승배기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 – 신풍 – 대림 – 남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철산 – 광명사거리 – 천왕 – 온수 – 까치울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 – 신중동 – 부천시청 – 상동 – 삼산체육관 – 굴포천 – 부평구청 – 산곡 – 석남

8호선

암사 – 천호 – 강동구청 – 몽촌토성 – 잠실 – 석촌 – 송파 – 가락시장 – 문정 – 장지 – 복정 – 남위례 – 산성 – 남한산성입구 – 단대오거리 – 신흥 – 수진 – 모란

9호선

개화 – 김포공항 – 공항시장 – 신방화 – 마곡나루 – 양천향교 – 가양 – 증미 – 등촌 – 염창 – 신목동 – 선유도 – 당산 – 국회의사당 – 여의도 – 샛강 – 노량진 – 노들 – 흑석 – 동작 – 구반포 – 신반포 – 고속터미널 – 사평 – 신논현 – 언주 – 선정릉 – 삼성중앙 – 봉은사 – 종합운동장 – 삼전 – 석촌고분 – 석촌 – 송파나루 – 한성백제 – 올림픽공원 – 둔촌오륜 – 중앙보훈병원

1호선 부터 9호선까지 노선도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교통공사를 참고하세요.

공무원닷컴

이 글의 단축 URL 입니다.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등으로 공유해보세요.

https://0muwon.com/1872

공감클릭

서울 지하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시내에는 1968년까지 노면전차가 운영되었으나, 1968년 11월 30일에 운행이 중단되어 전격적으로 철거되었다. 도로 교통의 발달로 노면전차가 완전히 폐지되기는 하였으나 많은 수용량을 가진 대중교통이 폐지된 것은 이미 1950년대 말부터 급증하던 도시 노동자들이 이동하기 힘들게 만든 것이나 다름없는 것이었다. 1970년 4월 서울시장으로 부임한 양택식에 의해 지하철 건설이 계획되었다. 양택식은 1966년에서 다음해까지 철도청장을 역임한 인물로서, 1960년대~1970년대 도시화 과정을 주도한 네 명의 시장 가운데 철도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던 인물이었다. 이 계획은 당시 김학렬 당시 경제기획원장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혔다. 지하철 건설에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은 외국 차관 없이는 조달할 수 없었고, 또한 긴축경제와 인구집중 심화 방지라는 논리로 경제관료들은 지하철 건설에 반대했다. 그러나 이후락 당시 주일대사의 설득 등으로 인해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지하철 건설을 최종 결정한다. 물론 실제 사업 진행은 경제기획원의 개입을 통해 진행되었다. 서울시 육백년사에 따르면 서울 교통난의 해결을 위하여 지하철이 구상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본격적인 보고서가 나오기 시작한 것은 1963년이었다.

2기 지하철 시기는 서울 지하철의 중반기에 해당되는 때이다.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및 2호선 신도림 – 양천구청 – 까치산 구간과 3호선 지축 – 구파발, 양재 – 대치동 – 수서 구간과 4호선 상계 – 당고개를 일컬으며 1990년부터 2001년까지 공사가 진행되었다. 구간은 5호선(방화 – 김포공항 – 까치산 – 영등포구청 – 여의도 – 공덕 – 광화문 – 왕십리 – 군자 – 천호 강동 – 상일동, 오금 – 마천), 6호선(응암 → 독바위 → 응암 – 월드컵경기장 – 공덕 – 이태원 – 약수동 – 동묘앞 – 상월곡 – 태릉입구 – 봉화산), 7호선(장암 – 도봉산 – 태릉입구 – 상봉 – 건대입구 – 청담 – 고속터미널 – 이수 – 신풍 – 철산동 – 온수), 8호선(암사 – 잠실 – 가락시장 – 복정 – 모란)이다. 기존 노선의 연장 구간을 제외한 신규 2기 지하철 노선은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는 개통 이래 수도권 전철과 별개의 개념으로서 운영되어 왔다(단, 요금체계는 모두 같았다). 노선도에는 ‘국철’ 노선과 ‘도시 철도’ 노선이 다른 명칭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4호선의 경우, 당시에는 4호선(파란색)·국철(혹은 과천선·안산선으로 회색 혹은 연파란색)으로 나누어 표시되어 왔다. 또한 1호선은 도시 철도 구간(빨간색)을 제외한 모든 국철 구간이 남색(혹은 군청색)으로 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표기는 노선 구분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면서 직결 운행하는 노선을 같은 명칭과 같은 색상으로 통합표기하는 것이 여객 안내 및 홍보에 편리하다고 판단하여, 2000년에는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의 명칭과 색상을 통합하였고, 현재는 거의 구분하지 않는다.

  • Source: ko.wikipedia.org
  • Views: 65726
  • Publish date: 1 minute ago
  • Downloads: 14104
  • Likes: 9449
  • Dislikes: 10
  • Title Website: 서울 지하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수도권 전철 4호선 노선

  • Source: Youtube
  • Views: 31517
  • Date: 12 hours ago
  • Download: 80188
  • Likes: 8747
  • Dislikes: 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지하철[1]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와 일부 서울 근교 시외 지역을 운행하는 도시 철도 체계다. 수도권 전철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체계이기도 하다.

서울 지하철은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가 관리하는[2][3] 중전철 노선 9개와 경전철 노선 1개로 이루어져 있다. 운영주체에 따라 총 세 부류로 나뉘는데,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2단계를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와 9호선 1단계 구간을 관리/운영하는 서울시메트로9호선·서울9호선운영, 그리고 서울 경전철 노선들의 각 운영사들이 있다.

서울 도시철도는 대한민국에서 제일 복잡한 도시 철도 체계다. 지하철 1 ~ 9호선의 총 거리를 합치면 343.4 km로,[1] 이는 세계적으로도 지하철의 본고장인 런던 지하철과 뉴욕 지하철, 모스크바 지하철, 베이징 지하철, 상하이 지하철, 도쿄 지하철[4], 베를린 지하철, 파리 메트로 등과 맞먹는 수준이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과 경부·경인·경원선 각 선의 전철화 사업은 엔 차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차량·신호·통신 분야 등에서 일본의 기술 협력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개업 당시의 전철은 모두 일제였다. 지하철 건설에 일본은 8,000만달러의 차관을 공여하고, 장기간에 걸쳐 현지 지도 및 일본 국내 연수를 실시해 왔다.그 때문에, 현시점에서도 지시 확인 등, 기본적인 운용은 일본식이다.

북한, 평양의 지하철에 이어 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개업했다.

역사 [ 편집 ]

서울 도시철도는 건설 시기에 따라 1기 지하철(1·2·3·4), 2기 지하철(5·6·7·8), 3기 지하철(9·10·11·12), 그리고 서울 경전철로 구분된다. 1990년대 초 3기 지하철을 계획하였으나,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인해 9·10·11·12호선 중 10·11·12호선 계획이 폐기되고 9호선 계획만 남게 되었다. 3기 지하철의 일부 노선들은 서울 경전철의 노선으로 계승되어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는 개통 이래 수도권 전철과 별개의 개념으로서 운영되어 왔다(단, 요금체계는 모두 같았다). 노선도에는 ‘국철’ 노선과 ‘도시 철도’ 노선이 다른 명칭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4호선의 경우, 당시에는 4호선(파란색)·국철(혹은 과천선·안산선으로 회색 혹은 연파란색)으로 나누어 표시되어 왔다. 또한 1호선은 도시 철도 구간(빨간색)을 제외한 모든 국철 구간이 남색(혹은 군청색)으로 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표기는 노선 구분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면서 직결 운행하는 노선을 같은 명칭과 같은 색상으로 통합표기하는 것이 여객 안내 및 홍보에 편리하다고 판단하여, 2000년에는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의 명칭과 색상을 통합하였고, 현재는 거의 구분하지 않는다.

시초 [ 편집 ]

서울 시내에는 1968년까지 노면전차가 운영되었으나, 1968년 11월 30일에 운행이 중단되어 전격적으로 철거되었다. 도로 교통의 발달로 노면전차가 완전히 폐지되기는 하였으나 많은 수용량을 가진 대중교통이 폐지된 것은 이미 1950년대 말부터 급증하던 도시 노동자들이 이동하기 힘들게 만든 것이나 다름없는 것이었다. 1970년 4월 서울시장으로 부임한 양택식에 의해 지하철 건설이 계획되었다. 양택식은 1966년에서 다음해까지 철도청장을 역임한 인물로서, 1960년대~1970년대 도시화 과정을 주도한 네 명의 시장 가운데 철도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던 인물이었다. 이 계획은 당시 김학렬 당시 경제기획원장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혔다. 지하철 건설에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은 외국 차관 없이는 조달할 수 없었고, 또한 긴축경제와 인구집중 심화 방지라는 논리로 경제관료들은 지하철 건설에 반대했다. 그러나 이후락 당시 주일대사의 설득 등으로 인해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지하철 건설을 최종 결정한다. 물론 실제 사업 진행은 경제기획원의 개입을 통해 진행되었다. 서울시 육백년사에 따르면 서울 교통난의 해결을 위하여 지하철이 구상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본격적인 보고서가 나오기 시작한 것은 1963년이었다.

1기와 2기 지하철 [ 편집 ]

서울 지하철(종로선) 개통기념 우표

서울 지하철의 초창기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1기는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을 일컬으며 1970년부터 1985년 사이에 이들 노선의 사업이 진행되었다. 구간은 1호선(서울역 – 종로 – 동대문 – 청량리), 2호선(시청 ↔ 을지로 ↔ 왕십리 ↔ 성수(성수 – 신설동) ↔ 잠실 ↔ 종합운동장 ↔ 강남 ↔ 교대 ↔ 사당 ↔ 서울대입구 ↔ 신도림 ↔ 영등포구청 ↔ 신촌 ↔ 시청), 3호선(구파발 – 불광동 – 독립문 – 충무로 – 압구정 – 교대 – 양재), 4호선(상계 – 미아동 – 한성대입구 – 충무로 – 서울역 – 동작 – 사당)이다.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2기 지하철 시기는 서울 지하철의 중반기에 해당되는 때이다.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및 2호선 신도림 – 양천구청 – 까치산 구간과 3호선 지축 – 구파발, 양재 – 대치동 – 수서 구간과 4호선 상계 – 당고개를 일컬으며 1990년부터 2001년까지 공사가 진행되었다. 구간은 5호선(방화 – 김포공항 – 까치산 – 영등포구청 – 여의도 – 공덕 – 광화문 – 왕십리 – 군자 – 천호 강동 – 상일동, 오금 – 마천), 6호선(응암 → 독바위 → 응암 – 월드컵경기장 – 공덕 – 이태원 – 약수동 – 동묘앞 – 상월곡 – 태릉입구 – 봉화산), 7호선(장암 – 도봉산 – 태릉입구 – 상봉 – 건대입구 – 청담 – 고속터미널 – 이수 – 신풍 – 철산동 – 온수), 8호선(암사 – 잠실 – 가락시장 – 복정 – 모란)이다. 기존 노선의 연장 구간을 제외한 신규 2기 지하철 노선은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3기 지하철과 경전철 [ 편집 ]

3기 지하철은 2기 지하철 건설에도 여전히 남아 있던 도시철도 음영지역과 여전히 부족했던 네트워크 확충을 위한 서울시의 지하철 노선 확충 계획이었다. 9호선, 10호선, 11호선, 12호선 및 3호선 연장선(수서 – 오금)이 계획되었으나 IMF의 권고에 의해 파기되었다. 이 가운데 9호선과 3호선 연장 노선은 서울특별시에 의해 다시 추진되었고, 10·11·12호선은 광역철도 노선과 서울 시내 경전철 노선 등으로 전환되었다. 구간은 9호선(개화 – 김포공항 – 가양동 – 염창동 – 여의도 – 노량진 – 동작 – 고속터미널 – 신논현 – 종합운동장 – 둔촌동 – 중앙보훈병원)이다. 서울시메트로9호선 구간을 제외한 신규 3기 지하철 노선은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2013년 7월 24일, 서울시는 총 연장 85.41km, 사업비 8조 규모의 경전철 계획안(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을 발표하였다. 2007년 발표되었던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을 일부 수정하여 9개 노선을 확정지었으며, 신교통 수단인 트램(노면전차)도 계획안에 포함되었다.[5] 서울특별시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노선은 앞으로 기존 노선의 연장을 제외하고 경전철로 지을 계획이다. 노선색은 진한 회색이다.[6] 서울시는 경전철을 민간자본으로 건설할 예정이지만 수요가 낮은 지역은 사업자를 유치하지 못하여 논란이 있다.[7]

연혁 [ 편집 ]

노선 [ 편집 ]

서울 지하철은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가 관리하는 도시 철도 노선, 즉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운영하는 구간만을 일컫는 것으로, 일부에서는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과천선 · 분당선 · 일산선 등도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각종 통계에서는 한국철도공사 구간은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가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포함하지 않는다. 참고로 서울 지하철 총 길이를 말할 때 흔히 사용되는 343.4km[1]는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가 관리하는 노선만의 길이이다.[8]

서울 지하철에서 가장 긴 노선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고, 가장 짧은 노선은 서울 지하철 8호선이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이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일부인 점을 예외로 감안하면 가장 짧은 노선은 8.1km의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며, 경전철을 제외한 노선 중에서는 17.7km의 서울 지하철 8호선이 가장 짧다. 한국철도공사 구간을 제외하면 서울 지하철 1호선이 7.8km로 가장 짧다.

노선색 노선명 기점 종점 역 수 거리 소유자 운영자 1호선 서울역 청량리역 10 7.8km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 2호선 시청역 시청역 44 48.8km 성수역 신설동역 5 5.4km 신도림역 까치산역 5 6.0km 3호선 지축역 오금역 34 38.2km 4호선 당고개역 남태령역 26 31.1km 5호선 방화역 상일동역

마천역 51 45.2km (본선)

7.1km (지선) 6호선 응암역 신내역 39 36.4km 7호선 장암역 석남역 53 61.0km 서울특별시

외 2†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8호선 암사역 모란역 18 17.7km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 9호선 개화역 중앙보훈병원역 38 40.8 km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 신설동역 13 11.4km 우이신설경전철 신림선 샛강역 관악산역 11 8.1km 남서울경전철 합계 11개 노선 – – 337 352.8km – – 비고 † 온수역 이후의 경기도 부천시 구간은 경기도 부천시 소유, 인천광역시 구간은 인천광역시 소유

사진 [ 편집 ]

1호선 시청역(판매대 교체 전)

3호선 대화역

2호선 을지로입구역

5호선 광화문역

4호선 명동역

2호선 삼성역 (판매대 교체 전)

1호선 서울역

6호선 새절역

7호선 보라매역

8호선 복정역

9호선 당산역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7호선 (SR002호)

7호선 (SR005호)

8호선

9호선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지하철 노선, 몇 개의 역이 있을까요? – 네이버 블로그

“동대문 ~ 동묘앞” 역간 거리가 280m로 서울에서 가장 짧은 구간 운영으로도 유명합니다.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혼잡한 노선이기도 한 2호선은 아침출근 등교 시간대에

7호선의 노원역은 4호선으로 환승 거리가 우리나라 지하철에서 가장 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Source: m.blog.naver.com
  • Views: 23559
  • Publish date: 19 minute ago
  • Downloads: 9892
  • Likes: 1337
  • Dislikes: 3
  • Title Website: 지하철 노선, 몇 개의 역이 있을까요? – 네이버 블로그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수정본) 한국 수도권 전철(지하철) 개통,변경,전환 시점으로 보는 연혁 [ 2019-09 ]

  • Source: Youtube
  • Views: 48271
  • Date: 2 minute ago
  • Download: 15889
  • Likes: 7754
  • Dislikes: 1

지하철 노선, 몇 개의 역이 있을까요?

지하철 노선, 몇 개의 역이 있을까요?

출처 : 서울 도시 철도

9호선이 개통되었다는 기쁜 소식을 들은지도 벌써 꽤 오랜 시간이 흘렀습니다.

지하철을 처음 탔을 때의 설레임을 아직도 잊지 못하고 있는데

벌써 서울, 경기권에서만 9개의 노선이 지나가고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네요.

학창시절 회식 자리에서 즐기곤 하던 게임에서

2호선의 역 이름을 릴레이처럼 말하는 것도 있었을 정도로

지하철 노선별 역이름을 외우기란 쉽지 않습니다~

9개의 노선, 대체 정거장은 몇 개나 될까요?

오늘은 지하철 노선을 속속들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수도권 지하철 총 역의 개수는 대략 440개 정도 됩니다.

그 중에서 서울시를 대표로 살펴보면 1호선부터 9호선까지 존재합니다~

서울메트로와 서울 도시철도, 그리고 METRO9 이렇게 세 곳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1~4호선은 서울메트로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1호선은 소요산에서 인천행을 기준으로 60여개의 역시 존재하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전철입니다.

지상대합실로 출구가 연결되어 있는 독특한 동묘앞 역은,

“동대문 ~ 동묘앞” 역간 거리가 280m로 서울에서 가장 짧은 구간 운영으로도 유명합니다.

지상에서 역과 역 사이를 달려가면 3분안에 도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 노선도

2호선은 본선이 44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수지역 5개역, 신정 지선 5개 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혼잡한 노선이기도 한 2호선은 아침출근 등교 시간대에

혼잡률이 200% 를 넘어설 정도로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데요.

정원이 한 칸에 100명이면 200명이 넘게 탄다는 말이겠지요.

3호선은 43개 역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최근 수서에서 오금 방면 역이 신설 되었습니다.

4호선은 26개 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학로를 시작으로 남대문 동대문 광화문 등

관광코스도 짤 수 있을 만큼 근처에 볼거리가 많은 노선입니다.

5~8호선은 서울도시철도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5호선은 마천지선을 포함해서 총 51개의 역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지도

5호선의 종로3가역은 수도권에서 가장 출구가 많습니다.

1호선 3호선을 포함해 15개의 출구가 있습니다.

6호선은 38개의 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7호선은 42개 8호선은 17개의 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7호선의 노원역은 4호선으로 환승 거리가 우리나라 지하철에서 가장 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단 4호선이 지상 3층이고 7호선이 지하3층이라 5개의 층을 이동해야 합니다.

9호선은 METRO9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25개 역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김포공항에서 고속터미널을 빨리 가는 급행열차 덕분에

많은 시민들이 편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렇듯 역의 개수도 다양하지만 지하철을 운영하는 회사도 여러 곳이라는 사실.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

2호선은 왜 이렇게 사람이 많지? 대체 이 전동차 안에는 몇 명이 타고 있는 걸까?

등 우리가 평소에 잘 몰랐지만 지하철에 대한 궁금증은 더욱더 무궁무진할 수 있는데요.

조금은 궁금증이 해소가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수도권 지하철 역의 개수가 400개나 된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평생 다 가 볼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아침 출근길, 등교 길 지하철 안에서~

지하철 노선의 비밀을 떠올려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서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25] 경부선 경의·중앙선 KTX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통일(통근) 2001년 하행 승차 미개통 3,788,985 8,602,006 138,899 12,529,890 279,261 하차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4,054,445 9,258,021 153,425 13,465,891 499,348 2002년 하행 승차 3,555,498 7,920,088 125,829 11,601,415 635,919 하차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837,797 8,694,785 153,425 12,686,007 855,218 2003년 하행 승차 3,264,157 7,388,559 76,985 10,729,701 963,397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549,812 8,117,821 92,607 11,760,240 1,355,848 2004년 하행 승차 6,088,919 1,681,539 4,101,142 17,128 11,888,728 1,288,230 하차 81 시발 6854 시발 6,935 1,284 상행 승차 0 종착 종착 종착 0 종착 하차 6,117,402 1,783,472 4,144,625 21,314 12,066,813 1,854,197 2005년 하행 승차 9,032,639 885,016 2,374,704 폐지 12,292,368 1,642,397 하차 114 3 32 158 160 상행 승차 2 종착 종착 2 종착 하차 9,356,211 901,585 2,142,666 12,400,462 23,447,44 2012년 하행 승차 13,515,748 508,758 3,199,192 폐지 하차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하차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1~2번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1호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가 운행하며 구역사 연결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특이한 점은 서울역 1~2번 승강장은 지상 서울역과 바로 연결되는 계단이 없으며, 지하 서울역과 이어지는 계단이 있고 지상 서울역으로 가려면 3~4번 승강장으로 건너가서 올라가야 한다. 그리고 1~2번 승강장과 3~4번 승강장을 잇는 연결통로는 승강장과 같은 선상이라서 천안 급행 승강장인 1~2번 승강장, 그리고 일반 저상홈인 3번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그리고 1~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경부선은 이 역부터 부산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이 역부터 문산역 지나서 임진강역 지나서 도라산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차량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 Source: ko.wikipedia.org
  • Views: 102015
  • Publish date: 18 hours ago
  • Downloads: 104424
  • Likes: 7022
  • Dislikes: 5
  • Title Website: 서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Korea’s Seoul Subway Line Map (1974 to 2020)

  • Source: Youtube
  • Views: 18967
  • Date: 8 minute ago
  • Download: 24974
  • Likes: 1900
  • Dislikes: 1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의중앙선 역명판

서울역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공항철도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좌표 개업일 2010년 12월 29일 역 번호 A01 역 코드 AFC: 4201 거리표 ●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기점 0.0 km

(3.3 km) A02 공덕

서울역에 대한 다국어 표기 한글 표기: 서울역 영어 표기: Seoul Station 중국어 표기: 首尔站 일본어 표기: ソウル駅(ソウルえき)

서울역(Seoul station, 서울驛)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부선과 경의선의 기점이며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 계통의 열차가 출발하는 중추역 역할을 하고 있다. 동광장 방면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서광장 지하로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통과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 청량리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현재 사용 중인 역사는 2003년 12월에 개장한 민자역사이며, 민자역사 이전에 사용하던 1925년에 건설된 역사 건물은 문화역서울 284[2]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다. 구 민자역사는 2004년부터 롯데마트 서울역점이 입주해 영업중이다.

개요 [ 편집 ]

서울특별시의 중추역으로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KTX 및 경부선, 경전선 ITX-새마을·무궁화호 대다수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4량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2004년 4월 1일 이전까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도 취급하였으나 현재 용산역으로 이원화되었다.[3]

수서고속철도가 개통된 2016년 12월 9일부터 수서고속철도주식회사와 경쟁을 하는 차원으로 서울역에도 호남선 계열 KTX가 정차하기 시작했다.[4]

서울-천안급행이 시·종착하는 관계로 천안급행 승강장과 연결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된 환승 통로가 없었으나 2009년 7월 22일부터 환승 연계로 횟수가 1회 차감되는 방식으로 1회용 교통카드, 정기 승차권을 제외하고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었다. 2011년 8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연결하는 환승 통로가 착공되어 2015년 3월 28일에 개통되었고, 개찰구 외부를 통한 환승 할인은 차단되었다. 다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여전히 별도의 환승 통로가 존재하지 않고, 선·후불 교통카드 사용자에 한하여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역사 [ 편집 ]

1899년 9월 18일 개통한 경인선은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노선이었으나, 개통 당시에는 한강 바로 앞의 노량진에서 끊겨 사실상 서울을 연결해 주지 못하였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가 개통하고 사흘 뒤 경인선이 경성역까지 완전히 이어짐으로써 한성부에 드디어 철도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서울역은 이때 10평 크기의 목조 바라크 건물을 염천교 아래 논 가운데에 가설하여 문을 열었다. 당시 용산역이 더 규모가 컸으므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는 등 교통이 개선되었으나, 그 규모는 작았다.

경성부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성의 관문이 될 중심역을 만들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경부선·경원선·용산선이 만나는 용산역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데다, 도심에서 떨어져 있어 신 역사 건설에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도심과 가까운 기존의 남대문정거장을 경성역으로 개량하기로 하여 1922년 역사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후 1923년 1월 1일 경성역으로 역명을 바꾸고 본격적인 경성부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도쿄역에 이은 동양 제2의 규모로 지어진 역사는 1925년 완공되었고, 이후 만주 방면의 국제 열차를 취급하는 등 한반도의 철도 교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간이 역사

간이 역사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은 1945년 광복 이후 1947년에 현재의 역명인 서울역으로 개명하였고,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최대 역으로 발돋움하였다. 1957년에는 서울역 서편에 경의선만 취급하는 서부역사를 신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열차 이용을 도왔다. 1960년대 ~ 1970년대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여객 규모가 커져 기존 역사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송량을 보이게 되어, 서울 올림픽에 발맞춰 1988년에 서울역사와 서부역사를 연결하는 선상역사(한화그룹 계열 민자역사)를 준공하였다. 이 민자역사는 개장일 기준으로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다.[5] 이후 KTX 운행이 가까워 오자 다시 신규 민자역사(한화그룹 계열)를 착공, 2003년에 현재의 역사를 새로 건설하여 2004년 4월 1일에 KTX를 취급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민자역사는 폐쇄되어 2004년 6월 3일부터 롯데마트 서울역점으로 운영중이다.

과거에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장항선 등 모든 장거리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된 이후 선로 용량의 문제로 모든 열차를 서울역에서 처리가 어렵게 되어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는 용산역으로 여객 업무 취급을 이관하였다. 2009년 7월 1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하고, 2010년 12월 29일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김포공항 – 서울역)이 개통되어서 이 역은 3개의 전철 운행 계통이 다니는 역이 되었다.

연혁 [ 편집 ]

일반 철도

도시 철도 및 광역 철도

역 구조 [ 편집 ]

배선도 [ 편집 ]

서울역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아래쪽↘)

개찰구는 2~3층에 있다.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1~2번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1호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가 운행하며 구역사 연결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특이한 점은 서울역 1~2번 승강장은 지상 서울역과 바로 연결되는 계단이 없으며, 지하 서울역과 이어지는 계단이 있고 지상 서울역으로 가려면 3~4번 승강장으로 건너가서 올라가야 한다. 그리고 1~2번 승강장과 3~4번 승강장을 잇는 연결통로는 승강장과 같은 선상이라서 천안 급행 승강장인 1~2번 승강장, 그리고 일반 저상홈인 3번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그리고 1~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경부선은 이 역부터 부산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이 역부터 문산역 지나서 임진강역 지나서 도라산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차량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서부역 승강장은 원래 경의선 승강장이었으나 경의선 승강장이 옛 서울역으로 이전하면서 사용이 중지되었다. 현재 경의선 승강장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4번 승강장 방향으로 지하에는 일반열차 승강장과 연결된 지하 통로가 있다. 이전에는 일반열차 이용 후 지하 서울역과 연계되었으나 현재 열차내 판매용 식품을 관리하는 역할로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당시 철도청 관할 수도권 전철 매표소가 있었으나, 신 역사 공사로 인하여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운임 구역과 중첩되는 관계로 필요성이 사라져 폐쇄되었다. 그 당시 천안급행의 경우 지하철 서울역과 운임 구역이 분리되었으나 현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4번 승강장의 통로는 2017년 3월에 새로 개통되었다.[17]

↑ 행신(경의선)/↑ 신촌(경의·중앙선)/시·종착역(1호선 급행) | | | | | | 경의 서 | | 14 13 | | 12 11 | | 10 9 | | 87 | | | 65 | | | 4 3 | | | 21 | | | 용산(경부선) ↓/시·종착역(경의·중앙선)/금천구청(1호선 급행) ↓

1호선과 4호선 모두 대합실이 지하 1층,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과 4호선 둘 다 섬식 승강장으로 건설된 이유는 이 역을 중간 시종착역으로 삼고 회차선을 건설해서 회차에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 청량리역까지 지하 구간이고 서울교통공사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차량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4호선 차량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1호선 승강장

↑시청 | 상 하 | 남영↓

하행 방향으로 Y자형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1호선은 하행 방향으로 서울역을 출발하고 나서 바로 지상으로 올라가지만 가운데의 이 회차선은 그대로 지하로 이어진 다음 끝난다. 구파발역의 회차선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18] 심야시간에 이 역에서 막차 1편성이 주박한다.[19]

4호선 승강장

회현↑ | 하 상 | ↓숙대입구

하행 방향으로 Y자형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심야시간에 막차 1편성이 주박한다.

기존 한국철도공사 역의 남서편에 위치하며, 기존 서울역사와도 연결되어 있다. 서울역 서부 출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 출구와 마주보고 있다. 지상 2층, 지하 7층 규모로, 일반 열차 및 직통 열차 승강장은 지하 7층에 있다. 고심도의 지하에 있어서 경부선 및 경의선 선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지하 2층에 직통 열차용 개찰구 및 도심공항터미널이, 지하 3층에 일반 열차용 개찰구가 있다. 승강장은 2면 3선식 구조로, 1면 2선을 일반 열차와 직통 열차 종착이 이용하고,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일반 열차 승강장이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1면 1선을 직통 열차가 이용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건설로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이전되었다. 유동 인구가 많아 에스컬레이터도 병행 가동되고 있으나, 상당히 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이 역부터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차량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하고, 일반열차 차량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이 대합실에 있는 도심공항터미널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진에어[20]만 취급한다. 탑승 수속 및 출국 심사를 거친 뒤에는 직통 열차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다. 카운터는 05:20 ~ 19:00까지 운영한다.

시·종착역(공항철도/AREX직통) 상 하 직 공덕(일반)↓/인천공항1터미널(AREX직통)↓

상행 ●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반열차·직통열차 당역 종착 하행 일반열차 공덕, 김포공항 인천공항1터미널,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직통열차 인천공항1터미널,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 직통/일반으로 구분한다.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284) [ 편집 ]

건립 당시의 경성역 전경

옛 서울역사의 설립 주체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였다. 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이 역이 일본 – 조선 – 만주를 잇는 국제적인 수준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일본 도쿄 – 시모노세키 사이는 일본 국철, 시모노세키 – 부산 사이는 부관연락선, 부산 – 신경(新京) 혹은 북경(北京) 사이는 직통 열차로 연결되며, 이 열차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연결되어 모스크바와 베를린까지 연결시키는 구상을 가졌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통망에서 경성역은 한반도의 현관이며, 식민지 경영의 관문이라는 역할이 부여되었다.

설계자는 도쿄 대학 교수이던 쓰카모토 야스시(塚本 靖)였다. 그는 도쿄역사를 설계한 바 있는 다쓰노 긴고(辰野 金吾)의 제자였다. 역사의 신축 추진은 조선총독부 철도국 공무과 건축계에서 담당하였다. 다만, 신축을 담당한 건축가는 명확하지 않다.

경성역은 1922년 6월 착공되어 1925년 9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원래는 1923년에 준공 예정이었으나, 일본 간토 대지진으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도 일부 감액되었다. 건축 규모는 대지 면적 70,083평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631m²의 초대형 건축물이었으며, 동양 제 1역은 도쿄역, 동양 제 2역은 경성역으로 불릴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 1층은 매표소를 겸하는 중앙홀, (조선인들이 사용하던) 3등대합실,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1, 2등 대합실, 부인대합실, 귀빈예비실, 귀빈실, 역장실, 2층은 식당과 사무실, 그리고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승강장은 지하에서 연결되었다. 1층 대합실 중앙에는 큰 홀이 있고, 그 상부 지붕에는 비잔틴 풍의 돔을 올렸다. 그 돔의 측면 반원형 아치 창으로부터 중앙홀 내부로 자연 광선을 끌어들여 밝은 홀 공간을 조성하였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벽돌조로 마감했으며, 1층은 거친돌 마감식으로 처리하고, 상부 모서리와 개구부에는 돌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철골조에 천연 슬레이트 마감이며, 일부 동판 이음을 하였다. 이 건물은 거대한 규모, 풍부한 장식과 정교한 상세를 자랑하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국에서는 매우 진기한 건물이었다.

역사는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수리 과정에서 중앙홀 천창(天窓)이 훼손되었다. 1958년 1월 기존 역사 남측에 새마을호 대합실이 증축되었다. 1988년 선상역사가 건설되어 많은 역무 기능이 옮겨갔고, 2003년 12월 남측에 신 역사가 준공되어 옛 서울역사는 더 이상 역사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철도문화재단의 관할 하에 시네마테크를 비롯한 문화시설로 용도변경을 추진하였으나, 사적으로 지정된 서울역 건물이 한국철도공사 소유인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문화재청에서 역사의 원형 보존을 위하여 한국철도공사에 소유권 이전을 요청하였다. 이에 2007년 7월 24일 관리 단체가 문화재청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5월 1일 문화체육관광부로 다시 바뀌었다.[21] 이후 2011년 8월 9일,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개장하여,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22]

문화역서울284

건물 내부는 건립 당시의 형식으로 복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문화역서울 284의 자체기획프로그램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외부 대관행사의 경우에는 유료 행사의 경우도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며, 오전 10시에서 오후 7시까지 개방한다.

역 주변 [ 편집 ]

서울역광장 [ 편집 ]

서울역광장은 역 앞의 넓은 도보 거리를 일컫는다. 이 곳은 오래 전부터 시위의 장소로 사용되어왔다. 대표적으로는 5.15 서울역 집회가 있다. 자동차 출입을 제한할 목적으로 쇠말뚝을 광장 양측에 설치하였으며 역무실에서 광장 사용 허가를 받으면 광장을 사용할 때마다 역무실에서 자물쇠를 받아 쇠말뚝을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자동차를 출입한다.

역사 내부 [ 편집 ]

롯데아울렛 서울역점 : 2003년 12월 11일에 한화그룹에서 갤러리아백화점 콩코스점을 서울역사에 오픈했다. [23] 그러나 2013년에 매출부진을 이유로 콩코스백화점을 폐점하고, 롯데쇼핑과의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롯데아울렛이 오픈했다. [24]

그러나 2013년에 매출부진을 이유로 콩코스백화점을 폐점하고, 롯데쇼핑과의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롯데아울렛이 오픈했다. 롯데마트 서울역점: 2003년 12월까지 영업한 구 민자역사 건물에 입주, 2004년 6월 3일 영업을 개시하였다. 롯데쇼핑은 2003년 4월 한화건설과 20년 짜리 장기 임대계약을 맺었다.

피자헛 서울역점

계절밥상 서울역점

국군장병 라운지 TMO: 군인으로 하여금 인터넷 등 사용할 수 있는 휴게공간으로 1층 소재

코레일 라운지: 우리은행과 코레일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하여 등록한 IC카드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휴대폰 충전, 음료, 간행물 열람 등을 할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2층 소재

중소기업마루

공차 서울역점

동쪽 [ 편집 ]

서울역 동쪽

서쪽 [ 편집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우리은행

만리동1가우편취급국

서울봉래초등학교

손기정기념공원

만리동행정복지센터

만리동고개

소화아동병원

국립극단

승차량 변동 [ 편집 ]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통일호는 KTX 개통과 함께 2004년 4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일반열차 [ 편집 ]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25] 경부선 경의·중앙선 KTX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통일(통근) 2001년 하행 승차 미개통 3,788,985 8,602,006 138,899 12,529,890 279,261 하차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4,054,445 9,258,021 153,425 13,465,891 499,348 2002년 하행 승차 3,555,498 7,920,088 125,829 11,601,415 635,919 하차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시발(시작)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837,797 8,694,785 153,425 12,686,007 855,218 2003년 하행 승차 3,264,157 7,388,559 76,985 10,729,701 963,397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549,812 8,117,821 92,607 11,760,240 1,355,848 2004년 하행 승차 6,088,919 1,681,539 4,101,142 17,128 11,888,728 1,288,230 하차 81 시발 6854 시발 6,935 1,284 상행 승차 0 종착 종착 종착 0 종착 하차 6,117,402 1,783,472 4,144,625 21,314 12,066,813 1,854,197 2005년 하행 승차 9,032,639 885,016 2,374,704 폐지 12,292,368 1,642,397 하차 114 3 32 158 160 상행 승차 2 종착 종착 2 종착 하차 9,356,211 901,585 2,142,666 12,400,462 23,447,44 2012년 하행 승차 13,515,748 508,758 3,199,192 폐지 하차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하차

연도와 승하차 이용 인원[26] KTX 산천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청춘 총계 2013년 승차 12,681,118 905,585 500,925 2,882,914 392,818 3,078 17,366,438 하차 13,143,852 696,515 425,613 2,744,054 517,931 2,736 17,530,701

수도권 전철 [ 편집 ]

경의·중앙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며, 공항철도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경의·중앙선 승차 미개통 4,237 [27] 하차 4,831 1호선 승차 48,010 49,333 49,003 47,651 52,717 55,832 57,231 57,360 62,913 56,897 [28] 하차 43,744 42,575 42,179 41,105 44,363 46,448 48,092 48,510 55,367 49,331 승하차 91,754 91,908 91,182 88,756 97,081 102,280 105,323 105,870 118,820 106,228 4호선 승차 11,983 10,904 11,030 10,685 9,332 8,150 7,665 7,802 7,458 7,735 하차 16,884 18,029 18,080 17,382 17,753 17,139 17,011 16,894 16,431 16,389 승하차 28,866 28,933 29,110 28,067 27,085 25,289 24,676 24,696 23,889 24,124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경의·중앙선 승차 5,504 6,141 6,212 5,672 5,944 3,169 2,332 2,861 3,087 3,806 [27] 하차 6,305 6,969 7,051 6,288 6,592 3,317 2,909 3,325 3,939 4,865 1호선 승차 61,297 72,495 73,127 73,855 74,092 63,945 62,913 58,795 55,251 22,841 [28] 하차 53,130 61,688 62,297 64,948 66,476 57,308 55,367 52,420 52,954 16,956 승하차 114,427 134,183 135,424 138,803 140,568 121,253 118,280 111,215 108,475 4호선 승차 9,284 10,917 10,839 10,932 10,946 11,170 12,171 12,365 13,242 하차 18,924 22,839 22,097 20,433 19,575 20,141 22,041 21,192 22,477 승하차 28,208 33,756 32,936 31,365 30,521 31,311 34,212 33,557 35,719 공항철도 승차 8,272 11,487 15,200 17,062 18,503 [29] 하차 8,285 12,292 16,164 17,856 19,130

인접한 역 [ 편집 ]

사진 [ 편집 ]

서울역의 전경

서울역의 야경

2005년의 서울역

서울역 2층

서울역 3층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 표 사는 곳

승차권 자동 발매기

옛 서울역 건물 야경

KTX 타는 곳

공항철도 일반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직통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역사 야경

1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4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공항철도 개찰구(지하 3층)

3~4번 승강장에 있는 철도기점

2012년의 서울역

서울역 대합실 공항철도 역사간 출입구

인천국제공항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방향 9-1번 출구

공항철도 회차로와 전차선

서울역 1·4호선-공항철도 환승통로

서울역 지하철-지상역사 직통 개찰구

2016년 4월 서울역 출입구

2016년 5월 서울역. 오른쪽에 롯데아울렛이 위치해있다.

GTX-A 공사중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서울지하철( 地下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호선은 시청역에서 강남역과 영등포구청역을 경유하여 다시 시청역으로 돌아오는 순환선이다. 이것은 1971년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건설 및 수도권 전철화 사업 실시 계획의 5개 노선에 들어있지 않았는데, 서울시의 다핵도시 건설로 도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하여 건설된 것이다. 따라서 2호선은 서울 도심의 업무기능이 이전하는 한강이남의 잠실·영동지구를 포함하는 강남 핵심지역과 경제기능이 입지한 영등포의 핵심지역, 그리고 기존의 도심을 연결하도록 건설되었다. 이를 통해 서울의 3핵도시 건설계획이 구체화하였다. 1978년 3월 9일에 착공하여 1980년 10월 31일에 신설동역∼종합운동장역 구간이 개통하였고, 1984년 5월 22일에 순환선의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이후 두 개의 지선이 연장되어 총연장은 60.2㎞가 되었다. 구간별 거리는 순환선이 48.8㎞, 신설동역∼성수역 간의 성수지선이 5.4㎞, 신도림역∼까치산역 간의 신정지선이 6.0㎞이다. 역수는 50개로 순환선에 43개, 지선에는 각각 4개와 3개가 있다. 운행소요시간은 순환선 87분, 성수지선 9분, 신정지선 11분이고, 평일 운행회수는 순환선 550회, 성수지선 226회, 신정지선 224회이다.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208만 296명이다.

3호선은 경기도 고양시의 지축역에서 오금역을 잇는 노선이다. 이것은 서울특별시의 방사상인 도로망과 도시 발전 형태에 따라 2호선의 효율적인 여객 수송과 대중교통 수단 체계 개편을 통해 지하철 여객수송 분담률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계획되어 도심에서 북서-동남 방향의 방사상 형태로 건설된 노선이다. 이 노선은 1980년 2월 착공하여 1985년 7월 12일에 구파발역∼독립문역의 구간이 개통된 후 같은 해 10월 18일에 독립문역∼양재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3년 10월 30일에 양재역∼수서역 구간, 2010년 2월 18일에 수서역∼오금역 구간이 개통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11년 10월 28일에 신분당선이 개통함에 따라 양재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총연장은 38.2㎞, 역의 수는 34개이다. 운행 소요 시간은 67.5분으로 하루 310회 운행되며,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79만 3679명이다.

제2기에 건설된 지하철 5호선은 방화역에서 상일동역 또는 마천역을 연결하는 구간이다. 방화역에서 강동역까지는 같은 구간을 운행하다가 강동역에서 상일동역행과 마천역행이 분기한다. 이 노선은 서울을 동서로 가로지르며, 서울시민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김포공항과 서울 도심을 연결한다. 1990년 6월 27일에 착공하여 1995년 11월 15일에 왕십리역∼상일동역 구간이 개통한 후 1996년 12월 30일에 여의도역∼왕십리역 구간이 완공되면서 완전 개통되었다. 총연장은 52.3㎞로 역의 수는 51개이다. 운행 소요 시간은 상일동역까지는 84분, 마천역까지는 88분으로 하루 465회 운행된다.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84만 7975명이다. 상일동역에서 하남시로 이어지는 연장구간이 2018년에 개통 예정이다.

  • Source: encykorea.aks.ac.kr
  • Views: 46100
  • Publish date: 11 hours ago
  • Downloads: 100513
  • Likes: 8566
  • Dislikes: 3
  • Title Website: 서울지하철( 地下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내년 개통할 새로운 급행철도, 경기도에서 서울이 20분 GTX-A 미리보기

  • Source: Youtube
  • Views: 36666
  • Date: 8 hours ago
  • Download: 97348
  • Likes: 8495
  • Dislikes: 3

서울지하철(─地下鐵)

1호선은 서울역에서 청량리역을 잇는 노선으로 국내의 토목과 건축 기술, 일본의 차량 및 신호 분야의 기술과 자본에 의해 건설되었다. 1971년 4월 12일에 착공하여 1974년 8월 15일에 준공되었다. 총연장은 7.8㎞로 우리나라의 도시철도 가운데 가장 짧은 노선이며, 역의 수는 10개이다. 이 노선은 수도권전철 1호선과 연결하여 운행되고 있으며, 경부선·경원선·경인선·경춘선 등과 연계가 양호하다.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역은 시청역을 포함하여 7개이며, 운행 소요 시간은 16분이다. 평일에 517회 운행되며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46만 838명이다.

2호선은 시청역에서 강남역과 영등포구청역을 경유하여 다시 시청역으로 돌아오는 순환선이다. 이것은 1971년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건설 및 수도권 전철화 사업 실시 계획의 5개 노선에 들어있지 않았는데, 서울시의 다핵도시 건설로 도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하여 건설된 것이다. 따라서 2호선은 서울 도심의 업무기능이 이전하는 한강이남의 잠실·영동지구를 포함하는 강남 핵심지역과 경제기능이 입지한 영등포의 핵심지역, 그리고 기존의 도심을 연결하도록 건설되었다. 이를 통해 서울의 3핵도시 건설계획이 구체화하였다. 1978년 3월 9일에 착공하여 1980년 10월 31일에 신설동역∼종합운동장역 구간이 개통하였고, 1984년 5월 22일에 순환선의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이후 두 개의 지선이 연장되어 총연장은 60.2㎞가 되었다. 구간별 거리는 순환선이 48.8㎞, 신설동역∼성수역 간의 성수지선이 5.4㎞, 신도림역∼까치산역 간의 신정지선이 6.0㎞이다. 역수는 50개로 순환선에 43개, 지선에는 각각 4개와 3개가 있다. 운행소요시간은 순환선 87분, 성수지선 9분, 신정지선 11분이고, 평일 운행회수는 순환선 550회, 성수지선 226회, 신정지선 224회이다.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208만 296명이다.

3호선은 경기도 고양시의 지축역에서 오금역을 잇는 노선이다. 이것은 서울특별시의 방사상인 도로망과 도시 발전 형태에 따라 2호선의 효율적인 여객 수송과 대중교통 수단 체계 개편을 통해 지하철 여객수송 분담률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계획되어 도심에서 북서-동남 방향의 방사상 형태로 건설된 노선이다. 이 노선은 1980년 2월 착공하여 1985년 7월 12일에 구파발역∼독립문역의 구간이 개통된 후 같은 해 10월 18일에 독립문역∼양재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3년 10월 30일에 양재역∼수서역 구간, 2010년 2월 18일에 수서역∼오금역 구간이 개통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11년 10월 28일에 신분당선이 개통함에 따라 양재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총연장은 38.2㎞, 역의 수는 34개이다. 운행 소요 시간은 67.5분으로 하루 310회 운행되며,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79만 3679명이다.

4호선은 당고개역에서 남태령역을 잇는 노선으로 3호선과 마찬가지로 2호선의 효율적인 여객 수송과 지하철 여객수송 분담률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건설된 것으로 도심에서 동북-남서 방향의 방사상 형태로 운행한다. 1980년 2월 29일에 착공하여 1985년 4월 20일에 상계역∼한성대입구역 구간이 개통된 후 같은 해 10월 18일에 한성대입구역∼사당역 구간이 완공되었다. 1994년에는 남태령역이 신설되었다. 총연장은 38.2㎞로, 역의 수는 34개이다. 운행 소요 시간은 약 53분으로 하루 340회 운행되며,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83만 9685명이다. 2019년에 남양주시를 연결하는 진접선과 연결될 예정이다. 3호선과 4호선은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외곽의 부도심을 X자로 연결하며 운행한다.

제2기에 건설된 지하철 5호선은 방화역에서 상일동역 또는 마천역을 연결하는 구간이다. 방화역에서 강동역까지는 같은 구간을 운행하다가 강동역에서 상일동역행과 마천역행이 분기한다. 이 노선은 서울을 동서로 가로지르며, 서울시민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김포공항과 서울 도심을 연결한다. 1990년 6월 27일에 착공하여 1995년 11월 15일에 왕십리역∼상일동역 구간이 개통한 후 1996년 12월 30일에 여의도역∼왕십리역 구간이 완공되면서 완전 개통되었다. 총연장은 52.3㎞로 역의 수는 51개이다. 운행 소요 시간은 상일동역까지는 84분, 마천역까지는 88분으로 하루 465회 운행된다.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84만 7975명이다. 상일동역에서 하남시로 이어지는 연장구간이 2018년에 개통 예정이다.

6호선은 응암역에서 봉화산역까지의 노선으로, 한강 이북에서 서울의 동북부와 서북부를 연결한다. 1994년 1월 8일에 착공하여 2000년 8월 7일 봉화산역∼상월곡역 구간이 개통하였고 2001년 3월 9일에 전 구간이 개통하였다. 총연장은 35.1㎞이고, 38개의 역이 운영되고 있다. 전 구간 운행소요시간은 70분이다. 하루 356회 운행하며,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52만 7211명이다.

7호선은 장암역에서 인천광역시의 부평구청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서 서울특별시는 물론, 경기도와 인천광역시까지 노선이 뻗어 있다. 7호선은 동부간선도로의 교통문제를 완화하고 교통의 사각지대를 해소함으로써 도시의 균형 있는 발전과 함께 강남 방면의 접근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1990년 12월 28일에 착공하여 1996년 10월 11일에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이 개통한 후 2000년 8월 1일에 건대입구역∼신풍역 구간이 개통되어 장암역∼온수역까지의 구간이 연결되었다. 2012년 10월 27일에는 온수역∼부평구청역이 개통되었다. 총연장은 57.1㎞로 역의 수는 51개이다. 평일 운행회수는 421회이고,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은 105분이다.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101만 8238명이다.

8호선은 암사역에서 경기도 성남시 모란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8호선은 성남의 교통난을 완화하고 서울특별시 동남지역과 성남 도심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1990년 12월 29일 착공하여 1996년 11월 23일에 잠실역∼모란역 구간이 개통된 후 1999년 7월 2일에 잠실역∼암사역 구간이 완공되어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총연장은 17.7㎞이고 역은 모두 17개가 설치되어 있다. 하루 306회 운행하며, 운행소요시간은 31.5분이다. 2013년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24만 334명이다.

제3기 지하철 9호선은 개화역에서 중앙보훈병원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서울지하철 건설 최초로 민간자본이 투입되었다. 9호선은 2001년 12월 31일에 착공하여 2009년 7월 24일 개화역~신논현역이 1단계 구간으로 개통되었다. 2015년 3월 28일 2단계 구간으로 언주역~종합운동장역이 개통되었으며, 2018년 12월 1일에 삼전역~중앙보훈병원역이 3단계 구간으로 개통되었다. 현재 개화역~중앙보훈병원역 사이 총 40.6㎞ 구간이 운행 중이며, 총 38개 역이 운영되고 있다. 전체 운행구간 중 김포공항을 포함한 16개 역에만 정차하는 급행열차를 2016년 8월 31일 이후 도입하였다. 2013년 현재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36만 8534명이며, 2013년 12월 30일로 총 수송승객 5억 명을 달성하였다.

서울특별시 지하철의 연간 총 수송인원은 1974년에 3177만 6905명이었던 것이 1977년에 1억 명을 넘어섰다. 1980년대 중반부터 연간 총 수송인원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1985년에 5억 명을 넘어선 후 1989년에 10억 명을 초과하였다. 2001년에는 연간 총 수송인원이 20억 명을 돌파하였고, 2012년에는 25억 명을 넘어섰다. 전체 노선 가운데 2호선을 이용한 여객의 수가 가장 많고, 8호선을 이용한 여객의 수가 가장 적다.

서울에서 운행 중인 9개 지하철의 수송분담률은 21.6%이다. 여기에 수도권전철 및 서울에서 운행되고 있는 전철 등 국철을 이용하는 여객까지 포함하면 서울에서의 지하철 수송분담률은 36%까지 상승한다. 그러나 이는 도쿄(86%)나 런던(65%) 등지에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또한 서울의 철도서비스 수준도 인구 1만 명당 0.31㎞에 불과하여, 도쿄 0.40㎞나 파리 0.43㎞, 런던 0.57㎞ 등지와 비교해 짧은 수준이다. 이에 서울특별시에서는 도시철도를 집중적으로 확충하여 수송분담률을 더욱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였다.

지하철은 이동시간을 최소화해주는 동시에 환승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울지하철은 각 노선에서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환승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권전철과의 연계도 용이하다. 서울지하철에서는 경부선·경인선·경원선·경춘선·중앙선·일산선·분당선·신분당선·과천선 등의 수도권전철 및 광역철도 노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수도권에서도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도시철도는 도로혼잡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지하철 네트워크와 연계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서울특별시에서는 경전철을 확충하고 기존 지하철을 연장하여 도시철도망을 441㎞로 구축함으로써 지하철의 수송분담률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서울에서는 제2기 지하철의 개통과 더불어 제3기 지하철 건설계획을 수립하였으나 국내외의 여건으로 인해 제3기 지하철 건설계획은 무산되었다.

지하철 건설계획은 무산되었지만 서울 어느 곳에서나 도시철도에 10분이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계획이 다시 수립되었다. 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전철 노선은 기본계획에서 제외시키고, 경제적 타당성이 높은 신림선·동부선·면목선·서부선 등 10개 노선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의 경전철은 지방도시와 달리 수요가 많아 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전철 계획은 오래전에 구체화되어, 우이동에서 신설동까지 이어지는 11.4㎞ 구간의 서울특별시 최초 경전철 공사는 2009년 9월에 착공하였다.

지하철정보 – 서울대중교통

검색을 원하시는 지하철역 이름을 적어주세요. 지하철 도착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선택된 지하철. 5호선 광화문.

  • Source: bus.go.kr
  • Views: 73627
  • Publish date: 22 hours ago
  • Downloads: 5235
  • Likes: 592
  • Dislikes: 7
  • Title Website: 지하철정보 – 서울대중교통
  • Description Website: 검색을 원하시는 지하철역 이름을 적어주세요. 지하철 도착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선택된 지하철. 5호선 광화문.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서울 지하철 노선도 . a subway map of Seoul . ソウル地下鉄路線図………. Seoul ……….KOREA

  • Source: Youtube
  • Views: 45742
  • Date: 9 hours ago
  • Download: 77780
  • Likes: 7635
  • Dislikes: 5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수도권 전철 노선

Bing에서 수도권 전철 노선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수도권 전철 노선.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수도권 전철 노선 서울전철노선도, 수도권 전철 노선도 PDF, 지하철노선도 크게보기, 전철노선도 검색, 수도권 지하철 노선도 2021, 지역별 지하철 노선도, 서울 지하철, 지하철 노선도 보는법

Leave a Comment